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8034A -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8034A
KR20020018034A KR1020010051854A KR20010051854A KR20020018034A KR 20020018034 A KR20020018034 A KR 20020018034A KR 1020010051854 A KR1020010051854 A KR 1020010051854A KR 20010051854 A KR20010051854 A KR 20010051854A KR 20020018034 A KR20020018034 A KR 20020018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eveloper
carrier
image forming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4798B1 (ko
Inventor
오지미토쿠야
마추모토켄타로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20020018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6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potential of the developing electrode

Abstract

본 발명은 2성분 현상제를 이용하여 반전 현상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 중에 장치의 문을 열거나 장치의 메인 전원을 차단한 경우 및 재구동하는 경우, 화상 담지체로 캐리어가 부착하는 것을 감소시켜 고품질의 화상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시, 화상 담지체의 대전 전위를 화상 형성시의 대전 전위보다도 감쇄된 값으로 하고, 또한 현상 바이어스를 화상 형성시의 현상 바이어스보다도 감쇄된 값으로 되도록 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ADHESION OF CARRIER TO IMAGE BEARING MEMBER}
본 발명은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담지체의 대전 전위와 동극성으로 대전된 토너 및 이 토너와 역극성으로 대전된 캐리어를 포함한 2성분 현상제를 이용하여 2성분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에 토너와 동극성의 현상 바이어스를 가하여 화상 담지체 상의 정전 잠상을 토너 화상화하는 반전 현상 방식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화상 담지체를 구동시키면 화상 형성 동작의 앞처리(데이터 송신, 전사체 공급 등), 화상 형성 동작(기록, 현상, 전사 등), 화상 형성 동작의 후처리(용지 배출, 전사 클리닝 등)가 행해진다.
이와 같은 2성분 현상제를 이용한 반전 현상 방식을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화상 담지체의 구동 개시시에 화상 담지체에 대한 대전 개시와 현상 바이어스가함을 동일 타이밍으로 하면, 현상 바이어스 가함을 개시한 직후에 화상 담지체와 현상제 담지체가 대향하는 현상부를 통과하는 화상 담지체가 대전되어 있지 않는 상태로 되어 화상 담지체상에 솔리드 화상을 현상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화상 담지체의 구동 정지시에 화상 담지체에 대한 대전 정지와 현상 바이어스 가함의 정지를 동일 타이밍으로 하면, 현상 바이어스 가함을 정지한 직후에 현상부를 통과하는 화상 담지체가 대전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화상 담지체로 캐리어가 부착하게 된다. 그래서 화상 담지체의 구동 개시시 및 정지시에, 현상부에 있어서 화상 담지체의 대전 및 현상 바이어스가 상기 상태로 되지 않도록 화상 담지체에 대한 대전 및 현상 바이어스를 가하는 타이밍을 고안하고 있다. 예컨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담지체의 구동 개시시, 화상 담지체에 대한 대전을 개시(ON)로 한 후, 화상 담지체가 대전 장치와 대향하는 대전부로부터 현상부에 도달하는 T초 후에 현상 바이어스의 가함을 개시(ON)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또한, 화상 담지체의 구동 정지시, 화상 담지체에 대한 대전을 정지(OFF)한 후, T초 후에 현상 바이어스의 가함을 정지(OFF)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화상 담지체에 대한 대전 및 현상 바이어스를 가하는 타이밍을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또는 전사체의 이송중에 용지 걸림이 발생한 경우 등에 있어서도 갑자기 화상 담지체에 대한 대전 및 현상 바이어스 감함을 정지하는 것이 아니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담지체에 대한 대전을 정지(OFF)한 후, T초 후에 현상 바이어스의 가함을 정지(OFF)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문제점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용자가 화상 담지체 구동시에 화상의 이상 등으로 갑자기 전원을 차단하거나 갑자기 장치 본체의 문을 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안정성때문에 화상 담지체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의 전압 공급이 정지됨과 동시에, 화상 담지체로의 대전 및 현상 바이어스 가함은 갑자기 정지된다. 여기서 화상 담지체는 구동 모터로의 전원 공급이 정지한 후 구동 모터의 관성으로 이동하여 정지한다. 이 때, 관성으로 이동하여 현상부를 통과하는 부분의 화상 담지체는 대전되어 있지만 현상 바이어스는 가해지지 않으므로 캐리어 부착이 발생한다. 나아가, 장치의 전원을 재투입하거나, 장치 본체의 문을 닫고 장치를 재구동할 때, 화상 담지체의 대전된 채로 되어 있는 부분이 현상 바이어스 가함이 개시되기 전에 현상부를 통과할 가능성이 있고, 이 부분에 캐리어 부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이용자가 화상 담지체 구동시에 갑자기 전원을 차단하거나, 장치 본체의 문을 여는 행위는 전사체가 장치내에 있고, 명확하게 화상 형성 동작 중이라고 인식하고 행하는 경우가 적다. 그러나, 전사체의 공급 또는 배출이 행해지고, 전사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장치밖에서 볼 수 있는 화상 형성 동작의 앞처리 또는 화상 형성 동작의 후처리시에는 많이 볼 수 있다.
또한, 근래 정보의 디지털화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가 컴퓨터 등의 연산 기기의 화상 출력 기기, 이른바 프린터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프린터에서는 연산 기기의 데이터 출력 처리 이상 등으로 화상 담지체가 줄곧 구동 상태로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프린터의 전원을 일단 차단한 후, 전원을 재투입하여 프린터를 재구동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화상 담지체의 구동 모터로 전원 공급이 정지됨과 동시에, 화상 담지체의 대전 및 현상 바이어스 가함이 갑자기 정지된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담지체 정지시 및 프린터 재구동시에 화상 담지체로 캐리어가 부착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화상 담지체에 캐리어가 부착하면,현상 장치내의 캐리어 양이 감소하여 현상 특성을 변화시킬 우려가 있다. 나아가, 화상 담지체에 부착한 캐리어가 화상 담지체와 화상 담지체 표면에 접촉하는 부재, 예컨대 클리닝 장치의 클리닝 블레이드 사이에 끼워 화상 담지체 표면이나 클리닝 블레이드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전사체 등을 통하여 정착 장치로 이동하여 정착 롤러를 손상주어 화상 품질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갑자기 전원을 차단하거나 갑자기 장치 본체의 문을 열어 화상 담지체 구동 중에 구동 모터로의 전원 공급이 정지된 후에, 화상 담지체가 관성으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캐리어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본 특허 공개 평05-165287호 공보에 화상 담지체 구동중에 메인 구동 모터로의 전원 공급이 정지된 후에 화상 담지체가 관성으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 현상제 담지체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가하여 화상 담지체로 캐리어가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 공보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갑자기 장치 본체의 문이 열려진 경우, 소정 기간 현상 바이어스를 계속 가하기 위한 지연 제어 수단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갑자기 전원이 끊어진 경우에는 현상 바이어스를 제공하기 위한 내부 전원과, 이 내부 전원을 이용하여 소정 기간 현상 바이어스를 계속 가하기 위한 지연 제어 수단을 마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장치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상승한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재구동시의 캐리어 부착에 대해서도 해결되지 않았다.
그런데, 2성분 현상제를 이용하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 토너 농도 검지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현상제의 움직임에 의해 토너를 끌어들여 현상제의 토너 농도를 일정 범위에 제어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그 일례로서 본 출원인은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어 이송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와, 규제 부재에 의해 긁혀 떨어진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이 현상제 수용부에 인접하여 이 현상제 담지체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수용부를 마련하고, 이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의 토너 농도 변화에 의해 이 현상제와 상기 토너와의 접촉 상태를 변화시켜 이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의 토너 끌어들임 상태를 변화시키는 현상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예컨대, 특허 공개 평9-22178호 공보, 특허 공개 평9-197833호 공보).
이 현상 장치에 의하면,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에 토너 수용부로부터 토너가 보급되어 토너 농도가 상승하면,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에 대하여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의 이송 저항이 상승하여 현상제 이송에 있어서 충돌 현상이 발생한다. 이 충돌 현상에 의해 토너 수용부와 현상제 수용부를 연결하는 토너 보급 개구부에 현상제 체류가 발생한다. 이 현상제 체류부가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토너 끌어들임을 제어함으로써 토너 공급을 항상 일정하게 자기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서의 현상제 순환 이동에 의해 이 현상제의 토너와 캐리어를 교반하여 토너 농도를 균일화한다. 이와 같이 현상제의 움직임에 의해 토너를 끌어들임으로써 토너 농도 검지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현상제의 토너 농도를 일정 범위에 자기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현상제의 움직임에 의해 토너를 끌어들임으로써패들(paddle)·스크류(screw) 등의 교반 부재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 장치의 소형화, 비용 절감화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토너 농도 자기 제어 시스템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제어 목표로 하는 토너 농도 범위는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캐리어 양을 변화시켜서 현상제의 부피를 변화시킴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캐리어를 어느 일정량으로부터 감소시키면 현상제의 부피가 감소하기 때문에 토너 끌어들임이 증가하여 현상제의 토너 농도는 높아진다. 한편, 캐리어 양을 어느 일정량으로부터 증가시키면 현상제의 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에 토너의 끌어들임이 감소되어 현상제의 토너 농도는 낮아진다. 따라서 초기의 현상제 수용부내에 수용되는 캐리어의 양이 변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토너 농도를 적정한 범위로 유지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또한 상기 토너 농도 자기 제어 시스템의 현상 장치는 통상의 토너 농도 검지 수단을 이용하여 토너 보급하고, 현상제 수용실 내에서 패들(paddle)·스크류(screw) 등의 교반 부재로 토너와 현상제를 교반하는 2성분 현상 방식에 비교하여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 장치에 수용되는 캐리어도 소량으로 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토너 농도 자기 제어 시스템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술한 캐리어 부착이 반복되면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캐리어의 양이 감소된다. 이 때문에 토너 농도가 상승하여 바탕 오점 등의 이상 화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현상 장치내의 캐리어가 소량이기 때문에 캐리어가 감소된 경우, 그 영향이 매우 나타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2성분 현상제를 이용하여 반전 현상 방식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 중에 장치의 문을 열거나 장치의 메인 전원을 차단한 경우, 및 재구동하는 경우의 화상 담지체로 캐리어가 부착되는 것을 감소시켜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기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기의 제어부 블록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타이밍도.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타이밍도.
도 5는 바탕 전위와 캐리어 부착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감광체
2 현상 케이싱
3 현상제
3b 현상제 체류부
4 현상 슬리부
5 자석 롤러
6 독터
7 현상제 케이스
8 토너 호퍼
8a 토너 보급구
9 교반기
10 프리독터
11 토너
12 대전 롤러
13 노광 장치
14 현상 장치
15 전사 장치
16 클리닝 장치
18 대전용 전원
20 현상 바이어스용 전원
30 메인 제어부
31 CPU
32 ROM
33 RAM
34, 35 입력 출력 포트
36 조작부
37 온도 검지 수단
38 감광체 구동부
39 대전 장치 제어부
40 노광 장치 제어부
41 현상 장치 구동부
42 현상 바이어스 제어부
45 연산 기기
50 프린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은 화상 담지체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장치와, 이 화상 담지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잠상 형성 장치와, 이 화상 담지체의 대전 전위와 동극성으로 대전한 토너 및 이 토너와 역극성으로 대전한 캐리어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에 상기 토너와 동극성의 현상 바이어스를 가하여 이 화상 담지체 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반전 현상 방식의 현상 장치를 마련하고, 상기 화상 담지체를 구동시켜 상기 대전, 잠상 형성, 현상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동작 및 화상 형성 동작의 앞처리, 후처리를 행하는 것이고, 상기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시에도 화상 담지체를 대전시킴과 동시에 현상제 담지체에 현상 바이어스를 가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 시에, 화상 담지체의 대전 전위를 화상 형성 시의 대전 전위보다도 감쇄한 값으로 하고, 동시에 현상 바이어스를 화상 형성시의 현상 바이어스보다도 감쇄한 값으로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1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대전, 잠상 형성, 현상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동작 이외, 즉 화상 형성 동작의 앞처리, 후처리의 화상 담지체 구동시, 화상 담지체의 대전 전위를 화상 형성 동작시의 대전 전위보다 감쇄시키고, 동시에 현상 바이어스를 화상 형성시의 현상 바이어스보다 감쇄시키고 있다. 여기서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 시에, 장치의 문을 열거나 장치의 메인 전원을 차단한 경우, 현상 바이어스 가함이 정지된 후에 화상 담지체가 관성으로 이동하여 현상부를 통과하는 부분이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 시에, 화상 담지체의 대전 전위를 화상 형성 동작시의 대전 전위보다 감쇄시키고 있으므로 화상 형성 동작시와 동일 대전 전위로 한 경우에 비하여 상기 관성으로 이동하여 현상부를 통과하는 부분의 바탕 전위(현상 바이어스-대전 전위)는 작아진다. 나아가 장치의 전원을 재투입하거나 장치 본체의 문을 닫고 장치를 재구동할 때, 화상 담지체의 대전된 채로 되어 있는 부분이 현상 바이어스를 가하기 전에 현상부를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 부분의 바탕 전위도 작아진다. 또한, 캐리어 부착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탕 전위가 커질 수록 많이 발생한다. 그래서 바탕 전위를 작게 함으로써 캐리어 부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시, 대전 전위만 감쇄시키면 바탕 전위가 너무 작아져 화상 담지체 상에 토너가 부착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대전 전위와 함께 현상 바이어스도 감쇄시킴으로써 화상 담지체 상에 토너가 부착하는 우려를 감소시킨다.
청구항 2의 발명은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시의 대전 전위를 현상바이어스가 가해지지 않아도 화상 담지체 표면에 캐리어가 부착하지 않도록 하는 전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시의 대전 전위를 현상 바이어스가 가해지지 않아도 화상 담지체 표면에 캐리어가 부착하지 않는 전위로 함으로써 캐리어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시의 대전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의 차이가 화상 형성시의 대전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의 차이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시에 대전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의 차이, 즉 바탕 전위(현상 바이어스-대전 전위)를 화상 형성시의 바탕 전위와 거의 동일하게 함으로써 화상 담지체 상에 토너가 부착하는 우려를 방지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현상 장치는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어 이송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와, 규제 부재에 의해 긁혀 떨어진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이 현상제에 인접하여 이 현상제 담지체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수용부를 마련하고, 이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토너 농도의 변화에 의해 이 현상제와 상기 토너와의 접촉 상태를 변화시켜서 이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의 토너 끌어들임 상태를 변화시키는 현상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4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현상 장치에 있어서의 캐리어 부착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현상 장치내의 캐리어 양이 변화하지 않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현상 장치의 토너 농도를 안정시켜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5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데이터 출력 처리 이상 등으로 프린터의 화상 담지체가 줄곧 구동 상태로 되어 있어 전원을 일단 차단한 후 재투입하여 프린터를 재구동하는 경우에, 화상 담지체로의 캐리어 부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의 화상 형성 방법은 대전 장치에 의해 화상 담지체를 대전시키고, 잠상 형성 장치에 의해 상기 화상 담지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며, 상기 화상 담지체의 대전 전위와 동극성으로 대전한 토너 및 이 토너와 역극성으로 대전한 캐리어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에 반전 현상 방식의 현상 장치에 의해 상기 토너와 동극성의 현상 바이어스를 가하여 상기 화상 담지체 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고, 상기 화상 담지체를 구동시켜 상기 대전, 잠상 형성, 현상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동작 및 화상 형성 동작의 앞처리, 후처리를 행하며, 상기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 시에도 화상 담지체를 대전시킴과 동시에 현상제 담지체에 현상 바이어스를 가하는 화상 형성 방법에 있어서,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 시에, 화상 담지체의 대전 전위를 화상 형성 시의 대전 전위보다 감쇄한 값으로 하고, 동시에 현상 바이어스를 화상 형성시의 현상 바이어스보다 감쇄한 값으로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화상 형성 방법은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 시의 대전 전위는 현상 바이어스가 가해지지 않아도 화상 담지체 표면에 캐리어가 부착하지 않는 전위로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화상 형성 방법은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 시의 대전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의 차이가 화상 형성 시의 대전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의 차이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의 화상 형성 방법은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어 이송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와, 이 규제 부재에 의해 긁혀 떨어진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이 현상제에 인접하여 상기 현상제 담지체로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수용부를 마련하는 현상 장치에 의해,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토너 농도의 변화에 따라 이 현상제와 상기 토너와의 접촉 상태를 변화시켜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의 토너 끌어들임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디지털 방식의 전자 사진 복사기(이하, [복사기]라고 한다)에 적용한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기의 개략 구성도, 제2는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기의 제어부 블록도이다.
우선, 복사기 전체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 1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화상 담지체로서의 감광체(1) 주변에는 대전 장치로서의 대전 롤러(12), 노광 장치(13), 현상 장치(14), 전사 장치(15), 클리닝 장치(16), 및 방전 장치(17) 등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감광체(1)의 전도성 기체는 접지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메인 모터는 감광체(1)를 회전 구동시키면서 아래의 공정으로 화상을 형성한다. 우선, 감광체(1)는 대전용 전원(18)으로부터 전압이 공급된 대전 롤러(12)에 의해균일하게 대전된 후, 노광 장치(13)로부터 빛이 감광체(1)상에 조사되어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이 정전 잠상은 후술하는 현상 장치(14)에 의해 현상되어 가시상으로서의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이 토너 화상은 전사 장치(15)에 의해 전사체 상에 정전기적으로 전사된다. 한편, 전사 후의 감광체(1)는 클리닝 장치(16)에 의해 미전사 토너가 회수되고, 다음의 대전에 대비하여 방전 장치(17)에 의해 잔류 전하가 제거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기의 제어계를 도 2에 따라 설명한다.
메인 제어부(30)는 전체의 총괄적인 신호 처리를 행하는 CPU(31), CPU(31)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32), 작업 영역 등에 이용되는 판독 기록 가능한 RAM(33), 입력 출력 포트(I/O)(34, 35)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복사기 본체의 조작부(36)로부터의 설정 신호가 I/O(34)를 통하여 CPU(31)에 취득되면 각종 모드, 복사 매수 등의 조건이 확인된다. 나아가, 온도 검출 수단(37)으로부터의 설정 신호가 I/O(34)를 통하여 CPU(31)에 취득되면 검출 신호에 따라 감광체(1)상의 화상 형성에 관한 조건이 연산된다. 그리고, CPU(31)로부터 I/O(35)를 통하여 감광체(1)의 토너 화상 형성에 관한 제어 신호가 감광체 구동부(38), 대전 장치 제어부(39), 노광 장치 제어부(40), 현상 장치 구동부(41), 현상 바이어스 제어부(42)로 보내진다.
다음, 현상 장치(14)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현상 장치(14)는 감광체(1)의 대전 전위와 동극성으로 대전된 토너와 이 토너와 역극성으로 대전된 캐리어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이하, 현상제라고 한다)(3)를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에 토너와 동극성의 현상 바이어스를 가하여 감광체(1)상의 정전 잠상을 토너 화상화하는 반전 현상 방식의 현상 장치이다.
우선, 현상 장치(14)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현상 장치(14)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비자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현상 슬리부(4), 현상 슬리부(4)의 내부에 고정 배치된 자계 발생 수단으로서 자석 롤러(5), 현상 슬리부(4)상에 담지되어 이송되고 있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제1 현상제 규제 부재로서의 독터(6), 독터(6)에 의해 긁혀 떨어진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A)를 형성하는 현상제 수용 케이스(7), 현상제 수용 케이스(7)에 인접하여 현상제 슬리부(4)에 담지된 현상제로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수용부로서의 토너 호퍼(8), 독터(6)보다도 현상제 슬리부(4) 상의 현상제 이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는 제2 규제 부재로서의 프리독터(10), 현상 케이싱(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상 케이싱(2)은 감광체(1)측으로 열려진 구멍을 구비하며 현상 슬리부(4)의 하부를 둘러싸듯이 형성되어 있다. 독터(6)는 현상 슬리부(4)상의 현상제(3) 층 두께를 규제하기 위하여 현상 슬리부(4)와 일정 간극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독터(6)의 현상제 이송 방향 상류측에는 독터(6)에 의해 저지된 현상제(3)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A)를 형성하는 현상제 수용 케이스(7)가 배치되어 있다. 현상제 슬리부(4)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자석 롤러(5) 중, 현상제 수용부(A)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현상제 수용부(A)내의 현상제(3)를 현상 슬리부(4)상에 담지시키기 위한 자극(5a)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현상제 수용 케이스(7)에 인접하여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로서의 토너 호퍼(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제 수용 케이스(7)의 하단부가 독터(6)보다도 현상 슬리부(4)상의 현상제 이송 방향 상류측에서 현상 슬리부(4)상의 현상제(3) 층 두께를 규제하기 위하여 현상 슬리부(4)와 일정하게 간극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되는 프리독터(10)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프리독터(10)와 대향하는 현상 케이싱(2)과의 공간은 토너 호퍼(8)내의 토너(11)를 현상제(3)로 공급하기 위한 토너 보급구(8a)를 형성하고 있다. 토너 호퍼(8)내에는 토너를 교반하면서 토너 보급구(8a)를 향하여 토너를 보내기 위한 토너 교반 부재로서의 교반기(9)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교반기(9)는 회전 축의 위치, 날개의 길이가 조절되고, 도면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 궤도가 현상제(3)에 닿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음, 상기 현상 장치(14)의 현상제(3) 거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현상 장치(14)에 있어서, 현상 슬리부(4)의 화살표a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현상제 수용부(A)내의 현상 슬리부(4)상에 담지된 현상제(3)는 독터(6)에 의해 층 두께가 규제되어 적정한 층 두께로 된 상태로 감광체(1)와 대향하는 현상부로 이송된다. 그리고 현상 슬리부(4)에 현상 바이어스용 전원(20)으로부터 토너와 동극성의 소정 현상 바이어스를 가함으로써 현상 슬리부(4)상에 담지된 현상제(3) 중의 토너만이 감광체(1)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으로 공급되어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그 후 현상제(3)는 현상 슬리부(4)의 회전에 따라 토너 보급구(8a)측으로 이송되며, 토너 호퍼(8)내의 교반기(8)에 의해 송출된 토너 보급구(8a)의 새 토너(11)를 끌어들인 후, 현상제 수용부(A)로 복귀한다.
그리고, 새 토너(11)를 포함한 현상제(3)는 독터(6)에 의해 규제부에서의 내압이증가하여 현상제(3) 중의 토너가 마찰 대전된다. 이와 같이 현상제 수용부(A)에 있어서의 현상제 내압에 의해 현상 슬리부(4)상의 현상제(3) 중의 토너를 대전시킬 수 있으므로, 현상제를 대전 또는 교반하기 위한 패들(paddle)이나 스크류(screw) 등을 이용한 복잡한 교반 이송 기구가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상기 현상부로 이송되지 않고 독터(6)에 의해 진행이 저지된 현상제(3)의 일부는 현상제 수용부(A)내에서의 현상제(3)자체의 내압 및 중력에 의해 토너 호퍼(8)의 토너 보급구(8a)를 향하여 이동된다. 토너 보급구(8a) 부근까지 이동하여 온 현상제(3)는 프리독터(10)에 의해 규제되어 자극(5a)의 자력에 의해 현상 슬리부(4)측으로 끌어당겨 진 후 재차 현상 슬리부(4)의 회전에 따라 독터(6)측으로 이송됨으로써 현상제 수용부(A)내를 순환한다. 여기서 상기 구성의 현상 장치(14)에 있어서는 현상제(3)로 보급된 토너가 많아져 토너 농도가 높아지면, 그것에 따라 현상제(3)의 부피가 증가한다. 그리고 프리독터(10)에 의해 규제된 현상제(3)가 현상제 체류부(3b)를 형성하여 토너 보급구(8a)의 구멍을 막는다. 이 때문에 현상 슬리부(4)상의 현상제(3)의 토너 끌어들임 양이 적어진다. 이 토너 끌어들임 양의 감소에 의해 현상제(3)의 토너 농도가 항상 일정 농도 이하로 유지된다. 반대로, 현상제(3)의 토너 농도가 낮아지면 현상제(3)의 부피가 감소하기 때문에 현상제 체류부(3b)가 토너 보급구(8a)를 막지 않게 되므로, 현상 슬리부(4)상의 현상제(3)에 소정량의 토너가 끌어들여져 현상제(3)의 토너 농도가 항상 일정 농도 이상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토너 농도를 거의 일정 범위 내에 자기 제어할 수 있으므로 토너 농도 센서나 토너 보급 부재 등을 이용한 복잡한 토너 농도 제어 기구를 필요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현상 장치(14)에 있어서, 제어 목표로 하는 토너 농도 범위는 초기에 현상제 수용부(A) 내에 수용되는 캐리어의 양을 변화시켜서 현상제의 부피를 변하게 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캐리어 양을 감소시키면 현상제의 부피가 감소하기 때문에 토너 보급구(8a)로부터의 토너 끌어들임 양이 증가하여 현상제(3)의 토너 농도는 높아진다. 한편, 캐리어 양을 증가시키면, 현상제의 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에 토너 보급구(8a)로부터의 토너 끌어들임 양이 감소되어 현상제(3)의 토너 농도가 낮아진다.
다음, 상기 복사기에 있어서의 대전 및 현상 바이어스를 가하는 타이밍에 대하여 도 4의 타이밍도에 따라 설명한다.
상기 복사기에서는 감광체(1)를 회전 구동하면서 화상 형성 동작의 앞처리(데이터 송신, 전사체 공급 등), 화상 형성 동작(기록, 현상, 전사 등), 화상 형성 동작의 후처리(용지 배출, 전사 클리닝 등)가 행해진다. 그리고, 감광체(1)의 회전 개시 시에 현상 바이어스 가함을 개시한 직후에 현상부를 통과하는 화상 담지체가 대전되어 있는 상태로 함으로써 토너가 가득 부착한 솔리드 화상으로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나아가, 감광체(1)의 회전 정지 시에 현상 바이어스의 가함을 정지한 직후에 현상부를 통과하는 감광체(1)가 대전되어 있지 않는 상태로 함으로써 캐리어 부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현상 바이어스 제어부(42)에 대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전 및 현상 바이어스 가함에 있어서, 대전을 온, 오프 한 후 감광체(1)가 대전부로부터 현상부에 이르는 타이밍 후에 현상 바이어스를온, 오프하도록 제어 신호가 보내진다. 감광체 구동부(38), 대전 장치 제어부(39), 현상 바이어스 제어부(42)는 감광체(1)를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메인 모터, 대전용 전원(18), 현상 바이어스용 전원(20)의 출력을 각각 제어한다(도 1 참조).
또한, 복사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또는 전사체의 이송 중에 걸림이 발생한 경우 등에 있어서도 갑자기 대전 및 현상 바이어스 가함을 정지하는 것이 아니라 대전을 오프하여 감광체(1)가 대전부로부터 현상부에 이르는 타이밍 후에 현상 바이어스를 오프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나아가, 제1 실시형태의 복사기에서는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감광체 구동 시, 즉 화상 형성 동작의 앞처리시 및 화상 형성 장치의 후처리시에 있어서는 대전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를 화상 형성 동작 중보다도 감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CPU(31)로부터 I/O(35)를 통하여 대전 장치 제어부(39), 현상 바이어스 제어부(42)에 대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감광체 구동시의 대전 전위 및 현상 바이어스의 값이 화상 형성시의 대전 전위 및 현상 바이어스보다도 감쇄한 값으로 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보낸다. 대전 장치 제어부(39), 현상 바이어스 제어부(42)는 대전용 전원(18), 현상 바이어스용 전원(20)의 출력을 각각 제어한다. 여기서, 갑자기 장치의 문을 열거나 장치의 메인 전원을 차단한 경우, 메인 모터로의 전압 공급이 정지된다. 그리고 감광체(1)는 메인 모터로의 전압 공급이 정지한 후 관성으로 회전하여 정지한다. 이 때, 감광체(1)의 관성으로 회전하여 현상부를 통과하는 부분은 화상 형성 동작 시의 대전 전위보다 감쇄한 값으로 대전되어 있다. 그래서 현상 바이어스 가함이 정지되어 0V로 되어도 대전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의차이는 화상 형성 동작시와 동일한 대전 전위로 대전시킨 경우의 대전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의 차이에 비하여 작다. 캐리어 부착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전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의 차이, 즉 바탕 전위가 크면 클 수록 많이 발생한다. 그래서 대전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의 차이를 작게 함으로써 캐리어 부착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기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상기 복사기에 있어서, 화상 형성 동작 시의 대전 전위를 -900V, 현상 바이어스를 -650V로 하고,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감광체 구동(앞처리, 후처리)시에 있어서는 대전 전위를 -400V, 현상 바이어스를 -150V로 하여 각각 화상 형성 동작 시보다 감쇄되도록 제어한다. 이 조건에서는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감광체 구동 시의 대전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 차이의 절대값, 즉 바탕 전위는 화상 형성 동작 시와 동일한 250V로 되므로 바탕 오점을 초래할 우려는 없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통상의 화상 형성을 행한 결과, 캐리어 부착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 때의 토너 농도를 측정한 결과 11wt%였다. 다음, 강제적으로 전사체 걸림을 발생시켜서 화상 형성을 정지시킨 후 감광체(1) 위를 확인한 결과, 캐리어 부착은 발생하지 않았다. 나아가, 화상 형성 동작 후처리 시에 갑자기 본체의 전원을 차단하고 감광체(1) 위를 확인한 결과, 캐리어 부착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여기서 앞처리, 후처리 시의 대전 전위는 -400V, 현상 바이어스는 -150V로 되도록 제어되어 있다. 또한, 갑자기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현상 바이어스가 0V로 저하하여도 감광체(1)가 관성으로 회전하여 현상부를 통과하는 부분의 대전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의 차이의 절대값(바탕 전위)은 400V로 된다. 이와 같이 바탕 전위를 400V로 작게 하였을 때, 도 5의 바탕 전위(|대전 전위 - 현상 바이어스|)와 캐리어 부착 개수의 관계로부터도 캐리어 부착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원의 차단, 재투입을 수 회 반복하여 통상의 화상 형성을 행한 후, 토너 농도를 측정한 결과 11wt%로 안정되어 있었다. 이것으로부터 감광체로의 캐리어 부착에 의한 현상제 중의 캐리어 감소에 의해 토너 농도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바탕 오점이 없는 고품질의 화상도 얻을 수 있었다.
아래에 실시예의 현상 조건을 나타낸다.
기계적 조건
감광체 선속도 120mm/sec
현상 슬리부와 감광체 드럼의 간극 Gp 0.3 ∼ 0.5mm
현상 슬리부와 독터의 간극 Gd1 0.3 ∼ 0.5mm
현상 슬리부와 프리독터의 간극 Gd2 0.5 ∼ 1.5mm
현상 슬리부 직경 16φ
감광체 선속도에 대한 현상 롤러의 선속도 비 1.5 ∼ 3.0
현상 조건
화상 형성 동작 시
대전 전위 -850 ∼ -950V
현상 바이어스 -600 ∼ -700V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감광체 구동 시
대전 전위 -100 ∼ -450V
현상 바이어스 0 ∼ -300V
현상제
캐리어 자철광 또는 철 40 ∼ 50㎛
토너 자성체 양 15 ∼ 40 wt%
실리커 양 0.5 ∼ 1.0 wt%
토너의 캐리어에 대한 피복율 50 ∼ 120%
Q/M (토너의 대전량) 10∼30μc/g
[비교예]
비교예로서 종래의 복사기에 있어서의 캐리어 부착에 대하여 도 4의 타이밍도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복사기에 있어서도 대전 및 현상 바이어스의 온(ON), 오프(OFF)하는 타이밍은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복사기와 동일 양태이다. 종래의 복사기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 동작의 앞처리, 화상 형성 동작 중, 화상 형성 동작의 후처리에서 화상 형성 동작 중과 동일한 대전 전위 및 현상 바이어스로 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감광체 구동시(앞처리, 후처리)에도 화상 형성 동작 중의 대전 전위를 -900V로 하고, 현상 바이어스 -650V를 가하고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감광체 구동 시에 이용자가 갑자기 장치의 문을 열거나 장치의 메인 전원을 차단하여 대전 및 현상 바이어스 가함이 정지되면, 현상부에서는 감광체(1)가 정지할 때에 관성으로 감광체(1)가 회전되는 부분이 화상 형성 시의 대전 전위 -900V로 대전되어 있고, 현상 바이어스는 가해지지 않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 부분의 대전 전위 및 현상 바이어스의 차이의 절대값은 900V로 된다. 화상 형성 동작 후처리 시에 갑자기 본체의 전원을 차단하여 감광체(1)위를 확인한 결과, 캐리어 부착이 발생하였다. 나아가, 갑자기 본체의 전원을 차단하고 재차 본체의 전원을 투입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실시한 후, 화상 형성을 행한 결과 바탕 오점이 있는 이상 화상이 발생하였다. 이것은 감광체로의 캐리어 부착에 의해 현상 장치(14)의 현상제 수용부(A)내에 수용되는 캐리어의 양이 감소하여 토너 농도가 상승되기 때문이라고 고려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을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컴퓨터 등의 연산 기기의 화상 출력 기기, 이른바 프린터에 적용한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형태의 프린터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낸 복사기와 달리 출력하는 화상이 컴퓨터 등의 연산 기기로부터의 데이터에 근거한 것이다. 프린터의 개략 구성, 현상 장치의 구성 동작에 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대전, 현상 바이어스를 가하는 타이밍에 대해서도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감광체 구동(앞처리, 후처리)시에 있어서는 대전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를 화상 형성 동작 시의 대전 전위 및 현상 바이어스보다 감쇄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원이 갑자기 차단된 경우에현상 바이어스가 없는 상태로 되어도 대전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프린터에서는 컴퓨터 등의 연산 기기(45)로부터 임의의 데이터량의 인쇄 작업을 프린터(50)로 송신한다. 여기서 데이터의 인쇄 작업을 프린터(50)로 송신하였을 때, 데이터 출력 처리 이상 등으로 프린터(50)의 감광체(1)가 줄곧 구동 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화상 형성 동작 종료 후, 감광체가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원을 일단 차단한 후, 재투입하여 프린터를 재구동시킨다. 이 때, 감광체(1)위를 확인한 결과, 캐리어 부착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대전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의 차이(바탕 전위)를 작게 함으로써 캐리어 부착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제1,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현상 슬리부 상의 현상제의 움직임에 의해 현상제 중으로 토너를 끌어들이고, 현상제의 토너 농도를 일정 범위로 제어하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토너 농도 검지 수단을 이용하여 토너 농도 제어를 행하는 2성분 현상 장치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2성분 현상제를 이용하여 반전 현상 방식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 중에 장치의 문을 열거나 장치 메인 전원을 차단한 경우에도 화상 담지체로의 캐리어 부착을 감소시켜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2, 7의 발명에 의하면, 화상 담지체로의 캐리어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3, 8의 발명에 의하면, 화상 형성 시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 중에 화상 담지체 상에 토너가 부착하는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4, 9의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의 움직임에 의해 토너를 끌어들임으로써 토너 농도 검지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현상제의 토너 농도를 일정 범위로 자기 제어하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도 토너 농도 상승을 안정시켜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프린터의 데이터 출력 처리 이상 등으로 화상 담지체가 구동 상태로 되고, 전원을 일단 차단한 후 재투입하여 프린터를 재구동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캐리어 부착을 감소시켜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화상 담지체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장치와,
    이 화상 담지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잠상 형성 장치와,
    이 화상 담지체의 대전 전위와 동극성으로 대전한 토너 및 이 토너와 역극성으로 대전한 캐리어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에 이 토너와 동극성의 현상 바이어스를 가하여 이 화상 담지체 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반전 현상 방식의 현상 장치를 마련하고,
    상기 화상 담지체를 구동시켜 상기 대전, 잠상 형성, 현상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동작 및 화상 형성 동작의 앞처리, 후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상기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 시에도 화상 담지체를 대전시킴과 동시에 현상제 담지체에 현상 바이어스를 가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 시에, 화상 담지체의 대전 전위를 화상 형성 시의 대전 전위보다 감쇄한 값으로 하고, 동시에 현상 바이어스를 화상 형성시의 현상 바이어스보다 감쇄한 값으로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 시의 대전 전위를 현상 바이어스가 가해지지 않아도 화상 담지체 표면에 캐리어가 부착하지 않도록 하는 전위로 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 시의 대전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의 차이가 화상 형성 시의 대전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의 차이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는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어 이송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와,
    이 규제 부재에 의해 긁혀 떨어진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이 현상제에 인접하여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수용부를 마련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토너 농도의 변화에 의해 이 현상제와 상기 토너와의 접촉 상태를 변화시켜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의 토너 끌어들임 상태를 변화시키는 현상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대전 장치에 의해 화상 담지체를 대전시키고,
    잠상 형성 장치에 의해 상기 화상 담지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며,
    상기 화상 담지체의 대전 전위와 동극성으로 대전한 토너 및 이 토너와 역극성으로 대전한 캐리어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에 반전 현상 방식의 현상 장치에 의해 상기 토너와 동극성의 현상 바이어스를 가하여 상기 화상 담지체 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고,
    상기 화상 담지체를 구동시켜 상기 대전, 잠상 형성, 현상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동작 및 화상 형성 동작의 앞처리, 후처리를 행하며, 상기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 시에도 화상 담지체를 대전시킴과 동시에 현상제 담지체에 현상 바이어스를 가하는 화상 형성 방법에 있어서,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 시에, 화상 담지체의 대전 전위를 화상 형성 시의 대전 전위보다 감쇄한 값으로 하고, 동시에 현상 바이어스를 화상 형성시의 현상 바이어스보다 감쇄한 값으로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 시의 대전 전위는 현상 바이어스가 가해지지 않아도 화상 담지체 표면에 캐리어가 부착하지 않는 전위로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 동작 이외의 화상 담지체 구동 시의 대전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의 차이가 화상 형성 시의 대전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의 차이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어 이송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와, 이 규제 부재에 의해 긁혀 떨어진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이 현상제에 인접하여 상기 현상제 담지체로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수용부를 마련하는 현상 장치에 의해,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토너 농도의 변화에 따라 이 현상제와 상기 토너와의 접촉 상태를 변화시켜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의 토너 끌어들임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KR10-2001-0051854A 2000-08-31 2001-08-27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KR100424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64073A JP2002072586A (ja) 2000-08-31 2000-08-31 画像形成装置
JPJP-P-2000-00264073 2000-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034A true KR20020018034A (ko) 2002-03-07
KR100424798B1 KR100424798B1 (ko) 2004-03-30

Family

ID=1875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854A KR100424798B1 (ko) 2000-08-31 2001-08-27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07718B2 (ko)
JP (1) JP2002072586A (ko)
KR (1) KR100424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6281B2 (en) 2004-12-20 2008-07-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6654B2 (en) 2000-03-31 2003-12-02 Ricoh Company, Ltd. Toner and two-component developer, container theref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597885B2 (en) 2000-06-05 2003-07-2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veloping device with a magnet brush
JP2002072645A (ja) 2000-08-31 2002-03-12 Ricoh Co Ltd 粉体補給装置、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012676B2 (ja) 2000-09-07 2007-11-2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107817B2 (ja) * 2000-09-29 2008-06-2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用トナー、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4360589B2 (ja) 2000-10-20 2009-11-11 株式会社リコー 二成分現像剤、及びそれを使用する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
JP3912649B2 (ja) 2000-11-30 2007-05-0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用トナー、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143266B2 (ja) 2001-01-16 2008-09-03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プロセスユニット
JP3779628B2 (ja) * 2001-02-20 2006-05-3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6667141B2 (en) 2001-02-20 2003-12-2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6792234B2 (en) 2001-02-28 2004-09-14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having a developer carrier including main and auxiliary magnetic pole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7166404B2 (en) 2001-03-02 2007-01-23 Ricoh Company, Ltd. Carrier for develop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 image forming method using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JP2003084574A (ja) 2001-03-16 2003-03-19 Ricoh Co Ltd 現像方法、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DE60216538T2 (de) 2001-05-21 2007-06-06 Ricoh Co., Ltd. Toner, Entwickler und Bildaufzeichnungsverfahren
JP2002351195A (ja) 2001-05-25 2002-12-04 Ricoh Co Ltd 帯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132728B2 (ja) 2001-06-08 2008-08-13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EP1326143A3 (en) * 2001-11-01 2003-07-16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using a two component type developer including magnetic toner
KR100413828B1 (ko) * 2001-12-13 200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방법
JP3972904B2 (ja) * 2002-04-16 2007-09-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現像ユニット、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4028299A (ja) * 2002-06-28 2004-01-29 Ricoh Co Ltd 回転体支持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116928B2 (en) * 2002-12-18 2006-10-03 Ricoh Company, Ltd. Powder discharg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5300626A (ja) * 2004-04-07 2005-10-27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5345922A (ja) 2004-06-04 2005-12-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6154412A (ja) * 2004-11-30 2006-06-1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EP2157484B1 (en) * 2008-08-18 2018-12-26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5656109B2 (ja) 2010-10-25 2015-01-21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50301B2 (ja) 2010-11-04 2016-02-0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929359B2 (ja) * 2012-03-15 2016-06-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551016B2 (ja) * 2015-07-31 2019-07-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20021008A (ja) * 2018-08-03 2020-02-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5533A (en) * 1989-08-03 1992-10-13 Ricoh Company, Ltd. Bias application control device for image forming equipment
US5179411A (en) * 1990-09-11 1993-01-12 Mita Industrial Co., Ltd. Inversion development controller
JPH04120568A (ja) * 1990-09-11 1992-04-21 Mita Ind Co Ltd 反転現像制御装置
JPH05165287A (ja) 1991-12-17 1993-07-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7114202A (ja) 1993-10-20 1995-05-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817296B2 (ja) 1995-04-20 2006-09-0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US5864733A (en) 1995-10-25 1999-01-26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3883240B2 (ja) 1995-11-14 2007-02-2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H09319219A (ja) * 1996-05-28 1997-12-12 Sanyo Electric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184827A (ja) * 1997-09-10 1999-03-30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667957B2 (ja) * 1997-10-06 2005-07-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0075602A (ja) * 1998-09-01 2000-03-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0221765A (ja) * 1999-01-28 2000-08-11 Ricoh Co Ltd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133101C (zh) * 1999-02-08 2003-12-31 株式会社理光 显影装置
JP2000231258A (ja) 1999-02-09 2000-08-22 Ricoh Co Ltd 現像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6281B2 (en) 2004-12-20 2008-07-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72586A (ja) 2002-03-12
KR100424798B1 (ko) 2004-03-30
US6507718B2 (en) 2003-01-14
US20020051649A1 (en) 200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4798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US2005020776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27488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766138B2 (ja) 画像形成装置
JP4081367B2 (ja) 現像装置
JP4070400B2 (ja) 画像形成装置
JP3882453B2 (ja) 画像形成装置
JP4004005B2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200126511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用ユニット
JP2007232990A (ja) 現像装置
JP200125572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066880A (ja) 電子写真装置
JPH03168672A (ja) 現像装置
JP2004004246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936836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271285A (ja) 電子写真装置
JP2023114000A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5107922A (ja) 乾式現像装置
JPH0850408A (ja) 現像装置
KR100260432B1 (ko)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공급 조절장치
JP200030534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051508A (ja) 画像形成装置
JPH04265983A (ja) 電子写真装置
JPH05204236A (ja) 一成分現像装置
JP2002062721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