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7556A - 실크직물의 새로운 정련과 발염에 의한 정련날염,정련발염 및 정련특수염색 기술 - Google Patents

실크직물의 새로운 정련과 발염에 의한 정련날염,정련발염 및 정련특수염색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7556A
KR20020007556A KR1020000040886A KR20000040886A KR20020007556A KR 20020007556 A KR20020007556 A KR 20020007556A KR 1020000040886 A KR1020000040886 A KR 1020000040886A KR 20000040886 A KR20000040886 A KR 20000040886A KR 20020007556 A KR20020007556 A KR 20020007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k
refining
printing
dyes
sco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7654B1 (ko
Inventor
박건용
Original Assignee
박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용 filed Critical 박건용
Priority to KR10-2000-0040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7654B1/ko
Publication of KR20020007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0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 D06P3/04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 D06P3/045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dyeing and degumming sil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0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azo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2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vat dyestuffs including indigo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8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reactive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9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acid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004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using dispersed dy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실크 생사로 제직된 실크 생직물에 대해 실크의 정련을 목적으로 조성된 날염호로 무늬를 인날하고 증열함으로써 무늬 부분만 정련이 되도록 하는 정련날염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 기술에 의해 모시와 같이 뻣뻣하면서 시원한 질감이 나는 정련되지 않은 생직물 부분과 유연하고 매끄러우면서 광택이 나는 정련된 부분이 동시에 한 직물에 공존하도록 함으로써 입체적인 무늬와 독특한 질감의 새로운 실크직물을 개발했다. 아울러 산성염료, 반응염료, 분산염료 등의 합성염료와 각종 천연염료로 염색된 실크직물에 대해 발염호로 백색발염하거나 발염제에 안정한 착색염료(분산, 반응, 배트염료 또는 천연염료)로 착색발염하는 날염 기술을 개발했고, 각종 합성염료나 천연염료로 염색된 실크 생직물에 대해 정련제와 발염제가 혼합된 날염호를 인날함으로써 인날부분을 정련시킴과 동시에 백색 또는 착색 발염시키는 정련발염날염이라는 특수한 날염 기술을 개발했으며, 음각 또는 양각의 무늬가 새겨진 로울러로 실크정련제의 패딩액에 침지시킨 실크생직물을 패딩하여 완숙과 반숙의 질감이 동시에 공존하도록 하는 실크의 정련패딩 기술과 분사염이나 홀치기염과 같은 특수염색 방법을 응용한 정련특수염색 기술을 개발했다. 아울러 비정련부분의 세리신을 정착하고 정련부분의 사밀림을 방지하며 내구성이 크고 취급이 간편한 실크직물을 얻기 위해 실크의 수지가공 기술을 개발했다

Description

실크직물의 새로운 정련과 발염에 의한 정련날염, 정련발염 및 정련특수염색 기술 {Scour Printing, Scour-Discharge Printing and Scour Specific Dyeing Technologies of Silk Fabrics by New Scouring and Discharge Printing}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섬유공학의 염색가공 기술분야에서 실크의 정련, 염색, 날염, 발염, 특수염색, 세리신정착, 수지가공 등의 기술이 조합된 형태로 본 발명의 기술들에 대한 명칭을 새로운 용어인 정련날염, 정련발염, 정련패딩 및 정련특수염색이라고 명명했다.
·종래의 기술
누에가 토사하여 만든 고치로부터 제사 방법에 의해 생사를 얻을 수 있고 이 생사를 정련하면 광택과 촉감이 뛰어난 정련실크(일명 비단)가 된다. 실크 생사는 실크의 본질인 피브로인이 약 76%이고 세리신이 약 22%로 세리신은 피브로인을 보호하기 위해 생성된 것이다. 생사와 같이 세리신이 피브로인을 덮고 있으면 실이 굵고 뻣뻣하며 시원하여 마치 모시섬유와 같고 정련에 의해 세리신을 제거하면 실크 고유의 특성인 우아한 광택과 부드러운 촉감의 일명 비단이라고 하는 섬유가 된다.
종래의 실크섬유 정련방법으로는 장대연법, 망태연법, 거품연법, 분사연법 등의 장치가 사용되었는데 모두가 실크 전체를 정련액에 침지시키거나 적셔주어 실크 전체가 정련되도록 하는 방법이었다. 이 경우 균일한 정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정련 정도에 따라 섬유가 손상되거나 질감이 크게 달라지므로 적절한 정련이 요구된다. 큰 광택이 나도록 세리신을 완전히 제거하는 완숙정련이 일반적인 실크의 정련이고 광택보다는 약간 뻣뻣한 느낌이 나는 실크를 원할 경우에는반숙정련에 의해 세리신의 일부만 제거할 수 있는데 이 역시 전체적으로 균일한 반숙이 일어나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크 염색가공기술은 일본과 이태리가 앞서 있는데 이들 나라의 실크 정련 방법 역시 실크 전체에 대한 완숙이나 반숙 기술이 주를 이루고 있고 날염이나 패딩을 이용한 실크 정련기술은 알려졌거나 보고된 자료가 없다. 또한 실크 제품에서 정련날염이나 정련패딩을 이용한 모시와 비단의 2중 질감이 공존하는 실크제품이 상품화 된 바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더욱이 천연염료 염색 실크에 대해 정련과 동시에 무늬에 착색을 고착시키는 발염 기술은 처음으로 연구하여 발표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① 실크생직물을 정련제의 날염호로 각종 날염방법을 이용해 정련함으로써 광택이 나고 촉감이 부드러운 정련부분과 모시 질감의 비정련부분이 동시에 공존하도록 하는실크의 정련날염 기술
② 산성염료, 반응염료, 분산염료 및 각종 천연염료로 염색된실크의 백색 및 착색 발염 기술
③ 산성염료, 반응염료, 분산염료 및 각종 천연염료로 염색된실크의 백색 및 착색 정련발염기술
④ 백색 및 착색 정련발염호로 실크생직물을 인날하고 이들 발염제에 방염이 가능한 합성염료와 천연염료의 바탕색 염료로 over-print하거나 패딩하여 인날부분이정련과 동시에 방염되도록 하는실크의 정련방염 기술
⑤ 바탕색 염료로 실크직물을 먼저 패딩하고 건조시킨 후 백색 또는 착색의 정련발염호로 인날하는실크의 정련방발염 기술
⑥ 음각 또는 양각으로 무늬가 새겨진 고무(또는 동판 등)로울러로 정련패딩액에 침지시킨 실크생직물을 패딩하고 증열하여 요(凹)부분은 완숙정련이 되도록 하고 철(凸)부분은 생직물 상태 또는 다양한 감량율의 반숙정련 상태가 되도록 하는실크의 정련패딩 기술
⑦ 발염이 가능한 천연염료와 합성염료로 염색된 실크생직물을 백색 또는 착색의 정련패딩액으로 분사기를 이용해 발염과 동시에 정련이 되도록 분사하여 염색하는실크의 정련분사염 기술
⑧ 발염이 가능한 천연염료와 합성염료로 염색된 실크생직물을 백색 또는 착색의 정련패딩액으로 홀치기염색함으로써 정련부분과 비정련부분이 동시에 공존하도록 하는실크의 정련홀치기염 기술
⑨ 정련날염, 정련발염, 정련패딩, 정련특수염색 등 앞의 각종 부분정련 처리 후 비정련부분의 세리신을 정착하고 정련부분의 사밀림을 방지하며 동시에 유연성과 방추성 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물세탁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크며 취급이 간편한 실크직물을 얻기 위한 가공으로 멜라민계 열경화성 수지와 우레탄수지에 의한실크의 세리신정착 및 수지가공 기술
<제 1 도> 실크생직물에 대한 정련날염 및 정련발염날염의 공정도
정련날염은 날염방법을 이용하여 인날된 무늬 부분만을 정련하는 방법으로 실크 백포나 염색직물 모두 가능하다. 증열과 수세 공정에서 정련제에 의해 세리신이 제거되며 정련되지 않은 생직물 부분은 세리신정착시키고 정련된 부분은 사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수지가공 처리가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실크직물의 구김을 없애고 광택을 높이기 위해 캘린더링을 해준다.
<제 2 도> 실크생직물에 대한 정련날염의 각 공정에 있어 직물 단면모식도
정련날염 공정중 정련날염호 인날 부분의 실크생직물이 정련에 의해 세리신이 제거됨으로써 직물의 두께가 줄어들면서 고도의 광택이 나고 유연하며 부드러운 일명 비단이라고 하는 직물이 되는 과정을 직물의 단면을 통해 설명하고자 했다. 정련날염은 인날된 무늬 부분만을 정련시킬 목적으로 정련날염호에 각종 알칼리제인 실크정련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단지 인날부분의 세리신만을 제거하므로 생직물은 염색 유무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제 3 도> 정련날염과 동시에 착색발염하는 정련발염날염의 각 공정에 있어 직물
의 단면모식도
산성염료, 반응염료 및 분산염료와 각종 천연염료로 염색된 실크생직물에 대해 날염에 의해 세리신을 제거할 수 있는 정련제와 바탕색을 탈색시킬 수 있는 발염제를 모두 함유한 정련발염호로 인날하여 무늬 부분을 정련시킴과 동시에 탈색시켜 백색이나 원하는 착색을 고착시키는 기술로 정련제와 발염제에 안정한 착색염료(분산염료, 배트염료, 반응염료 중 선별된 염료)를 첨가하여 바탕색이 제거된 인날 부분에 착색염료를 고착시키면착색정련발염이 된다. 이 그림은 착색정련발염의 날염 공정에 있어 직물의 단면모식도로 청색으로 염색된 실크생직물을 황색의 착색정련발염호로 인날하고 증열과 수세를 거치면서 무늬부분이 정련됨과 동시에 청색인 바탕색이 제거되고 황색인 착색이 고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제 4 도> 백색정련날염호의 무늬 인날에 의한 백색 실크생직물 정련날염
백색의 실크생직물에 대해 역시 백색의 정련날염호로 무늬를 인날함으로써 정련되지 않은 바탕부분은 투명하고 어두운 흰색인데 반해 정련된 무늬부분은 불투명하면서 광택나는 밝은 흰색이 된다.
<제 5 도> 백색 실크생직물을 백색과 착색 정련날염호로 바탕 인날하는 정련날염
백색의 실크생직물에 대해 백색 또는 착색의 정련날염호로 바탕을 인날함으로써 정련되지 않은 무늬부분은 투명한 생직물 상태가 되고 정련된 바탕부분은 불투명하면서 광택나게 함으로써 바탕과 무늬가 대비되도록 한다.
<제 6 도> 염색 실크생직물을 백색정련날염호로 바탕 인날하는 정련날염
각종 색상으로 염색된 실크생직물에 대해 백색의 정련날염호로 바탕을 인날함으로써 정련되지 않은 무늬부분은 투명한 염색 생직물 상태가 되고 정련된 바탕부분은 불투명하면서 광택나는 염색된 피브로인의 색이 나타난다. 그림에서 어두운 불투명의 광택나는 바탕부분이 정련날염호로 인날된 부분이고 투명한 무늬 부분이 정련되지 않은 생직물 부분이다.
<제 7 도> 염색 실크생직물에 대한 백색정련발염호의 백색정련발염
산성염료, 반응염료 및 분산염료 등의 합성염료나 각종 천연염료로 염색된 실크생직물에 대해 바탕색을 효과적으로 탈색시킬 수 있는 발염제와 정련날염의 정련제를 동시에 포함하는 백색정련발염호로 인날함으로써 인날부분의 바탕색이 백색으로 탈색됨과 동시에 정련되도록 하였다. 그림에서 정련발염호 인날부분은 불투명하면서 광택나는 밝은 흰색 무늬이고 청색의 투명한 바탕은 정련되지 않은 생직물 상태 그대로이다.
<제 8 도> 배트염료의 착색정련발염호에 의한 염색 실크생직물의 착색정련발염
산성염료, 반응염료 및 분산염료 등의 합성염료나 각종 천연염료로 염색된 실크생직물에 대해 발염제와 정련제에 안정한 배트염료를 포함하는 착색정련발염호로 인날함으로써 인날부분의 바탕색이 정련되고 탈색됨과 동시에 착색인 배트염료가 고착되도록 하였다. 그림에서 착색정련발염호 인날부분은 무늬부분이고 생직물은 청색으로 염색된 투명한 바탕부분이다.
<제 9 도> 반응염료의 착색정련발염호에 의한 염색 실크생직물의 착색정련발염
산성염료, 반응염료 및 분산염료 등의 합성염료나 각종 천연염료로 염색된 실크생직물에 대해 발염제와 정련제에 안정한 반응염료를 포함하는 착색정련발염호로 인날함으로써 인날부분의 바탕색이 정련되고 탈색됨과 동시에 착색인 배트염료가 고착되도록 하였다. 그림에서 착색정련발염호 인날부분은 무늬부분이고 생직물은 청색으로 염색된 투명한 바탕부분이다.
<제 10 도> 분산염료의 착색정련발염호에 의한 염색 실크생직물의 착색정련발염
산성염료, 반응염료 및 분산염료 등의 합성염료나 각종 천연염료로 염색된 실크생직물에 대해 발염제와 정련제에 안정한 분산염료를 포함하는 착색정련발염호로 인날함으로써 인날부분의 바탕색이 정련되고 탈색됨과 동시에 착색인 분산염료가 고착되도록 하였다. 그림에서 착색정련발염호 인날부분은 무늬부분이고 생직물은 청색과 적색으로 염색된 투명한 바탕부분이다.
<제 11 도> 천연염료 염색 실크생직물의 착색정련발염호에 의한 착색정련발염
천연염료로 염색된 실크생직물을 분산염료나 반응염료 등의 착색염료를 포함하는 정련발염호로 인날함으로써 정련과 동시에 착색발염이 되도록한 경우로 여기서 황색의 생직물은 밤나무에서 채취한 천염염료로 염색하였고 무늬는 분산염료와 반응염료에서 선별한 착색염료이다.
<제 12 도> 실크생직물의 정련방염 및 정련방발염 공정
백색 및 착색 정련방염호로 백색의 실크생직물을 인날하고 이들 방염제에 방염이 가능한 각종 합성염료와 천연염료의 바탕색 염료로 over-ptint하거나 패딩하여 인날부분이 정련됨과 동시에 방염되도록 하는 정련방염 기술과 반대로 바탕색 염료로 실크직물을 먼저 패딩하고 건조시킨 후 백색 및 착색의 정련방발염호로 인날하는정련방발염 기술에 대한 공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제 13 도> 반응염료의 정련방염호와 산성염료의 over-print호에 의한 정련방염
착색정련방염의 예로 황색의 반응염료가 착색인 정련방염호로 바탕을 인날한 후 적색의 산성염료 over-print호로 전면을 인날하고 건조, 증열 및 수세 공정을 거치면 그림과 같이 정련방염호 인날부분은 황색의 반응염료만 고착되고 정련방염호가 인날되지 않은 부분만 over-print호 중의 산성염료가 고착된다.
<제 14 도> 정련패딩의 원리
음각 또는 양각으로 무늬를 새기거나 다양한 형태의 요철판을 접착시킨 로울러로 패딩하도록 제작된 패딩기를 이용해 실크 정련제로 조성된 정련패딩액에 침지시킨 실크생직물을 패딩함으로써 요(凹) 부분은 완숙정련이 되어 광택과 촉감이 뛰어나도록 하고 철(凸)부분은 모시질감의 생직물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원하는 정도로 반숙정련되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의 2중 질감이 나는 실크직물을 얻을 수 있는 정련패딩 기술로 대략적인 정련패딩기의 형태와 로울러에 부착되는 요철판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 15 도> 로울러정련날염의 원리
로울러날염의 원리를 응용하여 정련날염 또는 정련발염하는 방법으로 음각이나 양각으로 무늬를 새기거나 다양한 형태의 요철판을 접착시킨 로울러 표면에 정련날염호를 묻혀주면 백색 또는 염색된 직물에 정련날염호가 인날되어 정련이 되는데 이 때 발염이 동시에 일어나게 할 수도 있다.
① 실크의 정련날염 기술
◆ 시료: 정련되지 않은 백색 또는 염색된 실크생직물
◆ 정련제: 날염에 의한 실크의 정련제는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와 비누 등의 계면활성제, 과산화수소와 같은 산화제 그리고 메탄올과 같은 알코올 중에서 선택되어지며, 단독 또는 조합에 의해 사용된다.
◆ 날염 방법: 일반적인 스크린날염, 로울러날염 및 로타리스크린날염 등
◆ 공정: 실크생직물 전처리 →정련날염호 인날 →건조 →증열(상압증열,
100∼150℃×5∼15분) →수세 →후처리
◆ 내용 및 효과: 정련날염 공정중 정련날염호 인날 부분의 실크생직물이 정련에 의해 세리신이 제거됨으로써 직물의 두께가 줄어들면서 고도의 광택이 나고 유연하며 부드러운 일명 비단이라고 하는 직물이 된다. 정련날염은 인날된 무늬 부분만을 정련시키므로 모시질감의 생직물 부분과 광택과 촉감이 좋은 비단 부분의 2중 질감이 공존하는 독특한 실크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② 합성염료에 의한 실크의 발염날염 기술
◆ 바탕색 염료
- 아조계 합성염료: 산성염료, 반응염료 및 분산염료 중 아조계 염료를 먼저 선별
하고 이들 중 저농도(30g/l이하)의 환원제로 백색 발염이 가능한 염료 선별
- 부가형 반응염료 및 알칼리가발형 분산염료
◆ 바탕색 염색: 각 염료의 특성에 맞는 침염 및 연속염색
◆ 발염제
- 아조계 염료: 롱갈리트, Decroline, 하이드로(sodium hydrosulfite) 등과 같은
각종 환원제, 탄산칼륨 등의 각종 알칼리제 및 아황산부가물의 단독 또는 조
합에 의해 조성
- 부가형 반응염료: 탄산칼륨과 같은 알칼리와 벤즈알데히드 아황산부가물과 같은
각종 아황산부가물의 혼합에 의해 조성되며, 보다 발염효과를 높이기 위해 롱
갈리트 등의 환원제를 병용하여 조성
- 알칼리가발형 분산염료: 탄산칼륨과 같은 알칼리 단독 또는 이들 알칼리에 메탄
올,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과 같은 각종 알코올의 병용에 의해 조성되며, 보
다 발염효과를 높이기 위해 롱갈리트 등의 환원제를 병용하여 조성
◆ 착색 염료: 환원제와 알칼리, 아황산부가물 등의 발염제에 견뢰한 반응염료, 배
트염료 또는 분산염료 중에서 발염의 날염 적성이 우수한 염료 선별
◆ 날염 방법: 스크린날염, 로울러날염 및 로타리스크린날염 등
◆ 공정: 실크생직물 전처리 →실크생직물 염색(침염이나 연속염색) →발염호 인날
→건조 →증열(상압증열, 100∼150℃×5∼15분) →수세 →후처리
◆ 내용 및 효과: 산성염료, 반응염료 및 분산염료 등의 합성염료로 염색된 실크생직물에 대해 날염에 의해 바탕색을 탈색시킬 수 있는 발염제를 함유한 발염호로 인날함으로써 무늬 부분을 탈색시키고 백색이나 착색을 고착시키는 기술로 위험 발생이 없고 취급이 간편하며 정교하고 다양한 무늬 표현이 가능하다.
③ 천연염료에 의한 실크의 발염날염 기술
◆ 천연염료: 홍화, 치자, 쪽 등의 널리 알려진 천연염료외에 주변의 자연에서 손
쉽게 구할 수 있는 천연염료(쑥, 양파껍질, 포도열매껍질, 밤나무와 감나무의
잎과 열매 등)들을 발굴하고 개발
◆ 천연염료 염색: 매염제 전처리법, 매염제 후처리법 및 매염제 동욕처리법 등에
의한 침염과 연속염색
◆ 발염제: 주석산, 구연산, 옥살산 등의 유기산과 롱갈리트, Decroline, 하이드로
등과 같은 환원제, 과산화수소와 같은 산화제, 탄산칼륨 등의 알칼리제, 기타
초산, 암모니아수, 요소, 계면활성제 등의 단독 또는 조합에 의해 조성
◆ 착색 염료: 환원제와 알칼리, 아황산부가물 등의 발염제에 견뢰한 반응염료, 배
트염료 또는 분산염료 중에서 발염 적성이 우수한 염료 선별
◆ 날염 방법: 스크린날염, 로울러날염 및 로타리스크린날염 등
◆ 공정: 실크생직물 전처리 →실크생직물 염색(침염이나 연속염색) →발염호 인날
→건조 →증열(상압, 100∼150℃×5∼15분) →(매염제 후처리)→수세 →후처리
◆ 내용 및 효과: 인체에 이롭고 환경오염의 문제가 없으며 독특한 색상을 갖는 천
연염료에 의한 염색을 한 단계 승화시킨 기술로 이들 천연염료 염색 실크직물
에 대해 발염에 의한 날염 기술을 적용시킴으로써 보다 고부가가치의 실크 직
물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④ 실크의 정련발염 기술
◆ 바탕색 염료: 산성염료, 반응염료, 분산염료 등의 합성염료와 각종 천연염료
◆ 바탕색 염색: 각 염료의 특성에 맞는 침염 또는 연속염색
◆ 정련발염제: 정련날염의 정련제인 알칼리와 발염날염의 발염제인 환원제 및 정
련과 발염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가종 약제들의 조합에 의해 조성
◆ 착색 염료: 알칼리 등의 정련제와 환원제 등의 발염제에 모두 견뢰한 반응염료,
배트염료 또는 분산염료 중에서 정련발염의 날염 적성이 우수한 염료 선별
◆ 날염 방법: 스크린날염, 로울러날염 및 로타리스크린날염 등
◆ 공정: 실크생직물 전처리 →실크생직물 염색(침염이나 연속염색) →정련발염호
인날 →건조 →증열(상압, 100∼150℃×5∼15분) →수세 →후처리
◆ 효과: 발염이 가능한 각종 합성염료와 천연염료로 염색된 실크생직물에 대해 정
련제와 발염제를 동시에 함유하는 날염호로 인날함으로써 정련과 발염이 동시
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로 정련에 의해 광택과 촉감이 우수한 무늬 표현이
가능하고 백색 및 착색 발염에 의해 정교하고 다양한 무늬와 색상의 표현이
가능하므로 실크직물의 고부가가치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⑤ 실크의 정련방염 및 정련방발염 기술
◆ 방염제: 앞의 발염제와 동일하며 발염제의 농도 조절에 의해 방염 효과 얻음
◆ 정련제: 앞의 정련날염에서의 정련제와 동일
◆ 공정
<정련방염> 정련발염호 인날⇒건조⇒바탕색 전면 인날⇒건조⇒증열⇒수세
<정련방발염> 바탕색 패딩⇒건조⇒정련발염호 인날⇒건조⇒증열⇒수세
◆ 내용 및 효과: 백색 및 착색 정련발염호로 실크생직물을 인날하고 이들 발염제에 방염이 가능한 합성염료와 천연염료의 바탕색 염료로 over-print하거나 패딩하여 인날부분이 정련과 동시에 방염되도록 하는 정련방염 기술과 반대로 바탕색 염료로 실크직물을 먼저 패딩하고 건조시킨 후 백색 또는 착색의 정련발염호로 인날하는 실크의 정련방발염 기술은 바탕색 탈색이 발염보다는 훨씬 용이하므로 적은 양의 발염제로도 발염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공정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⑥ 실크의 정련패딩 기술
◆ 패딩기 로울러 형상: 음각 또는 양각으로 무늬를 새기거나 다양한 형태의 요철
판을 접착시킨 로울러가 장착된 패딩기
◆ 정련패딩액: 정련제가 함유된 패딩액으로 경우에 따라 바탕색의 발염이 필요한
경우에는 발염제를 첨가할 수도 있고 정련제에 안정한 착색염료를 첨가하여
독특한 색상 표현을 할 수도 있다.
◆ 바탕색 염료와 착색 염료: 정련발염의 경우와 동일
◆ 공정: 실크생직물 전처리 →실크생직물 염색(침염이나 연속염색) →정련패딩액
패딩 →건조 →증열(상압, 100∼150℃×5∼15분) →수세 →후처리
◆ 내용 및 효과: 음각 또는 양각으로 무늬를 새기거나 다양한 형태의 요철판을 접
착시킨 로울러가 장착된 패딩기로 정련제를 포함하는 패딩액에 침지시킨 실크
생직물(백포 또는 염색포)을 패딩함으로써 요(凹)부분은 완숙정련이 되어 광
택나게 하고 철(凸)부분은 모시질감의 생직물 상태나 반숙정련이 되도록 하여
정련정도가 다른 다양한 2중 질감의 실크직물을 얻을 수 있다.
⑦ 실크의 정련특수염색 기술
◆ 바탕색 염료: 발염 기능한 산성염료, 반응염료, 분산염료와 각종 천연염료
◆ 바탕색 염색: 각 염료의 특성에 맞는 침염 및 연속염색
◆ 정련패딩액: 정련제가 함유된 패딩액으로 경우에 따라 바탕색의 발염이 필요한
경우에는 발염제를 첨가할 수도 있고 정련제에 안정한 착색염료를 첨가하여
독특한 색상 표현을 할 수도 있다.
◆ 정련패딩액에 의한 특수염색 기법: 홀치기염, 분사염, 묘염 등의 특수 염색
◆ 내용 및 효과: 발염이 가능한 각종 합성염료와 천연염료로 염색한 실크생직물을 백색 또는 착색의 정련패딩액으로 분사염이나 홀치기염과 같은 특수염색 기법을 활용해 발염과 동시에 정련되도록 함으로써 독특한 형태의 실크직물을 얻을 수 있다.
실크의 세리신정착 및 수지가공 기술
◆ 세리신정착제: 요소계 수지, 글리옥살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등 열경화성 수지
◆ 유연제: 폴리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
◆ 실크 수지가공제: 세리신정착제와 유연제의 조합에 의한 조성
◆ 처리 방법
- 배치식: 40∼80℃×20∼60분
- 연속식: 패딩 →건조 →큐어링(130∼180℃×2∼5분)
◆ 내용 및 효과: 정련날염이나 정련패딩 등 각종 부분정련 처리 후 비정련부분의 세리신을 정착하고 동시에 유연성과 방추성 등을 부여하며 정련부분의 사밀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물세탁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크며 취급이 간편한 실크직물을 얻을 수 있다.
정련날염, 정련발염, 정련패딩 및 정련특수염색 등의 기술을 이용해 실크생직물을 가공처리하면 모시와 같이 시원하고 탄력성있는 생직물 부분과 광택과 촉감이 뛰어난 비단 부분이 한 직물에 공존함으로써 독특한 질감을 얻을 수 있고, 아울러 날염과 특수염색 등을 통해 부분적으로 완숙이나 반숙 정련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색상과 정교한 무늬를 표현함으로써 종래에 볼 수 없던 새로운 고부가가치 실크소재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세리신 정착과 동시에 효과적인 수지가공을 함으로써 방추성, 유연성 등이 우수하고 취급관리가 용이한 실용적인 실크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실크만이 가질 수 있는 특성을 살린 소재개발과 제품생산을 통해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국내 실크산업을 활성화시키고자 하며 실크 제직업체나 가공업체들이 새로운 도약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중국 등지에서 저렴하게 수입한 생사를 국내에서 제직 및 가공하여 일본이나 유럽 등 각국으로 수출한다면 국내 섬유산업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8)

  1. 백포 또는 각종 염료로 염색된 실크생직물(정련되지 않은 실크직물)을 세리신 제거에 효과적인 각종 실크정련제의 날염호로 스크린날염, 로터리스크린날염, 로울러날염 등의 각종 날염방법을 이용해 정련함으로써 광택이 나고 촉감이 부드러운 정련부분과 모시 질감의 비정련부분이 동시에 공존하여 독특한 질감과 외관을 갖도록 하는 실크의 정련날염 기술
  2. 제 1항에 있어서 각종 실크정련제는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 비누 등의 계면활성제, 과산화수소 등의 산화제 그리고 메탄올과 같은 알코올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중에서도 정련날염에 가장 효과적인 실크정련제는 탄산칼륨 등의 알칼리로 이 때 정련 효과를 높이기 위해 요소와 같은 습윤제를 병용할 수 있다.
  3. 산성염료, 반응염료, 분산염료 및 각종 천연염료로 염색된 실크직물을 환원제, 알칼리, 아황산부가물, 유기산 등의 단독 또는 혼합에 의한 발염제로 발염함에 있어 백색발염호나 이들 발염제에 견뢰한 반응염료, 배트염료 또는 분산염료의 착색염료로 조성된 착색발염호로 발염하여 정교한 무늬와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실크의 백색 및 착색 발염 기술
  4. 제 3항의 바탕색 염색에 사용되는 아조계 산성염료, 아조계 또는 부가형 반응염료, 아조계 또는 알칼리가발형 분산염료 및 각종 천연염료의 발염제는 롱갈리트, Decroline, sodium hydrosulfite 등과 같은 환원제, 탄산칼륨과 같은 알칼리, benzaldehyde sodium bisulfite와 같은 아황산부가물, 주석산 등의 유기산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발염 효과를 높이기 위해 알코올이나 요소와 같은 각종 습윤제를 병용할 수 있다.
  5. 제 4항의 발염제로 발염이 가능한 산성염료, 반응염료, 분산염료와 각종 천염염료로 염색된 실크생직물을 제 2항의 실크정련제와 제 4항의 발염제를 혼합하여 조성된 정련발염호로 날염함으로써 정련과 동시에 발염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의 백색 및 착색 정련발염 기술
  6. 제 4항의 백색 및 착색 정련발염호로 실크생직물을 인날하고 이들 발염제에 방염이 가능한 합성염료와 천연염료의 바탕색 염료로 over-print하거나 패딩하여 인날부분이 정련과 동시에 방염되도록 하는 정련방염 기술과 반대로 바탕색 염료로 실크직물을 먼저 패딩하고 건조시킨 후 백색 또는 착색의 정련발염호로 인날하는 실크의 정련방발염 기술
  7. 음각 또는 양각으로 무늬를 새기거나 다양한 형태의 요철판 또는 실 등을 접착시킨 로울러가 장착된 패딩기로 정련패딩액에 침지시킨 실크생직물을 패딩함으로써 요(凹)부분은 반숙∼완숙 정련이 되고 철(凸)부분은 생직물∼반숙정련이 되도록 하여 다양한 무늬와 질감의 실크직물을 얻을 수 있는 정련패딩 기술과 백색 또는 착색의 정련패딩액으로 분사염이나 홀치기염과 같은 특수염색 기법을 활용해 발염과 동시에 정련이 되도록 하는 실크의 정련특수염색 기술
  8. 정련날염, 정련발염, 정련특수염색 등 각종 부분정련 처리 후 비정련부분의 세리신을 정착하고 정련부분의 사밀림을 방지하며 동시에 유연성과 방추성 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물세탁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크며 취급이 간편한 실크직물을 얻기 위한 가공으로 멜라민계 열경화성 수지와 우레탄수지에 의한 실크의 수지가공 기술
KR10-2000-0040886A 2000-07-18 2000-07-18 실크직물의 새로운 정련과 발염에 의한 정련날염,정련발염 및 정련특수염색 기술 KR100397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886A KR100397654B1 (ko) 2000-07-18 2000-07-18 실크직물의 새로운 정련과 발염에 의한 정련날염,정련발염 및 정련특수염색 기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886A KR100397654B1 (ko) 2000-07-18 2000-07-18 실크직물의 새로운 정련과 발염에 의한 정련날염,정련발염 및 정련특수염색 기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556A true KR20020007556A (ko) 2002-01-29
KR100397654B1 KR100397654B1 (ko) 2003-09-13

Family

ID=19678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886A KR100397654B1 (ko) 2000-07-18 2000-07-18 실크직물의 새로운 정련과 발염에 의한 정련날염,정련발염 및 정련특수염색 기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765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156B1 (ko) * 2001-06-14 2004-05-12 박건용 분산염료에 의한 실크직물의 염색방법
KR101447649B1 (ko) * 2014-06-17 2014-10-07 주식회사 현화피앤이 부분적인 광택 나염문양을 갖는 나염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69565B1 (ko) * 2013-09-13 2014-12-12 오승아 울 함유 직물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KR20180050998A (ko) * 2016-11-07 2018-05-16 유병두 칼라 주름원단 제조방법
KR20180078816A (ko) * 2016-12-30 2018-07-10 (주)송가그룹 천연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CN108677558A (zh) * 2018-06-05 2018-10-19 叶建民 一种蚕丝胶丝绸固色剂的制备方法
KR20200093320A (ko) * 2019-01-28 2020-08-05 (주)오렌지다이텍 엠보 가공기 및 이를 이용한 한복지 다듬이 효과를 구현하는 연속식 수결생성과 터치 유연화 방법
KR20230095448A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비전월드 천연 염료를 이용한 폴리에스터 섬유의 스크린 프린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770B1 (ko) 2010-03-31 2011-11-18 정성연 물세탁이 가능한 실크직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물세탁이 가능한 실크직물
KR101462484B1 (ko) * 2013-11-15 2014-11-18 주식회사 금영교역 결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날염용 호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2833B1 (ko) * 2018-02-06 2018-11-27 권숙영 감촉 및 방오성이 우수한 오가닉 직물, 그를 사용하여 제조된 의류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085A (ja) * 1990-04-28 1992-01-16 Kanebo Ltd 特殊表面絹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11084A (ja) * 1990-04-28 1992-01-16 Kanebo Ltd 特殊表面絹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57750B2 (ja) * 1996-06-18 1999-02-17 株式会社淀川製鋼所 開閉式溝蓋
KR19990021160A (ko) * 1997-08-30 1999-03-25 권영기 세리신정착을 이용한 견직물의 날염방법
KR100259392B1 (ko) * 1998-05-29 2000-06-15 전유헌 견직물의 정련처리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견직물의 무늬형성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156B1 (ko) * 2001-06-14 2004-05-12 박건용 분산염료에 의한 실크직물의 염색방법
KR101469565B1 (ko) * 2013-09-13 2014-12-12 오승아 울 함유 직물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KR101447649B1 (ko) * 2014-06-17 2014-10-07 주식회사 현화피앤이 부분적인 광택 나염문양을 갖는 나염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50998A (ko) * 2016-11-07 2018-05-16 유병두 칼라 주름원단 제조방법
KR20180078816A (ko) * 2016-12-30 2018-07-10 (주)송가그룹 천연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CN108677558A (zh) * 2018-06-05 2018-10-19 叶建民 一种蚕丝胶丝绸固色剂的制备方法
KR20200093320A (ko) * 2019-01-28 2020-08-05 (주)오렌지다이텍 엠보 가공기 및 이를 이용한 한복지 다듬이 효과를 구현하는 연속식 수결생성과 터치 유연화 방법
KR20230095448A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비전월드 천연 염료를 이용한 폴리에스터 섬유의 스크린 프린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7654B1 (ko) 200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60856C (zh) 一种机织物单面染色方法
CN101619544B (zh) 数码喷墨印花毛巾的生产工艺及其专用坯巾和染料
CN100500982C (zh) 一种利用Gemini型阳离子化合物改善提高喷墨印花影像性能的方法
CN105463878B (zh) 一种牛仔纱线/成衣的染色或套染方法
KR100397654B1 (ko) 실크직물의 새로운 정련과 발염에 의한 정련날염,정련발염 및 정련특수염색 기술
CN103952915A (zh) 一种具有表面露白效果的仿旧针织面料、成衣及加工方法
CN101191305A (zh) 聚丙烯睛针织物的雕印印花工艺
CN109853262B (zh) 一种羊毛织物的酶处理方法和羊毛织物喷墨印花的方法
CN111910447A (zh) 一种隐形印花毛巾的生产方法
CN110154570B (zh) 一种基于数码喷印的成衣仿旧工艺
CN109112857A (zh) 一种提高活性染料深色磨擦牢度的方法
KR100931967B1 (ko) 직물 염색방법
CN105803822B (zh) 一种天然植物染料的同色渐变防印方法及应用
KR100469585B1 (ko) 스팽글 원단의 발염방법
CN108611846A (zh) 天丝活性无盐染色面料及染整方法
CN107287934A (zh) 一种柔软防掉色牛仔布的加工工艺
JPH07310292A (ja) 製品洗い加工を伴う製品用織物及びその製造法
CN1307341C (zh) 带有浅色冰纹牛仔布的制作方法
CN104894885A (zh) 一种天鹅绒织物的印花方法
KR100431156B1 (ko) 분산염료에 의한 실크직물의 염색방법
WO2011016319A1 (ja) 繊維製手袋及びその捺染・抜染方法
CN1087384A (zh) 特艺彩革及其生产方法
CN106436368A (zh) 一种三向织物的涂料印花工艺
JPH0397979A (ja) 糸の染色法
EP1788150A2 (en) Process for making surface designs on woolen textile substrates and textile products thus obtain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