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5645A - 유기 포스페이트를 함유한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농축물 - Google Patents

유기 포스페이트를 함유한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농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5645A
KR20020005645A KR1020017012490A KR20017012490A KR20020005645A KR 20020005645 A KR20020005645 A KR 20020005645A KR 1020017012490 A KR1020017012490 A KR 1020017012490A KR 20017012490 A KR20017012490 A KR 20017012490A KR 20020005645 A KR20020005645 A KR 20020005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ate
weight
concentrate
polyphenylene ether
eth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7928B1 (ko
Inventor
아데데지아데이인카
호산로버트
페캐크윌리암유진
팅사이-페이
Original Assignee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Publication of KR20020005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6Organic materials
    • C09K21/12Organic material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08K5/523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with hydroxyar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C08L71/123Polyphenylene oxide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및 스티렌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폴리페닐렌 에스프 수지와 유기 포스페이트 화합물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농축물은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분말에서 수득된 물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성을 가지면서 분진 점화의 위험이 없어 폴리페닐렌 에테스 수지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 포스페이트를 함유한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농축물{POLYPHENYLENE ETHER RESIN CONCENTRATES CONTAINING ORGANIC PHOSPHATES}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이후부터는 "PPE"로 언급됨)는 물리적, 화학적 및 전기적 특성의 독특한 조합으로 인해 상업적으로 관심있는 재료이다. 상업적으로, 대부분의 PPE는 주로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와의 블렌드로서 시판된다. PPE는모든 비율로 폴리스티렌 수지와 혼화될 수 있고, 매우 높은 유리 전이 온도로 인해 폴리스티렌 수지와 PPE의 블렌드는, 폴리스티렌 수지만의 내열성 보다 높은 내열성을 갖는다. 또한, PPE와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의 조합물은 추가로 총괄적인 특성, 예를 들어 높은 유동성 및 연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블렌드의 예로는, 특히 미국 특허 제 3,383,435 호, 제 4,097,550 호, 제 4,113,800 호, 제 4,101,503 호, 제 4,101,504 호, 제 4,101,505 호, 제 4,128,602 호, 제 4,139,574 호 및 제 4,154,712 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블렌드의 특성은 다양한 첨가제, 예를 들어 내충격성 개량제, 난연제, 광안정화제, 가공 안정화제, 열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및 충전제의 첨가에 의해 추가로 향상될 수 있다.
시판용 PPE는 약 75 마이크론 크기 미만의 미세 입자를 전형적으로는 10 중량% 이상, 종종 20 중량% 이상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미세한 분말로서 제조된다. 약 75 마이크론 크기 미만의 입자는 분진 폭발 위험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러한 분말은, 분말과 관련된 분진 점화 및 잠재적인 불꽃 점화 위험을 조절하기 위해서 특별한 취급 방법이 요구된다. 이러한 취급 방법은 산소를 차단시키기 위한 장치의 접지 및 불활성 기체 블랭킷(blanket)의 사용을 포함한다. 수지 조성물로 배합하여 PPE를 전 세계의 다양한 장소로 수송할 수 있다면, 상업적으로 유리하고 지역 시장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된 취급 방법은 장치 변경을 위한 상당한 투자를 필요로 하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배합 유연성을 위해 상업적인 이용가능성을 제한하게 된다. PPE 분말과 관련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표준 배합 압출기를 이용하여 PPE 분말을 전환시키고, 이어서압출물을 펠렛화하여 약 3㎜ x 3㎜의 크기의 펠렛을 수득하는 방법이 시도되었다. 불행하게도, 펠렛을 이용하여 제조된 많은 수지 조성물의 물성은 PPE 분말로 제조된 대조용 조성물에 비해 열등하고, 상기 펠렛이 대조용 조성물의 물성과 매우 근접한 물성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작은 크기로 분쇄되어야 한다. 따라서, PPE 펠렛의 유용성이 제한되었다.
따라서, PPE를 함유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향상된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계속해서 대두되고 있다.
발명의 요약
전술한 필요성은, 일반적으로 a) 하나 이상의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및 b)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폴리스티렌 수지를 함유한 열가소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유기 포스페이트 화합물을 함유한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방법을 발견함으로써 충족되었다.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선택적 성분: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혼화제, 내충격성 개량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드립 억제제(drip suppresser), 결정화 핵생성제, 염료, 안료, 착색제, 강화제, 충전제, 안정화제, 및 정전기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추가로 기술하고 있다.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및 선택적으로 스티렌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유기 포스페이트 화합물을 함유한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농축물은 약 75 마이크론 크기 미만의 입자를 약 1 중량% 미만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그러한 입자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농축물은,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분말에서 수득된 물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성을 가지면서 분진 점화의 위험이 없어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이후부터는 "PPE"로 언급됨)은 다수의 하기 화학식 I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공지된 중합체이다:
상기 식에서,
Q1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1급 또는 2급 저급 알킬(예를 들어, 7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함유한 알킬), 페닐,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하이드로카본옥시 또는 할로하이드로카본옥시이고, 여기서 2개 이상의 탄소원자는 할로겐 및 산소원자를 분리하고,
Q2는, Q1에 대해서 정의된 바와 같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1급 또는 2급 저급 알킬, 페닐, 할로알킬, 하이드로카본옥시 또는 할로하이드로카본옥시이다. 바람직하게는, Q1은 각각 알킬 또는 페닐, 특히 C1-4알킬이고, Q2는 각각 수소이다.
단일중합체 PPE 및 공중합체 PPE는 둘다 포함된다. 바람직한 단일중합체는 2,6-디메틸-1,4-페닐렌 에테르 단위를 함유한 것들이다. 적합한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2,3,6-트리메틸-1,4-페닐렌 에테르 단위와 조합한 단위를 함유한 불규칙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또한, 비닐 단량체 또는 폴리스티렌과 같은 중합체를 그래프팅함으로써 제조된 잔기를 함유한 PPE 뿐만 아니라 커플링된 PPE(여기서, 커플링제, 예를 들어 저분자량 폴리카보네이트, 퀴논, 헤테로사이클 및 포말은 2개의 PPE 쇄의 하이드록시 기와 공지된 방법으로 반응하여 고분자량 중합체를 생성함)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용도로서 고려되는 PPE는 구조 단위 또는 부수적인 화학적 특징부의 변화에 관계없이, 현재 공지된 모든 것들을 포함함이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PPE는 일반적으로 25℃에서 클로로포름에서 측정된 바와 같이, 약 0.10 내지 0.60 dl./g, 바람직하게는 약 0.25-0.48 dl./g 범위의 고유 점도를 갖는다. 또한, 높은 고유 점도의 PPE 및 낮은 고유 점도의 PPE를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2개의 고유 점도를 사용한 경우, 정확한 비율의 측정은 사용된 PPE의 정확한 고유 점도 및 목적하는 근본적인 물성에 어느정도 좌우될 것이다.
본 발명의 PPE 수지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알케닐방향족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비엘라스토머성 중합체를 함유한다. 이러한 유형의 적합한 중합체는, 괴상 중합, 현탁 중합 및 유화 중합을 비롯한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하기 화학식 II의 알케닐방향족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구조 단위를 약 25 중량% 이상 함유한다:
상기 식에서,
G는 수소, 저급 알킬 또는 할로겐이고,
Z는 비닐, 할로겐 또는 저급 알킬이고,
p는 0 내지 5이다. 이러한 수지는 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및 비닐톨루엔의 단일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α-메틸스티렌, 에틸비닐벤젠, 디비닐벤젠 및 말레산 무수물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와 스티렌의 불규칙 공중합체, 및 블렌드 및 그래프트를 포함하는 고무-개질된 폴리스티렌(여기서, 고무는 폴리부타디엔, 또는 약 98 내지 68% 스티렌 및 약 2-32% 디엔 단량체의 고무성 공중합체임)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무 개질된 폴리스티렌은 내충격성 폴리스티렌(통상적으로 HIPS로 언급됨)을 포함한다. 또한, 선형 블록, 라디칼 블록 또는 테이퍼 블록 공중합체 구조를 갖는 스티렌 및 부타디엔의 비-엘라스토머성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피나클리어(등록상표, FINACLEAR)라는 명칭하에 피나 오일(Fina Oil), 및 케이-레진스(등록상표, K-RESINS)라는 명칭하에 필립스(Phillips)와 같은 회사로부터 시판된다.
사용된 경우, 비엘라스토머성 알케닐방향족 화합물의 중합체의 양은 조성물의 유동성 및 가공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량이다. 개선된 유동성은 사출 성형 과정중 일부분을 충전시키는데 필요한 감소된 점도 또는 감소된 사출 압력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엘라스토머성 알케닐방향족 화합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20 내지 약 60 중량%의 범위로 사용된다. 바람직한 범위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30 내지 약 60 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내충격성 개량제를 함유할 수 있다. 내충격성 개량제는 단독, 또는 비엘라스토머성 알케닐방향족 화합물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내충격성 개량제는 알케닐 방향족 화합물 및 디엔의 블록(전형적으로, 이블록, 삼블록 또는 라디칼 텔레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종종 하나 이상의 블록은 스티렌으로부터 유도되고, 하나 이상의 블록은 부타디엔 및 이소프렌으로부터 유도된다. 지방족 불포화가 수소화에 의해 바람직하게 제거된, 폴리스티렌 블록 및 디엔 유도된 블록을 포함하는 삼블록 및 이블록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다양한 공중합체의 혼합물이 종종 유용하다. 내충격성 개량제의 평균 분자량은 전형적으로는 약 50,000 내지 300,000의 범위이다. 이러한 유형의 블록 공중합체는 솔프렌(등록상표, SOLPRENE)의 명칭하에 필립스 페트로륨(Phillips Petroleum), 크라톤(등록상표, KRATON)의 명칭하에 쉘 케미칼 캄파니(Shell Chemical Co.) 및 셉톤(등록상표, SEPTON)의 명칭하에 쿠라레이(Kuraray)를 포함하는 수많은 공급원으로부터 시판된다.
또한, 전술한 내충격성 개량제의 다양한 혼합물은 종종 유용하다. 사용된 경우,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내충격성 개량제의 양은, 내충격성 개량제가 없는 동일한 조성물과 비교해서, 물성, 예를 들어 조성물의 연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량이다.개선된 연성은 증가된 충격 강도, 파괴시 증가된 인장 연신율, 또는 파괴시 증가된 충격 강도 및 증가된 인장 연신율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충격성 개량제가 존재하는 경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 내지 약 20 중량%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범위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 내지 약 8 중량%이다. 사용된 내충격성 개량제의 정확한 양, 및 유형 또는 조합은 최종 블렌드 조성에 필요한 필수요건에 부분적으로 좌우될 것이다.
유기 포스페이트 화합물은 본 발명의 다른 성분이다. 유기 포스페이트는 바람직하게 하기 화학식 III의 방향족 포스페이트 화합물이다:
상기 식에서,
R은 동일하거나 다르고, 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릴, 알킬 치환된 아릴, 할로겐 치환된 아릴, 아릴 치환된 알킬, 할로겐,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단, 하나 이상의 R이 아릴이다.
예로는 페닐 비스도데실 포스페이트, 페닐비스네오펜틸 포스페이트, 페닐-비스(3,5,5'-트리-메틸-헥실 포스페이트), 에틸디페닐 포스페이트, 2-에틸-헥실디(p-톨릴) 포스페이트, 비스-(2-에틸헥실) p-톨릴포스페이트, 트리톨릴 포스페이트, 비스-(2-에틸헥실) 페닐 포스페이트, 트리-(노닐페닐) 포스페이트, 디(도데실) p-톨릴 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디부틸페닐 포스페이트, 2-클로로에틸디페닐 포스페이트, p-톨릴 비스(2,5,5'-트리메틸헥실) 포스페이트, 2-에틸헥실디페닐 포스페이트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포스페이트는 R이 아릴인 것이다. 비치환 또는 치환될 수 있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포스페이트는 하기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및 이들의 혼합물을 갖는 이작용 또는 다작용성 화합물 또는 중합체(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함)일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1, R3및 R5는 독립적으로 탄화수소이고,
R2, R4, R6및 R7은 독립적으로 탄화수소 또는 하이드로카본옥시이고,
X1, X2및 X3은 할로겐이고,
m 및 r은 0, 또는 1 내지 4의 정수이고,
n 및 p는 1 내지 30이다.
예로는 레조르시놀, 하이드로퀴논 및 비스페놀-A 각각의 비스 디페닐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중합체성 대조물을 포함한다.
전술한 이작용성 및 다작용성 방향족 포스페이트의 제조방법은 영국특허 제 2,043,083 호에 기술되어 있다.
다른 발전된 방법으로는 악셀로드(Axelrod)에 의해 미국특허 제 4,254,775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의 난연제로서, 특정 사이클릭 포스페이트, 예를 들어 디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페이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인-질소 결합을 함유한 화합물, 예를 들어 염화포스포니트릴산, 아인산 에스테르 아미드, 인산 아미드, 포스폰산 아미드, 포스핀산 아미드, 트리(아지리디닐) 포스핀 옥사이드 또는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 클로라이드는 본 발명의 난연제 첨가제로서 적합하다. 이러한 난연제 첨가제는 시판된다.
바람직한 포스페이트 난연제로는 예를 들어 레조르시놀 테트라페닐 디포스페이트와 같은 레조르시놀계,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테트라페닐 디포스페이트와 같은 비스-페놀계 포스페이트 난연제를 포함한다. 치환된 페닐기를 함유한 포스페이트가 또한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유기 포스페이트는 부틸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레조르시놀 테트라페닐 디포스페이트, 비스-페놀 A 테트라페닐 디포스페이트, 및 이들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한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다.
유기 포스페이트를 포함한 PPE의 농축물의 제조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다량의 유기 포스페이트가 존재하게 하여 고가의 농축물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가란, 단일 농축물 조성물로부터 매우 다양한 최종 배합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농축물을 상대적으로 큰 비율로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농축물이 PPE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 이상의 유기 포스페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존재할 수 있는 포스페이트 화합물의 최대량은 매우 다양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농축물이 끈적이게 되고 응집되기 시작하기 이전에 첨가될 수 있는 최대량으로 제한된다. 일반적으로는 PPE/유기 포스페이트 농축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유기 포스페이트의 약 50 중량% 미만의 양이다.
최종 조성물에서, 난연제는 조성물에 난연성을 부여하는데 필요한 최소량 이상으로 존재하고, 구체적인 적용 필수요건에 따라 V-0, V-1 또는 V-3의 속도로 UL-94 프로토콜을 통과시킨다. 개별적인 양은 유기 포스페이트의 분자량, 존재하는 가연성 수지의 양 및 조성물에 또한 포함될 수도 있는 기타 가능한 통상적인 가연성 성분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조성물은, 하기 (a), (b) 및 (c)의 바람직한 범위내의 양((a), (b) 및 (c)의 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함)으로 조성물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을 갖는다:
(a)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는 약 30 내지 약 70 중량부이고,
(b) 알케닐방향족 화합물의 비-엘라스토머성 중합체는 약 20 내지 약 60 중량부이고,
(c) 유기 포스페이트는 약 10 내지 약 30 중량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혼화제, 내충격성 개량제, 산화방지제, 드립 지연제(drip retardant), 결정화 핵생성제, 염료, 안료, 착색제, 상승제, 강화제, 충전제, 안정화제 및 정전기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의 효과량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효과량 및 도입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첨가제의 효과량은 매우 다양하지만, 통상적으로는 전체 조성물의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60 중량% 이하 또는 이상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수지 조성물은, 제형화하는 경우 목적하는 임의의 부가적인 첨가제와 재료를 인접 혼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방법은 용액 블렌딩 및 용융 블렌딩을 포함한다. 상업용 중합체 가공 설비에 있어서 용융 블렌딩 장비가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용융 가공법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융 배합 방법에 사용되는 장비의 예는 다음과 같다: 같은방향 및 반대방향 회전 압출기, 단축 스크류 압출기, 디스크-팩 가공기 및 다양한 다른 유형의 압출 장비를 포함한다. 몇몇의 예에서, 배합된 재료는 다이에서 작은 출구 홀을 통해 압출기로부터 압출되고, 용융된 수지의 생성된 가닥은 수욕을 통과시킴으로써 냉각된다. 냉각된 가닥은 팩킹 및 추가의 취급을 위해서 작은 펠렛으로 절단될 수 있다.
모든 성분을 초기에 가공 시스템에 첨가할 수 있거나, 그밖의 특정 첨가제를 본 발명의 개시내용인 농축물의 경우에서와 같이, 서로 예비-배합할 수 있다. 배합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액체 주입 시스템을 사용하여 유기 포스페이트 화합물을 액체로서 배합기에 도입하는 것이 때때로 유리하다. 또한, 공급구 사이의 각각의 접합 부분에 하나 이상의 통기구를 사용하여 용융물을 새어나오게 하는 것(대기압 또는 진공)이 때때로 유리하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부적합한 추가의 실험없이 블렌딩 시간 및 온도 뿐만 아니라 성분의 첨가 위치 및 순서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개선된 성형제품이 본 발명의 추가의실시태양을 나타내는 것임이 분명하다.
참고로 인용된 모든 특허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태양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이들은 어떠한 양태로도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퍼센트는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중량%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설명한다.
조성물은, (1) 분말(대조용) 형태, (2) 약 3㎜ x 약 3㎜미만의 입자 크기로 분쇄된 형태, (3) 약 1㎜ x 3㎜(미니(mini))의 크기를 갖는 펠렛 형태, 및 (4) 3㎜ x 3㎜ 크기(규격)를 갖는 펠렛 형태의 PPE를 비교함으로써 평가되었다. PPE로부터 직접 유도된 조성물과 비교해서, PPE와 HIPS 또는 포스페이트 난연제(예를 들어, 테트라페닐 레조르시놀 디포스페이트: "RDP")의 농축물은 또한 3㎜ x 3㎜의 크기(규격)를 갖는 펠렛 또는 약 3㎜ x 약 3㎜ 미만의 입자 크기로 분쇄된 형태로 평가되었다. PPE의 에너지 도입량은, PPE가 11개 배럴의 이축 스크류 압출기 중 첫 번째 배럴에 첨가되는 "높음(high)", 또는 PPE가 상기 압출기 중 일곱 번째 배럴에 첨가되는 "낮음(low)"으로서 변화되었다. PPE의 I.V.는 0.33, 0.40 및 0.46으로 변화시켰다. 표준 최종 제형화는 모두 중량부로서 다음과 같았다: PPE: 41.75; HIPS: 37.22; 테트라페닐 레조르시놀 디포스페이트: 17.6;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폴리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7; LLDPE: 1.1; 트리데실포스파이트: 0.39; ZnO:0.1; ZnS: 0.1; TSAN: 0.2.
조성물은, 약 280 내지 320℃의 온도에서 배합시 용융물에 적용된 진공으로 베르너-플라이더러 이축 스크류 압출기 상에서 압출되었다. 농축물의 경우, 진공 수치는 전형적으로 낮은데, 예를 들어, 0 내지 약 3 인치이다. 최종 조성물의 경우, 진공 수치는 전형적으로 높은데, 예를 들어 약 3 내지 약 30 인치이다. 생성된 조성물은 약 275 내지 300℃의 설정 온도 및 약 80 내지 100℃의 성형 온도를 사용하고, 반 도른(van Dorn)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성형되었다. 또한, 조성물의 샘플은 ASTM D256(2.5인치 x 0.5인치 x 0.125인치 크기 샘플을 사용함)에 따라 노치 아이조드 충격 강도, ASTM D3763(4인치 직경 x 0.125 인치의 디스크를 사용함)에 따른 다이나트업(Dynatup)(파괴 에너지, 낙추충격시험) 강도, ASTM D790(6인치 x 0.5인치 x 0.25인치 샘플 크기를 사용함)에 따른 굽힘탄성률 및 굽힘강도, 및 ASTM D638에 따른 파단시 인장 항복 및 인장 연신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조성이 동일하되, PPE의 형태가 다양한 조성물과 비교한다. 샘플 19 내지 21은, PPE의 I.V.를 변화시키지만 PPE를 상업적으로 분리되고 이용가능한 분말 형태로 사용한 대조용을 설명한다. 이러한 조성물에서 수득된 물성은, 동일한 방법 또는 신규한 방법에서 PPE가 대체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라도 분리된 분말에 상응하며 이러한 경우 요구되는 바람직할 목적 값을 보유함을 입증한다. 샘플 1 내지 6은, PPE의 I.V.를 변화시키지면 PPE가 약 3㎜ x 약3㎜의 평균 크기를 갖는 펠렛 형태인 동일한 조성물에서 수득된 물성을 설명한다. 샘플 1 및 2의 특성과 동일한 I.V.를 갖는 PPE의 대조용 샘플 19; 또는 샘플 3 및 4의 특성과 대조용 샘플 20; 또는 샘플 5 및 6의 특성과 대조용 샘플 21을 비교하면, 약 3㎜ x 약 3㎜의 평균 크기를 갖는 펠렛을 사용한 경우 실질적으로 불량한 충격 강도, 특히 다이나트업 다트 충격 강도(Dynatup dart impact strength)를 수득함을 증명한다. 마찬가지로, 샘플 7 및 8의 특성과 동일한 I.V.를 갖는 PPE의 대조용 샘플 19; 또는 샘플 9 및 10의 특성과 대조용 샘플 20; 또는 샘플 11 및 12의 특성과 대조용 샘플 21을 비교하면, 약 3㎜ x 약 3㎜의 평균 크기를 갖는 미니-펠렛을 사용한 경우 실질적으로 불량한 충격 강도, 특히 다이나트업 다트 충격 강도를 수득함을 증명한다.
펠렛 및 미니-펠렛을 사용한 결과와는 대조적으로, 샘플 13 및 14의 특성과 동일한 I.V.를 갖는 PPE의 대조용 샘플 19; 또는 샘플 15 및 16의 특성과 대조용 샘플 20; 또는 샘플 17 및 18의 특성과 대조용 샘플 21을 비교하면, 분쇄된 재료를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양호한 물성을 수득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PPE 입자 크기가 물성, 특히 다이나트업 다트 충격 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은 예기치 못한 것이었다. 표준 3㎜ x 3 ㎜ 펠렛 보다 작은 PPE 입자, 및/또는 분쇄된 입자의 불규칙한 형태를 이용하면 배합 과정 중에 적은 전단 열을 제공하여 재료의 열 및 전단 분해가 적어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표 3의 데이터는 HIPS 또는 RDP를 갖는 PPE를 함유한 농축 조성물들을 비교한다. 이러한 데이터, 특히 샘플 26 및 27을 HIPS 또는 RDP의 적재량을 30 중량%갖는 샘플 28 및 29과 각각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가의 농축물은 포스페이트 재료를 갖는 PPE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포스페이트의 매우 높은 적재량을 함유한 농축물이 이러한 허용가능한 물성을 갖게 된다는 사실은 예기치 못한 것이었다. 다트 충격 강도 값이 매우 높다는 사실은 특히 예기치 못한 것이었다. 샘플 28 및 29의 PPE/포스페이트 농축물을 분쇄된 재료로서가 아닌 펠렛으로서 사용했다면 이러한 결과는 또한 예기치 못한 것이었다.
또한, 본 발명이 PPE 분말의 분진 폭발 경향을 감소시키면서 PPE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음이 분명해야 한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을 설명하기 위해서 기술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제품을 포함하고 있음이 분명해야 한다.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내의 추가의 실시태양 및 이점은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Claims (11)

  1. a) 하나 이상의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및 b) 하나 이상의 폴리스티렌 수지를 함유한 열가소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유기 포스페이트 화합물을 함유한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의 농축물을 포함하고, 상기 농축물이 약 75 마이크론 크기 미만의 입자를 5 중량% 미만으로 갖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농축물이 본질적으로 약 75 마이크론 크기 미만의 입자를 갖지 않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농축물이 농축물 중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유기 포스페이트 화합물 약 5 중량% 이상을 함유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농축물이 농축물 중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유기 포스페이트 화합물 약 15 중량% 이상을 함유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농축물이 농축물 중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유기 포스페이트 화합물 약 20 중량% 이상을 함유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5 내지 약 70 중량%로 존재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 포스페이트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 식에서,
    R1, R3및 R5는 독립적으로 탄화수소이고,
    R2, R4, R6및 R7은 독립적으로 탄화수소 또는 하이드로카본옥시이고,
    X1, X2및 X3은 할로겐이고,
    m 및 r은 0, 또는 1 내지 4의 정수이고,
    n 및 p는 1 내지 30이다.
  8.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 포스페이트 화합물이
    페닐 비스도데실 포스페이트, 페닐비스네오펜틸 포스페이트, 페닐-비스(3,5,5'-트리-메틸-헥실 포스페이트), 에틸디페닐 포스페이트, 2-에틸-헥실디(p-톨릴) 포스페이트, 비스-(2-에틸헥실) p-톨릴포스페이트, 트리톨릴 포스페이트, 비스-(2-에틸헥실) 페닐 포스페이트, 트리-(노닐페닐) 포스페이트, 디(도데실) p-톨릴 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디부틸페닐 포스페이트, 2-클로로에틸디페닐 포스페이트, p-톨릴 비스(2,5,5'-트리메틸헥실) 포스페이트 및 2-에틸헥실디페닐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안정화제, 염료, 드립 방지제(drip suppresser), 안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0. 제 1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조성물.
  11. 제 1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제품.
KR1020017012490A 1999-04-02 2000-03-17 유기 포스페이트를 함유한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농축물 KR100697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85,574 US6258879B1 (en) 1999-04-02 1999-04-02 Polyphenylene ether resin concentrates containing organic phosphates
US09/285,574 1999-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645A true KR20020005645A (ko) 2002-01-17
KR100697928B1 KR100697928B1 (ko) 2007-03-20

Family

ID=23094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490A KR100697928B1 (ko) 1999-04-02 2000-03-17 유기 포스페이트를 함유한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농축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6258879B1 (ko)
EP (1) EP1173510A1 (ko)
JP (1) JP4242568B2 (ko)
KR (1) KR100697928B1 (ko)
CN (1) CN1191294C (ko)
AU (1) AU3759400A (ko)
MX (1) MXPA01009931A (ko)
MY (1) MY133198A (ko)
TW (1) TW520385B (ko)
WO (1) WO20000599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976B1 (ko) * 2002-04-23 2005-03-25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6821A (en) * 1999-04-02 2000-08-01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phenylene ether resin concentrates
US6258879B1 (en) * 1999-04-02 2001-07-10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phenylene ether resin concentrates containing organic phosphates
EP1278799A1 (en) * 2000-03-30 2003-01-29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parent, flame retardant poly(arylene ether) blends
WO2004026962A2 (en) * 2002-09-20 2004-04-01 General Electric Company Underhood components
US7253227B2 (en) * 2002-12-19 2007-08-07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arylene ether) composition useful in blow molding
US7541399B2 (en) 2003-09-30 2009-06-02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poly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
US7439284B2 (en) * 2004-03-31 2008-10-2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Method of making poly(arylene ether) compositions
US20090043765A1 (en) * 2004-08-20 2009-02-12 Rhoderick John Kennedy Pugh Server authentication
US20070106000A1 (en) * 2005-11-10 2007-05-10 Hua Guo Polymer blend and method for its isolation
US8026303B2 (en) 2006-01-06 2011-09-27 Icl-Ip America Inc. Halogen-free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thermoplastic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compositions
US20070238190A1 (en) * 2006-03-30 2007-10-11 Steven Klei Method of authenticating a poly(arylene ether) composition
US20070238831A1 (en) * 2006-03-30 2007-10-11 Steven Klei Poly(arylene ether)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544728B2 (en) * 2006-04-19 2009-06-09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Production process of polyphenylene ether composition
CN102775757B (zh) * 2007-01-10 2015-05-27 沙特基础全球技术有限公司 低烟气密度聚(亚芳基醚)组合物,方法,和制品
US8057873B2 (en) * 2008-04-28 2011-11-15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Injectio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8901222B2 (en) 2010-10-13 2014-12-02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Poly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of resin composition
US8222331B2 (en) 2010-12-14 2012-07-17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Injection molded article with poly(arylene ether)-block copolymer composition
US8524137B2 (en) 2011-05-26 2013-09-03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Injectio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20150191594A1 (en) * 2014-01-03 2015-07-09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Non-dusting poly(phenylene ether) particles
JP2018115305A (ja) * 2017-01-20 2018-07-26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系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系樹脂粒子の製造方法、及びポリスチレン系樹脂粒子の製造方法
CN111117046B (zh) * 2019-12-23 2022-11-11 南京海兆新材料有限公司 低添加量高阻燃性的阻燃母粒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9925A (en) 1961-06-26 1965-02-16 Shell Oil Co High temperature lubricants and phosphorus containing polymers
US3360591A (en) 1962-07-31 1967-12-26 Mobil Oil Corp Diphosphates of divalent aryl hydrocarbons
US3302893A (en) 1964-02-18 1967-02-07 Wedco Disc mill
NL141540B (nl) 1965-01-06 1974-03-15 Gen Electric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polystyreen bevattend polymeermengsel, dat tot voortbrengsels met een grote buig- en treksterkte kan worden verwerkt, alsmede dergelijke voortbrengsels.
US3584799A (en) 1967-07-27 1971-06-15 Wedco Disc mill for working of thermoplastic material
US3561685A (en) 1968-01-31 1971-02-09 Wedco Center fed mill with arcuate discharge screens
US3620463A (en) 1970-01-28 1971-11-16 Wedco Disc mill
US4128602A (en) 1970-04-24 1978-12-05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phenylene ether compositions containing rubber modified polystyrene
US3883613A (en) 1972-12-04 1975-05-13 Gen Electric Flame retardant composition of polyphenylene ether, styrene resin and trimesityl phosphat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4113800A (en) 1974-11-25 1978-09-12 General Electric High impact poly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s that include A-B-A block copolymers
US4097550A (en) 1976-06-08 1978-06-27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ion of a radial teleblock copolymer and a copolymer of a vinyl aromatic compound and an α,β unsaturated cyclic anhydride
US5594054A (en) 1976-12-21 1997-01-14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flexibilized polyphenylene ether compositions
US4101505A (en) 1977-04-13 1978-07-18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ions of a polyphenylene ether resin and EPDM rubber-modified alkenyl aromatic resins having specified gel content
US4101503A (en) 1977-04-13 1978-07-18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ions of a polyphenylene ether resin and high molecular weight alkenyl aromatic resins modified with EPDM rubber
US4101504A (en) 1977-04-13 1978-07-18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impact compositions of a polyphenylene ether resin and alkenyl aromatic resins modified with EPDM rubber
DE2739843A1 (de) 1977-09-03 1979-03-15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ehermolekularen phosphorsaeure- bzw. phosphonsaeurearylestern
US4520152A (en) 1977-09-06 1985-05-28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composition of polyphenylene ether, styrene resin and cyclic phosphonate
US4154775A (en) 1977-09-06 1979-05-15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composition of polyphenylene ether, styrene resin and cyclic phosphate
US4154712A (en) 1977-09-30 1979-05-15 General Electric Company Low molecular weight polyphenylene ether compositions
US4191685A (en) 1977-10-03 1980-03-04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ion of polyphenylene ether, aromatic phosphate, aromatic halogen compound and impact modifier comprising diene polymer
US4139574A (en) 1977-11-28 1979-02-13 General Electric Company Impact resistant poly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EPDM rubber-modified alkenyl aromatic resins and hydrogenated radial teleblock copolymers
US4246169A (en) 1978-04-19 1981-01-20 Fmc Corporation Flammable plastics containing a flame retardant amount of polyarylphosphates and the polyarylphosphates
GB2043083A (en) 1979-03-06 1980-10-01 Gen Electric Flame retardant polyphenylene ether compositions
US4254775A (en) 1979-07-02 1981-03-10 Mieczyslaw Mirowski Implantable defibrillator and package therefor
JPS5924736A (ja) 1982-08-02 1984-02-08 Adeka Argus Chem Co Ltd 難燃性ポリ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S5945351A (ja) 1982-09-08 1984-03-14 Adeka Argus Chem Co Ltd 難燃性組成物
DE3377138D1 (en) 1982-09-10 1988-07-28 Bayer Ag Flame-retardant polymer mixtures
DE3315802A1 (de) 1983-04-30 1984-10-31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additive enthaltenden polyphenylenethern und deren verwendung als mischungskomponente mit anderen polymeren
DE3521388A1 (de) 1985-06-14 1986-12-18 Bayer Ag, 5090 Leverkusen Thermoplastische formmassen mit flammwidrigen eigenschaften
DE3523314A1 (de) 1985-06-29 1987-01-02 Bayer Ag Thermoplastische polycarbonatformmassen
DE3541406A1 (de) 1985-11-23 1987-05-27 Bayer Ag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basis polyphenylenoxid-polycarbonat-blockkondensaten
NL8600670A (nl) 1986-03-17 1987-10-16 Gen Electric Polymeermengsel, dat een polyfenyleenether, een blokcopolymeer, een fosfaatester en toeslagstoffen bevat.
JPS635161A (ja) 1986-06-25 1988-01-11 Mitsubishi Electric Corp 遊星歯車式減速スタ−タ
DE3700208A1 (de) 1987-01-07 1988-07-21 Bayer Ag Phosphorhaltige oligomere und polymere mit polyphenylenetherbloecken sowie mischungen anderer kunststoffe mit ihnen
US5268425A (en) * 1988-02-15 1993-12-07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DE3819081A1 (de) 1988-06-04 1989-12-07 Bayer Ag Flammwidrige, schlagzaehe polycarbonat-formmassen
US4927870A (en) 1988-08-25 1990-05-22 The Dow Chemical Company Ignition resistant modified thermoplastic composition
JPH02187456A (ja) 1988-12-13 1990-07-23 Nippon G Ii Plast Kk 難燃性樹脂組成物
JPH02187452A (ja) 1988-12-13 1990-07-23 Nippon G Ii Plast Kk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系樹脂およびポリエステルを含む組成物
DE4015740A1 (de) * 1990-05-16 1991-11-21 Hoechst Ag Antistatisch ausgeruestete, lichtstabile polyphenylenether-formmasse
US5071894A (en) 1990-08-03 1991-12-10 Stamicarbon B.V. Flame retardant polyamides
EP0491986A1 (en) 1990-12-24 1992-07-01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oligomeric phosphoric or phosphonic acid esters
JP3142885B2 (ja) 1991-03-07 2001-03-07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系樹脂組成物
NL9101210A (nl) 1991-07-10 1993-02-01 Gen Electric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vlamvertragende expandeerbare polyfenyleenether/polystyreen mengsels.
DE69223758T2 (de) * 1991-08-12 1998-07-30 Gen Electric Flammhemmende leitfähige zusammensetzungen auf basis von polyphenylenether
JPH0598118A (ja) 1991-10-14 1993-04-20 Asahi Chem Ind Co Ltd スチレン系難燃耐熱耐衝撃性樹脂組成物
DE69223384T2 (de) * 1991-11-18 1998-06-25 Dow Corning Mit Silikonkautschukpulver modifizierte Polyphenylenetherharze
US5270386A (en) * 1992-03-10 1993-12-14 The Dow Chemical Company Styrenic copolymers modified with poly (phenylene ether)
DE4211416C3 (de) * 1992-04-04 2000-07-13 Benecke Ag J H Folie oder Formkörper aus einem thermoplastischen Kunststoff mit einem Terpolymergehalt sowie deren Verwendung
DE69321704T2 (de) 1992-08-06 1999-07-01 Asahi Chemical Ind Harzzusammensetzung
JP3297523B2 (ja) * 1994-02-03 2002-07-02 旭化成株式会社 難燃樹脂材料製造用ペレット、及び難燃樹脂材料の製造方法
ATE203449T1 (de) * 1994-10-20 2001-08-15 Idemitsu Petrochemical Co Styrolharzpellets und daraus geformte gegenstände
US6093760A (en) 1995-03-03 2000-07-25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Flame retardant for styrene resin an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JP3658810B2 (ja) 1995-08-02 2005-06-08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系フィルム又はシートの製造方法
JP3724861B2 (ja) * 1995-10-19 2005-12-07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を含有する難燃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US6258879B1 (en) * 1999-04-02 2001-07-10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phenylene ether resin concentrates containing organic phosphat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976B1 (ko) * 2002-04-23 2005-03-25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58879B1 (en) 2001-07-10
MXPA01009931A (es) 2002-06-21
MY133198A (en) 2007-10-31
EP1173510A1 (en) 2002-01-23
JP4242568B2 (ja) 2009-03-25
AU3759400A (en) 2000-10-23
JP2002541290A (ja) 2002-12-03
CN1191294C (zh) 2005-03-02
WO2000059995A1 (en) 2000-10-12
US20010031808A1 (en) 2001-10-18
KR100697928B1 (ko) 2007-03-20
TW520385B (en) 2003-02-11
CN1345351A (zh) 2002-04-17
US6486244B2 (en) 2002-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928B1 (ko) 유기 포스페이트를 함유한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농축물
KR100707584B1 (ko) 방염성 팽창가능한 폴리(아릴렌 에테르)/폴리스티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EP1732985B1 (en) Method of making poly(arylene ether) compositions
JP2002542329A (ja) 延性の向上した組成物
KR100672159B1 (ko) 폴리페닐렌 에테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제품
US20030125430A1 (en) Transparent, flame retardant poly(arylene ether) blends
US6359043B1 (en) Mica as flame retardant in glass filled noryl
EP1543070B1 (en) Flameproof styrenic resin composition
KR2015003896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0576326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355411B1 (ko) 열가소성 난연성 수지조성물
JP3716496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
EP0818507A1 (en) High flow poly (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s
KR20040061758A (ko) 난연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조성물
JPH08225739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