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680A - 광범위한 융화성을 갖고, 저장-안정적이고, 유동학적으로활성인 요소 우레탄 용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범위한 융화성을 갖고, 저장-안정적이고, 유동학적으로활성인 요소 우레탄 용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4680A
KR20020014680A KR1020010043210A KR20010043210A KR20020014680A KR 20020014680 A KR20020014680 A KR 20020014680A KR 1020010043210 A KR1020010043210 A KR 1020010043210A KR 20010043210 A KR20010043210 A KR 20010043210A KR 20020014680 A KR20020014680 A KR 20020014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cal
toluylene diisocyanate
formula
mixture
re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6040B1 (ko
Inventor
하우벤네스텔칼하인즈
오르트울리히
보커아셀
홀트캄프헤리베르트
부크만크리스토프
Original Assignee
추후보정
비와이케이-케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정, 비와이케이-케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추후보정
Publication of KR20020014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0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ureide or urethane link, otherwise, than from isocyanate radical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1/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25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25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alkali or alkaline 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15Monohydroxy compounds
    • C08G18/282Alkanols, cycloalkanols or arylalkanols including terpene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15Monohydroxy compounds
    • C08G18/282Alkanols, cycloalkanols or arylalkanols including terpenealcohols
    • C08G18/2825Alkanols, cycloalkanols or arylalkanols including terpenealcohols having at least 6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15Monohydroxy compounds
    • C08G18/283Compounds containing ether groups, e.g. oxyalkylated mono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15Monohydroxy compounds
    • C08G18/284Compounds containing ester groups, e.g. oxyalkylated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25Polyamines
    • C08G18/3237Polyamines aromatic
    • C08G18/324Polyamines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4Thixotropic pai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소 우레탄을 포함하고 요변성제로서 효과적인 용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조적으로 다른 적어도 두 가지의 모노하이드록시 화합물을 과량의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를 생성시키고,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미반응 부분을 제거하고, 결과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를 리튬 염의 존재하에서 비 양성자성 용매에서 디아민과 반응시켜 요소 우레탄을 생성시키는 과정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또한 요변성 코팅 조성물을 얻는데 사용되는 상기 용액의 용도와 관련있다.

Description

광범위한 융화성을 갖고, 저장-안정적이고, 유동학적으로 활성인 요소 우레탄 용액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A BROAD-COMPATIBILITY, STORAGE-STABLE, RHEOLOGICALLY ACTIVE UREA URETHANE SOLUTION}
본 발명은 요소 우레탄을 포함하고 요변성제로서 효과적인 용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제조방법은 모노하이드록시 화합물을 과량의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키고, 반응하지 않은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 혼합물에서 제거시키고, 생성된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를 리튬 염의 존재하에서 비 양성자성 용매에서 디아민과 반응시켜 요소 우레탄을 생성하는 과정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또한 요변성 코팅 조성물을 얻는데 사용되는 상기 용액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액체 코팅계의 유동성(rheology)을 조절하기 위하여, 주로 유기적으로 변형된 벤토나이트, 실리카, 경화 아주까리 기름 및 폴리아미드 왁스를 사용하였다. 이들 물질의 문제점은 이들이 대부분 용매를 사용하여 반-가공된 산물 형태를 수반하여야 하고, 신중한 온도 조절하에서 액체 코팅계에 함입되어야 하는 건조 고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온도를 주의 깊게 조절하지 못하면 완성된 코팅계 내에 미세결정이 생기고, 이는 코팅에 결점을 유발한다.
이들 현재 사용되는 유동학적 보조물의 일반적 문제은 맑고 투명한 코팅에 흐림과 연무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프로세싱 동안 먼지를 발생시키는 건조 미분 산물을 취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하다.
유동성 조절을 위한 다른 용액들이 유럽특허출원 제EP-A-0 198 51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에 따르면, 이소시아네이트가 막-형성 수지 용액의 존재시에 아민과 반응하여 매우 미세하게 분산된 형태로 바늘 모양 결정을 형성하는 요소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변형된 막-형성 결합제는 "함몰 조절제(sag control agent)"라고 불리는 유동성-조절 결합제 및 침하 방지 결합제로서 시판된다. 이들 산물의 문제점은 이들이 제조되는 결합제와 항상 결합하고, 가공된 코팅 조성물의 뒤따르는 보편적인 수정의 가능성이 없다는 것이다.
유럽특허 제EP-B-O 006 252호에는 상기의 문제점 중 몇몇을 제거하는 요변성제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가 리튬 염의 존재시 폴리아민과 반응하여 제조되는 요소 우레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조된 산물은 두 가지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이들 요변성제는 제조 방법 때문에 불확정 구조로 특성화된다. 비록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가 개시되어 있지만, 실시예로부터 명백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사실 실제적 산물이 모노애덕트가 아니고, 오히려 다른 애덕트들의 혼합물이다. 개시된 방법에 있어서,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한 모델을 모노알코올의 한 모델과 먼저 반응시킨다. 이 방법에 의하여 바람직한 NCO-기능적 모노애덕트가 부분적으로 생성되지만, 비-NCO-기능적 디애덕트 또한 생성되고, 이어지는 리튬 클로라이드 납의 존재시 폴리아민과의 반응으로 요소 우레탄의 통제되지 않은 사슬 신장 및 중합 요소가 생성된다. 이들 산물은 침전 현상을 보여주기 쉽고, 용액에서 유지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요변성제의 또 다른 문제점은 항상 동일한 구조를 갖는 모노이소니아네이트만이 디아민과 반응한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이것은 우선, 사용되고 겔 구조 또는 몇몇 흐림이 나타나는 코팅계에서의 제한된 융화성을 초래하고, 그 다음으로 보다 낮은 유동학적 유효성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분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명확한 구조를 가지며 이와 같이 제조된 용액의 수 개월 이상의 상대적으로 높은 저장 안정성을 갖게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결합제에서의 상대적으로 광범위한 융화성으로 특성화되어 산물의 확실한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요변성제를 찾아내는 것이다. 이것은 특히, 예컨대 수용성 코팅 물질(waterborne coating materials) 또는 고강도 고체계(high-solids system)과 같은, 상대적으로 극성 제제인 새로운 코팅계과 관련있다.
놀랍게도 이 목적은 처음에 디아민과 적어도 두 가지의 구조적으로 다르고 그들의 알코올 성분이 바뀐 모노이소네이트 애덕트와 반응하여 요소 애덕트를 생성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형태의 방법으로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일반식 R-OH을 갖는 적어도 두 가지의 구조적으로 다른 모노하이드록시 화합물(여기서 R은 n-알킬 라디칼 또는 4-22 탄소 원자를 갖는 이소-알킬라디칼, 3-18 탄소 원자를 갖는 알케닐 라디칼, 시클로알킬 라디칼, 아랄킬 라디칼 또는 화학식 CmH2m+1(O-CnH2n)x, CmH2m+1(OOC-CvH2v)x, 또는 Z-C6H4(O-CnH2n)x(m은 1-22, n은 2-4, x는 1-15, v는 4 또는 5 및 Z는 1-12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인 라디칼)을 1.5 - 5 배 과량의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일반식 (1)을 갖는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를 생성시키고,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미반응 부분을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거시키고, 이와 같이 생성된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를 리튬 염의 존재하에서 비 양성자성 용매에서 화학식 H2N-R'-NH2인 디아민( 여기서, R'는 라디칼 -CoH2o-(o=2-12), -(CpH2p-O-CpH2p)q (p=2-4, q=1-10),
또는 그들의 혼합물)과 반응시켜 일반식(2)를 갖는 요소 애덕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라디칼 R1및 R2는 라디칼 R을 위한 조건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아민은 다음의 화학식(3)을 갖는 파라-크실릴렌디아민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요소 우레탄을 포함하고, 요변성제로서 활성을 갖는 용액을 다음의 두 가지의 다른 경로에 의하여 원칙적으로 얻을 수 있다:
a) 한편으로, 우선 적어도 두 가지의 구조적으로 다른 알코올 R-OH을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1.5-5 배 과량의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에, 종래 기술에 따라,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미반응 부분을 적당한 조건 하에서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거시킨 후, 구조적으로 다른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의 생성된 혼합물을 리튬 염의 존재하에서 비 양성자성 용매에서 디아민과 반응시켜 일반식(2)의 요소 우레탄을 생성시킨다.
b) 다른 한편으로, 우선 1.5-5 배 과량의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적어도 두 가지의 구조적으로 다른 알코올 R-OH을 서로 분리하여 따로따로 반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기술에 따라,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미반응 부분을 적당한 조건 하에서 각각의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거시키고, 구조적으로 다른 생성된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를 서로 혼합시킨다. 그리고 나서 구조적으로 다른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의 생성된 혼합물을 리튬 염 하에서 비 양성자성 용매에서 디아민과 반응시켜 일반식 (2)를 갖는 요소 우레탄을 생성사킨다.
구조적으로 다른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의 혼합물에서의 각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의 몰분률은 20 ~ 80% 이고, 바람직하게는 35 ~ 65%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 55% 이며,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의 몰분률의 총합은 100% 이다.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몰과량은 바람직하게는 1.5 ~ 5.0 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4.0 몰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요소 우레탄 용액의 고체 함량은 5 ~ 80%이고, 바람직하게는 20 ~ 6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50% 이다.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는 디아민과 반응하여 예컨대 디메틸 술폭사이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N-부틸피롤리돈 또는 유사한 알킬피롤리돈,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극성 비 양성자성 용매를 생성한다.
리튬 화합물의 분률은 사용된 디아민의 아민 당량에 기초한 리튬에 대하여 0.2 ~ 2 몰이고, 바람직하게는 0.5 ~ 1.5 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75 ~ 1.25 이다.
염화 이온이 코팅계에서 부작용을 나타내고 요변성 코팅계이 적용된 금속 물질의 부식을 증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LiCl 보다는 LiNO3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모노시아네이트 애덕트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알코올 R-OH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n-부탄올, 2-에틸헥산올, 이소트리데실 알코올, 사슬 길이가 C10~ C20인 구에르베트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리놀레일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과 같은 포화 또는 불포화된 선상 또는 분지상 일차 알코올을 포함하지만, 예컨대 시클로헥산올 또는 그의 알킬-치환 유도체와 같은 고리지방족 알코올 및 이에 더하여, 벤질알코올과 같은 방향족으로 치환된 알칸올 또한 적합하다.
상기 알코올의 알콕시레이션된 유도체는 극성을 조절하기에 특히 적절하고, 이 경우에 예컨대 메탄올 또는 알릴 알코올과 같은 저급 알코올을 알콕시레이션의 시발 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산물은 바람직하게는 체인에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유니트를 포함하고 이들 유니트를 교대로 또는 블럭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알콕시레이션 시키기 위하여 예컨대 페놀 또는 알킬페놀과 같은 방향족 알콜을 시발 성분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요소 우레탄의 새로운 결합제계에 대한 융화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예컨대 상기 알코올과 ε-카프로락톤과 같은 락톤의 반응물을 참가시키거나, 하이드록시-기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에스테르 그룹 또는 폴리에스테르 그룹을 알콜성분에 함입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다.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를 생성하는에 사용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잘 알려지고 통상적인 이성체 분포에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실질적으로 포함한다 - 과분률의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증류 동안, 이성체의 비율의 변화가 발생하고, 따라서 통상 시중에서 입수 가능한 것보다 높은 비율의 2,6-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또한 생성된다. 이들 증류액을 또 다른 모노애덕트를 제조하는데 다시 사용할 수 있다.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성체는 50 ~ 100% 분률의 2,4-이성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H2N-R'-NH2를 갖는 디아민은, 예컨대 1,3-프로판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옥타메틸렌디아민, 디아미노도데칸 또는 네오펜탄디아민과 같은, 직쇄 또는 분지상인 체인 길이 C2~ C12의 선상 디아민을 실질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예컨대 4,4'-이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또는 3,3'-디메틸-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과 같은 고리형 디아민도 적절하다. 예컨대 메타-크실릴렌디아민 또는 파라-크실릴렌디아민과 같은 방향족-지방족 디아민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용액 내 요소 우레탄의 결정화 경향이 감소되기 때문에, 요소를 생성하기 위하여 혼합물로서 디아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요소 우레탄은 유리 이소시아네이트도 유리 아미노 그룹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들은 생리적으로 용인 가능하다. 게다가, 결합제 또는 첨가제와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요소 우레탄 용액의 저장 안정성은 매우 높고 일반적인 저장 온도에서 6 개월 또는 그 이상 저장가능하다. 게다가, 이 요소 우레탄 용액은 결합제에서 광범위한 융화성을 가짐으로써 확실한 요변성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요소 우레탄 용액의 코팅 조성물이 요변성으로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용매-용해성 및 무용매의 코팅 물질, PVC 플라스티솔, 에폭시-기재 코팅제,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기재의 이들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주된 특징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 실시예 >
EP-B-O 006 252에 따른 비교예 (비교 발명)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 65% 2,4-이성체, 이하 T65 라고 칭함) 1 mol (174g)를 반응 용기에 넣고, 교반하면서,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평균 분자량 : 350 g/mol)을 한방울씩 천천히 가하고,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반응을 완결시킨다. 반응 동안, 온도를 40℃ 이하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는 여전히 6.3%의 TDI를 함유하고; 총 NCO 함량은 8.05% 이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크실릴렌디아민 0.5 mol(68g)과 N-메틸피롤리돈(NMP) 내 아민 당량에 기초한 LiCl 0.75 mol의 용액에 첨가한다. SC는 50% 이다. 이 반응은 발열반응이다. 최초 투명한 산물은 2 개월 동안 저장된 후에는 겔을 형성하기 쉽다.
모노애덕트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7:
실시예 1:
n-부탄올 0.5 mol(37g)을 30℃ 에서 2 시간에 걸쳐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 80% 2,4-이성체, 이하 T80 라고 칭함) 1.25 mol(217.5g)에 첨가한다. 온도를 45℃ 이하로 유지시킨다. 마지막 첨가 후, 이론적 NCO 함량이 33.0% 가 될 때까지 2 시간 동안 계속하여 교반한다. 과량의 이소시아네이트를 150 ~ 170℃ 에서 진공(0.1mbar) 증류에 의하여 제거시킨다. NCO 함량은 16.9% 이고, 유리 TDI 함량은 0.5% 미만이다.
실시예 2:
부틸 트리글리콜 0.25 mol(53g)을 실온에서 2 시간에 걸쳐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T65) 0.625 mol(108.75g)에 첨가한다. 온도를 45℃ 이하로 유지한다. 마지막 첨가 후, 이론적 NCO 함량이 25.8%가 될 때까지 2.5 시간 동안 계속하여 교반한다. 과량의 이소시아네이트를 150 ~ 170℃ 에서 진공(0.1mbar) 증류에 의하여 제거시킨다. NCO 함량은 10.9% 이고, 유리 TDI 함량은 0.5% 미만이다.
실시예 3:
이소-트리데칸올 0.25 mol(50g)을 40℃ 에서 2 시간에 걸쳐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T65) 0.75 mol(130.5g)에 첨가한다. 온도를 60℃ 이하로 유지한다. 마지막 첨가 후, 이론적 NCO 함량이 29.1%가 될 때까지 2 시간 동안 계속하여 교반한다. 과량의 이소시아네이트를 150 ~ 170℃ 에서 진공(0.1mbar) 증류에 의하여 제거시킨다. NCO 함량은 11.3% 이고, 유리 TDI 함량은 0.5% 미만이다.
실시예 4:
부탄올 0.25 mol(18g)을 160℃ 에서 6 시간 동안 카프로락톤 0.5 mol(57g)과 DBTL 0.1%(0.075g)으로 반응시킨 후, 50℃ 까지 냉각시킨다. 이와 같이 제조된 하이드록시 에스테르(BuCP2)(하이드록실 넘버 186)을 40℃ 에서 2 시간에 걸쳐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0.75 mol(130.5g)에 분량하여 첨가시킨다. 온도를 60℃ 이하로 유지한다. 마지막 첨가 후, 이론적 NCO 함량이 26.2%가 될 때까지 2 시간 동안 계속하여 교반한다. 과량의 이소시아네이트를 150 ~ 170℃ 에서 진공(0.1mbar) 증류에 의하여 제거시킨다. NCO 함량은 9.2% 이고, 유리 TDI 함량은 0.5% 미만이다.
실시예 5:
메티옥시폴리에틸렌 글리콜 350 0.2 mol(70g)을 50℃ 에서 2 시간에 걸쳐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T80) 0.6 mol(104.4g)에 첨가한다. 온도를 50 ~ 55℃로 유지한다. 마지막 첨가 후, 이론적 NCO 함량이 24.1%가 될 때까지 3 시간 동안 계속하여 교반한다. 과량의 이소시아네이트를 150 ~ 170℃ 에서 진공(0.1mbar) 증류에 의하여 제거시킨다. NCO 함량은 8.0% 이고, 유리 TDI 함량은 0.5% 미만이다.
실시예 6:
메티옥시폴리에틸렌 글리콜 500 0.2 mol(100g)을 50℃ 에서 2 시간에 걸쳐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T80) 0.6 mol(104.4g)에 첨가한다. 온도를 50 ~ 55℃로 유지한다. 마지막 첨가 후, 이론적 NCO 함량이 20.5%가 될 때까지 3 시간 동안 계속하여 교반한다. 과량의 이소시아네이트를 150 ~ 170℃ 에서 진공(0.1mbar) 증류에 의하여 제거시킨다. NCO 함량은 6.2% 이고, 유리 TDI 함량은 0.5% 미만이다.
실시예 7:
메티옥시폴리에틸렌 글리콜 500 0.2 mol(100g)과 메티옥시폴리에틸렌 글리콜 350 0.2 mol(70g)의 혼합물을 50℃ 에서 2 시간에 걸쳐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T80) 0.8 mol(139.2g)에 첨가한다. 온도를 50 ~ 55℃로 유지한다. 마지막 첨가 후, 이론적 NCO 함량이 16.3%가 될 때까지 3 시간 동안 계속하여 교반한다. 과량의 이소시아네이트를 150 ~ 170℃ 에서 진공(0.1mbar) 증류에 의하여 제거시킨다. NCO 함량은 7.0% 이고, 유리 TDI 함량은 0.5% 미만이다.
모노애덕트
실시예 알코올 NCO 함량 당량 분자비 TDI:알코올
1 부탄올 16.9 % 248 2.5 : 1
2 부틸 트리글리콜 10.9 % 392 2.5 : 1
3 이소-트리데칸올 11.3 % 372 3 : 1
4 BuCP2 9.2 % 457 3 : 1
5 MPEG 350 8.0 % 525 3 : 1
6 MPEG 500 6.2 % 675 3 : 1
7 MPEG 350 / MPEG 500 7.0 % 600 2 : 1
표1 모노애덕트의 혼합물
혼합물 모노애덕트 혼합물 분자비
A 부틸 트리글리콜/이소-트리데실(실시예 2 + 실시예 3) 1 : 1
B 부틸 트리글리콜/MPEG 500(실시예 2 + 실시예 5) 1 : 1.75
C 부틸 트리글리콜/MPEG 350/MPEG 500(실시예 2 + 실시예 5 + 실시예 6) 1 : 1 : 1
D 부틸 트리글리콜/BuCP2(실시예 2 + 실시예 6) 2 : 1
E 부틸 트리글리콜/MPEG 500(실시예 2 + 실시예 6) 1 : 2
F MPEG 350/MPEG 500(실시예 7) 1 : 1
요소 우레탄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8-14:
실시예 8:
LiCl 15.9g 과 크실릴렌디아민 68g(0.5 mol)을 80℃ 에서 N-메틸피롤리돈 403g 에 용해시킨다. 그리고 나서, 혼합물 A 320g 을 1 시간에 걸쳐 첨가한다. 모두 첨가한 후, 30 분 동안 계속하여 교반시킨 후, 상기 용액을 상온까지 냉각시킨다. 생성된 요소 우레탄 용액은 50% 함량의 고체를 포함한다. 상기 산물은 투명하며 겔을 형성하지 아니하고 비교적 장기간 안정하다.
실시예 9:
LiCl 15.9g 과 크실릴렌디아민 68g(0.5 mol)을 80℃ 에서 N-메틸피롤리돈 656g 에 용해시킨다. 그리고 나서, 혼합물 B 572g 을 1 시간에 걸쳐 첨가한다. 모두 첨가한 후, 30 분 동안 계속하여 교반시킨 후, 상기 용액을 상온까지 냉각시킨다. 생성된 요소 우레탄 용액은 50% 함량의 고체를 포함한다. 상기 산물은 투명하며 비교적 장기간동안 안정하다.
실시예 10:
LiNO325.8g 과 크실릴렌디아민 68g(0.5 mol)을 80℃ 에서 N-메틸피롤리돈 690g 에 용해시킨다. 그리고 나서, 혼합물 C 472g 을 1 시간에 걸쳐 첨가한다. 모두 첨가한 후, 30 분 동안 계속하여 교반시킨 후, 상기 용액을 상온까지 냉각시킨다. 생성된 요소 우레탄 용액은 45% 함량의 고체를 포함한다. 상기 산물은 장기간동안 투명하다.
실시예 11:
LiNO325.8g 과 크실릴렌디아민 68g(0.5 mol)을 80℃ 에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760g 에 용해시킨다. 그리고 나서, 혼합물 D 413g 을 1 시간에 걸쳐 첨가한다. 모두 첨가한 후, 30 분 동안 계속하여 교반시킨 후, 상기 용액을 상온까지 냉각시킨다. 생성된 요소 우레탄 용액은 40% 함량의 고체를 포함한다. 상기 산물은 투명하고 비교적 장기간동안 안정하다.
실시예 12:
LiCl 15.9g 과 헥사메틸렌디아민 84g(0.5 mol)을 80℃ 에서 N-메틸피롤리돈 830g 에 용해시킨다. 그리고 나서, 혼합물 E 580g 을 1 시간에 걸쳐 첨가한다. 모두 첨가한 후, 30 분 동안 계속하여 교반시킨 후, 상기 용액을 상온까지 냉각시킨다. 생성된 요소 우레탄 용액은 45% 함량의 고체를 포함한다. 상기 산물은 투명하며 비교적 장기간동안 안정하다.
실시예 13:
LiCl 15.9g 과 헥사메틸렌디아민 84g(0.5 mol)을 80℃ 에서 N-메틸피롤리돈 630g 에 용해시킨다. 그리고 나서, 혼합물 A 320g 을 1 시간에 걸쳐 첨가한다. 모두 첨가한 후, 30 분 동안 계속하여 교반시킨 후, 상기 용액을 상온까지 냉각시킨다. 생성된 요소 우레탄 용액은 40% 함량의 고체를 포함한다. 상기 산물은 투명하며 겔을 형성하지 아니하고 비교적 장기간동안 안정하다.
실시예 14:
LiCl 15.9g 과 크실릴렌디아민 68g(0.5 mol)을 80℃ 에서 N-메틸피롤리돈 497g 에 용해시킨다. 그리고 나서, 혼합물 F 413g 을 1 시간에 걸쳐 첨가한다. 모두 첨가한 후, 30 분 동안 계속하여 교반시킨 후, 상기 용액을 상온까지 냉각시킨다. 생성된 요소 우레탄 용액은 50% 함량의 고체를 포함한다. 상기 산물은 투명하며 비교적 장기간동안 안정하다.
실시예 15:
LiCl 11.1g 과 파라크실릴렌디아민 47.6g(0.5 mol)을 80℃ 에서 N-메틸피롤리돈 460g 에 용해시킨다. 그리고 나서, 혼합물 B 400.4g 을 1 시간에 걸쳐 첨가한다. 모두 첨가한 후, 30 분 동안 계속하여 교반시킨 후, 상기 용액을 상온까지 냉각시킨다. 생성된 요소 우레탄 용액은 50% 함량의 고체를 포함한다. 상기 산물은 투명하며 비교적 장기간동안 안정하다.
실시예 16:
LiNO315.5g 과 파라크실릴렌디아민 68g(0.5 mol)을 80℃ 에서 N-메틸피롤리돈 414g 에 용해시킨다. 그리고 나서, 혼합물 C 283.2g 을 1 시간에 걸쳐 첨가한다. 모두 첨가한 후, 30 분 동안 계속하여 교반시킨 후, 상기 용액을 상온까지 냉각시킨다. 생성된 요소 우레탄 용액은 45% 함량의 고체를 포함한다. 상기 산물은 장기간동안 투명하다.
적용예: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요소 우레탄 용액의 융화성과 유동학적 유효성을 물 및 물/용매 혼합물에서 테스트하였다.
물 및 물/용매 혼합물에서의 융화성과 유동학적 유효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요소 우레탄을 전단 속력 1 m/sec으로 2 분 동안 교반시키면서 물 또는 물/용매 혼합물에 함입시켰다. 4 시간 후에 평가하였다.
유동학적 유효성의 계산 : 1 = 두꺼운 겔, 6 = 겔이 없음
융화성의 계산 : 1 = 투명한 용액, 6 = 요소 우레탄의 침전
적용 결과 I
첨가제 물/부틸 글리콜 95:5 물/메톡시프로판올 95:5
유동학적 유효성 융화성 유동학적 유효성 융화성
비교예 4 5 3-4 4-5
실시예 10 2-3 2-3 2 3
실시예 9 3 1-2 1 3-4
실시예 12 3 1-2 1 3
첨가제 물/메톡시프로판올 90:10 물/부틸 글리콜/메톡시프로판올95:2.5:2.5
유동학적 유효성 융화성 유동학적 유효성 융화성
비교예 4 5 3 4
실시예 10 1 2-3 1-2 2
실시예 9 1-2 2-3 2 1-2
실시예 12 2 2-3 2 1-2
본 발명의 요소 우레탄의 침전 방지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색소 슬러리를 제조하고 3 주일간 저장한 후 침전 작용을 시험하였다.
색소 슬러리를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물, 부틸 글리콜 및 Disperbyk 192의 혼합물을 제조한다. 그리고 나서 이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Merck에서 제공된 이리오딘 9303 로얄 골드 WR II 색소에 첨가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요소 우레탄을 Dispermat를 사용하여, 전단 속력 2 m/s으로 2 분 동안 교반하면서 마찬가지로 함입시킨다. 침전 작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들 슬러리를 유리관(높이 10cm, 1.5cm)에 7.5 cm 높이까지 넣는다. 실온에서 3 주일간 저장한 후 시너레시스를 결정하였다.
적용 결과 II
대조군 비교예 실시예 10 실시예 12
이리오딘 9303 로얄 골드 WR II 30.0 30.0 30.0 30.0
64.5 64.5 64.5 64.5
부틸 글리콜 4.0 4.0 4.0 4.0
Disperbyk 192 1.5 1.5 1.5 1.5
요소 우레탄 1.0 1.0 1.0
(표4는 혼합물 각 성분의 상대적 분률을 나타낸다)
침전 방지 효과
대조군 비교예 실시예 10 실시예 12
총높이 7.5 cm 7.5 cm 7.5 cm 7.5 cm
시너레시스 4.2 cm 1.7 cm 0.1 cm 0 cm
본 발명은 명확한 구조를 가지고 수 개월 이상의 상대적으로 높은 저장 안정성을 가능하게 하고, 결합제에서 광범위한 융화성을 갖는 요변성제로서 효과적이고, 요소 우레탄을 포함하는 용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11)

  1. R이 n-알킬 라디칼 또는 4-22 탄소 원자를 갖는 이소-알킬 라디칼, 3-18 탄소 원자를 갖는 알케닐 라디칼, 시클로알킬 라디칼, 아랄킬 라디칼, 또는 화학식 CmH2m+1(O-CnH2n)x, CmH2m+1(OOC-CvH2v)x, 또는 Z-C6H4(O-CnH2n)x인 라디칼,
    - 여기서 m은 1-22, n은 2-4, x는 1-15, v는 4 또는 5 및 Z는 1-12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 -인
    일반식 R-OH를 갖는 모노하이드록시 화합물을 1.5 - 5 배 과량의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키고,
    반응 혼합물로부터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미반응 부분을 제거시키고,
    이렇게 생성된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를 R'이 라디칼 -CoH2o-(o=2-12), -(CpH2p-O-CpH2p)q (p=2-4, q=1-10),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화학식 H2N-R'-NH2을 갖는 디아민과 리튬 염의 존재하에서 비 양성자성 용매에서 반응시켜 요소 우레탄을 생성시키는 것을 수반하고,
    이 과정에서, 요소 우레탄을 제조하기 위하여 알코올 성분이 다른 적어도 두 가지의 구조적으로 상이한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를 디아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 우레탄을 포함하고 요변성제로서 효과적인 용액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H2N-R'-NH2을 갖는 디아민으로서 제 1 항에서 특정된 디아민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다음의 화학식을 갖는 파라-크실릴렌디아민으로 치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우선 적어도 2 가지의 구조적으로 다른 알코올 R-OH를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1.5 - 5 배 과량의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키고,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미반응 부분을 반응 혼합물에서 제거시킨 다음,
    생성된 구조적으로 다른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의 혼합물을 리튬 염의존재하에서 비 양성자성 용매에서 디아민과 반응시켜 요소 우레탄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우선 적어도 2 가지의 구조적으로 다른 R-OH를 서로 분리시켜 따로따로 1.5 - 5 배 과량의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키고,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미반응 부분을 반응 혼합물에서 제거시키고,
    이렇게 생성된 구조적으로 다른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를 서로 혼합시킨키고,
    생성된 구조적으로 다른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의 혼합물을 리튬 염의 존재하에서 비 양성자성 용매에서 디아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다른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의 혼합물에서의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의 몰분률이 20 ~ 80% 이고,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애덕트의 몰분률의 총합이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5 ~ 80 중량%의 고체 함량을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에 있어서,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몰과량이 2 ~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 있어서, 2,4-이성체를 50 ~ 100 중량% 포함하는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성체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6 항에 있어서, 디아민 당량에 기초하여 0.2 ~ 2 mol인 리튬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 있어서, 리튬 염으로 LiNO3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요변성 코팅 조성물을 얻는데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8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용액의 용도.
KR1020010043210A 2000-08-16 2001-07-18 광범위한 융화성을 갖고, 저장-안정적이고, 유동학적으로 활성인 요소 우레탄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0796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39837A DE10039837C2 (de) 2000-08-16 2000-08-16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agerstabilen, rheologisch wirksamen Harnstoffurethan-Lösung mit breiter Verträglichkeit
DE10039837.5 2000-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680A true KR20020014680A (ko) 2002-02-25
KR100796040B1 KR100796040B1 (ko) 2008-01-21

Family

ID=765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210A KR100796040B1 (ko) 2000-08-16 2001-07-18 광범위한 융화성을 갖고, 저장-안정적이고, 유동학적으로 활성인 요소 우레탄 화합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188779B1 (ko)
JP (1) JP4942262B2 (ko)
KR (1) KR100796040B1 (ko)
CN (1) CN1204117C (ko)
AT (1) ATE268790T1 (ko)
CA (1) CA2352660C (ko)
DE (2) DE10039837C2 (ko)
DK (1) DK1188779T3 (ko)
ES (1) ES2220631T3 (ko)
TW (1) TWI226892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024B1 (ko) * 2006-07-25 2008-02-14 케이에스케미칼 주식회사 도료 내에서 점탄성 조절제 역할을 하는 우레탄-우레아용액의 제조방법
KR101247169B1 (ko) * 2004-12-04 2013-03-26 제록스 코포레이션 트랜스-1,2-사이클로헥산 비스(우레아-우레탄)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 변화 잉크
KR101247171B1 (ko) * 2004-12-04 2013-03-26 제록스 코포레이션 비스(우레아-우레탄)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 변화 잉크
KR20190109503A (ko) * 2017-01-30 2019-09-25 비와이케이-케미 게엠베하 레올로지 제어제로서의 및 그 중의 우레아-기- 및/또는 우레탄-기-함유 아미드,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KR20200099570A (ko) * 2017-12-21 2020-08-24 비와이케이-케미 게엠베하 우레아 기 함유 새깅-방지 레올로지 제어제
KR20200136401A (ko) * 2018-03-27 2020-12-07 어드밴식스 레진즈 앤드 케미컬즈 엘엘씨 요변성 레올로지 개질제 조성물
KR20210013616A (ko) * 2018-06-28 2021-02-04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1853B3 (de) 2002-09-09 2004-01-22 Byk-Chemie Gmbh Polymeres Harnstoffurethan als Rheologiesteuerungsmitt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WO2005005557A1 (en) * 2003-07-08 2005-01-20 Nuplex Resins B.V. Carbon-substituted methyl am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a rheology control agent
KR100482427B1 (ko) * 2003-12-19 2005-04-14 박장원 성형몸체와 내부 공동구조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가교발포성형체와 그 성형방법
US7560587B2 (en) * 2004-12-04 2009-07-14 Xerox Corporation Bis[urea-urethane] compounds
WO2007105258A1 (ja) * 2006-03-07 2007-09-20 The Yokohama Rubber Co., Ltd. 揺変性付与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硬化性樹脂組成物ならびに硬化性樹脂組成物の使用方法
DE102006010721B4 (de) * 2006-03-08 2010-04-15 Byk-Chemie Gmbh Biuretverbindungen zur Rheologiesteuerung
DE202008008419U1 (de) 2008-04-23 2009-06-04 Byk-Chemie Gmbh Stabile Dispersionen von anorganischen Nanopartikeln
DE102008029858A1 (de) 2008-04-23 2009-10-29 Byk-Chemie Gmbh Stabile Dispersionen von anorganischen Nanopartikeln
DE102008038488A1 (de) 2008-08-20 2010-02-25 Henkel Ag & Co. Kgaa Feuchtigkeitshärtende wasserfeste Beschichtung
DE102008059702A1 (de) * 2008-12-01 2010-06-02 Byk-Chemi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rheologisch wirksamer Harnstoffurethane in organischen Salzen
US9018333B2 (en) 2009-04-21 2015-04-28 Huntsman International Llc Polyisocyanate composition
DE102009021912A1 (de) 2009-05-19 2010-12-02 Byk-Chemie Gmbh Aus oxetan-basierten Makromonomeren erhältliche Polymer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als Additive in Beschichtungsmitteln und Kunststoffen
DE102009021913A1 (de) 2009-05-19 2010-12-02 Byk-Chemie Gmbh Terminal ungesättigte, oxetan-basierte Makromonomer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2292675A1 (de) 2009-09-08 2011-03-09 BYK-Chemie GmbH Polyharnstoffe als Rheologiesteuerungsmittel
JP5436698B2 (ja) 2010-01-28 2014-03-05 ビイク−ヒエミ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尿素およびアミド成分を含有する塗料調製物
PL2678364T3 (pl) * 2011-02-22 2015-08-31 Basf Se Środek reologiczny do radiacyjnie utwardzalnych mas powłokowych
EP2644633A1 (en) * 2012-03-29 2013-10-02 Huntsman International Llc Isocyanate-based prepolymer
EP2644632A1 (en) 2012-03-29 2013-10-02 Huntsman International Llc Isocyanate-based prepolymer
ES2604115T3 (es) * 2012-12-15 2017-03-03 Byk-Chemie Gmbh Composición para el control de la reología
WO2015158792A1 (de) 2014-04-15 2015-10-22 Byk-Chemie Gmbh Rheologiesteuerungsmittel umfassend eine wirkstoffkombination
US10377906B2 (en) 2014-04-15 2019-08-13 Byk-Chemie Gmbh Composition for rheology control
US9796860B2 (en) 2014-04-15 2017-10-24 Byk-Chemie Gmbh Storage-stable urea preparations which are suitable as rheology control agents
JP6580166B2 (ja) 2015-07-27 2019-09-25 ビイク−ヒエミ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BYK−Chemie GmbH レオロジーコントロールのためのウレアウレタン
KR101835720B1 (ko) 2015-11-30 2018-03-08 케이에스케미칼 주식회사 전단유동화 특성을 갖는 점탄성 조절제의 제조방법
EP3459985B1 (en) * 2017-09-22 2020-06-17 Cliq Swisstech Gmbh Urea urethanes (ii)
CN110785447B (zh) 2017-04-13 2022-02-11 毕克化学有限公司 适合作为增稠剂的聚合物
EP3428233A1 (de) 2017-07-13 2019-01-16 Sika Technology Ag Beschichtungssystem mit hoher oberflächenrauhigkeit
US11795343B2 (en) 2017-11-14 2023-10-24 Basf Se Process for preparing urea urethane polymer
CN111491973B (zh) * 2017-12-21 2022-03-22 毕克化学有限公司 含脲和氨基甲酸酯基团的抗沉降流变控制添加剂
KR102071950B1 (ko) 2017-12-28 2020-01-31 낙우산업(주) 천연페인트에서 증점 및 요변성 거동을 개선하는 나노 점토 및 그 제조방법
CN108070066B (zh) * 2017-12-29 2020-11-27 陈鹏 一种涂料油墨防沉剂及其制备方法
CN113260648B (zh) 2019-01-04 2023-02-17 毕克化学有限公司 含脲基团的流变控制添加剂
CN113840858B (zh) 2019-03-14 2023-12-15 毕克化学有限公司 含有环酰胺的流变控制添加剂
EP4200347A1 (en) * 2020-08-24 2023-06-28 Basf Se Urea urethane compounds
EP4255982A1 (en) 2020-12-04 2023-10-11 BYK-Chemie GmbH Rheology control agent
DE102021128685A1 (de) 2021-11-04 2023-05-04 Voco Gmbh Hochwirksames, kieselsäurefreies, lagerstabiles dentales Ätzgel
WO2024008765A1 (en) 2022-07-06 2024-01-11 Byk-Chemie Gmbh Composition comprising a cyclic amid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040A (en) * 1977-07-04 1979-02-03 Kanebo Ltd Bobbin exchange apparatus fof spun yarn winder
DE2822908C2 (de) * 1978-05-26 1980-03-20 Byk-Mallinckrodt Chemische Produkte Gmbh, 4230 Wesel Thixotropiemittel für Überzugsmittel
ATE29138T1 (de) * 1984-01-27 1987-09-15 Byk Chemie Gmbh Als dispergiermittel geeignete additionsverbindung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ihre verwendung und damit beschichtete feststoffe.
JPH0786133B2 (ja) * 1986-03-13 1995-09-20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揺変性被覆組成物
US4683279A (en) * 1986-07-08 1987-07-28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Low melting urethane linked toluenediisocyanates
DE3706151A1 (de) * 1987-02-26 1988-09-08 Bayer Ag Polyharnstoff-modifizierte polyetherurethane und ihre verwendung als emulsionsspalter fuer wasser-in-oel-emulsionen
US4942213A (en) * 1987-12-04 1990-07-17 Byk-Chemie Gmbh Addition compounds useful as dispersing agents and dispersion stabilizers, process for producing them, their use and solids coated therewith
JP2974491B2 (ja) * 1992-03-05 1999-11-10 共栄社化学株式会社 非水系塗料用垂れ防止剤
DE19636382A1 (de) * 1996-09-09 1998-03-12 Bayer Ag Pigmentpräparationen für den Ink-Jet-Druck
DE19919482C2 (de) * 1999-04-29 2001-04-26 Byk Chemi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hixotropie-Mittels und dessen Verwendung
JP3904349B2 (ja) * 1999-08-05 2007-04-11 三井化学株式会社 揺変性付与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169B1 (ko) * 2004-12-04 2013-03-26 제록스 코포레이션 트랜스-1,2-사이클로헥산 비스(우레아-우레탄)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 변화 잉크
KR101247171B1 (ko) * 2004-12-04 2013-03-26 제록스 코포레이션 비스(우레아-우레탄)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 변화 잉크
KR100803024B1 (ko) * 2006-07-25 2008-02-14 케이에스케미칼 주식회사 도료 내에서 점탄성 조절제 역할을 하는 우레탄-우레아용액의 제조방법
KR20190109503A (ko) * 2017-01-30 2019-09-25 비와이케이-케미 게엠베하 레올로지 제어제로서의 및 그 중의 우레아-기- 및/또는 우레탄-기-함유 아미드,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KR20200099570A (ko) * 2017-12-21 2020-08-24 비와이케이-케미 게엠베하 우레아 기 함유 새깅-방지 레올로지 제어제
US11702385B2 (en) 2017-12-21 2023-07-18 Byk-Chemie Gmbh Urea group containing anti-sagging rheology control agents
KR20200136401A (ko) * 2018-03-27 2020-12-07 어드밴식스 레진즈 앤드 케미컬즈 엘엘씨 요변성 레올로지 개질제 조성물
KR20210013616A (ko) * 2018-06-28 2021-02-04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39837C2 (de) 2003-03-20
KR100796040B1 (ko) 2008-01-21
JP2002105042A (ja) 2002-04-10
ES2220631T3 (es) 2004-12-16
DK1188779T3 (da) 2004-08-30
JP4942262B2 (ja) 2012-05-30
CN1338453A (zh) 2002-03-06
CA2352660A1 (en) 2002-02-16
TWI226892B (en) 2005-01-21
ATE268790T1 (de) 2004-06-15
DE50102521D1 (de) 2004-07-15
EP1188779B1 (de) 2004-06-09
CN1204117C (zh) 2005-06-01
DE10039837A1 (de) 2002-03-07
EP1188779A1 (de) 2002-03-20
CA2352660C (en) 2008-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040B1 (ko) 광범위한 융화성을 갖고, 저장-안정적이고, 유동학적으로 활성인 요소 우레탄 화합물의 제조방법
US6617468B2 (en) Rheologically active urea urethane compounds
KR100581741B1 (ko) 요변성제의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KR101423747B1 (ko) 유동학적 조절을 위한 비우렛 화합물
EP1555276B1 (de) Dispersionen enthaltend Organopolysiloxan-Polyharnstoff-Copoymere
EP1338615B1 (de) Verzweigte Polyurethane, diese enthaltende Formulierungen und deren Verwendung zur Verdickung wässriger Systeme
DE2904084A1 (de) Waessrige polyurethandispersionen
DE2141807A1 (de) Beständiger Polymerisatlatex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EP1616889A1 (de) Wasserlösliche Aspartate
EP0749994A1 (de) Fluor enthaltende Dispergierhilfsmittel für wässrige Lacke
DE2238740B2 (de) Perfluoralkylsubstituierte Polyether,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EP0099519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en auf Polyisocyanat-Basis
EP1403324A1 (de) Polyurethan-Verdickungsmittel zur Verdickung wässriger Systeme
CN108752549B (zh) 脲氨酯
JPH0710947A (ja) エポキシ樹脂水分散液の製造方法
DE102006056509A1 (de) Polyurethan-Verdickungsmittel zur Verdickung wässriger Systeme
DE3801091A1 (de) N,n&#39;-bis(5-isocyanatonaphthyl) harnstoff,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D232712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lammschuetzenden polyolk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