KR20020018976A - 잉크 세트, 잉크젯 기록 방법, 기록 유닛, 잉크 카트리지,잉크젯 기록 장치, 번짐 완화 방법 및 블랙 화상의고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 세트, 잉크젯 기록 방법, 기록 유닛, 잉크 카트리지,잉크젯 기록 장치, 번짐 완화 방법 및 블랙 화상의고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8976A
KR20020018976A KR1020010054082A KR20010054082A KR20020018976A KR 20020018976 A KR20020018976 A KR 20020018976A KR 1020010054082 A KR1020010054082 A KR 1020010054082A KR 20010054082 A KR20010054082 A KR 20010054082A KR 20020018976 A KR20020018976 A KR 20020018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olor
black
group
set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7001B1 (ko
Inventor
히로유끼 다꾸하라
요시히사 다끼자와
구미꼬 마후네
히사시 데라오까
요이찌 다까다
노리야스 아사끼
유꼬 야꾸시가와
쯔요시 간께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20020018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0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40Ink-set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inkje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Ink Jet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수성 매체 및 이 수성 매체 중에 이온기의 작용에 의해 분산된 안료를 함유하는 블랙 잉크, 및 발색재 및 수성 매체를 각각 함유하는 2종 이상의 컬러 잉크를 포함하는 잉크 세트로서,
(i) 창문을 통한 3년 이상의 가상 실내 광퇴색에 해당하는 광퇴색을 초래하는 조건 하의 광퇴색 시험인 시에랩 색상 공간 디스플레이 시스템(CIELAB color space display system)에서, 각 컬러 잉크로 형성된 각 화상의 △E는 동일하거나 또는 그 차이가 10 이하이고,
(ii) 1종 이상의 상기 컬러 잉크는 상기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분산 안정성을 탈안정화시키는 1종 이상의 발색재 및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인 잉크 세트가 제공된다. 상기 잉크 세트는 장기간의 보존 후에도 색 밸런스를 유지하고 블랙 및 컬러 영역 사이에서 번짐이 적은 고화질의 멀티컬러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잉크 세트, 잉크젯 기록 방법, 기록 유닛, 잉크 카트리지, 잉크젯 기록 장치, 번짐 완화 방법 및 블랙 화상의 고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Ink Set, Ink Jet Recording Method, Recording Unit, Ink Cartridge, Ink Jet Recording Apparatus, Bleed-Alleviating Method, and Method for improving Fixability of Black Image}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잉크젯 기록에 적합한 잉크 세트, 잉크젯 기록 방법, 기록 유닛, 잉크 카트리지, 잉크젯 기록 장치, 번짐(bleed) 완화 방법 및 블랙 화상의 고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된 배경 기술>
수성 잉크는 잉크젯 기록 방법을 사용하여 컬러 기록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수성 잉크에서, 개개 색조의 염료는 수용성 매체에 용해된다. 3종의 컬러 잉크, 즉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잉크는 잉크젯 시스템에서 신뢰성이 있어야 할 뿐 만 아니라, 충분한 화상 농도, 우수한 건조 성능, 비번짐성, 물 및 알코올 등과의 얼룩 비형성, 기록된 화상에 대한 우수한 내후성 등을 제공하여야 한다. 특히, 은염 사진에 필적하는 고화질의 잉크젯을 얻기 위해서는, 기록된 화상은 우수한 화질 외에 더 긴 수명을 가져야 한다.
<발명의 요약>
화상의 저장 안정성의 저하의 주요 원인은 광 노출에 의한 색바램 현상이기 때문에, 더 우수한 광견뢰도를 갖는 화상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잉크로 형성된 기록된 화상이 광에 노출될 경우, 잉크로 형성된 화상에서 염료는 광에 의해 광퇴색되어 현저하게 색이 바래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화상의 광견뢰도는 컬러 잉크에 대한 광견뢰도면에서 우수한 구조를 갖는 염료를 사용하고(하거나) 광퇴색을 방지할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개선시켜 왔다.
그러나, 화상의 색 밸런스은 전체 화상이 광에 노출될 때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색 밸런스가 나빠진 전체 화상은 화질이 나빠졌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컬러 화상을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잉크로 형성할 때, 만약 시안 화상의 광견뢰도가 나머지 두 색의 광견뢰도 보다 낮다면, 시안 잉크로 형성된 부분은 색이 더 바래 인쇄 직후의 화상과 비교시 광 퇴색 후 푸른빛이 더 엷어진 화상을 형성할 것이다.
일본특허출원 공개번호 10-329403호는 1년간의 가상 바램 시험(사무실 광 사용)에서 3종의 컬러 잉크로 생성된 화상의 △E가 각각 25, 30 및 15 미만인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잉크의 잉크 세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각 색에 대한 반사농도 잔존률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고, 각각의 색의 잉크로 형성된 화상의 △Es는 크다. 따라서, 잉크 세트는 우수한 광견뢰도를 갖는 화상을 생성한다고 볼 수 없다. 또한, 이들 3가지 색을 사용하는 완전색(full color)의 화상 색 밸런스에 대해서는 기술된 바 없고, 이는 장기간의 저장 안정성을 의도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기술 배경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장기간의 저장 후에도 색 밸런스을 유지하고 우수한 화질을 갖는 화상을 생성할 컬러 잉크 세트의 개발에 흥미를 가져왔다.
한편, 고화질의 멀티컬러 잉크젯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기록 매체 상의 컬러 화상 및 블랙 화상 사이의 경계에서의 번짐을 완화시키는 것이 중요한 기술 과제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컬러 잉크와 블랙 잉크의 조합들에 대한 다양한 착상이 제안되었지만, 그러한 착상들이 색 밸런스을 유지하는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컬러 잉크 세트에도 효과적인가는 전혀 알려진 바 없다. 경계부분에서의 번짐 뿐 만 아니라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색 밸런스의 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는 컬러 잉크 및 블랙 잉크의 임의의 세트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에 걸쳐 색 밸런스면에서 거의 변화가 없는 화상을 제공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멀티컬러 화상에서 컬러 화상과 블랙 화상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번짐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잉크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번짐이 효과적으로 완화되고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색 밸런스에 변화가 적은 고화질의 멀티컬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잉크젯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색 밸런스의 변화가 적은 고화질의 멀티컬러 잉크젯 기록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기록 유닛 및 잉크젯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색 밸런스의 변화가 적은 고화질의 멀티컬러 잉크젯 기록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잉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색 밸런스의 변화가 적고 번짐이 효과적으로 억제된 고화질의 멀티 컬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멀티컬러 잉크젯 기록 화상에서 번짐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컬러 화상에서 색 밸런스에 변화가 적은 고화질의 멀티컬러 화상을 형성할 수 있고, 기록 매체에 대한 블랙 화상의 고착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록 매체에 대한 블랙 화상의 고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고려하여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잉크를 시험하였고, 그 결과 유사한 광퇴색(△E)을 갖는 화상을 각각 제공할 수 있는 컬러 잉크를 한 세트로 사용할 경우 장기간의 저장 후의 색 밸런스의 변화로 인한 화상 퇴색을 막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블랙 화상 영역과 컬러 화상 영역 사이의 번짐은 안료의 이온기의 작용으로 수성 매체 중에 분산된 안료를 함유하는 블랙 잉크를 이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분산 안정성을 탈안정화시키는 발색재 및 첨가제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컬러 잉크와 함께 사용하여 색 밸런스 변화의 억제 효과를 유지하면서 완화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면에서 잉크 세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잉크젯 기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서 기록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서 잉크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서 기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서 잉크 세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서 번짐 완화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잉크젯 기록 장치의 헤드의 일예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멀티헤드의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4는 잉크젯 기록 장치의 투시도이다.
도 5는 잉크 카트리지의 종단면이다.
도 6은 기록 유닛의 투시도이다.
도 7은 액체 방출 헤드를 탑재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의 주요부의 개략 투시도이다.
도 8은 방출 헤드를 갖는 잉크젯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투시도이다.
도 9는 방출 헤드의 주요부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방출 헤드의 일부의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방출구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방출구 부분의 잉크 퇴적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액체 방출 헤드의 주요부의 개략도이다.
도 14, 15, 16, 17, 18, 19 및 21은 도 13의 X-X를 따라 취해진 액체 방출 헤드의 개략 단면도이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액체 방출 헤드의 액체 방출 작용을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잉크젯 기록 장치의 형태이다.
도 23은 잉크젯 기록 헤드의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록 매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헤드
14: 잉크가 흐르는 홈
15: 발열기판
16: 보호막
17-1 및 17-2: 알루미늄 전극
18: 발열저항체층
19: 축열층
21: 잉크
22: 방출구
26: 멀티노즐
27: 유리판
28: 발열헤드
40: 잉크주머니
42: 고무마개
45: 잉크카트리지
51: 종이급부
52: 종이공급롤러
53: 종이배출롤러
61: 블레이드
62: 캡
63: 잉크흡수체
64: 방출회복부
65: 기록헤드
66: 캐리지
67: 가이드축
68: 모터
69: 벨트
70: 기록 유닛
71: 헤드부
72: 대기소통부
80: 잉크유로
81: 오리피스판
82: 진동판
83: 압전소자
84: 기판
85: 방출구
100: 잉크젯 기록헤드
101: 기포
102: 메니커스
600: 잉크젯 기록 장치
601: 잉크젯 헤드 카트리지
602: 구동 모터
603 및 604: 구동전달기어
605: 리드스크류
606: 나선형 홈
607: 캐리지
607a: 레버
608: 가이드
609: 플래튼 롤러
610: 용지압축판
611 및 612: 포토 커플러
613: 지지 부재
614: 캡 부재
615: 잉크 흡입 수단
617: 클리닝 블레이드
618: 이동 부재
619: 본체 지지체
620: 레버
621: 캠
832: 방출구
832a: 볼록부
832b: 오목부
931: 전기열변환체(히터)
933: 잉크공급구
934: 기판
935: 방출구판
935a: 방출구상면
936: 잉크유로벽
936a: 분리벽
935: 방출구판
935a: 방출구면
940: 방출구부
1000: 기재
1001: 잉크(액체)탱크
1003: 코팅층
1007: 결합제
1005: 미세입자
1006: 이동 구동부
1008: 케이싱
1009: 발색재
1010: 기록부
1010a: 카트리지 부재
1012: 카트리지
1016: 벨트
1018: 모터
1022a 및 1022b, 1024a 및 1024b: 롤러 유닛
1026: 회복 유닛
1026a 및 1026b: 풀리
1028: 용지
1030: 공급장치
1100: 액체방출헤드
1141: 홈
1141a: 꼭대기부
1337: 발포실
1338: 액체유로
본 발명의 특징부는 개개 컬러 잉크로 형성된 멀티컬러 화상에서의 컬러 화상은 거의 동일한 광견뢰도를 갖는다는 것이다. 컬러 잉크로 형성된 화상의 광견뢰도는 예를 들면 시에랩(CIELAB)과 같은 색상 공간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시에렙 색상 공간에 따르면, 색은 3 항, 즉 L*, a* 및 b*을 사용하여 표현되며, 여기서 L*는 색의 명도를 정의하고 이는 0(흑색) 부터 100(백색)까지 변동하며, a* 및 b*는 각각 주어진 색의 색상 및 색채 특성을 정의한다.
이에 따라, △E는 초기 화상의 색과 광노출 후의 화상의 색간의 시에랩 색상 공간의 차이를 나타낸다. △E에서의 차이는 상이한 2가지 색상 화상들 사이의 광 퇴색도의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E에서의 차이가 클수록 이들 두 색상들 사이의 광퇴색의 차이도 커진다. △E는 하기 식에 의해 표현된다.
< 식 1 >
△E = [(L*1- L*2)2+ (a*1- a*2)2+ (b*1- b*2)2]1/2
< 식 2 >
△E = (△L*2+ △a*2+ △b*2)1/2
△E를 사용하여 컬러 잉크로 형성된 화상의 광견뢰도를 알 수 있다. 즉, 인쇄 직후 및 광노출후 사이의 △E가 큰 경우, 광퇴색도 크다. 멀티컬러 화상에서 각종 컬러의 각 △Es가 서로 동일한 경우, 색 밸런스은 유지되며, 광노출 후의 멀티컬러 화상은 모든 컬러 화상의 광 색바램이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이지만 관찰자로 하여금 멀티컬러 화질이 덜 퇴색되었다는 인상을 준다. 게다가, 각 컬러 잉크로 형성된 각 화상의 반사농도 잔존률이 커지면, 당해 화상의 전체 광퇴색도 거의 없다. 여기서 반사농도 잔존률은 100%의 인쇄 직후의 화상의 반사 농도에 대한 광노출 후의 반사 농도(퍼센티지 단위)를 말한다. 이는 광퇴색 후 당해 화상의 반사 농도의 보존 정도를 나타내며, 각 컬러 잉크로 형성된 각 화상의 반사농도 잔존률은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광견뢰도 시험
광견뢰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광견뢰도 시험을 사용한다. 광견뢰도 시험은 화상이 실제 보존되는 환경을 고려하여 태양광이 창문을 통해 방으로 들어 온다고 가정한 조건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견뢰도 시험에서 노출양은 장기간 보존을 고려시 6,000 klux ·hr 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100 시간 동안 63 klux의 조도로 수행된 시험은 하루에 5 klux ·hr로 실내에서 태양광이 노출된 조건 하에서 화상이 3년 이상 동안 보존된 것으로 가정하여 수행된 시험에 해당한다.
시험은 태양광이 창문을 통해 방으로 들어 온다고 가정하고 하기 ISO10977에 따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SO 표준에 따르면, 조도는 6 klux이나, 만약 6,000 klux ·hr 이상의 조도에서 시험을 수행한다면, 시험 기간이 너무 장기화된다. 따라서, 얻어진 결과가 모순되지 않는 다면, 조도를 증가시켜 시험 기간을 줄일 수 있다.
기록 매체
본 발명에 사용된 기록 매체는 임의의 특정 매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코팅층을 갖는 것, 예컨대 광택지, 코팅지 및 광택 필름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은 흡수성, 발색성 및 해상도를 얻기 위하여, 기재 상에 다공성 입자 층 또는 다공성 중합체 층을 갖는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록 매체의 한 예는 다공성 구조를 형성하는 미세 입자로 이루어지며, 잉크 중의 발색재(예, 안료 또는 염료)를 흡수한 상기 입자는 화상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기록 매체는 잉크젯 기록에 특히 바람직하다. 잉크 수용층의 한 종류, 소위 잉크 수용층의 간극에서 잉크를 흡수하는 흡수층이 바람직하다. 흡수식 잉크 수용층은 결합제 또는 기타 첨가제의 존재 부재 하에서 주성분인 미세 입자로 형성된 다공성 층을 포함한다. 입자 물질로는 무기 안료[예, 실리카, 점토, 탈크, 탄산칼슘, 카올린, 알루미나 또는 산화알류미늄(예, 수화알루미나),규조토, 산화티탄, 히드로탈시트 및 산화아연] 및 유기 안료(예, 우레아-포르말린 수지, 에틸렌 수지 및 스티렌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물질 중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결합제로는 수용성 중합체 또는 라텍스를 사용가능하다. 결합제로는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개질 폴리(비닐 알코올), 전분 또는 개질 전분, 젤라틴 또는 개질 젤라틴, 아라비아 고무, 셀룰로오스 유도체(예,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SBR 라텍스, NBR 라텍스,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 작용기 개질 중합체 라텍스, 비닐 공중합체 라텍스(예,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말레산 무수물 또는 그의 공중합체 및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필요하다면, 2종 이상의 결합제를 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기타 첨가제, 예컨대 분산제, 증점제, pH 조절액, 윤활제, 흐름 변형제, 계면활성제, 거품 억제제, 형광증백제, 자외선 흡수제 및 산화방지제를 상황에 따라 사용가능하다. 기록 매체의 잉크 수용층은 주로 평균 직경이 1㎛ 이하인 입자, 특히 이러한 크기를 갖는 실리카 또는 산화알루미늄의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리카 입자로서 대표적인 것은 콜로이드 실리카이다. 콜로이드 실리카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지만, 특히 바람직한 콜로이드 실리카는 예를 들어 일본특허등록번호 제2,803,134호및 제2,881,847호에 개시된 것들이다. 산화알루미늄 입자로 바람직한 것으로는 수화알루미나 입자를 들 수 있다. 알루미나 안료의 적합한 한 예로는 하기 일반식으로 표현되는 수화 알루미나이다.
Al2O3-n(OH)2n·mH2O
상기 식에서, n은 1, 2 및 3이고, m은 0 내지 10의 값,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이고, m + n은 0이 아니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mH2O는 mH20 결정 격자의 형성에 관여하지 않는 제거가능한 물이며, 따라서 m은 정수이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m은 상기와 같은 종류의 물질을 가열하여 0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수화 알루미나는 알루미늄 알콕사이드 또는 나트륨 알루미네이트를 가수분해시키는 미국특허 제4,242,271호 및 제4,202,870호에 개시된 것 또는 황산나트륨 또는 염화알루미늄의 수용액을 첨가하여 나트륨 알루미네이트의 수용액을 중화시키는 일본특허공고번호 제57-44605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공지 방법으로 제조가능하다.
도 24는 기재 상에 잉크 수용층을 갖는 소위 코팅지의 개략적인 단면이다. 도 24에서, 부호(1,000)는 기재를 나타내고, 부호(1003)는 기재(1000) 상에 유지된 코팅층(잉크 수용층)을 나타낸다. 코팅층(1003)은 결합제(1007)으로 고정된 미세 입자(1005)를 함유하는 다공성 층이다. 코트 페이퍼 상에 잉크 소적을 가하면, 잉크 중의 발색재(1009)는 미세 입자(1005)의 표면에 흡수되고, 흡수된 발색재는 화상을 형성한다.
블랙 잉크
블랙 잉크 중의 안료로는 카본블랙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본블랙은 그 자체로 분산되거나(자기분산) 또는 분산제의 도움을 받아 분산될 수 있다.
자기분산형 카본블랙
자기분산형 카본블랙으로는 최소한 표면에 직접 결합되거나 원자기를 통해 결합된 이온계 친수기(음이온계 또는 양이온계)를 갖는 것들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카본 블랙을 사용하여, 카본 블랙을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제의 첨가를 줄이거나 피할 수 있다.
음이온기가 표면에 결합된 카본블랙으로는 그 표면에 -COO(M2), -SO3(M2), -PO3H(M2) 및 -PO3(M2)2와 같은 친수성 기를 갖는 것들을 들 수 있다. 상기 식에서, M2는 수소, 알칼리 금속, 암모늄 또는 유기 암모늄이다. 이 중, 그 표면에 -COO(M2) 또는 -SO3(M2)가 결합되어 음이온을 띤 것이 상기 실시태양에서 사용하기 바람직한데, 그것은 잉크 중의 분산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상기 친수성기에서 M2로 표현되는 것들 중에서 알칼리 금속의 특정 예로는 Li, Na, K, Pb 및 Cs를 들 수 있고, 유기 암모늄의 특정 예로는 메틸암모늄, 디메틸암모늄, 트리메틸-암모늄, 에틸암모늄, 디에틸암모늄, 트리에틸-암모늄, 메탄올 암모늄, 디메탄올 암모늄 및 트리메탄올 암모늄을 들 수 있다.
M2가 암모늄 또는 유기 암모늄인 자기분산형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잉크는 기록된 화상의 수 견뢰도(water fastness)를 증가시킬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실시태양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잉크를 기록 매체에 가할 때 암모늄염이 분해되고 증발되는데 기인한다. M2가 암모늄인 자기분산형 카본블랙은 알칼리 금속을 암모늄으로 치환하는 이온교환법을 사용하여 M2가 알칼리 메탈인 자기분산형 카본블랙을 처리하거나, 또는 먼저 산을 사용하여 H-형(유리산 형)으로 전환시킨 다음, 수산화암모늄을 첨가하여 M2를 암모늄으로 전환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음이온 전하를 띤 자기분산형 카본블랙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차아염소산 나트륨으로 카본블랙을 산화처리할 수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COONa기를 카본블랙의 표면에 화학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각종 친수성 기는 카본블랙의 표면에 직접 결합하거나 또는 표면과 친수성 기 사이에 있는 원자 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결합가능하다.
여기서, 그러한 원자 기의 특정 예로는 1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도는 분지쇄 알킬렌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렌기 및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나프틸렌기를 들 수 있다. 페닐렌기 또는 나프탈렌기에 대한 치환체로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가 있다. 원자기와 친수성기의 조합체의 특정 예로는 -C2H4-COOM, -Ph-SO3M 및 Ph-COOM(여기서, Ph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M은 알칼리 금속을 나타냄)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잉크의 발색재로서 상기 종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자기분산형 카본블랙을 사용가능하다. 자기분산형 카본블랙의 함량은 잉크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5 중량%, 특히 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 한도에서, 자기분산형 카본블랙은 잉크 중에서 충분한 분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잉크의 색조를 조절하기 위하여 발색재로서 자기분산형 카본블랙 외에 1종 이상의 염료를 잉크에 첨가할 수 있다.
일반형 카본블랙
자기분산형 카본블랙 외에 일반형 카본블랙을 또한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lamp black), 아세틸렌 블랙 및 채널 블랙(channel black)과 같은 카본블랙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본블랙 안료로는 레이븐(Raven) 7000, 레이븐 5750, 레이븐 5250, 레이븐 5000, 레이븐 3500, 레이븐 2000, 레이븐 1500, 레이븐 1250, 레이븐 1200, 레이븐 1190울트라(ULTRA)-11, 레이븐 1170, 레이븐 1255(이상 콜롬비아사 제품), 블랙 퍼얼즈(Black Pearls) L, 레갈(Regal) 400R, 레갈 330R, 레갈 660R, 모걸(Mogul) L, 모나크(Monarch) 700, 모나크 800, 모나크 880, 모나크 900, 모나크 1000, 모나크 1100, 모나크 1300, 모나크 1400, 발칸(Valcan) XC-72R(이상 캐보트사 제품), 컬러 블랙(Color Black) FW1, 컬러 블랙 FW2, 컬러 블랙 FW2V, 컬러 블랙 FW2V, 컬러 블랙 FW18, 컬러 블랙 FW200, 컬러 블랙 S150, 컬러 블랙 S160, 컬러 블랙 S170, 레코르덱스(Recordex) 35, 레코르덱스 U, 레코르덱스 V, 레코르덱스 140U, 레코르덱스 140V, 스페셜 블랙(Special Black) 6, 스페셜 블랙 5, 스페셜 블랙 4A, 스페셜 블랙 4[이상, 데구사(Degusa) 제품], No. 25, No. 33, No. 40, No. 47, No. 52, No. 900, No. 2300, MCF-88, MA 600, MA 7, MA 8 및 MA 100(이상 미추비시 케미칼 제품)이 있다. 또한, 상기 카본 블랙 외에 공지된 다른 카본블랙도 사용가능하다. 나아가, 페라이트와 같은 자성 물질의 미세 입자 밑 티타늄 블랙을 블랙 안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블랙 잉크용 발색재로서 상기 일반형 카본블랙을 사용할 경우, 분산제를 잉크에 첨가하여 수성 매체 중에 안정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사용가능한 분산제는 카본 블랙을 수성 매체 중에 안정하게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는 이온기를 갖는다. 상기 분산제로는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해프에스테르(halfester) 공중합체, 비닐나프탈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비닐나프탈렌-말레산 공중합체 및 스티렌-말레산 무수물-말레산 해프에스테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염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들 중에서,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0, 특히3,000 내지 15,000인 것들이 바람직하다.
블랙 잉크 중에 함유된 염
블랙 잉크 중에 염이 존재하면 화질이 기록 매체의 종류로 인해 크게 변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잉크는 매우 높은 농도의 고화질 화상을 안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블랙 잉크는 오직 블랙 잉크로만 형성된 제1 블랙 화상의 광밀도와 블랙 잉크 및 이 블랙 잉크의 분산 안정성을 탈안정화하는 발색재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컬러 잉크로 형성된 제2 블랙 잉크의 광밀도를 거의 동일하게 만든다. 때때로, 제1 블랙 화상의 색조는 제2 블랙 화상의 색조와 조금 다를 수 있지만, 그와 같은 차이는 시각적으로 무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에 함유된 염으로서 (M1)2SO4, CH3COO(M1), Ph-COO(M1), (M1)NO3, (M1)Cl, (M1)Br, (M1)I, (M1)2SO3및 (M1)2CO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M1은 알칼리 금속, 암모늄 또는 유기 암모늄이고, Ph는 페닐기를 의미한다.
알칼리 금속의 특정 예로는 Li, Na, K, Rb 및 Cs를 들 수 있고, 유기 암모늄의 특정 예로는 메틸 암모늄, 디메틸 암모늄, 트리메틸 암모늄, 에틸 암모늄, 디에틸 암모늄, 트리에틸 암모늄, 트리메탄올 암모늄, 디메탄올 암모늄, 트리메탄올 암모늄, 에탄올 암모늄, 디에탄올 암모늄 및 트리에탄올 암모늄이 있다. 이들 염 중에서, 황산염(예, 황산칼륨) 및 벤조산염(예, 암모늄 벤조에이트)가 특히 자기분산형 카본블랙에 필적하고, 이와 같은 염을 함유하는 잉크는 아마도 기록 매체상에 도입시 우수한 고체-액체 분리 효과로 인해 다양한 기록 매체 상에서 고화질의 잉크젯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잉크 중 염의 함량은 전체 잉크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 중량%, 특히 0.1 내지 5 중량%이다. 자기분산형 카본 블랙 및 염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조절하여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블랙 잉크 중 수성 매체
본 발명의 블랙 잉크의 수성 매체은 물 또는 물과 수용성 유기 용매의 혼합물이며, 이 때 수용성 유기 용매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잉크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는 것들이다.
특정 예로는 C1-C4알킬 알코올(예,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n-프로필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n-부틸 알코올, 섹-부틸 알코올 및 t-부틸 알코올), 아미드(예, 디메틸 포름아미드 및 디메틸 아세타미드), 케톤 또는 케토알코올(예, 아세톤 및 디아세톤 알코올), 에테르(예,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디옥산), 폴리알킬렌 글리콜(예,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C2-C6-알킬렌기를 가진 알킬렌 글리콜(예,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1,2,6-헥산 트리올, 티오디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 저급 알킬 에테르 아세테이트(예,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글리세롤, 폴리히드릭 알코올의 저급 알킬 에테르(예,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폴리히드릭 알코올(예, 트리메틸올 프로판 및 트리메틸올 에탄), N-메틸-2-피롤리돈, 2-피롤리돈 및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용성 유기 용매는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가능하다. 탈이온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잉크 중 수용성 유기 용매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적이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잉크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 내지 50 중량%의 범위이다. 잉크 중 물의 함량은 잉크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95 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특성: 잉크젯의 방출 특성 및 기록 매체로의 침투성
상기 측면에 따른 블랙 잉크는 필기용 도구 외에 잉크젯 기록용으로 사용가능하다. 잉크젯 기록 방법으로서 기계적 에너지를 잉크에 가하여 잉크 소적을 방출시키는 기록 방법 및 열에너지를 잉크에 가하여 잉크 중 기포의 작용으로 잉크 소적을 방출시키는 기록 방법이 있으며, 본 발명의 잉크는 상기 두 방법 모두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블랙 잉크를 잉크젯 기록에 사용할 경우, 잉크는 잉크젯 헤드로부터의 방출 특성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잉크는 1 내지 15 mPa ·s의 점도및 바람직하게는 25 m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mPas ·s 및 25 내지 50 mN/m의 표면장력과 같은 액체 특성을 갖는다.
잉크의 기록 매체로의 침투성의 지표는 브리스토오법(Bristow method)으로 결정되는 Ka 값이다. 즉, 잉크의 침투성을 m2당 잉크량(V)로 표현할 경우, 잉크 소적이 방출되고 예정 시간 t가 경과한 후에 기록 매체로 잉크가 침투한 양 V(ml/m2= ㎛)는 브리스토우식에 의해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V = Vr + Ka (t-tw)1/2
상기 식에서, tw는 접촉시간이고, Vr은 기록 매체의 거친 부분에 흡수되는 잉크의 양이다.
여기서, 잉크 소적이 기록 매체의 표면에 접촉한 직후, 잉크는 대부분 기록 매체의 거친 부분(울퉁불퉁한 부분)에 흡수되고 기록 매체 안쪽으로 거의 침투하지 않는다. 이 기간을 접촉 시간(tw)라 하고, 접촉 시간 동안 거친 부분에 흡수되는 잉크의 양을 Vr로 정의한다.
접촉 시간 경과 후, 기록 매체로 침투하는 잉크의 양은 접촉시간을 초과하는 경과시간 즉, (t-tw)의 1/2 제곱급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Ka는 상기 증분의 비례 상수이며, 침투 속도에 해당한다. Ka 값은 브리스토우법에 따른 액체 동적 침투성에 대한 시험 장치에 대한 시험 장치[예, Dynamic Penetrability Testing Device S(상표명), TYYO Seiki Mfg 유한회사의 제품]를 사용하여 결정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잉크에서 Ka 값은 1.5 ml·m-2·msec-1/2미만으로, 화상 화질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 ml·m-2·msec-1/2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a 값이 1.5 ml·m-2·msec-1/2미만 인 경우, 잉크 침투 과정 초기 단계에서 고체 액체 분리가 일어나 번짐이 거의 없는 고화질 화상을 얻게 된다.
본 발명의 브리스토우법에 의한 Ka 값은 기록 매체로 보통지(plain paper), 예를 들어 전자사진법, 페이지 프린터(page printer)(레이저 빔 프린터) 및 잉크젯 기록법을 사용하는 프린터를 사용하는 복사기용 PB 용지(캐논) 및 전자사진법의 복사기용으로 사용되는 PPC 용지를 사용하여 결정한다. 측정은 사무실의 가상 조건, 예를 들어 20 내지 25 ℃의 온도 및 40 내지 60 %의 습도에서 수행한다.
잉크에 상기 원하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수성 매체은 글리세롤, 트리메틸올 프로판, 티오디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이소프로필 알코올, 및 아세틸렌 알코올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컬러 잉크
본 발명에 따르면, 잉크 세트의 컬러 잉크 중 적어도 하나는 컬러 잉크가 블랙 잉크와 접촉시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분산성을 탈안정화시켜야 한다. 안료의 분산성을 탈안정화시키면 안료의 응집 및 침전 및 잉크의 증점과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증점이란 두 잉크(블랙 잉크 및 컬러 잉크)가 혼합된 것을 의미하고, 혼합물의 점도는 두 잉크 중 하나 보다는 더 높게 된다. 이와 같은 컬러 잉크의 실시태양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1) 잉크를 혼합시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분산성을 탈안정화시키는 발색재를 함유하는 컬러 잉크 또는
(2) 잉크를 혼합시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분산 안정성을 탈안정화시키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컬러 잉크.
상기 실시태양 (1)의 구체적인 예는 아래 i) 및 ii)과 같다.
i) 블랙 잉크 중 안료는 음이온 기를 가지며, 컬러 잉크의 발색재는 양이온 기를 갖는다.
상기 예에서, 컬러 잉크를 블랙 잉크와 혼합시, 컬러 잉크 중의 발색재의 양이온기는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음이온기와 반응하여 블랙 잉크 중의 분산 안정성을 파괴하고, 그 결과 안료의 응집 및 잉크의 증점을 초래한다.
ii) 블랙 잉크 중의 안료는 양이온기를 가지고, 컬러 잉크 중의 발색재는 음이온기를 갖는다.
상기 예에서, 컬러 잉크가 블랙 잉크와 접촉시, 컬러 잉크 중의 발색재의 음이온기는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양이온기와 반응하여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분산안정성을 파괴하고, 그 결과 안료의 응집 및 잉크의 증점을 가져온다.
상기 실시태양 (2)의 구체적인 예는 아래 iii) 내지 v)이다.
iii) 블랙 잉크 중의 안료는 음이온기를 가지며, 컬러 잉크는 다가 금속 양이온(예, Mg2+, Ca2+, Cu2+, Co2+, Ni2+, Fe2+, La3+, Nd3+,Y3+및 Al3+)의 다가 금속염을 1종 이상 함유한다.
상기 예에서, 컬러 잉크가 블랙 잉크와 접촉시, 컬러 잉크 중의 다가 금속 양이온은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음이온기와 반응하여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분산 안정성을 파괴하고, 그 결과 안료의 응집 및 잉크의 증점을 가져온다. 컬러 잉크는 다가 금속염을 컬러 잉크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중량%의 범위로 함유한다.
상기 실시태양에서, 다가 금속염은 질산염 또는 아세테이트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iv) 블랙 잉크 중의 안료는 3 내지 7의 pH 범위에서 안정하게 분산되어 있고, 컬러 잉크의 pH는 8 내지 10이다.
본 실시태양에서, 컬러 잉크가 블랙 잉크와 접촉시, 블랙 잉크의 pH는 증가하고, 안료의 분산 안정성은 파괴되어 안료의 응집 및 잉크의 증점을 가져온다.
v) 블랙 잉크 중의 안료는 7 내지 11의 pH 범위에서 안정하게 분산되어 있고, 컬러 잉크의 pH는 3 내지 6으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태양에서, 컬러 잉크가 블랙 잉크와 접촉시, 블랙 잉크의 pH는 떨어지고, 안료의 분산 안정성을 파괴되어 안료의 응집 및 잉크의 증점을 초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컬러 잉크 및 블랙 잉크의 세트를 사용하면 예컨대 블랙 잉크와 컬러 잉크의 중첩(superimposing)이 가능해저 컬러 화상 영역의 우수한 장기 보존성외에 블랙 화상과 컬러 화상 사이의 경계 부분에서 번짐이 감소된 고화질의 멀티컬러 화상을 형성한다.
발색재
본 발명에서 컬러 잉크용 발색재는 컬러 인덱스(Color Index)에 열거된 수용성 발색재, 예를 들면 크산텐 염료, 트리페닐 메탄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모노아조 염료, 디아조 염료, 트리아조 염료, 테트라아조 염료 및 구리 프탈로시아닌 염료가 바람직하다. 잉크는 1종 이상의 발색재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발색재는 잉크를 전체 잉크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중량%이다.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분산 안정성을 컬러 잉크 중의 발색재에 의해 파괴하고자 하는 경우, 발색재는 상기 i) 및 ii)에 기술된 본 발명의 요지와 일치하는 통상적인 발색재로부터 선택한다.
마젠타 잉크가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세트에 함유된 경우, 하기 일반식 (1)로 표현되는 발색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에서, R1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콕시기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릴기이고, R2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기이고, R3는 수소원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릴옥시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X1은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염 또는 황산기 또는 그의 염을 나타낸다. n은 1 또는 2를 나타낸다.
더욱 구체적으로, R1의 예로는 1 내지 4개의 탄소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선형 알콕시기 및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기(여기서, 페닐기의 치환체로는 메틸기, 히드록실기, 니트로기, 술폰산기 또는 그의 염,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염 및 불소, 염소, 브롬 등과 같은 할로겐 등이 있음)가 있다. R2로는 수소원자,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선형 저급 알킬기를 들 수 있다. R3로는수소원자,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선형 알킬기 및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선형 알콕시기 및 아릴옥시기(예, 페녹시기)를 들 수 있다. 이 아릴옥시기는 아릴 고리 상에 1종 이상의 치환체, 예를 들어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선형 알킬기, 황산기 또는 그의 염 및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염을 가질 수 있다. R4로는 수소원자 및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선형 저급 알킬기를 들 수 있다. X1으로는 -COOM, -SO3M(여기서, M은 수소원자, Li 또는 Na 같은 알칼리 금속임), 암모늄(NH4), 유기 암모늄(N(R8)4))이고, 여기서 R8에는 메틸 및 에틸이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예시된 화합물 (1-1 내지 1-7) 중의 M은 H, Li, Na, NH4및 N(R8)4중 하나를 나타낸다.
예시 화합물 (1-1)
예시 화합물 (1-2)
예시 화합물 (1-3)
예시 화합물 (1-4)
예시 화합물 (1-5)
예시 화합물 (1-6)
예시 화합물 (1-7)
보다 구체적으로, 마젠타 잉크는 화학식 (1)의 발색재 1종 이상 및 하기 화학식 (2) 및 (3)으로 표시되는 발색재 및 크산텐 구조를 갖는 발색재들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발색재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식에서, Ar1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기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나프틸기이고, Ar2는 아세틸기, 벤조일기, 1,3,5-트리아지닐기, SO2-C6H5기 또는 SO2-C6H4-CH3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M은 술폰산기의 반대이온이고,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예, Li 및 Na), 암모늄(NH4) 또는 유기 암모늄(N(R9)4)이고, 여기서 R9로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들 수 있다. Ar1의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는 예컨대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염, 황산기 또는 그의 염, 또는 1 내지 4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선형 알킬, 할로겐원자(예, 불소, 염소 및 브롬), 1 내지 4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기 및 아릴옥시기(예, 페녹시기)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치환체를 가질 수 있다. Ar2가 벤조일기 또는 1,3,5-트리아질기인 경우, 벤젠 고리 또는 1,3,5-트리아진 고리는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염, 할로겐원자(불소, 염소, 브롬 등), 1차 내지 3차 아미노기, 알콕시기, 히드록실기 등과 같은 치환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식에서, Ar3및 Ar4는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기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나프틸기를 나타낸다. 페닐기 및 나프틸기의 치환체로는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선형 알킬기,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선형 알콕시기, 히드록실기,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염, 술폰산기 또는 그의 염, 또는 할로겐원자(예, 불소, 염소, 브롬 등)을 들 수 있다. Ar3또는 Ar4중 적어도 하나는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염 또는 황산기 또는 그의 염인 치환체를 갖는다. M은 황산기의 반대이온으로서,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예, Li 및 Na), 암모늄(NH4) 및 유기 암모늄(N(R10)4)(여기서, R10에는 메틸기 및 에틸기가 있음) 중 하나를 나타낸다. R5는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염, 할로겐원자(예, 불소, 염소 및 브롬), 1차 내지 3차 아미노기, 알콕시기, 히드록실기 등으로 치환될 수 있는 1,3,5-트리아진-디일기를 나타낸다. R6및 R7은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아르알킬기, 또는 N 원자와 함께 퍼히드록시아진 고리를 형성하는 원자기를 나타내고, L은 2가 유기 연결기를 나타낸다. R6및 R7은 예컨대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케닐기, 벤질기 등이다. 알킬기, 알케닐기 및 벤질기의 치환체로는 히드록실기,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염 및 술폰산기 또는 그의 염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발색재의 구체적인 예로는 씨 아이 리액티브 레드(C. I. Reactive Red) 180 및 하기 구조를 갖는 것들 외에, 일본특허공개번호 제8-73791호, 제11-209673호에 개시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 예시된 화합물 (2-8 내지 2-13) 중의 M은 H, Li, Na, NH4및 N(R9)4중 하나를 나타낸다.
예시 화합물 (2-8)
예시 화합물 (2-9)
예시 화합물 (2-10)
예시 화합물 (2-11)
예시 화합물 (2-12)
예시 화합물 (2-13)(씨 아이 레드 249)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발색재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구조를 갖는 것들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 예시된 화합물 (3-14 내지 3-22) 중 M은 H, Li, Na, NH4및 N(R10)4중 하나를 나타낸다.
예시 화합물 (3-14)
예시 화합물 (3-15)
예시 화합물 (3-16)
예시 화합물 (3-17)
예시 화합물 (3-18)
예시 화합물 (3-19)
예시 화합물 (3-20)
예시 화합물 (3-21)
예시 화합물 (3-22)
크산텐 구조를 갖는 발색재의 특정 예로는 씨 아이 액시드 레드(C.I. Acid Red) 52, 92, 94 및 289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젠타 잉크가 혼합물 중에 화학식 (1)의 발색재 및 화학식 (1) 이외의 발색재(화학식 (2) 및 (3)으로 표시되는 발색재 및 크산텐 구조를 갖는 발색재들로부터 선택되는 것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경우, 뚜렷한 색조, 고화상 농도 및 우수한 광견뢰도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중량비는 95 : 5 내지 20 : 8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세트가 시안 잉크를 함유하는 경우, 시안 잉크의 발색재로서 구리 프탈로시아닌 구조를 갖는 발색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리 푸탈로시아닌 구조를 갖는 발색재의 특정 예로는 씨 아이 액시드 블루 249, 씨 아이 다이렉트 블루 86, 씨 아이 다이렉트 블루 199 및 씨 아이 다이렉트 블루 307을들 수있다. 상기 구리 프탈로시아닌 발색재 외에, 다른 시안 발색재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추가의 발색재에 대한 구리 프탈로시아닌 발색재의 중량비는 95 : 5 내지 20 : 8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세트가 옐로우 잉크를 함유하는 경우, 발색재로 다이렉트 옐로우 13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세트는 발색재로서 염료를 함유하는 다른 블랙 잉크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잉크는 다른 컬러 잉크와 마찬가지로 3년 이상의 가상 실내 광퇴색 후에 시에랩 색상 공간 표시 시스템에서 블랙 잉크로 형성된 화상의 △E가 다른 △E와 10 이상 차이가 없는 광퇴색 특성을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은 염료 기재 블랙 잉크에 사용가능한 염료로는 하기 화학식 (4 내지 6)으로 표시되는 것들을 들 수 있다.
상기 식에서, W는 카르복실기를 나타내고, X는 수소원자, 카르복실기 또는 술폰기를 나타내고, Y는 수소원자, 카르복실기 또는 술폰산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원자, 카르복실기 또는 술폰산기를 나타내고, R1은 수소원자, 카르복실기 및 알콕시기 중 적어도 하나로 치환된 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기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칸오일기를 나타낸다. 페닐기 및 알칸오일기의 치환체로는 히드록실기,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및 알콕시기를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에서, R1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시알킬기의 바람직한 예로는 알킬기가 C1-C6(탄소수는 1 내지 6이고 이하 동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C1내지 C4인 카르복시알킬이다.
상기 식에서, Q1은 저급 알킬카르보닐 아미노기 및 저급 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체를 갖는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 또는 술폰산기로 치환된 나프틸기를 나타내고, Q2는 술폰산기로 치환된 나프틸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로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Q3는 비치환되거나 SO3M 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내고, R2및 R3는 독립적으로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또는 저급 알킬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R4는 수소원자, 또는 술폰산기로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n은0 또는 1이고, M은 알칼리 금속(예, Li 또는 Na), 암모늄(NH4), 유기 암모늄(N(R11)4)(여기서, R11은 메틸 또는 에틸일 수 있음)이다.
화학식 (5 및 6)으로 표시되는 염료 구조에서, 저급 알킬카르보닐 아미노기는 C1내지 C4알킬카르보닐 아미노기, 저급 알콕시기(C1내지 C4알콕시기) 및 저급 알킬기(C1내지 C4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염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예시 화합물 (23 내지 27)을 들 수 있다.
예시 화합물 (23)
예시 화합물 (24)
예시 화합물 (25)
예시 화합물 (26)
예시 화합물 (27)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염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예시된 화합물 (28 내지 32)을 들 수 있다.
예시 화합물 (28)
예시 화합물 (29)
예시 화합물 (30)
예시 화합물 (31)
예시 화합물 (32)
상기 화합물들 이외에도, 예를 들어 씨 아이 다이렉트 블랙 17, 19, 51, 71, 90, 108, 146, 154, 168, 195, 씨 아이 푸드 블랙 1 및 2를 들 수 있다. 이들 블랙 염료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본 발명에 범위내에서 적합하게 배합하여 사용가능하다. 광퇴색 특성의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더 바람직한 잉크 세트는 각 △의 차이가 10(0 제외) 이하이고, 각 화상의 반사농도 잔존률이 3 년 이상 동안의 창문을 통한 가상 실내 태양광 퇴색에 상응하는 퇴색 조건하에서 7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인 △E를 각각 제공할 수 있는 것들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일실시태양에서, 잉크 세트는 상기 발색재를 함유하는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잉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잉크 세트는 상기 다양한 기록 매체 중 알루미나 수화물 미세 입자의 잉크 수용층을 갖는 기록 매체와 특히 우수한 일체성(conginiality)를 보인다. 이들 발색재 및 기록 매체가 우수한 일체성을 갖는 이유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알루미나 수화물에 대한 발색재의 흡수 상태가 발색재의 퇴색의 억제에 공헌하기 때문일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원하는 색조 및 우수한 광견뢰도를 제공할 수 있는 컬러 잉크용 발색재의 조합은 아래와 같다.
마젠타 잉크: 화학식 (2) 및 (3)으로 표시되는 발색재 및 크산텐 염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갖는 화학식 (1)의 블렌드. 더 구체적으로는, 예시 화합물 (1-7) (2-8) 및 씨 아이 레드 289의 블렌드.
시안 잉크: 다이렉트 블루 199
옐로우 잉크: 다이렉트 옐로우 132
염료 기재 블랙 잉크를 잉크 세트에 첨가할 경우, 잉크는 발색재로서 씨 아이 푸드 블랙 2, 예시 화합물 (23) 및 예시 화합물 (28)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세트의 다른 예는 가시광선 영역 내의 최대 흡수파장에서 제1 컬러 잉크의 흡광도가 제2 컬러 잉크의 흡광도 보다 높고 동일한 색조를 갖는 제1 컬러 잉크 및 제2 컬러 잉크를 포함한다. 제2 컬러 잉크는 100%의 고체 부분을 제2 컬러 잉크로 기록 매체(예, 보통지) 상에 인쇄할 때 인쇄된 부분이 보이는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가시광선 영역 내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의 제2 컬러 잉크의 흡광도는 가시광선 영역 내의 최대흡수파장에서의 제1 컬러 잉크의 흡광도의 1/20 내지 1 이하 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발색재를 사용할 경우, 제1 잉크는 발색재를 전체 잉크 중량을 기준으로 2 중량% 이상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제2 잉크는 상기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발색재를 전체 잉크 중량을 기준으로 2 중량% 이하의 양으로 함유한다.
또한, 제2 컬러 잉크로 형성된 화상의 광견뢰도는 제1 잉크의 광견뢰도와 동일하거나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세트가 제1 및 제2 마젠타 잉크를 함유하는 경우, 제2 마젠타 잉크는 발색재로서 상기 화학식 (1)의 발색재만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세트가 제1 및 제2 시안 잉크를 함유하는 경우, 제2 시안 잉크는 발색재로서 다이렉트 블루 199 만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잉크 세트는 광견뢰도 시험 후의 △E가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인 화상을 각각 제공할 수 있는 컬로 잉크로 구성된 것들이다.
컬러 잉크용 수성 매체
본 발명의 잉크 세트의 컬러 잉크는 상기 발색재를 수성 매체 중에 용해시키거나 분산시켜 제조한다. 수성 매체은 물 및(또는) 수용성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임의의 유기 용매는 이들이 알코올, 폴리히드릭 알코올, 폴리글리콜, 글리콜 에테르, 질소 함유 극성용매 및 황 함유 극성 용매와 같이 수용성인 한 사용가능하다. 이들 용매는 잉크의 수분을 유지시키고, 발색재의 용해성을 증가시키고 잉크를 기록 매체에 침투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잉크의 수분 유지, 발색재의 용해성 및 잉크의 기록 매체로의 침투성을 고려할 때, 수용성 유기 용매의 함량은 잉크의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 중량%이다. 염료의 고흡수성을 유지시키고 안정한 잉크 방출을 위해 잉크에 적합한 점도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잉크는 물을 30 내지 95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
잉크 수분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황에 따라 본 발명의 잉크 성분으로서 우레아, 우레아 유도체 및 트리메틸올프로판과 같은 고체 보습제를 사용할 수 있다. 잉크 중의 보습제의 함량은 잉크의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중량%이다. 또한, 잉크는 필요하다면, 각종 첨가제, 예컨대 pH 조절제, 부식방지제, 보존제, 항곰팡이제(mildewproofing agent), 산화방지제, 환원방지제, 증발 촉진제, 킬레이터 및 수용성 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잉크 세트를 구성하는 컬러 잉크 중 적어도 하나는 블랙 잉크 중의 발색재의 분산 안정성을 탈안정화시키는 작용제 및 발색재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한다. 이와 같은 실시태양에서, 컬러 잉크는 다가 금속 양이온의 염을 함유한다.
여기서, 컬러 잉크 중의 다가 금속 염의 농도가 더 높을수록, 블랙 잉크 중의 안료 분산성을 탈안정화시키는 효과도 더 높게 된다. 그러나, 컬러 잉크 중의다가 금속 염의 농도가 예를 들어 2 중량% 이상으로 증가하면, 컬러 잉크의 안정성은 조금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자들은 잉크 중에 2-피롤리돈 및 에틸렌 우레아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2-피롤리돈 또는 에틸렌 우레아를 첨가하여 다가 금속 염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컬러 잉크를 안정화시킬 수 있지만, 2-피롤리돈 및 에틸렌 우레아를 병용할 경우, 이들을 아주 소량만 첨가하여도 고농도의 다가 금속 염을 함유하는 잉크에 대해 안정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가 금속 염의 농도가 2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2-피롤리돈 및 에틸렌 우레아를 컬러 잉크에 첨가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
낮은 pH에서 수용성이 떨어지는 발색재를 본 발명의 컬러 잉크에 사용할 경우, 잉크의 pH를 중성 내지 알칼리성으로 유지시켜 노즐 끝에서의 막힘을 방지하거나 잉크의 저장 수명을 늘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잉크의 pH가 11.0을 초과할 경우, 잉크와 접촉하는 기록 수단 부재의 용해 및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수용성이 낮은 pH 범위에서 감소하는 발색재의 경우, 잉크의 pH를 7.0 내지 11.0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록 매체 상에 고화질의 컬러 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잉크의 Ka 값은 예를 들어 5 내지 10 mL ·m-2·msec-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Ka 값을 갖는 잉크는 기록 매체로의 침투력이 높기 때문에,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로부터 선택되는 상이한 색상의 2가지 입접한 화상이 형성될 경우, 인접한 화상들 사이의 번짐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컬러 잉크를 다른 색상의 화상에 방출할 경우, 상이한 색상의 화상 들 사이의 번짐은 잉크의 높은 침투성으로 인해 경감될 수 있다. 컬러 잉크의 Ka 값은 공지 방법,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거나 침투성 용매(예, 글리세롤 에테르)를 첨가하여 조절할 수 있다. 당연히, 첨가량을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세트의 추가의 이점은 블랙 화상의 개선된 고착성(fixation)이다. 블랙 화상이 형성되는 영역에 블랙 잉크 안료의 분산 상태를 탈안정화시킬 수 있는 첨가제, 발색재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컬러 잉크 및 분산된 안료를 함유하는 블랙 잉크를 가하여 기록 매체 상에서 이들 잉크를 겹치게 하고, 이에 의해 블랙 화상의 기록 매체로의 고착성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블랙 잉크 및 컬러 잉크의 겹침은 블랙 잉크 직후 컬러 잉크를 가하거나 또는 컬러 잉크 직후 블랙 잉크를 가하여 액체 상태로 이들 잉크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블랙 잉크 및 컬러 잉크의 겹침은 액체 상태로 혼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잉크가 기록 매체에 침투한 후 다른 잉크를 가한 경우에도, 본 발명자들은 컬러 잉크 중의 첨가제 또는 발색재의 작용에 의해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분산 안정성이 파괴되는 한 혼합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가시 영역(예, 380 - 780 nm) 내의 최대 흡수파장에서 제1 잉크의 흡광성이 제2 잉크의 흡광성 보다 크며 동이한 색조를 갖는, 제1 잉크 및 제2 잉크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잉크 세트의 경우, 블랙 화상의 색조 변화를 방지하거나 억제하기 위해서는 제2 잉크는 블랙 잉크의 안료의 분산 안정성을 탈안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선 영역 내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 높은 흡광도를 갖는 컬러 잉크, 예를 들어 상기한 발색재를 잉크 중량을 기준으로 2 중량% 이상으로 함유하는 잉크로 블랙 안료의 분산성을 탈안정화시키는 경우, 블랙 화상의 색조는 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질을 더 향상시킨다는 측면에서 이와 같은 색조 변화를 막거나 억제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2종 이상의 컬러 잉크를 블랙 잉크와 함께 블랙 화상 영역에 가한다. 예를 들어, 잉크 세트가 블랙, 마젠타, 시안 및 옐로우 잉크를 포함하고 시안 잉크가 블랙 안료의 분산성을 탈안정화시키는데 공헌하는 경우, 시안 잉크 소적 이외에 마젠타 및 옐로우 잉크 소적을 정해진 비율로 블랙 화상 영역에 가하여 블랙 색조의 변화 없이 설사 있다손 치더라도 거의 없이 블랙 화상의 고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기록 장치, 잉크젯 기록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세트로 기록하기 적합한 기록 장치에는 예를 들어 기록 신호에 따라 열에너지를 잉크에 인가하여 잉크 소적을 형성하고 방출시키는 장치가 있다. 이 장치의 주요부, 헤드의 구성의 일례를 도 1 및 2에 나타냈다.
도 1은 잉크의 유동 경로를 따라 위치하는 헤드(13)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2-2)에서 취해진 단면도이다. 헤드(13)는 잉크가 흐르는 홈(14)를 갖는 유리,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플레이 등 발열체기판을 부착시켜 만든다. 발열기판(15)는 산화실리콘 등으로 형성된 보호막(16), 알루미늄 전극(17-1 및 17-2), 니크롬으로 형성된 발열저항체층(18), 축열층(19) 및 알루미나 등으로 형성된고방열성기판(20)을 포함한다.
전극(17-1 및 17-2)에 펄스형의 신호가 인가되면, 발열기판(15)의 "n" 영역은 열을 신속하게 발생시키며 상기 영역과 접촉하는 잉크에 기포가 형성된다. 잉크(21)은 방출구(22)로 방출되고 기포 형성으로 인해 압력 P 하에서 메니스커스(23)을 형성한다.
도 3은 도 1의 다수 헤드를 배열한 멀티헤드의 외관도를 보여준다. 이 멀티헤드는 멀티노즐(26)을 갖는 유리판(27)과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발열헤드(28)를 부착시켜 제조한다.
도 4는 상기 헤드를 탑재한 잉크젯 기록 장치의 한 예를 보여준다. 도 4에서, 부호(61)는 와이핑 부재로서 작용하는 블레이드를 나타내며, 여기서 블레이드의 일단은 블레이드 유지 부재로 유지되어 고정되어 있고, 그 결과 전체적으로 캔틸레버 형태를 취한다. 블레이드(61)는 기록 헤드에 의해 기록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이 경우 기록 헤드의 이동 경로 중에 돌출한 형태로 유지된다.
부호(62)는 블레이드(61)에 인접한 정위치에 위치하고 기록 헤드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여 잉크방출구를 밀고 캐핑 역할을 수행하는, 기록 헤드의 방출구면 상의 캡을 나타낸다. 나아가, 부호(63)는 블레이드(61)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잉크흡수체를 나타내며, 이는 블레이드(61)와 마찬가지로 기록 헤드의 이동 경로 중에 돌출한 형태로 유지된다. 방출회복부(64)는 상기 블레이드(61), 상기 캡(62) 및 상기 잉크 흡수체(63)로 구성되며, 잉크방출구 상의 수분, 먼지 등은 블레이드(61) 및 잉크 흡수체(63)에 의해 제거된다.
부호(65 및 66)는 각각, 방출에너지 발생 수단이 장착되고 방출구로부터 방출구면에 대향하는 기록 매체에 잉크를 방출하여 기록을 행하는 기록 헤드 및 이 기록 헤드(65)를 탑재하고 이동시키는 캐리지를 나타낸다. 캐리지(66)는 가이드축(67)과 활주가능하게 맞물려 있고, 캐리지(66)의 일부는 모터(68)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69)에 연결되어 있다(도시되지 않음). 이에 따라, 캐리지(66)는 가이드축(67)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여 기록 헤드(65)에 의한 기록 영역 및 그의 인접 영역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부호(51 및 52)는 각각 기록 매체를 삽입하기 위한 종이급부 및 도시되지 않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종이공급 롤러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기록매체는 기록헤드(65)의 방출구면에 대향하는 위치로 공급되어 기록이 진행됨에 따라 종이배출롤러(53)를 배치한 종이배출부로 종이를 공급한다. 기록헤드(65)가 기록을 종료하여 정위치에 복귀할 때, 방출회복부(64)의 캡(62)은 기록헤드(65)의 이동 경로로부터 이탈하고 있지만, 블레이드(61)는 이동 경로로 돌출한다. 그 결과, 기록헤드(65)의 방출구면은 와이핑된다. 캡(62)이 기록헤드의 방출구면에 접촉하여 캡핑을 행하는 경우, 캡(62)은 기록헤드의 이동 경로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이동한다. 기록헤드(65)가 정위치로부터 기록 개시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캡(62) 및 블레이드(61)는 상기 와이핑시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있다. 그 결과, 이 이동시에도 기록헤드(65)의 방출구면이 와이핑된다.
기록헤드(65)의 정위치로의 상기 이동은 기록 종료시나 방출 회복시에 수행될 뿐 만 아니라, 기록헤드(65)가 기록을 위해 기록 영역을 이동하면서 소정의 간격으로 기록 영역에 인접한 정위치로 이동하는 중에도 상기 와이핑이 행하여진다.
도 5는 기록 헤드를 위한 잉크공급부재, 예컨대 튜브를 통해 공급되는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카트리지(45)의 일례를 보여준다. 여기서, 부호(40)는 공급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저장부, 예를 들면 잉크 주머니이고, 그 선단에는 고무마개(42)가 설치된다. 이 마개(42)에 바늘(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함으로써, 잉크주머니(40) 중의 잉크를 헤드에 공급할 수 있다. 부호(44)는 폐잉크를 수용하는 잉크흡수체이다. 잉크와 접촉하는 잉크 저장부의 표면은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잉크젯 기록 장치는 상기한 헤드 및 잉크카트리지를 별개로 포함하는 것들에 한정되지 않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체로 된 것에도 적합하게 적용된다. 도 6에서, 부호(70)는 기록 유닛을 나타내고, 이에는 잉크 저장을 위한 잉크저장부, 예를 들어 잉크 수용체가 설치되어 있고, 이와 같은 잉크 수용체 중의 잉크는 복수의 오리피스를 갖는 헤드부(71)로부터 잉크 소적으로서 방출된다. 부호(72)는 기록 유닛을 대기에 연결시키기 위한 대기 소통부를 나타낸다. 이 기록 유닛(70)은 도 4에 도시된 기록헤드(65) 대신에 사용되며,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다.
역학적 에너지를 이용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의 일례로서 복수의 노즐을 갖는 노즐형성기판, 노즐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압전재료와 도전재로로 구성된 압력발생장치 및 이 압력발생 장치 주위에 채워진 잉크를 포함하며, 인가 전압에 의해 압력발생 장치를 변위시켜 노즐로부터 잉크의 소적을 방출시키는 온-디맨드형(On-Demand type) 잉크젯 기록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기록 장치의 주요부인 기록헤드의 구성예가 도 23에 도시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 헤드는 잉크실(도시되어 있지 않음)과 연결된 잉크유로(80), 원하는 부피를 갖는 잉크 소적을 방출시키는 오리피스판(81), 압력을 잉크에 직접 가하기 위한 진동판(82), 이 진동판에 결합되어 전기 신호에 따라 변위하는 압전소자(83) 및 오리피스판(81), 진동판(82) 등을 지탱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기판(84) 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3에서, 잉크유로(80)는 감광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리피스판(81)은 스테인레스강 또는 니켈 등의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그의 방출구(85)는 전기주조 또는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한 구멍뚫기에 의해 형성된다. 진동판(82)은 스테인레스강, 니켈 또는 티타늄 등의 금속 막 및 고탄성 수지 필름으로 형성된다. 압전소자(83)는 티탄산바륨 또는 PZT(Pb[ZrTi]O2)와 같은 유전체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기록헤드는 펄스형 전압을 압전소자(83)에 가하여 변형 응력을 발생시켜 이 응력 에너지로 압전소자(83)에 접합된 진동판(82)을 변형시키고, 이에 따라 잉크유로(80) 중의 잉크를 수직으로 가압하여 오리피스판(81)의 방출구(85)로부터 잉크 소적(도시되지 않음)을 방출하여 기록을 행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와 같은 기록 헤드는 도 4에 예시된 것과 유사한 잉크젯 기록 장치에 조립하여 사용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적합하게 사용가능한 기록 장치 및 기록헤드의 다른 특정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 7은 방출시 기포를 대기와 연결시키는 방출식 액체방출헤드로서의 액체방출헤드 및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헤드를 사용하는 액체방출장치로서의 잉크젯 프린터의 일례의 주요부를 도시한다. 도 7에서, 잉크젯 프린터는 케이싱(1008) 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기록매체로서의 용지(1028)를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P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장치(1030) 및 이 공급장치(1030)에 의한 용지(1028)의 공급 방향 P에 거의 수직인 방향 S와 거의 평행하게 왕복운동을 하는 기록부(1010) 및 이 기록부(1010)를 왕복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서의 이동 구동부(1006)을 포함하도록 제조된다.
공급장치(1030)는 거의 평행하게 대향 배치된 롤러 유닛(1002a 및 1022b) 및 이들 롤러 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0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공급장치(1030)의 구동부(1020)가 작동할 때, 용지(1020)는 롤로 유닛(1022a 및 1022b) 및 (1024a 및 1024b) 사이에서 파지(nipped)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P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이송된다.
이동 구동부(1006)는 소정의 간격으로 대향 배치되는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풀리(1026a 및 1026b)에 감기는 벨트(1016) 및 상기 롤러 유닛(1022a 및 1022b)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고 기록부(1010)의 캐트리지 부재(1010a)에 연결된 벨트(1016)를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모터(1018)를 포함한다.
모터(1018)가 작동 상태로 되어 벨트(1016)가 도 7의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할 때, 기록부(1010)의 카트리지 부재(1010a)는 도 7의 화살표 S 방향으로 소정의 이동량만 이동한다. 또한, 모터(1019)이 작동 상태로 되어 벨트(1018)가 도 7의 화살표 R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기록부(1010)의 카트리지 부재(1010a)는 도 7의 화살표 S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이동량만 이동한다. 또한, 이동 구동부(1006)의 일단의 카트리지 부재(1010a)의 정위치에는 기록부(1010)의 방출회복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회복 유닛(1026)이 기록부(1010)의 잉크 방출구 배열에 대향하여 설치된다.
기록부(1010)에서, 잉크젯 카트리지(이하, 경우에 따라 간단히 카트리지라고 함) 1012Y, 1012M, 1012C, 1012B가 각 색, 예를 들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에 대한 카트리지 부재(1012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8은 전술한 잉크젯 기록장치에 탑재가능한 잉크젯 카트리지의 일례를 보여준다. 이 예에서 카트리지(1012)는 직렬식 카트리지로서, 그 주요부는 잉크젯 기록 헤드(100) 및 잉크와 같은 액체를 함유하기 위한 잉크탱크(1001)로 구성되어 있다. 잉크젯 기록 헤드(100)에는 액체를 방출시키기 위한 방출구(832)의 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잉크와 같은 액체는 액체공급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액체탱크(1001)로부터 액체방출헤드(1100)의 공통액체실(도 9 참조)로 유도된다. 도 8에 도시된 카트리지(1012)에는 잉크젯 기록 헤드(100) 및 액체탱크(1001)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서 액체탱크(1001)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게 한 것이지만, 이 액체 방출 헤드(1100)에 액체탱크(1001)를 교환가능하게 연결한 구조를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잉크젯 프린터에 탑재가능한 상기한 액체 방출헤드의 특정 예를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형태를 보여주는 액체방출헤드의 주요부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투시도이며, 도 10 내지 13은 도 9에 도시된 액체방출헤드의 방출구의 형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여기에서, 전기열변환체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배선 등은 생략되어 있다.
본 예의 액체방출헤드에서는,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세라믹,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으로 만들어진 기판(934)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기판의 재질은 본 발명의 본질이 아니고, 유로구성의 부재로 작용하고 방출에지지발생체, 및 후술하는 액체유로 및 방출구를 형성하는 재료층의 지지부재로서 작용할 수 있는 한,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Si 기판(웨이퍼)를 이용한 경우를 기술하기로 한다. 방출구는 레이저 빔을 사용하는 형성 방법 이외에, 예를 들면 후술하는 오리피스판(방출구판)(935)를 감광성 플라스틱으로 형성하여 MPA(Mirror Projection Aliner)와 같은 노광장치가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9에서, 부호(934)는 전기열변환체(이하, 경우에 따라서 히터라 함)(931) 및 공통액실부로서 긴홈형의 관통구로 이루어지는 잉크공급구(933)를 갖는 기판을 나타내며, 여기서 열에너지 발생 수단인 히터(931)는 잉크공급구(933)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예를 들어 열변환체들 사이에서 300 dpi의 간격으로 지그재그식으로 1열씩 배열되어 있다. 이 기판(934) 상에는, 잉크유로를 형성하는 잉크유로벽(936)이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잉크유로벽(936)에는 방출구(832)를 갖는 방출구판(935)이 설치되어 있다.
도 9에는 잉크유로벽(936) 및 방출구판(935)이 별개의 부재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잉크유로벽(936)을 스핀코트(spin coat)와 같은 방법으로 기판(934) 상에 형성시켜 잉크유로벽(936)과 방출구판(935)을 동시에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예에서, 방출구면(상면)(935a)의 측면에는 발수처리를 더 행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7의 화살표 S 방향으로 주사하면서 기록을 행하는 직렬식 헤드를 사용하며, 기록은 예를 들어 1200 dpi로 행한다. 구동 주파수는 10 kHz이며, 하나의 방출구에서 100 ㎲의 최단 시간 간격으로 방출을 행한다.
또한, 헤드의 실제 크기의 한 예로에서,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노즐을 유체적으로 격리하는 분리벽(936a)의 폭(W)은 14 ㎛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유로벽(936)에 의해 형성된 발포실(1337)은 33 ㎛의 N1(발포실의 너비 크기) 및 35 ㎛의 N2(발포실의 길이 크기)를 갖는다. 히터(931)의 크기는 30 ㎛ x 30 ㎛이고, 히터의 저항은 53 Ω이며, 구동 전압은 10.3 V이다. 또한, 잉크유로벽(936)과 분리벽(936a)의 높이는 12 ㎛이고, 두께가 11 ㎛인 방출구판을 사용할 수 있다.
방출구(832)를 포함하는 방출구판에 설치되어 있는 도 9에 도시된 방출구부(940)의 횡단면 중에서, 잉크의 방출 방향(오리피스판(935)의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단된 횡단면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별모양 형태를 취하고 있고, 둔각을 갖는 6개의 돌출부(832a) 및 이들 볼록부(832a) 사이에 교대로 배치되고 예각을 갖는 6개의 오목부(832b)로 대략 형태화된다. 즉, 방출구의 중심 O로부터 국소적으로 떨어진 영역으로서의 오목부(832b)가 그 상단부이고, 이 영역에 인접한 방출구의 중심 O에 국소적으로 인접한 영역으로서의 볼록부(832a)가 그기저부인, 도 9의 오리피스판의 두께 방향(액체의 방출 방향)에 6 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도 11 참조).
본 실시예에서, 방출구부(940)는 예를 들어 그의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이 27 ㎛의 측면을 갖는 정삼각형 두 개를 서로 60°회전시킨 형태로 조합한 형상이 되도록 제조하고, 도 11에서 도시된 T1은 8 ㎛이다. 볼록부(832a)의 모든 각은 120°이고, 오목부(832b)의 모든 각은 60°이다. 따라서, 방출구 중심 O는 다각형의 무게 중심 G와 일치하도록 배열되며, 이 다각형의 무게 중심은 홈의 꼭대기부와 이 꼭대기부에 인접한 홈들(상호 인접함)의 기저부를 연결하여 형성된 형태의 중심부들의 중심(무게 중심)들을 연결하여 형성된 것이다.
본 예의 방출구(832)의 개구 면적은 400 ㎛2이고, 홈부의 개구 면적(홈부의 꼭대기부와 이 꼭대기부에 인접한 2개의 기저부를 연결하여 만들어진 형태의 면적)은 1 개당 약 33 ㎛2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방출구의 부분에 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형태를 갖는 잉크젯 기록 헤드에 의한 액체의 방출 작용을 도 14 내지 21를 사용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은 도 9 내지 13에 기술된액체방출 헤드의 액체 방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3에 도시한 발포실(1337)의 X-X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이 단면에서, 방출구(940)의 오리피스판의 두께 방향의 끝은 홈(1141)의 꼭대기부(1141a)이다.
도 14는 막형 기포가 히터 상에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며, 도 15 내지 21은 기포의 다음 상태를 보여준다. 도 15는 도 14의 상태의 약 1 ㎲ 후의 상태, 도 16은 도 14의 상태의 약 2 ㎲후의 상태, 도 17은 도 14의 상태의 약 3 ㎲ 후의 상태, 도 18은 도 14의 상태의 약 4 ㎲ 후의 상태, 도 19는 도 14의 상태의 약 5 ㎲ 후의 상태, 도 20은 도 14의 상태의 약 6 ㎲ 후의 상태, 도 21은 도 14의 상태 후의 약 7 ㎲ 후의 상태를 각각 보여주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낙하는 소위 중력 방향의 낙하를 의미하지 않고, 헤드의 부착 방향과 관계 없이 전기열변환체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의미한다.
먼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 신호 등에 따라 히터(931)에 전류가 인가되어 히터(931) 상의 액체유로(1338) 중에 기포(101)가 형성되면, 그의 체적은 도 15 및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 2 ㎲ 내에 갑자기 팽창하여, 기포가 성장할 수 있다 최대 팽창시에 기포(101)의 높이는 방출구면(935a)를 상회하지만, 이 때, 기포의 압력은 대기압의 약 1/2 내지 1/9로 떨어진다.
다음으로, 기포(101)의 형성 후 약 2 ㎲의 시점에, 기포(10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최대 체적으로부터 감소하기 시작하고, 이와 거의 동시에 메니커스(102)가 형성되기 시작한다. 이 메니커스(102)도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931) 측면 방향으로 후퇴, 즉 낙하한다.
본 예에서, 방출구부에 분산되어 있는 홈(1141)이 다수 있고, 이에 따라 메니커스(102)가 후퇴할 때에 홈(1141)의 부분에서 메니커스의 후퇴 방향 FM에 대향하는 방향 FC방향으로 모세관력이 작용한다. 그 결과, 기포(101) 상태에서 어떤 이유로든 다소의 분산이 있더라도, 후퇴시의 매니커스 및 주액적(이하, 경우에 따라 액체 또는 잉크라 함) Ia의 형상이 방출구의 중심에 대하여 거의 대칭인 형태로 변형된다.
다음으로, 본 예에서 상기 메니커스(102)의 낙하 속도는 기포(101)의 수축 속도 보다 빠르며, 이에 따라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포(101)는 기포 형성 후 약 4 ㎲ 되는 시점에서 방출구(832)의 표면 아래에 인접한 위치에서 대기와 연결된다. 이 때, 방출구(832)의 중심축 근방의 액체(잉크)는 히터(931)를 향해 낙하한다. 이는 대기와 연결되기 전의 기포(931)의 부압에 의해서 히터(931) 측부에 퍼내어진 액체(잉크) Ia가 기포(101)가 대기와 소통한 후에도 관성으로 인해 히터(931)의 표면 방향으로 그 속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히터(931) 측부를 향해 낙하한 액체(잉크)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포(101) 형성 후 약 5 ㎲ 되는 시점에 히터(931)의 표면에 도달하고,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져(spreading) 히터(931)의 표면을 덮는다. 이런식으로 퍼져 히터(931)의 표면을 덮은 액체는 히터(931)의 표면을 따라 수평 방향의 벡터를 갖지만, 히터(931)의 표면을 교차한다. 예를 들어, 수직 방향의 벡터는 소멸하여 히터(931)의 표면 상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의 상측 액체, 즉 방출 방향으로속도 벡터를 유지하는 액체를 하방향으로 당긴다.
그 후, 히터(931)의 표면에 퍼진 액체와 상측의 액체(주액적) 사이의 액체 부분(Ib)가 가늘게 되고,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포(101)의 형성후 약 7 ㎲ 되는 시점에 상기 액체 부분(Ib)는 히터(931) 표면의 중심에서 절단되어 방출 방향의 속도 벡터를 유지하는 주액적(Ia)과 히터(931)의 표면에 퍼진 액체(Ic)로 분리된다. 이와 같이, 분리는 액체유로(1338) 내부에서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출구(832) 보다도 전기열변환체(931)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액적(Ia)은 방출 방향에서 이탈하지 않고 방출 비틀림이 없이 방출구(832)의 중심부로부터 방출되며, 기록 매체의 기록 표면의 소정 위치에 도달한다. 또한, 히터(931)의 표면 상에 퍼진 액체(Ic)는 선행 기술에서 주액적의 후속 액체로서 위성 소적이 되어 비상하나, 히터(931)의 표면에 멈춰 방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위성 소적의 방출은 억제되며, 이에 따라 위성 소적의 방출에 의해 쉽게 생성되는 반점(splash)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안개처럼 부유하는 박무(mist)로 인한 기록 매체의 기록 표면의 얼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8 및 21에서, 부호(Id)는 홈부에 부착된 잉크(홈 내의 잉크)를 나타내고, 부호(Ie)는 액체유로 내에 잔존하는 잉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예의 액체방출헤드에서, 기포가 성장하여 최대 체적을 갖은 후에 체적이 감소되는 단계에서 기포를 배출하는 경우, 방출구 주위에 분산된 복수의 홈에 의해 방출할 때 주액적의 방향을 안정화할 수 있다. 그 결과, 방출방향에서의 뒤틀림이 없고 도달 정밀도가 높은 액체방출헤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높은 구동 주파수에서 기포가 분산될 경우 방출을 안정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 및 고정밀 인쇄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기포의 체적이 감소하는 단계에서, 이 기포를 처음으로 대기와 연결하도록 만들어 액체를 방출시킴으로써 기포를 대기와 연결시켜 액적을 방출할 때 발생하는 박무(mist)를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액적이 방출구면에 부착되어 소위 갑작스런 방출 멈춤을 초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방출시 대기와 연결하도록 기포를 만드는 본 발명의 방법에 바람직하게 사용가능한 방출식 기록헤드의 일 태양으로서, 예컨대 일본특허등록 제2,783,647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소위 에지슈터식(edge shooter type)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잉크젯 기록 시스템 중에서 열에너지를 사용하여 비상액적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기록을 수행할 수 있는 잉크젯 시스템의 기록헤드 및 기록장치에서 특히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의 전형적인 형태 및 원리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4,723,129호 또는 4,740,796호에 개시된 기본 원리를 이용하는 시스템이 바람직하다. 이 시스템은 소위 온디맨드형 및 연속형 둘 다에 적용가능하지만, 특히 온디맨드형의 경우에는, 액체(잉크)가 유지되어 있는 시트 및 유로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전기열변환체에 핵비등을 초과하는 갑작스런 온도 상승을 제공하는 기록 정보에 대응한 1 이상의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전기열변환체에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기록헤드의 열작용면에 막비등을 생기게 하고, 그 결과 이 구동 신호에 1 대 1 대응하여 액체(잉크) 내에 기포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기포의 성장 및 수축에 의해, 방출구를 통해 액체(잉크)가 방출되며, 1 이상의 소적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 신호를 펄스형으로 만드는 경우, 기포의 성장 및 수축이 순간적이고 적합하게 이루어 지며, 이에 따라 특히 응답성에 우수한 액체(잉크)의 방출을 얻을 수 있고, 이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펄스형 구동 신호로서, 미국특허 제4,463,359호 또는 4,345,262호에 기술된 신호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작용면의 승온비와 관련한 발명인 미국특허 제4,313,124호에 개시된 조건을 채택하면 더 우수한 기록을 행할 수 있다.
기록헤드의 구성 으로는, 상기 명세서 각각에 개시되어 있는 방출구, 액로 및 전기열변환체를 조합한 구성(선형 액체유로 또는 직각액체유로) 외에, 굴곡 영역에 열작용부가 배치된 형태를 개시하고 있는 미국특허 제4,558,333호 또는 제4,459,600호를 사용한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공통 슬릿이 복수의 전기열변환체를 위한 전기열변환체의 방출구로 작용하는 형태를 개시하고 있는 일본특허출원공개번호 제59,123670호에 기초한 형태 또는 열에너지의 압력파를 흡수하는 개구를 방출구에 대응시키는 구조를 형태를 개시하고 있는 일본특허출원공개번호 제59-138461호에 기초한 형태를 채택하여도 유효하다.
또한, 기록장치가 기록할 수 있는 최대 기록 매체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풀라인식(full-line type) 기록헤드는 상기한 명세서에 개시된 것과 같은 복수의 기록헤드의 조합에 따라서 그 길이를 채우는 형태나 일체적으로 만들어진 기록헤드의 형태 중 하나를 가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장치 본체에 탑재되어 장치 본체와의 전기접속 및 장치 본체로부터의 잉크 공급을 수행할 수 있는 교환가능한 칩식 기록헤드(exchangeable chip type recording head) 또는 잉크탱크가 기록헤드 그 자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카트리지식 기록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 장치의 구성으로서 설치되는 기록 헤드를 위한 회복수단, 예비적인 보조수단 등을 부가하는 것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들을 구체적으로 보면, 기록헤드를 위한 캡핑 수단, 클리닝 수단, 가압 또는 흡입 수단, 전기열 변환 요소 또는 다른 가열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는 예열수단 및 기록과 별도의 방출을 행하는 예비 방출 모드를 수행하는 수단이 있고, 이들도 안정한 기록을 수행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기록장치의 기록 모드로서, 주색(예, 흑색 단독)의 기록 모드 이외에, 기록헤드를 일체적으로 구성하거나 복수의 피이스(piece)를 조합하는 모드로 가능하며, 본 발명은 상이한 색의 복합색 또는 색 혼합에 의한 완전색(full color) 중 하나를 갖는 장치에도 배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태양에서, 잉크를 액체로서 기술하고 있지만, 잉크는 실온 미만의 온도에서 고화하고 실온에서 연화하는 잉크 또는 잉크 그 자체가 30 내지 70 ℃의 온도 범위에서 열적으로 조정되어 잉크의 점도를 열적으로 조절하고, 이에 따라 안정한 방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는 잉크인 것이 보통이므로 실제 기록 신호를 인가할 때 액체로 되는 것이면 충분하다.
또한,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환시키는 에너지를 사용하여 열에너지로 인한 승온을 적극적으로 방지하는 경우 또는 잉크의 증발을 방지할 목적으로 방치 상태로 고화되는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에, 열에너지에 의해 초기에 액화되는 성질을 가진 잉크(기록 신호에 따라 열에너지를 인가하여 액화되어 액화되는 잉크) 또는 기록 매체에 도달하기 전에 이미 고화되기 시작하는 잉크도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 잉크는 일본특허출원공개번호 제5,456,847호 또는 제60-71260호에 기술된 것과 같이, 다공성 시트의 오목부(recess) 또는 관통 구멍 중에 액체 또는 고체 물질로 유지되는 상태로 전기열변환체에 마주하는 형태인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잉크 각각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형태는 전기한 막 비등 시스템을 수행하는 형태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장치의 형태로는, 워드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기의 화상 출력 단말로서 일체적으로 또는 별개로 설치된 장치의 형태 외에도, 판독기(reader)와 조합된 복사 장치의 형태 및 그 외에 송수신 기능을 갖는 팩시밀리 장치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전기한 액체 방출헤드를 탑재한 액체방출장치의 개요을 기술하기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액체방출헤드를 탑재하여 적용가능한 액체방출장치의 일예의 잉크젯 기록장치(600)의 개략적인 투시도이다. 도 22에서, 잉크젯 헤드 카트리지(601)는 상기한 잉크방출헤드와 이 잉크방출헤드에 공급되는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탱크가 일체적으로 이루어진 카트리지이다. 이 잉크젯 헤드 카트리지(601)는 구동모터(602)의 순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구동력전달기어(603 및 604)를 통해 회전하는 리드스크류(605)의 나선형 홈(606)에 맞물린 캐리지(607)에 탑재되어 있고, 구동모터(602)의 동력에 의해 캐리지(607)와 함께 가이드(608)를 따라서 화살표(a 및 b)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한다. 기록매체(P)는 도시하지 않은 기록매체공급수단에 의해 플래튼 롤러(609) 상에서 이송되고, 용지압축판(610)에 의해 캐리지(607)의 이동 방향방향으로 플래튼 롤러(609)에 압축된다.
리드스크류(605)의 일단의 근방에는, 포토 커플러(611 및 61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은 캐리지(607)의 레버(607a)의 이 영역에서 그 존재를 확인하여 구동모터(602) 등의 회전 방향의 변환(switching)을 행하기 위한 정위치 검지수단이다.
지지부재(613)는 상기한 잉크젯 헤드 카트리지(601)의 방출구를 갖는 정면(방출구면)을 덮는 캡부재(614)를 지지한다. 또한, 잉크흡입수단(615)는 잉크젯 헤드 카트리지(601)로부터 진공(vacantly) 방출되어 캡부재(614)에 축적되는 잉크를흡수한다. 잉크젯 헤드 카트리지(601)의 흡입 복귀는 이 잉크흡입수단(615)에 의해 캡 내의 개구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수행된다.
잉크젯 헤드 카트리지(601)의 방출구면을 청소하기 위한 클리닝블레이드(617)는 이동부재(618)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상기 캐리지(607)의 이동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들 클리닝 블레이드(617) 및 이동부재(618)는 본체지지체(619)에 의해 지지된다. 클리닝 블레이드(617)은 이 형태에 한하지 않고, 공지된 다른 클리닝 블레이드일 수 있다.
액체방출헤드의 흡입회복 작용에서, 흡입을 개시하는 레버(620)는 캐리지(607)에 맞물려 있는 캠(621)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고, 구동모터(602)로부터의 구동력은 클러치 전환 등의 공지된 전달수단에 의해 이동되고 제어된다. 발열체에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한 메카니즘의 각각의 구동 제어를 조절하는 잉크젯 구동 제어부는 장치의 본체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는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잉크젯 기록장치(600)는, 잉크젯 헤드 카트리지(601)가 기록매체(P)의 전체 너비를 통해 왕복하는 동안 도시하지 않은 기록매체 공급수단에 의해 플래튼 롤러(609) 상에서 이송되는 기록매체(P)에 대하여 기록을 행한다.
실시예
본 발명은 아래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잉크의 조성은 중량부를 의미한다.
블랙 잉크
안료 분산제 1
표면적인 230 m2/g이고 DBD 오일 흡수량이 70 ml/100 g이고 p-아미노-N-벤조산이 3.06 g인 카본블랙 10 g을 물 72 g 중에서 충분히 혼합한 다음, 이것에 질산1.62 g을 적하하고, 70 ℃에서 교반하였다. 수분 후에, 물 5 g 중의 질산나트륨 1.07 g의 수용액을 거기에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슬러리를 필터(상표명: Toyo-Roshi No. 2, 아드반티사 제조)로 여과하고, 안료 입자를 물로 완전히 세척한 다음, 90 ℃의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이어서, 이와 같이 얻어진 안료에 물을 첨가하여 안료 농도가 10 중량%인 안료 분산액 1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음이온기를 카본블랙의 표면에 도입하였다.
[Che 21]
이어서, 안료 분산제 1을 사용하여, 블랙 잉크 1 및 2를 하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블랙 잉크 1: Bk1)
안료 분산제 1 30 부
트리메틸올 프로판 6 부
글리세롤 6 부
디에틸렌 글리콜 6 부
아세틸렌 글리콜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상품명: Acetylenol EH, 가와케노화인케미칼(주)사 제조) 0.2 부
잔부
(블랙잉크 2: Bk2)
안료 분산제 1 30 부
트리메틸올 프로판 6 부
글리세롤 6 부
디에틸렌 글리콜 6 부
아세틸레놀 EH 0.2 부
암모늄 벤조에이트 1 부
잔부
아래 성분들을 혼합하고, 잘 교반하고 용해시킨 다음, 공극 크기가 0.2 ㎛인 마이크로필터(후지필름사 제조)로 가압 및 여과하여 잉크를 제조하였다.
(옐로우 잉크 1: Y1)
아세틸레놀 EH 1.0 부
우레아 6 부
2-피롤리돈 6 부
에탄올 5 부
씨 아이 다이렉트 옐로우 132 3 부
잔부
(옐로우 잉크 2: Y2)
아세틸레노 EH 1.0 부
에텔렌 우레아 6 부
2-피롤리돈 6 부
에탄올 5 부
씨 아이 다이렉트 옐로우 132 3 부
질산마그네슘염 1 부
잔부
(옐로우 잉크 3: Y3)
아세틸레노 EH 1.0 부
에텔렌 우레아 6 부
2-피롤리돈 6 부
에탄올 5 부
씨 아이 다이렉트 옐로우 132 3 부
질산마그네슘염 2 부
잔부
(마젠타 잉크 1: M1)
아세틸레놀 EH 1.0 부
우레아 6 부
2-피롤리돈 6 부
에탄올 5 부
예시 화합물 7 3 부
예시 화합물 8 1 부
씨 아이 액시드 레드 289 0.1 부
잔부
(마젠타 잉크 2: M2)
아세틸레놀 EH 1.0 부
트리메틸올 프로판 6 부
2-피롤리돈 6 부
에탄올 5 부
예시 화합물 7 3 부
예시 화합물 8 1 부
씨 아이 액시드 레드 289 0.1 부
질산마그네슘염 2 부
잔부
(마젠타 잉크 3: M3)
아세틸레놀 EH 1.0 부
에틸렌 우레아 6 부
2-피롤리돈 6 부
에탄올 5 부
예시 화합물 7 3 부
예시 화합물 8 1 부
씨 아이 액시드 레드 289 0.1 부
질산마그네슘염 3 부
잔부
(시안 잉크 1: C1)
아세틸레놀 EH 1.0 부
우레아 6 부
2-피롤리돈 6 부
에탄올 5 부
씨 아이 다이렉트 블루 199 3.5 부
씨 아이 액시드 블루 9 0.3 부
잔부
(시안 잉크 2: C2)
아세틸레놀 EH 1.0 부
트리메틸올 프로판 6 부
2-피롤리돈 6 부
에탄올 5 부
씨 아이 다이렉트 블루 199 3.5 부
씨 아이 액시드 블루 9 0.3 부
질산마그네슘염 2 부
잔부
(시안 잉크 3: C3)
아세틸레놀 EH 1.0 부
에틸렌 우레아 6 부
2-피롤리돈 6 부
에탄올 5 부
씨 아이 다이렉트 블루 199 3.5 부
씨 아이 액시드 블루 9 0.3 부
질산마그네슘염 3 부
잔부
(시안 잉크 4: C4)
아세틸레놀 EH 1.0 부
에틸렌 우레아 6 부
2-피롤리돈 6 부
에탄올 5 부
씨 아이 다이렉트 블루 199 1.5 부
질산마그네슘염 3 부
잔부
흡광도
가시광선 영역 내의 최대 흡수파장에서 잉크 C3 및 C4의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C3의 최대 흡수파장 및 흡광도는 각각 621.5 nm 및 1.10 이었다.
C4의 최대 흡수파장 및 흡광도는 각각 615.5 및 0.38 이었다. C3 및 C4는 거의 동일한 색조를 가진다. C3에 대한 C4의 흡광도비는 대략 0.347 ≥1/20 이었다. C2에 대한 C1의 흡광도는 거의 C3와 같았다.
화상 샘플의 제조
상기한 잉크를 사용하여, 잉크 방출을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발열 요소를 사용하는 온디맨드형 잉크젯 프린터를 잉크젯 기록 장치로 사용하여 인쇄를 하였다.
(1) 반사농도 잔존률 및 △E
프린터에 Y2, M2, C2 및 C4 잉크를 각각 충전하여 광택지(PR-101, 캐논사 ㅔ제조)에 1.0의 반사농도의 고체 컬러 패치(color patch)를 인쇄하였다. 얻어진 인쇄물을 24 시간 동안 공기 건조시키고, 유리 커버를 통해 63 klux의 조도에서 100 시간 동안 크세논 페이드 메터(Xenon Fade Meter) Ci 3000(아틀라스사 제조)로부터 광을 노출시켜 광견뢰도 시험을 하였다.
용기 내의 램프, 필터, 온도(25 ℃) 및 습도(55%)는 실내 창을 통한 태양광의 ISO10977의 조건에 따랐다. ISO 표준에 따르면, 조도는 6 lux이나, 6,000 klux ·hr 이상의 시험을 행하면 장기간 소요되므로 63 klux에서 100 시간 동안 시험을 수행하여, 동일한 조사량의 결과들에 상반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시험 전·후에 스펙트로덴시토메터(spectrodensitometer) X-라이트(X-rite)(상표명이고 X-라이트사 제품임)에 의해 인쇄된 고체부의 반사농도 및 색좌표 L*a*b*를 측정하였다. 상기 L*a*b*로부터 시험 전후의 색차(△E)를 식(1)에 따라 결정하였고, 반사농도 잔존률을 또한 계산하였다.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냈다.
잉크 Y2 M2 C2 C4
반사농도 잔존률 96 91 92 92
△E 3 4 5 3
상기한 바와 같은 동일 조건 하에서 (C2, M1 및 Y1 컬러 잉크), (C3, M3 및 Y3 컬러 잉크) 및 (C3, M1 및 Y1 컬러 잉크)를 함유하는 잉크 세트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 잉크 세트 모두에서 △E 값의 차이는 10 미만 이었고, 모든 잉크의 반사농도 잔존률은 80% 이상 이었다.
(2) 색 밸런스
아래 표 2에 기재한 잉크 세트를 제조하였고, 각 잉크 세트 마다 잉크를 잉크젯 기록장치의 잉크 용기에 채우고 이 잉크를 사용하여 광택지(PR-101, 캐논사 제조)에 완전색 화상을 인쇄하였다.
실싱예 Bk C M Y
1 Bk1 C2 M2 Y2
2 Bk1 C2 M1 Y1
3 Bk2 C2 M2 Y2
4 Bk2 C2 M1 Y1
5 Bk2 C3 M3 Y3
6 Bk2 C3 M1 Y1
24 시간 동안 공기 건조시킨 후에, 인쇄물에 대하여 상기한 것과 동일한 광견뢰도 시험을 하였다. 시험 후 인쇄물의 색 밸런스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냈다.
(3) 블랙 잉크와 컬러 잉크 사이의 번짐
각 잉크 세트를 사용하여, 블랙 잉크로 형성된 고체 화상이 다가 금속염을함유하는 컬러 잉크로 형성된 고체 화상과 인접하는 방식으로 패턴을 인쇄하였다. 블랙 잉크 30 ng 및 컬러 잉크 15 ng를 1/600 평방 인치의 영역에 가할수 있도록 헤드를 개조한 3 개의 잉크젯 기록장치(상푸명: BJF-600, BJF-800 및 BJF-850)를 사용하였다. 각 색의 노즐이 기록헤드의 주사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된 BJF-850 잉크에서, 블랙,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의 순서로 잉크를 배열하였다.
인쇄 시험에 사용된 기록매체는 2종류의 보통지, 즉 캐논사가 제조한 복사 용지인 PB 용지 및 제록스사가 제조한 4024 용지를 사용하였다. 평가 기준은 아래에 기술하였다.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냈다.
A: 모든 경계 영역에서 번짐이 관찰되지 않음
B: 아주 미세한 번짐이 관찰되나 무시할 수 있음
C: 번짐이 관찰됨.
실시예 색 밸런스 번짐
1 이상 없음 A
2 이상 없음 A
3 이상 없음 A
4 이상 없음 A
5 이상 없음 A
6 이상 없음 A
(4) 블랙 잉크 및 컬러 잉크 둘 다로 형성된 블랙 화상의 고착성 및 색조
5개의 연속적인 인쇄를 수행하였고, 이 때 서로 겹칠 수 있도록 컬러 잉크를 가하여 블랙 화상을 형성하였다. 인쇄 후, 기록 매체의 시트를 파일링(filing)하여 코너 4 곳에 배열하였고, 인쇄된 화상이 불규칙적인가 오프셋(다른 시트의 배면에 부착된 잉크)이 없는가를 관찰하였다. 컬러 잉크로는 동일한 색조 및 상이한 발색재 농도를 갖는 시안 잉크(C3 및 C4)를 사용하였다. 기록장치로는 1/600 평방 인치 당 31 ng로 블랙 잉크를, 1/600 평방 인치 당 4.5 ng로 컬리잉크를 가하도록 개조된 BJF-850(캐논사)을 사용하였다. 잉크는 Bk2, C4 및 C3의 순서로 배열하였다. 기록 매체로는 캐논사가 제조한 복사 용지인 PB 용지 및 제록스사가 제조한 4024 용지를 사용하였고, 평가는 주위 온도 및 주위 습도에서 행하였다.
평가 결과, 컬러 잉크 C3 및 C4가 블랙 잉크 앞에서 언더프린팅(underprinting)된 경우, 고착성은 개선되었고, 화상의 불규칙성 및 오프셋은 블랙 잉크만으로 화상을 형성한 경우와 비교시 감소하였다. 한편, Bk 잉크만으로 형성된 화상과 비교시, C3의 언더프린팅으로 형성된 화상은 색조에 약간의 변화를 나타냈지만, C4의 언더프린팅으로 형성된 화상은 색조의 변화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색성이 양호하고 블랙 잉크와 컬러 잉크의 경계에서 번짐이 적으며 장기간의 보존 후에서 조차도 색 밸런스의 붕괴가 적은 고화질의 멀티컬러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8)

  1. 수성 매체 및 이 수성 매체 중에 이온기의 작용에 의해 분산된 안료를 함유하는 블랙 잉크, 및 발색재 및 수성 매체를 각각 함유하는 2종 이상의 컬러 잉크를 포함하는 잉크 세트로서,
    (i) 창문을 통한 3년 이상의 가상 실내 광퇴색에 해당하는 광퇴색을 초래하는 조건 하의 광퇴색 시험인 시에랩 색상 공간 디스플레이 시스템(CIELAB color space display system)에서, 각 컬러 잉크로 형성된 각 화상의 △E는 동일하거나 또는 그 차이가 10 이하이고,
    (ii) 1종 이상의 상기 컬러 잉크는 상기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분산 안정성을 탈안정화시키는 1종 이상의 발색재 및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인 잉크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컬러 잉크로 형성된 각 화상의 광퇴색 시험 후의 반사농도 잔존률이 70% 이상인 잉크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컬러 잉크로 형성된 각 화상의 광퇴색 시험 후의 반사농도 잔존률이 80% 이상인 잉크 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퇴색 시험에서의 조사량이 6,000 klux ·hr 이상인 잉크 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퇴색 시험에서의 조건이 ISO10977에 준하는 것인 잉크 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이 기판 및 이 기판 상의 다공성 입자층 또는 중합체층을 갖는 기록매체 상에서 형성된 것인 잉크 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세트가 색조가 서로 동일한 제1 컬러 잉크 및 제2 컬러 잉크를 포함하고, 가시광선 영역 내의 최대 흡수파장에서의 제1 컬러 잉크의 흡광도가 가시광선 영역 내의 최대 흡수파장에서의 제2 컬러 잉크의 흡광도 보다 높은 것인 잉크 세트.
  8. 제7항에 있어서, 제2 컬러 잉크로 기록매체 상에 형성된 화상이 육안으로 식별가능한 것인 잉크 세트.
  9. 제7항에 있어서, 제2 컬러 잉크의 흡광도가 제1 컬러 잉크의 흡광도의 1/20 이상인 잉크 세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세트가 3종 이상의 컬러 잉크를 포함하는 것인 잉크 세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세트가 적어도 시안 잉크, 마젠타 잉크 및 옐로우 잉크를 포함하는 것인 잉크 세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시안 잉크, 마젠타 잉크 및 옐로우 잉크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컬러 잉크가 색조가 서로 동일한 제1 컬러 잉크 및 제2 컬러 잉크를 포함하고, 가시광선 영역 내의 최대 흡수파장에서의 제1 컬러 잉크의 흡광도가 가시광선 영역 내의 최대 흡수파장에서의 제2 컬러 잉크의 흡광도 보다 높은 것인 잉크 세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 컬러 잉크로 기록매체 상에 형성된 화상이 육안으로 식별가능한 것인 잉크 세트.
  14. 제12항에 있어서, 제2 컬러 잉크의 흡광도가 제1 컬러 잉크의 흡광도의 1/20 이상인 잉크 세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세트가 발색재 중 하나로서 마젠타 잉크를 포함하고, 상기 마젠타 잉크가 발색재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종 이상의 발색재를 함유하는 것인 잉크 세트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콕시기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릴기이고, R2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기이고, R3는 수소원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릴옥시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1은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염 또는 황산기 또는 그의 염이고, n은 1 또는 2이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마젠타 잉크가,
    (i)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발색재
    (ii)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발색재 및
    (iii) 크산텐 구조를 갖는 발색재 중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인 잉크 세트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Ar1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기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나프틸기이고, Ar2는 아세틸기, 벤조일기, 1,3,5-트리아지닐기, SO2-C6H5기 및 SO2-C6H4-CH3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수소원자, 알칼리금속, 암모늄 또는 유기 암모늄으로부터 선택되는 술폰산기의 반대이온이다)
    <화학식 3>
    (상기 식에서, Ar3및 Ar4는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기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나프틸기이고, 여기서 Ar3및 Ar4중 적어도 하나는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염 또는 황산기 또는 그의 염의 치환체를 가지며, M은 수소원자, 알칼리금속, 암모늄 및 유기 암모늄으로부터 선택되는 황산기의 반대이온이고, R5는 1,3,5-트리아진디일기이고, R6및 R7은 수소원자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기,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르알킬기 및 N원자와 함께 퍼히드록시아진 고리를 형성하는 원자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L은 2가의 유기 연결기이다).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세트가 상기 컬러 잉크 중 하나로 시안 잉크를 포함하고, 상기 시안 잉크가 구리 프탈로시아닌 구조를 갖는 발색재를 1종 이상 함유하는 것인 잉크 세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시안 잉크가 발색재로 다이렉트 블루(Direct Blue) 199를 함유하는 것인 잉크 세트.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세트가 상기 컬러 잉크 중 하나로 옐로우 잉크를 포함하고, 상기 옐로우 잉크가 발색재로 다이렉트 옐로우(Direct Yellow)를 함유하는 것인 잉크 세트.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젠타 잉크가 발색재로 제15항에 정의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발색재, 및
    (i) 제16항에 정의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발색재,
    (ii) 제16항에 정의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발색재 및
    (iii) 크산텐 구조를 갖는 발색재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고, 시안 잉크가 발색재로서 다이렉트 블루 199를 함유하고, 옐로우 잉크가 발색재로 다이렉트 옐로우 132를 함유하는 것인 잉크 세트.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기가 음이온기인 잉크 세트.
  22. 제21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컬러 잉크가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분산성을 탈안정화시키는 첨가제로 다가 금속염을 함유하는 것인 잉크 세트.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잉크가 Mg2+, Ca2+, Cu2+, Co2+, Ni2+, Fe2+, La3+, Nd3+,Y3+및 Al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다가 금속 양이온을 1종 이상 포함하는 다가 금속염을 함유하는 것인 잉크 세트.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금속염의 함량이 컬러 잉크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5 중량%인 것인 잉크 세트.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금속염의 함량이 컬러 잉크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5 중량%인 것인 잉크 세트.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잉크가 2-피롤리돈 및 에틸렌 우레아 중 적어도하나를 더 함유하는 것인 잉크 세트.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잉크가 2-피롤리돈 및 에틸렌 우레아를 함유하는 것인 잉크 세트.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잉크 중의 안료가 3 내지 7의 pH 범위에서 안정하게 존재하고,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분산성을 탈안정화시키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상기 컬러 잉크의 pH가 8 내지 11인 잉크 세트.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잉크 중의 안료가 7 내지 11의 pH 범위에서 안정하게 존재하고,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분산성을 탈안정화시키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상기 컬러 잉크의 pH가 3 내지 6인 잉크 세트.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잉크의 브리스토우(Bristow)법에 의한 Ka 값이 0.2 mL·m-2·msec-1/2이상이고 1.5 mL·m-2·msec-1/2보다는 낮고, 각 컬러 잉크의 브리스토우법에 의한 Ka 값이 각각 5 mL·m-2·msec-1/2이상이고 10 mL·m-2·msec-1/2보다는 낮은 것인 잉크 세트.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잉크의 안료가 카본블랙이고, 이 카본블랙이 그의 표면에 직접 결합되거나 또는 다른 원자기를 통해 간접 결합된 1종 이상의 친수성기를 이온기로서 함유하는 것인 잉크 세트.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잉크가 안료로 카본블랙을 함유하고, 상기 카본블랙을 분산시키기 위한 이온기를 갖는 분산제를 더 함유하는 것인 잉크 세트.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잉크가 염을 더 함유하는 것인 잉크 세트.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잉크가 안료를 광밀도를 갖는 화상을 형성하는 농도로 함유하고, 이 농도는 잉크가 염을 함유한 경우 화상의 광밀도를 얻을 수 없는 정도인 잉크 세트.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잉크 중에 함유된 염이 (M1)2SO4, CH3COO(M1), Ph-COO(M1), (M1)NO3, (M1)Cl, (M1)Br, (M1)I, (M1)2SO3및 (M1)2CO3(여기서, M1은 알칼리 금속, 암모늄 또는 유기 암모늄 임)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잉크 세트.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잉크 및 컬러 잉크를 잉크젯 기록을 위해 사용하는 것인 잉크 세트.
  37. 수성 매체 및 이 수성 매체 중에 이온기의 작용에 의해 분산된 안료를 함유하는 블랙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
    발색재 및 수성 매체를 각각 함유하는 2종 이상의 컬러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 및
    기록 신호에 따라 오리피스로부터 방출하여 상기 블랙 잉크 및 2종 이상의 컬러 잉크를 기록 매체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젯 기록 방법으로서,
    (i) 창문을 통한 3년 이상의 가상 실내 광퇴색에 해당하는 광퇴색을 초래하는 조건 하의 광퇴색 시험인 시에랩 색상 공간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각 컬러 잉크로 형성된 각 화상의 △E는 동일하거나 또는 그 차이가 10 이하이고,
    (ii) 1종 이상의 상기 컬러 잉크는 상기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분산성을 탈안정화시키는 1종 이상의 발색재 및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인 잉크젯 기록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를 열에너지에 의해 방출하는 것인 잉크젯 기록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잉크 및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분산성을 탈안정화시키는 1종 이상의 발색재 및 첨가제를 함유하는 컬러 잉크가 기록 매체 상에서 상호 접촉하도록 방출되는 것인 방법.
  40. 블랙 잉크를 수용하는 블랙잉크 수용부, 2종 이상의 컬러 잉크를 각각 함유하는 컬러잉크 수용부 및 상기 잉크를 각각 방출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기록 유닛으로서, 상기 블랙 잉크 및 컬러 잉크가 제36항에 기재된 잉크 세트를 구성하는 것인 기록 유닛.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가 잉크에 열에너지를 인가하여 각 잉크를 방출하는 헤드를 포함하는 것인 기록 유닛.
  42. 블랙 잉크를 수용하는 블랙잉크 수용부 및 2종 이상의 컬러 잉크를 각각 수용하는 컬러잉크 수용부를 포함하는 잉크 카트리지로서, 상기 블랙 잉크 및 컬러 잉크가 제1항에 기재된 잉크 세트를 구성하는 것인 잉크 카트리지.
  43. 제35항에 기재된 잉크 세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용기 및 각 잉크를 방출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잉크젯 기록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가 잉크에 열에너지를 인가하여 각 잉크를 방출시키는 헤드를 포함하는 것인 잉크젯 기록 장치.
  45. 수성 매체 및 이 수성 매체 중에 이온기의 작용에 의해 분산된 안료를 함유하는 블랙 잉크와 함께 사용되어지고 발색재 및 수성 매체를 각각 함유하는 2종 이상의 컬러 잉크를 포함하는 컬러 잉크인 잉크 세트로서,
    (i) 창문을 통한 3년 이상의 가상 실내 광퇴색에 해당하는 광퇴색을 초래하는 조건 하의 광퇴색 시험인 시에랩 색상 공간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각 컬러 잉크로 형성된 각 화상의 △E는 동일하거나 또는 그 차이가 10 이하이고,
    (ii) 1종 이상의 상기 컬러 잉크는 상기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분산성을 탈안정화시키는 1종 이상의 발색재 및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인 잉크 세트.
  46. 발색재 및 수성 매체를 각각 함유하는 2종 이상의 컬러 잉크를 포함하는 잉크 세트로서,
    (i) 창문을 통한 3년 이상의 가상 실내 광퇴색에 해당하는 광퇴색을 초래하는 조건 하의 광퇴색 시험인 시에랩 색상 공간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각 컬러 잉크로 형성된 각 화상의 △E는 동일하거나 또는 그 차이가 10 이하이고,
    (ii) 컬러 잉크 중 하나 이상은 다가 금속염을 함유하는 것인 잉크 세트.
  47. 수성 매체 및 이 수성 매체에 이온기의 작용에 의해 분산된 안료를 함유하는 블랙 잉크, 및 발색재 및 수성 매체를 각각 함유하는 제1 내지 제n 컬러 잉크(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임)를 잉크젯 시스템에 의해 기록 매체에 가하여 형성된 멀티컬러 화상의 번짐 완화 방법으로서,
    (i) 창문을 통한 3년 이상의 가상 실내 광퇴색에 해당하는 광퇴색을 초래하는 조건 하의 광퇴색 시험인 시에랩 색상 공간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각 컬러 잉크로 형성된 각 화상의 △E는 동일하거나 또는 그 차이가 10 이하이고,
    (ii) 1종 이상의 상기 컬러 잉크는 상기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분산성을 탈안정화시키는 1종 이상의 발색재 및 첨가제를 함유하고,
    제1 컬러 잉크 및 블랙 잉크는 기록 매체 상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가해지는 는 것인 번짐 완화 방법.
  48. 멀티컬러 화상 중의 블랙 화상의 고착성(fixability)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멀티컬러 화상은 수성 매체 및 이 수성 매체에 이온기의 작용에 의해 분산된 안료를 함유하는 블랙 잉크, 및 발색재 및 수성 매체를 각각 함유하는 제1 내지 제n 컬러 잉크(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임)를 잉크젯 시스템에 의해 기록 매체에 가하여 형성되고,
    (i) 창문을 통한 3년 이상의 가상 실내 광퇴색에 해당하는 광퇴색을 초래하는 조건 하의 광퇴색 시험인 시에랩 색상 공간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각 컬러 잉크로 형성된 각 화상의 △E는 동일하거나 또는 그 차이가 10 이하이고,
    (ii) 1종 이상의 상기 컬러 잉크는 상기 블랙 잉크 중의 안료의 분산성을 탈안정화시키는 1종 이상의 발색재 및 첨가제를 함유하고,
    제1 컬러 잉크 및 블랙 잉크는 블랙 화상이 형성되는 기록 매체 영역에서 서로 겹치도록 가해지는 것인 방법.
KR10-2001-0054082A 2000-09-04 2001-09-04 잉크 세트, 잉크젯 기록 방법, 기록 유닛, 잉크 카트리지,잉크젯 기록 장치, 번짐 완화 방법 및 블랙 화상의고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0467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67800 2000-09-04
JPJP-P-2000-00267800 2000-09-04
JPJP-P-2001-00031439 2001-02-07
JP2001031439 2001-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976A true KR20020018976A (ko) 2002-03-09
KR100467001B1 KR100467001B1 (ko) 2005-01-24

Family

ID=2659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082A KR100467001B1 (ko) 2000-09-04 2001-09-04 잉크 세트, 잉크젯 기록 방법, 기록 유닛, 잉크 카트리지,잉크젯 기록 장치, 번짐 완화 방법 및 블랙 화상의고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06104B2 (ko)
EP (1) EP1188804B1 (ko)
KR (1) KR100467001B1 (ko)
CN (1) CN1258571C (ko)
AT (1) ATE316553T1 (ko)
CA (1) CA2356809C (ko)
DE (1) DE60116820T2 (ko)
ES (1) ES2256130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346B1 (ko) * 2004-06-28 2008-07-1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수성 잉크, 잉크젯 기록 방법, 잉크 카트리지, 기록 유닛,잉크젯 기록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KR100852797B1 (ko) * 2004-06-28 2008-08-1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수성 잉크, 잉크 셋트 및 화상 형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3839B2 (en) * 2000-06-12 2005-01-18 Canon Kabushiki Kaisha Ink, recording method, recording unit, ink cartridge, ink set, and recording apparatus
ATE444998T1 (de) * 2000-06-12 2009-10-15 Canon Kk Tintensatz, tintenstrahl-aufzeichnungsgerät, tintenstrahl-aufzeichnungsverfahren, aufzeichnungseinheit und tintenpatrone
US6585815B2 (en) * 2000-06-21 2003-07-01 Canon Kabushiki Kaisha Ink set, ink-jet printing method using such ink set, recording unit, ink cartridge and ink-jet printing apparatus
US6702882B2 (en) * 2000-06-23 2004-03-09 Canon Kabushiki Kaisha Ink set, ink jet recording method, recording unit, ink cartridge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2002294111A (ja) * 2001-03-29 2002-10-09 Brother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水性インクセット
US6706102B2 (en) * 2001-08-01 2004-03-16 Eastman Kodak Company Dye mixture for ink jet ink
US6685768B2 (en) * 2001-08-01 2004-02-03 Eastman Kodak Company Ink jet ink set
EP1333068B1 (en) * 2002-02-04 2011-12-21 Canon Kabushiki Kaisha Aqueous ink, ink jet recording method, ink cartridge, recording unit,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DE10317973A1 (de) * 2002-04-18 2004-01-15 Benq Corp., Kweishan Tintenset für Tintenstrahldrucker
JP2004083688A (ja) * 2002-08-26 2004-03-18 Brother Ind Ltd インクセット
AU2003264466A1 (en) * 2002-09-17 2004-04-08 Canon Kabushiki Kaisha Ink set, method of forming image and water base ink for use therein
EP1577353B1 (en) 2002-12-27 2015-03-04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ink jet recording
JP4120588B2 (ja) * 2003-01-24 2008-07-16 ソニー株式会社 液組成物、記録液、液体カートリッジ、液体吐出カートリッジ、液体吐出装置及び液体吐出方法
US20040207703A1 (en) * 2003-04-21 2004-10-21 Fuji Xerox Co., Ltd. Ink jet recording method and ink jet recording device
JP4069809B2 (ja) * 2003-06-12 2008-04-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セ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4442122B2 (ja) * 2003-06-13 2010-03-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958325B2 (ja) * 2004-03-16 2007-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媒体用塗布液、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画像形成方法、プリント媒体用塗布液と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とのセ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1734088B1 (en) * 2004-03-26 2015-05-13 Canon Kabushiki Kaisha Active energy radiation hardenable water base ink composition and utilizing the same, method of inkjet recording, ink cartridge, recording unit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WO2005092993A1 (ja) * 2004-03-26 2005-10-06 Canon Kabushiki Kaish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水性インク、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ユニ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1926204B (zh) * 2004-04-08 2011-02-02 佳能株式会社 喷墨记录用墨水、喷墨记录方法、墨盒、以及喷墨记录装置
WO2005097922A1 (ja) * 2004-04-08 2005-10-20 Canon Kabushiki Kaisha 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118189B2 (en) * 2004-05-28 2006-10-10 Videojet Technologies Inc. Autopurge printing system
CN1977005B (zh) * 2004-06-28 2011-03-30 佳能株式会社 青色墨水、成套墨水、成套的墨水与反应液、以及图像形成方法
JP2006063332A (ja) 2004-07-29 2006-03-09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用ブラックインク、インク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ユニ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907671B2 (ja) * 2004-08-31 2007-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の作製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6225637A (ja) 2005-01-18 2006-08-31 Canon Inc インク、インク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103965689B (zh) 2005-01-18 2017-04-12 佳能株式会社 墨、成套墨、喷墨记录方法、墨盒和喷墨记录设备
WO2007102620A1 (ja) * 2006-03-09 2007-09-13 Canon Kabushiki Kaisha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セット、及び画像形成方法
CN101341221B (zh) * 2006-03-09 2011-07-27 佳能株式会社 颜料墨、成套墨、喷墨记录法、墨盒、记录单元、喷墨记录设备和图像形成方法
US8240834B2 (en) * 2006-04-11 2012-08-1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for ink-jet recording, ink cartridge,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5938815B2 (ja) * 2006-05-25 2016-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水性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ユニ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0823285B1 (ko) * 2006-10-20 2008-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조계 착색제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잉크 세트
US7927416B2 (en) 2006-10-31 2011-04-19 Sensient Colors Inc. Modified pigment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9090789B2 (en) * 2006-12-20 2015-07-28 Canon Kabushiki Kaisha Aqueous ink, ink jet recording method, ink cartridge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8013051B2 (en) * 2007-02-09 2011-09-06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mposition, image forming method, cartridge, recording unit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7918928B2 (en) 2007-02-09 2011-04-05 Canon Kabushiki Kaisha Pigment ink, ink jet recording method, ink cartridge, recording unit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7682433B2 (en) * 2007-05-11 2010-03-23 Canon Kabushiki Kaisha Ink set, ink jet recording method, ink cartridge, recording unit,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8016932B2 (en) * 2007-05-11 2011-09-13 Canon Kabushiki Kaisha Aqueous ink, ink set,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932196B2 (ja) * 2007-05-11 2016-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5932199B2 (ja) * 2007-05-11 2016-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ユニ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水性インク
US7550037B2 (en) * 2007-07-05 2009-06-23 Canon Kabushiki Kaisha Ink, ink jet recording method, ink cartridge, recording unit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EP2201072B1 (en) 2007-08-23 2018-11-14 Sensient Colors LLC Self-dispersed pigment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JP5383238B2 (ja) * 2008-03-19 2014-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102858886A (zh) 2009-04-07 2013-01-02 森馨颜色有限责任公司 自分散颗粒及其制造方法和其用途
US8592503B2 (en) * 2012-03-29 2013-11-26 Funai Electric Co., Ltd. Aqueous magenta inkjet ink composition containing a mixture of a self-dispersed pigment and a xanthene dye
KR101733904B1 (ko) 2012-12-27 2017-05-08 카티바, 인크. 정밀 공차 내로 유체를 증착하기 위한 인쇄 잉크 부피 제어를 위한 기법
US11673155B2 (en) 2012-12-27 2023-06-13 Kateeva, Inc. Techniques for arrayed printing of a permanent layer with improved speed and accuracy
US8864267B2 (en) 2013-01-08 2014-10-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ghtfastness control for printers
CN107878058B (zh) 2013-12-12 2020-04-24 科迪华公司 形成电子产品层的方法和设备
CN107709028B (zh) 2015-10-27 2019-10-1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油墨固定液
CN110520303B (zh) * 2017-05-17 2022-06-07 佳能株式会社 喷墨记录方法和喷墨记录设备
US10525754B2 (en) 2017-07-04 2020-01-07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method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27227A (en) 1977-10-03 1982-07-06 Ichiro Endo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apparatus therefor
JPS5936879B2 (ja) 1977-10-14 1984-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熱転写記録用媒体
US4330787A (en) 1978-10-31 1982-05-18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device
US4345262A (en) 1979-02-19 1982-08-17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method
US4463359A (en) 1979-04-02 1984-07-31 Canon Kabushiki Kaisha Droplet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4202870A (en) 1979-04-23 1980-05-13 Union Carbide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lumina
US4242271A (en) 1979-04-23 1980-12-30 Union Carbide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aluminum alkoxides
US4313124A (en) 1979-05-18 1982-01-26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liquid jet recording head
DE3025171A1 (de) 1980-07-03 1982-01-28 Wacker-Chemie GmbH, 8000 Münch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inylhalogenidpolymerisaten
US4558333A (en) 1981-07-09 1985-12-10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head
JPS59123670A (ja) 1982-12-28 1984-07-17 Canon Inc インクジエツトヘツド
JPS59138461A (ja) 1983-01-28 1984-08-08 Canon Inc 液体噴射記録装置
JPS6071260A (ja) 1983-09-28 1985-04-23 Erumu:Kk 記録装置
US5221497A (en) 1988-03-16 1993-06-22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Elongated-shaped silica so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803134B2 (ja) 1988-03-16 1998-09-24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細長い形状のシリカゾル及びその製造法
JP2881847B2 (ja) 1988-12-15 1999-04-12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JPH0412859A (ja) 1990-04-28 1992-01-17 Canon Inc 液体噴射方法、該方法を用いた記録ヘッド及び該方法を用いた記録装置
JP2783647B2 (ja) 1990-04-27 1998-08-0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噴射方法および該方法を用いた記録装置
US5451251A (en) 1993-02-26 1995-09-19 Canon Kabushiki Kaisha Ink, and ink-jet recording method and instrument using the same
US5466282A (en) 1993-05-18 1995-11-14 Canon Kabushiki Kaisha Azo dye compound, ink containing the same, and recording method and instrument using the ink
JP3396997B2 (ja) 1994-05-12 2003-04-14 三菱化学株式会社 記録液
US5599386A (en) 1994-05-12 1997-02-04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Recording liquid
JP3320292B2 (ja) * 1995-02-13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方法
US5536306A (en) 1995-07-11 1996-07-16 Hewlett-Packard Company Thermal ink-jet inks having reduced black to color and color to color bleed
US6281917B1 (en) 1997-04-01 2001-08-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process employing liquid composition and ink in combination
US5772742A (en) 1997-05-06 1998-06-30 Hewlett-Packard Company Dye set for improved color quality for ink-jet printers
JPH11209673A (ja) 1998-01-26 1999-08-03 Mitsubishi Chemical Corp 記録液
JP3862441B2 (ja) 1998-03-20 200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インク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ユニット、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カラー画像の形成方法および画像の光学濃度向上方法
US6039793A (en) * 1998-06-26 2000-03-21 Xerox Corporation Inks for ink jet printing with reduced intercolor bleed
JP3581605B2 (ja) 1998-10-27 2004-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記録ユニ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共通化回復系ユニット内の固形物の生成を緩和する方法
US6281267B2 (en) 1998-10-29 2001-08-28 Hewlett-Packard Company Ink to ink bleed and halo control using specific polymers in ink-jet printing inks
US6503307B1 (en) * 1999-04-27 2003-01-07 Canon Kabushiki Kaisha Ink set, printing method, ink, printed article, printing apparatus, ink cartridge, recording unit, and process of forming polymeric compound films
DE60018668T2 (de) * 1999-10-05 2006-05-11 Canon K.K. Tintensatz für Tintenstrahl-Aufzeichnung, Tintenstrahl-Aufzeichnungsverfahren, Aufzeichnungseinheit, Aufzeichnungsgerät und Verfahren zur Reduzierung der Farbvermischung
US6460988B1 (en) * 2000-06-12 2002-10-08 Canon Kabushiki Kaisha Ink set, recording method, recording unit, ink cartridge and recording apparatus
US6585815B2 (en) * 2000-06-21 2003-07-01 Canon Kabushiki Kaisha Ink set, ink-jet printing method using such ink set, recording unit, ink cartridge and ink-jet printing apparatus
US6702882B2 (en) * 2000-06-23 2004-03-09 Canon Kabushiki Kaisha Ink set, ink jet recording method, recording unit, ink cartridge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346B1 (ko) * 2004-06-28 2008-07-1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수성 잉크, 잉크젯 기록 방법, 잉크 카트리지, 기록 유닛,잉크젯 기록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KR100852797B1 (ko) * 2004-06-28 2008-08-1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수성 잉크, 잉크 셋트 및 화상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8571C (zh) 2006-06-07
ATE316553T1 (de) 2006-02-15
CA2356809A1 (en) 2002-03-04
DE60116820D1 (de) 2006-04-13
US20020093557A1 (en) 2002-07-18
KR100467001B1 (ko) 2005-01-24
US6706104B2 (en) 2004-03-16
ES2256130T3 (es) 2006-07-16
CA2356809C (en) 2005-11-22
DE60116820T2 (de) 2006-08-31
CN1366007A (zh) 2002-08-28
EP1188804B1 (en) 2006-01-25
EP1188804A1 (en) 200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7001B1 (ko) 잉크 세트, 잉크젯 기록 방법, 기록 유닛, 잉크 카트리지,잉크젯 기록 장치, 번짐 완화 방법 및 블랙 화상의고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JP3848352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ブラックインク、インク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ユニ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AU748191B2 (en) Ink, ink set, ink cartridge, recording unit,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method
EP1788043B1 (en) Yellow ink for ink jet recording, light ink for ink jet recording, ink set, ink jet recording method, ink cartridge, recording unit,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7198664B2 (en) Ink jet black ink, ink set, ink jet recording method, ink cartridge, recording unit,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KR100897089B1 (ko) 잉크, 잉크젯 기록 방법, 기록 유닛, 잉크 카트리지 및잉크젯 기록 장치
JP4585859B2 (ja) インクセット及び画像形成方法
KR100864548B1 (ko) 잉크젯용 잉크 및 잉크젯 기록 방법
JP2001152059A (ja) インクセット、記録ユニット、画像記録装置、画像形成方法、画像品位を改善する方法およびモノトーン画像の形成方法
KR100495295B1 (ko) 기록 유니트,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
JPWO2012070645A1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セット、記録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着色体
JP2000178490A (ja) 水性インク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2309140A (ja) インク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記録ユニ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ブリード抑制方法、及び、黒色画像の定着性向上方法
JP4656624B2 (ja) 記録ユニット及び画像記録装置
JP4183236B2 (ja) 画像記録方法
AU784730B2 (en) Ink set, ink jet recording method, recording unit, ink cartridge, ink jet recording apparatus, bleed-alleviating method, and method of improving fixability of black image
JP2007308643A (ja) 色素化合物及び記録用インク
JP2004352996A (ja) カラー画像のブリード緩和方法
JP200626394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物
JP2006348304A (ja) インク、インク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ユニット、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記録方法
JP2006037010A (ja)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と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物
JP2006169295A (ja) インク、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298607A (ja)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