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6507A - 수형 콘택트 - Google Patents

수형 콘택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6507A
KR20020016507A KR1020010047857A KR20010047857A KR20020016507A KR 20020016507 A KR20020016507 A KR 20020016507A KR 1020010047857 A KR1020010047857 A KR 1020010047857A KR 20010047857 A KR20010047857 A KR 20010047857A KR 20020016507 A KR20020016507 A KR 20020016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contact
box
male
ceiling plate
shape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7357B1 (ko
Inventor
이리쿠라켄타로
키타무라히로치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티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티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20016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3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형접촉부(110)가 다른 동종의 수형 콘택트(100)의 상자형 부재(130)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자형 부재(130)의 천정판(133)이 이중으로 겹쳐진 판부로 구성되는 이중천정판(133a, 133b)으로, 상기 이중 천정판 중의 내측의 천정판(133b)에서 직하하는 벽(136, 137)이 상자형 부재(130)의 후단근방 및 계합공(135)의 전단근방의 쌍방에 설치되어 있는 수형 콘택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형 콘택트{male contact}
본 발명은 커넥터 혹은 하니스(harness)를 구성하기 위한 수형 콘택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대커넥터등에 설치되어 암형 콘택트에 감입하는 탭 형상의 수형 접촉부를 전단부에 구비함과 동시에 전선과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전선접속부를 후단부에 구비한 수형 콘택트가 알려져 있으며, 그와 같은 수형 콘택트의 수형 접촉부와 전선접촉부사이에 끼인 중간부에는 통상적으로 평판양측을 일으켜 세워 양측을 한층 더 절곡시킴으로써 천정판이 형성된 상자형 부재가 구비되고, 그 상자형 부재에는 수형 콘택트가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장치(stabilizer)나 하우징 내로 삽입된 수형 콘택트의 이탈방지를 위한 하우징랜스에 계합하는 계합공 등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개평9-82396호 공보에는 그와 같은 수형 콘택트를 구비한 콘택트의 반삽입 검지가 가능하면서 콘택트가 정위치에 삽입된 때의 유지 강도가 높은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은 수형 콘택트는 여러 개 제조되어 각각에 전선이 접속된 후에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지만, 수형 콘택트는 탭 형상의 수형 접촉부를 갖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기 전의 수형 콘택트끼리 용이하게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하에서, 수형 콘택트의 수형 접촉부 전단이 다른 수형 콘택트의 상자형부재에 진입하고, 그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때에 그것들을 푸는 작업이 어렵고, 자칫하면 작업 중에 다른 수형 콘택트의 상자형 부재에 진입한 수형부 접촉부의 전단부분을 절곡시키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술한 특개평9-82396호 공보에는 상자형 부재의 하우징측 리테이너와 계합하는 부분을 절곡시킴으로써, 리테이너의 계합작용을 부드럽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이 상자형 부재의 리테이너와 계합하는 부분이 절곡되어 있음으로 인해, 결과적으로는 리테이너와 계합하는 부분에 수형 접촉부의 진입을 방지하는 벽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이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상자형 부재의 리테이너와의 계합부분에 관해서만 수형 접촉부의 진입이 방지되는 벽이 형성된 것으로서, 다른 수형 콘택트의 수형 접촉부 선단이 상자형 부재로로 진입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과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수형 접촉부가 다른 동종의 수형 콘택트의 상자형 부재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 수형 콘택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수형 콘택트는 전단부 및 후단부 각각에 설치된 수형 접촉부 및 전선접촉부에 끼워진 중간부에, 평판 양측을 일으켜 세우고, 양측을 한층 더 절곡시킴으로써, 천정판이 형성되도록하는 상자형 부재를 구비하며, 해당 상자형 부재 하면에 하우징랜스와 계합하는 계합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수형 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상자형 부재의 천정판이 이중으로 겹친 판부로 구성되는 이중천정판으로, 해당 이중천정판 중의 내측 천정판에서 직하하는 벽이 해당 상자형 부재의 후단 근방 및 상기 계합공의 전단 근방의 쌍방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형 콘택트는 상자형 부재의 천정판을 이중으로 구성하고, 내측의 천정판에서 직하하는 벽을 상자형 부재의 후단 근방 및 계합공의 전단 근방의 쌍방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수형 콘택트의 수형 접촉부가 다른 동종의 수형 콘택트의 상자형 부재에 진입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따라서 종래부터 필요했던 일단 진입한 상태의 수형 콘택트를 서로 푸는 작업이 불필요해 지고, 또 수형 접촉부가 절곡되기 쉬운 사고가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로서의 수형 콘택트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로서의 수형 콘택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로서의 수형 콘택트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로서의 수형 콘택트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1∼도 4에 나타내는 수형 콘택트의 각각 도 1에 나타내는 Z-Z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6은 도 1∼도 4에 나타내는 수형 콘택트의 각각 도 1에 나타내는 Y-Y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7은 도 1∼도 4에 나타내는 수형 콘택트의 각각 도 1에 나타내는 YY-YY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수형 콘택트 110 : 수형접촉부
120 : 전선접속부 130 : 상자형 부재
131 : 바닥판 132 : 측벽
133, 133a, 133b : 천정판
135 : 계합공 136, 137 : 벽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로서의 수형 콘택트의 평면도, 정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또한 도 5, 도 6 및 도 7은 도 1∼도 4에 나타내는 수형 콘택트의 각각 도 1에 나타내는 Z-Z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1에 나타내는 Y-Y방향으로 본 단면도 및 도 1에 나타내는 YY-YY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여기에 나타내는 수형 콘택트(100)은 제조단계 및 전선(미도시)과의 접속단계에서 필요한 캐리어(10)이 후단에 접속된 상태의 것으로, 이 캐리어(10)은 전선과의 접속시에 절단, 제거된다.
수형 콘택트(100)의 전단부에는 평판의 절곡에 의해 해당 평판의 약 2장분의 두께를 갖는 탭 형상의 수형 접촉부(1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형 접촉부(110)은 도시하지 않은 암형 콘택트에 삽입되어 콘택트 사이의 전기적인 통전을 도모하기 위한 부분이다. 수형 접촉부(110)의 뿌리 부분에는 횡방향으로 돌출한 부분(111)이 설치되어 있다. 해당 부분(111)은 수형 콘택트(100)이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그 하우징에 형성된 홈에 들어감으로써 해당 하우징에 대한 수형 콘택트의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수형 콘택트(100)의 후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선이 접속되는 전선접속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선접속부(120)은 전선의 선단 근방의 피복된 부분을 파악하기 위한 인스레션 배럴(121)과, 전선 선단의 피복이 벗겨짐으로써 노출된 심선이 압착되는 와이어 배럴(1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형 콘택트(100)의 수형 접촉부(110)과 전선접속부(120)사이에 끼워진 중간부에는 상자형 부재(130)이 형성되어 있다. 상자형 부재(130)에는 바닥판(131)과 그 측벽(131)에서 양측을 일으켜 세워 형성된 측벽(132)과, 그 측벽(132)가 한층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천정판(1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천정판(133)은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겹쳐진 2장의 천정판(133a), (133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자형 부재(130)에는 바닥판이 잘라 세운 형상의 안정장치(1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정장치(134)는 하우징 내에 삽입된 때의 하우징 내의 홈에 갑입하여 하우징에 대한 수형 콘택트(100)의 자세를 안정화시킴과 동시에 하우징에 대한 올바른 방향으로만 하우징에 삽입가능케 되는 방향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자형 부재(130)는 그 저부에 안정장치(134)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계합공(135)를 갖는다. 이 계합공(135)는 수형 콘택트(100)이 하우징에 삽입된 때에 그 하우징 내에 설치된 하우징랜스와 계합함으로써, 수형 콘택트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이탈방지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도 5에 나타내는 것처럼 상자형 부재(130)에는 2장의 천정판 (133a, 133b) 중의 내측 천정판 (133b)에서 직하하는 2개의 벽(136, 137)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두개의 벽(136, 137)중의 한쪽의 벽(136)은 상자형 부재(130)의 후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고, 또 한쪽의 벽(137)은 계합공(135)의 전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벽(136), (13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형 콘택트(100)이 복수 로 상호접촉하는 상황에 있을 때, 어떤 수형 콘택트(100)의 수형 접촉부(110)의 선단이 다른 수형 콘택트의 상자형 부재(130)에 진입하는 듯한 자세가 되어도 그곳에 형성된 벽(136), (137)에 저지되어 진입할 수 없게 되고, 그에 따라 수형 콘택트끼리 얽히는 것이 방지되며, 그것들을 푸는 시간 등이 불필요해 지고, 따라서 종래에 그것들을 풀 때에 발생했던 수형 접촉부의 절곡사고가 당연히 방지된다.
여기서 벽(136), (137)의 자유단은 저벽(131)에 최대한 접근하여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벽(136), (137)의 자유단과 저벽(131)과의 간극은 0㎜보다 크고, 0.25㎜보다는 작다. 벽의 자유단을 저벽(131)에 당접시키지 않고 있는 이유는 당접시킬 경우, 상자형 부재(130)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벽의 자유단 및 저벽(131)의 근방배치에 의해 상하로부터의 외부압력에 대해 상자형부재(130)의 강도를 보강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르면, 수형 접촉부 선단이 다른 동종의 수형 콘택트의 상자형 부재에 진입하는 것이 방지되며, 그것들을 푸는 시간 등이 불필요해 지고, 또 수형 접촉부의 선단이 절곡되는 그러한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전단부 및 후단부 각각에 설치된 수형 접촉부 및 전선접속부에 끼워진 중간부에 평판 양측을 일으켜 세우고, 양측을 더욱 절곡시킴으로써, 천정판이 형성되도록하는 상자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자형 부재 하면에 하우징랜스와 계합하는 계합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수형 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상자형 부재의 천정판이 이중으로 겹친 판부로 구성되는 이중천정판에서, 해당 이중천정판 중의 내측 천정판에서 직하하는 벽이 상기 상자형 부재의 후단 근방 및 상기 계합공의 전단 근방의 쌍방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형 콘택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에서 직하하는 벽의 자유단이 상기 상자형 부재의 바닥판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수형 콘택트.
KR1020010047857A 2000-08-25 2001-08-09 수형 콘택트 KR100787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55309A JP3561464B2 (ja) 2000-08-25 2000-08-25 雄型コンタクト
JPJP-P-2000-00255309 2000-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507A true KR20020016507A (ko) 2002-03-04
KR100787357B1 KR100787357B1 (ko) 2007-12-18

Family

ID=1874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857A KR100787357B1 (ko) 2000-08-25 2001-08-09 수형 콘택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98599B1 (ko)
EP (1) EP1182738B1 (ko)
JP (1) JP3561464B2 (ko)
KR (1) KR100787357B1 (ko)
CN (1) CN100416931C (ko)
DE (1) DE6010193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3846B2 (ja) * 2001-05-10 2006-06-07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03051351A (ja) * 2001-08-03 2003-02-21 Tyco Electronics Amp Kk 雄型コンタ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814221B2 (ja) * 2002-04-18 2006-08-23 住友電装株式会社 雄側端子金具
JP2006216321A (ja) * 2005-02-02 2006-08-1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4442450B2 (ja) 2005-02-02 2010-03-3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06128143A (ja) * 2006-02-06 2006-05-18 Sumitomo Wiring Syst Ltd 雄側端子金具
CN101510640B (zh) * 2008-10-24 2010-10-06 江门市创艺电器有限公司 一种电线接线端子的插鞘
JP4905543B2 (ja) * 2009-12-16 2012-03-28 住友電装株式会社 雄端子金具
JP2011175899A (ja) * 2010-02-25 2011-09-08 Sumitomo Wiring Syst Ltd 雄端子金具
JP6143194B2 (ja) * 2014-03-25 2017-06-07 住友電装株式会社 雄端子金具
JP6911727B2 (ja) * 2017-11-22 2021-07-2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6544412B2 (ja) * 2017-11-22 2019-07-17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端子および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5868A (en) * 1975-07-21 1977-09-06 Elfab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on and assembly of electrical connector
US4998896A (en) * 1989-09-25 1991-03-12 Amp Incorporated Sealed stamped and formed pin
US5211589A (en) * 1991-03-15 1993-05-18 Cardell Corporation Micropin connector system
JPH0749741Y2 (ja) * 1993-06-04 1995-11-13 小林電機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US5462459A (en) * 1994-09-30 1995-10-31 Cardell Corporation Spring-type electrical receptacle
JP3046731B2 (ja) * 1994-11-30 2000-05-29 矢崎総業株式会社 雄端子及び雄端子の製造方法
US5681190A (en) * 1995-05-23 1997-10-28 Cardell Corporation Torsional blade receptacle
JPH0982396A (ja) * 1995-09-11 1997-03-28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JP3202561B2 (ja) * 1995-11-17 2001-08-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雄型端子金具
JP3478010B2 (ja) * 1996-07-26 2003-12-10 住友電装株式会社 雄側端子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40882A (zh) 2002-03-20
EP1182738B1 (en) 2004-02-04
EP1182738A2 (en) 2002-02-27
JP2002075498A (ja) 2002-03-15
DE60101933T2 (de) 2004-12-09
DE60101933D1 (de) 2004-03-11
EP1182738A3 (en) 2002-05-22
CN100416931C (zh) 2008-09-03
US20020025696A1 (en) 2002-02-28
KR100787357B1 (ko) 2007-12-18
US6398599B1 (en) 2002-06-04
JP3561464B2 (ja) 2004-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6749B1 (en) A terminal fitting, a connector and a forming method
US5951336A (en) Terminal fitting
JP5129880B2 (ja) コネクタ端子及び該コネクタ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
US6461201B1 (en) Press-contact joint connector
EP2846417B1 (en) Electric connector and terminal used therefor
EP2827459B1 (en) Connector
KR100787357B1 (ko) 수형 콘택트
US10819060B2 (en) Stacked connector
EP0795930B1 (en) High contact force pin-receiving electrical contact
JPH1092503A (ja) ターミナル係止構造
JP2547381Y2 (ja) 多極コネクタ
EP1261070B1 (en) A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US10193263B2 (en) Connector
US6340321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461456B2 (en) Connector
KR20130044333A (ko) 단자 피팅
US20150111444A1 (en) Joint terminal
JP3703089B2 (ja) 雄型端子
EP1478052B1 (en) Sheath stripping pressure contact terminal
US11824296B2 (en) Termin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7001224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for locking terminal fitings
JP7484662B2 (ja) コネクタの端子構造
JP4268154B2 (ja) コネクタ
JP2023175512A (ja) 電気コネクタ
CN118156865A (zh) 连接器壳体和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