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5427A - 식물 생육용 혼초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식물 생육용 혼초지 - Google Patents

식물 생육용 혼초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식물 생육용 혼초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5427A
KR20020015427A KR1020000048524A KR20000048524A KR20020015427A KR 20020015427 A KR20020015427 A KR 20020015427A KR 1020000048524 A KR1020000048524 A KR 1020000048524A KR 20000048524 A KR20000048524 A KR 20000048524A KR 20020015427 A KR20020015427 A KR 20020015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p
paper
weight
polyester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6089B1 (ko
Inventor
최병열
배봉식
장광현
문한주
Original Assignee
이영일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일,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영일
Priority to KR1020000048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089B1/ko
Publication of KR20020015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0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aper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생육용 혼초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얻어진 식물 생육용 혼초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a)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천연 펄프 20∼40중량%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합성 펄프 80∼60 중량%와의 단일층 혼초지를 제조하는 공정; 또는 (b) 상기 공정 (a)에 의해 제조된 혼초지 두 층을 함께 접합탈수하여 이중층 혼초지를 제조하는 공정; 또는 (c)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천연 펄프로 구성된 단일층 혼초지와 상기 공정 (a)에서 제조된 단일층 혼초지를 접합탈수하여 이중층 혼초지를 제조하는 공정; 및 (d) 상기 (a) 또는 (b) 또는 (c)에서 제조된 단일층 또는 이중층의 혼초지를 카렌다 프레스 롤을 이용하여 표면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얻어진 식물 생육용 혼초지는 묘의 생육시 토양으로부터 병해를 예방할 수 있고, 투수성과 통기성 및 적당한 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 생육용 혼초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물 생육용 혼초지{A method of preparing mixed drafting paper for plant growth and a mixed drafting paper prepa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식물 생육용 혼초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얻어진 식물 생육용 혼초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펄프와 천연펄프로 이루어진 단층 또는 이중층으로 구성된 혼초지를 제조하고, 이를 가열 표면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육용 혼초지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우수한 통기성과 투수성을 갖는 식물 생육용 혼초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벼의 묘를 이앙하기 전에 어린묘, 중묘의 생육에 육묘상자를 이용하였다.
짧은 시간에 대량으로 생육시키기 위해 온도 및 습도가 제어되는 온실에서 틀 위에 다단 적재하여 약 20일 정도 인위적으로 물을 분사하여 생육시키는 어린묘 생육방법에 있어서, 묘판을 다단적재하기 위해서 육묘상자 밑에 있는 구멍을 통해서 흙과 상토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깔판을 필수적으로 깔아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육묘상자를 이용하여 묘판을 만드는 방법 중, 육묘상자 내부 바닥에 크라프트 종이를 깔고 상토 및 흙을 채우고 하는 방법(1), 육묘상자 내부 바닥에 합성수지필름을 깔고 상토 및 흙을 채우고 하는 방법(2), 육묘상자 내부 바닥에 부직포를 깔고 상토 및 흙을 채우고 하는 방법(3)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1)의 방법은 크라프트 종이 깔개가 생육 기간동안 공급하는 물에 의해 분해되어 묘의 뿌리와 엉켜 이앙시 요구되는 매트의 형성이 엉성하게 되는 단점이 있고, 상기 (2)의 방법은 필름의 특성상 생육과정에서 뿌리에 산소공급이 불충분하여 뿌리의 생육이 부진하여 논에 기계화 이앙 후 벼의 생육상태가 불량한 단점과 생육과정에서 물을 스프레이로 공급하는데 수분이 적을 경우 묘가 건조되어 생육이 부진하고 수분이 과다할 경우 뿌리가 썩게 되고 병충해를 입는 등의 단점이 있어 생육관리가 아주 어렵다. 또한, 상기 (3)의 방법은 육묘상자 아래에서 뿌리로의 산소공급이 용이하여 뿌리의 성장이 빠른 장점은 있으나 뿌리가 부직포와 엉켜서 이앙을 할 때 뿌리 매트에서 부직포를 제거하는 과정이 아주 번거럽고 부직포 제거 과정에서 뿌리가 절단되어 나가는 등 뿌리의 손상이 심한 단점이 있다.
한편, 논에서 흙으로 이랑을 만든 다음 그 위에 묘판을 놓고 물을 논에 바로 공급하여 30일 정도의 생육과정을 거치는 중묘 생육방법에 있어서, 묘판을 만드는 방법으로는 육묘상자 내부 바닥에 어떠한 도구도 깔지 않고 상토 및 흙을 채우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때 묘판 위의 영양분을 섭취한 뒤 육묘상자의 구멍(도 1)을 통해 뿌리가 내려가 이랑의 토양 속으로 뿌리가 내리면서 생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이렇게 생육이 완성된 묘는 모내기 이앙 시 묘판을 이랑 흙으로부터 분리하는데 상당한 인력이 필요하고 또한 기계 이앙을 위해서는 육묘상자 내에 형성된 뿌리만으로 매트를 생성시키기는 하지만 이 과정에서 육묘상자 밑으로 나와 있는 뿌리(도 4)는 낫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절단해주어야 하고 그 다음 매트를 말아 기계 이앙에 사용하였다. 즉, 이러한 모내기 과정에서 묘판이 심하게 파손되고 뿌리의 절단으로 활착이 느려 벼가 성장하는데 많은 농업용수와 비료 등 영양분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묘판을 이랑 위에 놓기 전에 상기한 (3)의 방법으로 묘판을 만든 다음, 이랑 위에 묘판을 놓아 생육을 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부직포는 근본적으로 웹(web) 형성시 기공이 아주 크고 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2) 오히려 뿌리가 부직포 섬유와 엉키고 다시 엉킨 뿌리는 영양분을 찾아 이랑의 토양으로 뿌리를 내리게 되어 생육이 완성된 묘는 이앙시 묘판을 이랑 흙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하지 못하게 하고 묘판이 심하게 파손되기도 하며 뿌리의 절단으로 활착이 느려 벼의 성장에 장애를 받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어린묘 생육방법(I)과 중묘 방법(II)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우수한 투수성, 우수한 통기성으로 뿌리 생육이 우수하고, 매트 형성이 양호하며 이앙 작업시 뿌리의 절근이 없이 매트를 형성시켜 이앙이 용이하도록 하는 소재를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식품포장용 및 과실 재배용 봉투에 사용한 합성 펄프와 천연 펄프로 이루어진 단층 또는 이중층의 혼초지(대한민국 특허 제 150270호, 제 153073호 및 제 153412호)를 표면처리한 결과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 생육용 혼초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물 생육용 혼초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육묘상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부직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식물 생육용 혼초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못자리에 육묘상자만 적용하였을 경우에 육묘상자 밑으로 나와 있는 뿌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육묘상자에 본 발명의 식물 생육용 혼초지를 적용하였을 경우에 육묘상자 밑으로 나와 있는 뿌리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a)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천연 펄프 20∼40중량%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에서 선택된1종이상의 합성 펄프 80∼60 중량%와의 혼초지를 제조하는 공정; 및 b) 상기 공정 (a)에서 제조된 혼초지를 카렌다 프레스 롤을 이용하여 표면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한 (b) 단계 전에, 상기한 (a) 단계의 단일층 혼초지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천연 펄프 20∼40중량%와 1종 이상의 합성 펄프 80∼60중량%로 구성된 또 다른 단일층의 혼초지를 접합탈수시켜 이중층 혼초지를 제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한 (a) 단계의 단일층 혼초지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천연 펄프로 구성된 초지를 접합탈수시켜 이중층 혼초지를 제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생육용 혼초지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천연 펄프 20∼40중량%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합성 펄프 80∼60중량%로 구성된 단일층 혼초지; 또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천연 펄프 20∼40중량%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합성 펄프 80∼60중량%로 구성된 혼초지 두 층으로 구성된 이중층 혼초지 또는 상기 단일층 혼초지와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천연 펄프로 구성된 혼초지의 이중층 혼조지이며, 상기 혼초지를 카렌다 프레스롤로 표면 처리하여 기공이 작고 균일하며 표면이 매끄럽게 처리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 생육용 혼초지로써 우수한 투수성과 통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합성펄프와 천연펄프를 혼초지하여 단층 또는 이중층의 혼초지를 제조하였다. 식물 생육용 혼초지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천연펄프 20∼40 중량% 및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에서 선택된 1이상의 합성펄프 80∼6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 펄프로부터 제조되는데, 그 이유는 천연펄프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일 경우, 열처리 후 기공이 막혀 배수 및 통기가 잘 되지 않아 뿌리의 생육에 지장을 주게 되고,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사용시 물에 젖어 강도 저하가 발생되어 뿌리의 성장에 의해 육묘지가 찢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초지는총평량 30∼150g/cm2을 갖도록 제조되는데, 평량이 30g/cm2미만일 경우에는 표면처리를 하더라도 기공이 너무 커서 뿌리 내림을 방지하기 어렵고 강도 또한 낮아 사용시 취급상 부주의로 찢어짐이 발생할 수 있으며, 평량이 150g/cm2을 초과할 경우 기공이 너무 작아서 뿌리 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표면처리를 할 경우 기공이 막혀 수분과 공기가 투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합성펄프와 목재펄프를 혼초지한 육묘지는 건인장강도, 습인장강도가 상승하고, 합성펄프를 1종 사용할 경우에는 그 합성펄프의 융점에서, 합성펄프를 2종 이상 사용할 경우에는 저융점 펄프와 고융점 펄프의 융점 사이의 온도로 가열표면처리함으로써 기존 천연펄프가 형성하는 통기성과 투수성을 유지하면서 혼초지 표면의 기공 사이즈가 작고 균일해지며 표면이 매끄럽게 되므로 생육시 뿌리내림을 방지하고 매트형성을 양호하게 한다. 또한, 천연펄프에 합성펄프가 바인더 역할을 수행하여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며 내수성이 개량되어 반복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제조방법은 장망 또는 환망 초지기만을 이용하여 천연펄프와 합성펄프로 이루어진 단층의 혼초지를 제조할 수 있고, 각각의 장망 초지기와 환망 초지기에 천연펄프 20∼40중량%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합성펄프 80∼60중량%로 단일층의 혼초지를 제조하고, 이 두 단일층을 접합탈수시켜 이중층 혼초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장망 초지기 또는 환망 초지기 중 어느 한쪽에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천연펄프 100%로 단일층 혼초지를 구성하고, 다른 한쪽에는 천연펄프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합성펄프 혼합물을 20∼40 : 80∼60 중량%로 단일층 혼초지를 구성하여, 이 두 단일층을 접합탈수시켜 이중층 혼초지를 제조할 수 있다. 단층의 경우는 기공이 크고 투수도가 좋아 어린묘 육묘에 사용하고, 이중층의 경우는 기공이 작고 조밀하여 보수력이 좋아 중묘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초지 제조에 사용되는 합성펄프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부터 제조된 것이다. 이러한 수지를 주원료로 하여 용제에 용융하여 노즐을 통해 방사함으로써 미세한 섬유상 물질로 제조하며, 이때 합성수지가 지니지 못한 수중 분산성을 부여하기 위해 친수성이 있는 폴리비닐알콜 2.5 중량%를 점착한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펄프의 섬유길이는 0.1∼10mm이다.
본 발명의 혼초지 제조를 위해 합성펄프는 단독 또는 융점 차이가 있는 2종 이상의 합성 펄프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혼초지 제조에 합성펄프를 1종 사용할 경우, 그 합성펄프의 융점에서 가열 표면처리 함으로써 기존 천연펄프가 형성하는 통기성과 투수성을 유지하면서 혼초지 표면이 매끄럽게 되어 뿌리내림을 방지할 수 있으나, 작업 조건이 까다롭고 제품의 표면상태의 균일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융점이 다른 2종 이상의 합성펄프를 적절히 혼합하여 저융점 펄프와 고융점 펄프의 융점 사이의 온도에서 가열 표면처리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작업조건에서 기공 사이즈 조절이 용이하여 매끄러운 표면처리가 가능하게 되는데, 이때 저융점 합성펄프의 혼합량이 많으면, 기공을 매꾸어 투수 및 투기가 되지 않고, 그 혼합량이 적으면, 뿌리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표면처리가 되지 못한다. 본 발명에서 합성펄프는 폴리에틸렌(저융점: 대략 135℃), 폴리프로필렌(중간융점: 대략 165℃) 및 폴리에스테르(고융점: 대략 265℃)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혼합 구성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스테르의 2종의 혼합구성 또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스테르로 3종 혼합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2종의 합성펄프구성은 각각 폴리에틸렌 : 폴리프로필렌 = 10∼50 : 90∼50중량% 비율, 폴리에틸렌 : 폴리에스테르=10∼50 : 90∼50중량% 비율 및 폴리프로필렌 : 폴리에스테르= 10∼50 : 90∼50중량% 비율로, 상기 3종의 합성펄프구성은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 폴리에스테르 = 10∼50 : 90∼50중량% 또는 폴리에틸렌 : 폴리프로필렌+폴리에스테르 = 10∼50 : 90∼50 중량%비율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혼초지 제조에 사용되는 천연펄프는 목재펄프, 목면펄프, 대나무펄프 등에서 선택된 것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목재펄프가 양호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메카니칼 펄프, 케미칼 펄프, 케미칼 크라프트 펄프 또는 세미케미칼 펄프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최적의 물성을 얻기 위해 초지기에서 제조된 혼초지를 탈수한 후 드라이어에서 건조하고, 열처리한다. 열처리 방법은 기존 장망형, 환망형 초지기의 가열롤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열풍식 열처리기나 기타 적외선 가열기 등에 의해서도 실시 가능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열풍식 열처리기에서 처리하는 것이다. 열처리된 혼초지는 뿌리투과를 제어하기 위해 표면처리를 하는데 별도의 카렌다 프레스 롤을 이용하여 기공을 작고 균일하게 하고 표면을 매끄럽게 처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카렌다 프레스 롤에서의 표면처리온도는 사용되는 합성펄프의 종류에 의해 결정되는데, 1종의 합성펄프가 사용될 경우에는 합성펄프 원료의 융점에서, 2종의 합성펄프가 사용될 경우에는 저융점 합성펄프의 융점과 고융점 합성펄프의 융점간의 중간 온도에서 이루어지며, 3종의 합성펄프가 사용될 경우에는 각각의 함량비에 따라 처리 온도가 결정되지만 대략적으로 저융점과 중간융점 사이의 온도이거나 또는 중간융점과 고융점 사이의 온도에서 처리온도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가열 표면처리 조건을 용이하게 조절하고, 혼초지 표면 상태와 기공 사이즈를 균일하게 하려면 2종 이상의 합성펄프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가열롤에 카렌다 프레스롤을 접합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가압에 의한 표면점착이 발생되어 섬세한 표면처리가 어렵고 열에 의한 프레스롤 수명단축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롤의 표면을 테프론 코팅이나 박리제 등을 처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화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장망 초지기에 천연펄프인 크라프트 목재펄프 40%, 고밀도 폴리에틸렌 합성펄프 30% 및 폴리프로필렌 합성펄프 30%를 해리기에 넣고 충분히 고해한 후, 평량 30g/cm2로 혼초지하고 탈수 및 드라이어 공정을 통한 후 카렌다 프레스롤에서 135∼160℃로 가열 표면처리 하였다. 제조된 단층 혼초지의 물성(인장강도, 습인장강도, 투기도, 투수도 및 마찰계수; 이하 동일)과 육묘상자 적용 평가 결과(뿌리투과, 채묘장력 및 채묘시간; 이하동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육묘상자 적용평가는 육묘상자 내부 바닥에 육묘지를 깔고, 상토 및 흙을 채우고 나서 종자를 뿌린 다음, 논에 육묘상자를 놓고 모를 생육하여 모가 커서(통상 중묘의 경우는 35-45일 소요되고, 어린묘의 경우는 10-15일 소요됨) 이앙할 시점에서 실시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천연펄프로 크라프트 목재 펄프 20%와 마닐라 마펄프 20%를, 폴리에틸렌 합성펄프 30% 대신에 폴리에스테르 합성펄프 30%로 구성하였으며, 카렌다 프레스롤에서 165∼190℃로 가열, 표면처리하여 평량 60g/cm2로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제조하여 제조된 단층 혼초지의 물성과 육묘상자 적용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천연펄프로 크라프트 목재펄프 40% 대신에 마닐라 마펄프 40%를 사용하고, 합성펄프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합성펄프 10%, 폴리프로필렌 합성펄프20%, 폴리에스테르 합성펄프 30%로 구성하여, 카렌다 프레스롤에서 135∼190℃로 가열, 표면처리하여 평량 120g/cm2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제조된 단층 혼초지의 물성과 육묘상자 적용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환망초지기에 천연펄프로 크라프트 목재펄프 10%와 마닐라 마펄프 10%를, 합성펄프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합성펄프 30%와 폴리프로필렌 합성펄프 50%를 넣고, 평량 40g/cm2로 혼초지를 제조한다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제조된 단층 혼초지의 물성과 육묘상자 적용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 천연펄프로 크라프트 목재펄프 15%와 마닐라 마펄프 5%를, 합성펄프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합성펄프 30%와 폴리에스테르 합성펄프 50%로 구성하여 평량 80g/cm2로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제조하여 제조된 단층 혼초지의 물성과 육묘상자 적용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4 에서 천연펄프로 크라프트 목재펄프 5%, 마닐라 마펄프 15%를, 합성펄프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합성펄프 30%, 폴리프로필렌 합성펄프 20%, 폴리에스테르 합성펄프 10%로 구성하여 평량 130g/cm2로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제조하여 제조된 단층 혼초지의 물성과 육묘상자 적용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장망 초지기에 천연펄프로 크라프트 목재펄프 20%와 마닐라 마펄프 10%를, 합성펄프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합성펄프 25%, 폴리프로필렌 합성펄프 45%로 구성하여 함께 해리기에 넣고 고해를 충분히 반영한 후 평량 50g/cm2로 초지하고, 환망 초지기에서도 장망 초지기와 동일 구성의 펄프를 해리기에 넣고 충분히 고해한 후, 환망초지기의 헤드박스내의 실린더를 통하여 빠져 나온 펄프상을 장망초지기에서 초지된 것에 접합초지시켜 탈수 및 드라이 공정을 거친 후, 카렌다 프레스롤에서 135∼160℃로 가열 표면처리를 하여 평량 80g/cm2의 혼초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이중층 혼초지의 물성과 육묘상자 적용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장망초지기에 천연펄프인 크라프트 목재펄프 30%와 마닐라 마펄프 70%를 해리기에 넣고 고해를 충분히 반영한 후 평량 70g/cm2로 초지하고, 환망 초지기에는 천연 크라프트 펄프10%, 마닐라 마펄프 30%, 고밀도 폴리에틸렌 합성펄프 10%, 폴리프로필렌 펄프 50%를 해리기에 넣고 충분히 고해한 후, 환망 초지기의 헤드박스내의 실린더를 통하여 빠져 나온 펄프상을 장망초지기에서 초지된 것에 접합초지시켜 탈수 및 드라이 공정을 거친 후 카렌다 프레스롤에서 135∼160℃로 가열 표면처리를 하여 평량 140g/cm2의 혼초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이중층 혼초지의 물성과 육묘상자 적용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8에서 장망초지기에는 천연펄프인 마닐라 마펄프 100%만 사용하여 평량 20g/㎠로 초지하고, 환망초지기에는 천연펄프인 크라프트 펄프 15%, 마닐라 마펄프 15%, 합성펄프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펄프 35%, 폴리에스테르 펄프 35%로 구성하여 총평량 40g/㎠로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제조된 이중층 혼초지의 물성과 육묘상자 적용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8에서 장망초지기에 천연펄프인 크라프트 펄프 70%, 마닐라 마펄프 30%로 구성하여 평량 50g/㎠로 초지하고, 환망초지기에는 천연펄프인 크라프트 펄프 30%, 마닐라 마펄프 10%, 합성펄프인 폴리프로필렌 펄프 20%, 폴리에스테르 펄프 40%로 구성하여 총평량 100g/㎠로 혼초지한 후 카렌다 프레스롤에서 160∼190℃로 가열 표면처리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제조된 이중층 혼초지의 물성과 육묘상자 적용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8에서 장망초지기에 천연펄프인 크라프트 펄프만 100% 사용하여 평량 50g/㎠로 초지하고, 환망초지기에는 천연펄프인 크라프트 펄프 20%, 마닐라 마펄프 10%, 합성펄프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15%, 폴리프로필렌 펄프 20%, 폴리에스테르 펄프 35%로 구성하여 총평량 100g/㎠로 혼초지한 후 카렌다 프레스롤에서 160∼190℃로 가열 표면처리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제조된 이중층 혼초지의 물성과 육묘상자 적용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8에서 장망초지기에 천연펄프는 마닐라 마펄프 40%, 합성펄프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25%, 폴리프로필렌 펄프 25%, 폴리에스테르 펄프 10%로 구성하여 평량 40g/㎠로 초지하고, 환망초지기에는 천연펄프인 크라프트 펄프만 100%로 구성하여 총평량 60g/㎠로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제조된 이중층 혼초지의 물성과 육묘상자 적용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8에서 장망초지기에 천연펄프로 크라프트 펄프10%, 마닐라 마펄프20%, 합성펄프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30%, 폴리프로필렌 펄프 40%로 구성하여 평량 40g/㎠로 초지하고 환망초지기에는 천연펄프인 크라프트 펄프 30%, 마닐라 마펄프70%로 구성하여 총평량 70g/㎠로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제조된 이중층 혼초지의 물성과 육묘상자 적용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실시예 8에서 장망초지기에 천연펄프로 크라프트 펄프30%, 마닐라 마펄프5%, 합성펄프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15%, 폴리에스테르 펄프 50%로 구성하여 평량 60g/㎠로 초지하고, 환망초지기에는 천연펄프인 크라프트 펄프 70%, 마닐라 마펄프30%로 구성하여 총평량 120g/㎠로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제조된 이중층 혼초지의 물성과 육묘상자 적용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실시예 8에서 장망초지기에 천연펄프로 크라프트 펄프10%, 마닐라 마펄프15%, 합성펄프로 폴리프로필렌 펄프 15%, 폴리에스테르 펄프 60%로 구성하여 평량 40g/㎠로 초지하고, 환망초지기에는 천연펄프인 마닐라 마펄프만 100%로 구성하여 총평량 80g/㎠로 혼초지 한 후, 카렌다 프레스롤에서 160∼190℃로 가열 표면처리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제조된 이중층 혼초지의 물성과 육묘상자 적용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실시예 8에서 장망초지기에 천연펄프로 크라프트 펄프25%, 합성펄프로 폴리프로필렌 펄프 75%로 구성하여 평량 40g/㎠로 초지하고, 환망초지기에는 천연펄프인 크라프트 펄프만 100%로 구성하여 총평량 80g/㎠로 혼초지 한 후, 카렌다 프레스롤에서 160∼190℃로 가열 표면처리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제조된 이중층 혼초지의 물성과 육묘상자 적용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7>
실시예 8에서 장망초지기에 천연펄프로 크라프트 펄프25%, 합성펄프로 폴리에스테르 펄프 75 %로 구성하여 평량 40g/㎠로 초지하고, 환망초지기에는 천연펄프인 크라프트 펄프만 100%로 구성하여 총평량 80g/㎠로 혼초지 한 후, 카렌다 프레스롤에서 260∼290℃로 가열 표면처리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제조된 이중층 혼초지의 물성과 육묘상자 적용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8에서 카렌다 프레스롤로 표면 열처리를 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제조한 혼초지의 물성과 육묘상자 적용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일반 농가에서 하듯이 육묘상자만 이용하여 생육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육묘상자에 이용하는 폴리프로필렌 농업용 부직포(평량 80g/cm2)의 물성과 적용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측정한 각 물성은 다음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1) 인장강도는 KS M 7014에 준해서 시험하였다.
(2) 습인장강도는 KS M 7027에 준해서 시험하였다.
(3) 투기도는 KS M 7020에 준해서 시험하였다.
(4) 투수도는 직경 5cm의 유리관 하부에 혼초지를 설치하고, 물 100㎖가 통과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5) 마찰계수는 ASTM D 1894에 준해서 시험하였다.
(6) 뿌리투과 관찰
◎: 뿌리내림이 없고, 뿌리가 육묘지에 엉겨붙어 있지 않음.
△: 뿌리내림이 없으나, 뿌리가 육묘지에 엉겨붙어 육묘지의 재사용이 불가능함.
×: 뿌리내림 발생
(7) 채묘장력(1개의 육묘상자를 못자리에서 떼어내는데 필요한 힘)은 용수철 저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8) 채묘시간은 육묘상자 30개를 떼어내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생육용 혼초지를 사용하면묘의 생육시 투수성과 통기성 및 적당한 보수성이 부여되므로 묘가 건강한 뿌리를 갖게 되며, 육묘상자를 못자리에서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고, 뿌리를 절근하지 않고 이앙을 할 수 있어 작업시간과 노동력을 적게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생육용 혼초지는 사용 후 회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매우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Claims (5)

  1. 하기 공정 (a) 및 (b):
    a)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천연 펄프 20∼40중량%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합성 펄프 80∼60 중량%와의 혼초지를 제조하는 공정; 및
    b) 상기 혼초지를 카렌다 프레스 롤을 이용하여 표면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육용 혼초지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b) 단계 전에, 공정 (a)에서 제조된 혼초지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천연 펄프 20∼40중량%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합성 펄프 80∼60중량%로 구성된 혼초지를 접합탈수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육용 혼초지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b) 단계 전에, 공정 (a)에서 제조된 혼초지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천연 펄프로 구성된 초지를 접합탈수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육용 혼초지의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펄프로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2종을 사용할 경우 폴리에틸렌 : 폴리프로필렌 = 10∼50 : 90∼50중량% 비율로, 폴리에틸렌과 폴리에스테르의 2종을 사용할 경우 폴리에틸렌 : 폴리에스테르 = 10∼50 : 90∼50중량% 비율로,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스테르의 2종을 사용할 경우 폴리프로필렌 : 폴리에스테르 = 10∼50 : 90∼50중량% 비율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의 3종을 사용할 경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 폴리에스테르 = 10∼50 : 90∼50중량% 비율 또는 폴리에틸렌 : 폴리프로필렌 + 폴리에스테르 = 10∼50 : 90∼50중량% 비율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육용 혼초지의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초지의 총평량이 30 ∼ 150g/cm2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육용 혼초지의 제조방법.
KR1020000048524A 2000-08-22 2000-08-22 식물 생육용 혼초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식물 생육용 혼초지 KR100346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524A KR100346089B1 (ko) 2000-08-22 2000-08-22 식물 생육용 혼초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식물 생육용 혼초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524A KR100346089B1 (ko) 2000-08-22 2000-08-22 식물 생육용 혼초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식물 생육용 혼초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427A true KR20020015427A (ko) 2002-02-28
KR100346089B1 KR100346089B1 (ko) 2002-07-24

Family

ID=1968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524A KR100346089B1 (ko) 2000-08-22 2000-08-22 식물 생육용 혼초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식물 생육용 혼초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0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534A (ko) * 2002-10-01 2004-04-08 중앙특수제지(주) 천연펄프 및 폴리에스터 합성섬유를 바인더로 결합시켜제조된 특수지
CN109275453A (zh) * 2018-11-28 2019-01-29 南京林业大学 一种育苗袋以及育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7878A (ko) * 1973-07-11 1975-03-22
US4210487A (en) * 1973-11-02 1980-07-01 Sun Oil Company Of Pennsylvania Process for making synthetic paper pulp
KR0150270B1 (ko) * 1994-07-27 1998-09-15 정보영 폴리올레핀계 합성 펄프와 천연 펄프와의 혼초지로부터 제작한 과실 재배용 봉투
KR0153073B1 (ko) * 1995-08-23 1998-12-01 하태준 식품포장용 혼초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JP3512302B2 (ja) * 1996-06-26 2004-03-29 株式会社クラレ プレス成形用紙を使用しプレス成形により成形品を製造する方法
JP2000034698A (ja) * 1998-05-14 2000-02-02 Oji Paper Co Ltd 多層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534A (ko) * 2002-10-01 2004-04-08 중앙특수제지(주) 천연펄프 및 폴리에스터 합성섬유를 바인더로 결합시켜제조된 특수지
CN109275453A (zh) * 2018-11-28 2019-01-29 南京林业大学 一种育苗袋以及育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6089B1 (ko) 200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25943B (en) Plant substrate structures based on white moss and their method of production
FI92133C (fi) Maanviljelyksessä käytettävä paperi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CH506940A (de) Pflanzenwachstumsmedium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Z350297A3 (cs) Sadbová a kultivační nádoba
CN102440100B (zh) 一种植被恢复用植物纤维基复合植生带卷材及其制造方法
AU2004255125A1 (en) Hair felt
WO2004098270A1 (en) Improved hydroponic growth medium
CN105764327A (zh) 制造植物容器的方法和植物容器
KR200187762Y1 (ko) 종자가 내장된 육묘용 유기질상토 매트
KR100346089B1 (ko) 식물 생육용 혼초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식물 생육용 혼초지
JP3839721B2 (ja) 育苗用有機質床土組成物および床土マット
KR100380531B1 (ko) 육묘용 유기질 상토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상토매트 및 그 제조방법
CN1188591A (zh) 一种植生带及其制造方法
CN108589032B (zh) 一种育苗基布及其制备方法
JPH03130019A (ja) 植物育成用の不織布シート
JPS5932085B2 (ja) 植物育苗培地とその製造法
JP3123015B2 (ja) 植物育苗用下敷紙及び育苗方法
AT272382B (de) Mittel zur Förderung des Pflanzenwachstum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s Mittels
JPH03240417A (ja) 育苗用ポット
JP2514891B2 (ja) 植物育生用シ―ト及びその製造法
JPH0667287B2 (ja) 植物育苗用紙
JP4326163B2 (ja) 熱融着性繊維
JPS6336718A (ja) 農業用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38049B1 (ko) 수도작용 상토 조성물, 이를 이용한 상토매트 및 그의제조방법
JPH10102369A (ja) 育苗ポット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