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2295A - 반도체 메모리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2295A
KR20020002295A KR1020010038054A KR20010038054A KR20020002295A KR 20020002295 A KR20020002295 A KR 20020002295A KR 1020010038054 A KR1020010038054 A KR 1020010038054A KR 20010038054 A KR20010038054 A KR 20010038054A KR 20020002295 A KR20020002295 A KR 20020002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ddress
circuit
edge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8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6556B1 (ko
Inventor
후지따가쯔유끼
나까가와가오루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20002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2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8Address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Control signal in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6Output synchroniz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2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emories with random access ports synchronised on clock signal pulse trains, e.g. synchronous memories, self timed memo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5Clock input buf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는 메모리 셀, 클럭 신호, 어드레스 회로 및 커맨드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 셀은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지정되며 정보를 기억한다. 상기 클럭 신호는 상기 메모리 셀에 대한 동작의 타이밍을 취하기 위해서 공급되어 상승 엣지와 하강 엣지를 갖는다. 상기 어드레스 회로는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엣지와 하강 엣지 양 쪽의 엣지에 동기하여, 상기 메모리 셀을 지정하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취득한다. 상기 커맨드 회로는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엣지와 하강 엣지 양 쪽의 엣지에 동기하여 상기 동작을 지시하는 커맨드용 신호를 취득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SEMICONDUCTOR MEMORY}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DDR(Double Data Rate) 전송 기술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점점 더 컴퓨터 시스템의 고속화에 대한 요구는 강해지고 있다. 그 때문에, 메모리와 CPU 간의 데이터 전송을 동작 타이밍을 취하기 위해서 공급되는 클럭 신호의 상승 엣지와 하강 엣지 양 쪽에 동기시켜서 행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을 실효적으로, 종래의 배의 스피드로 행하는 DDR(Double Data Rate) 전송 기술을 이용한 싱크로너스 DRAM(DDR-SDRAM)이 현재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싱크로너스 DRAM(DDR-SDRAM)에서는 데이터의 입출력은 DDR 동작을 하고 있지만,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CAS, 칩 셀렉트 신호 bCS, 기록 인에이블 신호 bWE, 뱅크 셀렉트 신호(BS0, BS1), 로우(컬럼) 어드레스 신호(A0 ∼ A11) 등의 각 신호까지는 DDR 동작을 하게 하지 않는다. 신호명 중 머릿 문자 b는 반전 신호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로우 어드레스, 컬럼 어드레스의 각 신호는 어드레스 버스, 입력 핀, 입력 버퍼 등이 공통화되어 있어 동시에 입력할 수 없다.
이상의 두가지점에서, 특히 랜덤한 로우 액세스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 1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상의 간극이 생기고, 실효적인 데이터 전송레이트를 악화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또, 도 1은 CAS 신호의 레이턴시가 2, 버스트 길이가 4, 뱅크수가 4인 인터리브에서의 판독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CAS 신호의 레이턴시가 2, 버스트 길이가 4, 뱅크수가 4인 인터리브에서의 기입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CAS 신호의 레이턴시가 2, 버스트 길이가 2, 뱅크수가 4의 인터리브에서의 판독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은 CAS 신호의 레이턴시가 2, 버스트 길이가 2, 뱅크수가 4의 인터리브에서의 기입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데이터 전송레이트를 악화시킨다는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어드레스 버스, 입력 핀, 입력 버퍼 등을 로우 어드레스 전용, 컬럼 어드레스 전용으로 별도로 설치한다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으로는, 로우 어드레스, 컬럼 어드레스를 동시에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어드레스 버스, 입력 핀, 입력 버퍼 등을 형성하기 위한 면적이 2배 필요해지고 칩 면적이 증대하기 때문에 실현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칩 면적을 증대시키지 않고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할 수 있어, 회로 동작의 고속화가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제1 측면에서 본 반도체 메모리는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 셀 - 상기 메모리 셀은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지정됨 - ;상기 메모리 셀에 대한 동작의 타이밍을 취하기 위해서 공급된 클럭 신호 - 상기 클럭 신호는 상승 엣지와 하강 엣지를 포함함 - ;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엣지와 하강 엣지 양 쪽의 엣지에 동기하여, 상기 메모리 셀을 지정하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취득하는 어드레스 회로;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엣지와 하강 엣지 양쪽의 엣지에 동기하여 상기 동작을 지시하는 커맨드용 신호를 취득하는 커맨드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제2 측면에서 본 반도체 메모리는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 셀 - 상기 메모리 셀은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지정됨 - ; 상기 메모리 셀에 대한 동작의 타이밍을 취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클럭 생성 회로;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엣지, 하강 엣지 중 어느 한쪽 엣지에 동기하여, 상기 메모리 셀을 지정하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유지하는 제1 유지 회로; 상기 제1 유지 회로에 의한 유지 시에 이용한 상기 한쪽의 엣지와 상이한 다른 쪽의 엣지에 동기하여,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유지하는 제2 유지 회로; 상기 제1 유지 회로에 유지된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디코드하는 제1 디코드 회로; 상기 제2 유지 회로에 유지된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디코드하는 제2 디코드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제3 측면에서 본 반도체 메모리는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 셀; 상기 메모리 셀에 대한 동작의 타이밍을 취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클럭 생성 회로;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엣지, 하강 엣지중 어느 한쪽 엣지에 동기하여, 상기 동작을 지시하는 커맨드용 신호를유지하는 제1 유지 회로; 상기 제1 유지 회로에 의한 유지시에 이용한 상기 한쪽 엣지와 상이한 다른 쪽 엣지에 동기하여, 상기 커맨드용 신호를 유지하는 제2 유지 회로; 상기 제1 유지 회로에 유지된 상기 커맨드용 신호를 디코드하는 제1 디코드 회로; 상기 제2 유지 회로에 유지된 상기 커맨드용 신호를 디코드하는 제2 디코드 회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반도체 메모리에서는, 데이터의 입출력뿐만아니라, 어드레스 신호, 뱅크 선택 신호나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칩 셀렉트 신호 및 기록 인에이블 신호의 각 커맨드용 신호도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과 하강 양 쪽에 동기하여 취득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할 수 있어 회로 동작의 고속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하게 각 신호를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과 하강 양 쪽에 동기하여 취득하는 것뿐만아니라, 각각의 신호를 그 목적에 따라, 어떤 신호는 클럭 신호의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취득하는 것에 한정하고, 또 다른 어떤 신호는 클럭 신호의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취득하는 것에 한정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입력하는 신호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로의 간소화가 도모되고 칩 면적의 삭감 및 회로 동작의 고속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싱크로너스 DRAM에서의 판독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2는 종래의 싱크로너스 DRAM에서의 기입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3은 종래의 싱크로너스 DRAM에서의 판독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4는 종래의 싱크로너스 DRAM에서의 기입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반도체 메모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a ∼ 도 6e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내의 클럭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7a ∼ 도 7e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내의 커맨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8a ∼ 도 8c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내의 어드레스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9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에서의 클럭 생성부, 커맨드부, 어드레스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10은 상기 반도체 메모리에서의 판독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11은 상기 반도체 메모리에서의 기입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12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에서의 판독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13은 상기 반도체 메모리에서의 기입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커맨드 신호 버퍼
12a, 13a, 13b : 커맨드 래치
12b :커맨드 디코더
14 : 컨트롤 신호 제너레이터
16 : 어드레스 버퍼
17a : 로우 어드레스 래치
18a : 컬럼 어드레스 래치
17b :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
18b :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
20 : 클럭 생성부
22 : 리프레쉬 카운터
23 : DQ 버퍼
30 : 커맨드부
40 : 어드레스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반도체 메모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맨드 신호 버퍼(11)에는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 기록 인에이블 신호 bWE, 칩 셀렉트 신호 bCS가 입력된다. 이 커맨드 신호 버퍼(11)의 출력은 커맨드 래치(12A)를 통하여 커맨드 디코더(12B)에 입력됨과 함께, 커맨드 래치(13A)를 통해 커맨드 디코더(13B)에 입력된다.
상기 커맨드 디코더(12B)와, 커맨드 디코더(13B)의 출력은 각각 컨트롤 신호 제너레이터(14)에 입력된다. 컨트롤 신호 제너레이터(14)의 출력은 뱅크 BK0 ∼ 뱅크 BKn을 갖는 뱅크 블록(15)에 입력된다. 여기서는, 뱅크 블록(15)이 뱅크 BK0 ∼ 뱅크 BK3을 갖는 경우, 즉 뱅크수가 4개인 경우를 진술한다. 뱅크는 동시에 액세스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의 집합체의 최소 단위이다.
또한, 어드레스 버퍼(16)에는 어드레스 신호 ADDRESS(A0 ∼ A11), 뱅크 셀렉트 신호 BSn(BS0, BS1)이 입력된다. 이 어드레스 버퍼(16)의 출력은 로우 어드레스 래치(17A), 컬럼 어드레스 래치(18A)에 각각 입력된다. 로우 어드레스 래치(17A)의 출력은 모드 레지스터(19)에 입력됨과 함께,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17B)를 통해 뱅크 블록(15)에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컬럼 어드레스 래치(18A)의 출력은 모드 레지스터(19)에 입력됨과 함께,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18B)를 통해 뱅크 블록(15)에 입력된다.
또한, 클럭 생성부(20)에는 외부로부터 클럭 신호 CLK가 입력된다. 클럭 생성부(20)로부터는 클럭 신호 bCMDLTC가 커맨드 래치(12A)에 출력된다. 또한, 클럭 신호 CMDLTC가 커맨드 래치(13A)에 출력된다. 또한, 클럭 생성부(20)로부터는 클럭 신호 ADDDLTC가 로우 어드레스 래치(17A)에 출력된다. 또한, 클럭 신호 bADDDLTC가 컬럼 어드레스 래치(18A)에 출력된다. 또한, 클럭 생성부(20)로부터출력되는 클럭 신호는 컨트롤 신호 제너레이터(14), 메모리 셀 어레이부(뱅크 블록 ; 15)에 각각 입력된다.
또한, 컬럼 카운터(21)의 출력은 컬럼 어드레스 래치(18A)에 입력된다. 리프레시 카운터(22)의 출력은 로우 어드레스 래치(17A)에 입력된다. 그리고, 메모리 셀 어레이부(15)로부터는 DQ 버퍼(23)를 통해 데이터 DQ0 ∼ DQn이 출력된다. 메모리 셀 어레이부(15)는 뱅크 BK0 ∼ BK3을 갖는다.
또, 커맨드 신호 버퍼(11), 커맨드 래치(12A), 커맨드 디코더(12B), 커맨드 래치(13A) 및 커맨드 디코더(13B)에 의해, 커맨드부(3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어드레스 버퍼(16), 로우 어드레스 래치(17A), 컬럼 어드레스 래치(18A),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17B) 및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18B)에 의해 어드레스부(4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럭 생성부(20)는 커맨드부(30)로써 이용하는 클럭 신호 bCMDLTC, 신호 CMDLTC와, 어드레스부(40)로써 이용하는 클럭 신호 bADDDLTC, 신호 ADDDLTC를 생성한다. 클럭 신호 bCMDLTC, 신호 CMDLTC는 커맨드부(30)로써 동작 개시의 동기를 취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클럭 신호 bADDDLTC, 신호 ADDDLTC는 어드레스부(40)로써 동작 개시의 동기를 취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상기 커맨드부(30)는 커맨드 신호 버퍼(11)에 입력된 상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 기록 인에이블 신호 bWE, 칩 셀렉트 신호 bCS 각각을 클럭 신호 bCMDLTC에 동기하여 커맨드 래치(12A)에서 래치하고, 래치한 각각의 신호를 커맨드 디코더(12B)에 출력한다. 커맨드 디코더(12B)는 입력된 신호를 디코드하여 임의의로우계통 회로 동작을 행하기 위한 신호 ROW-COMMAND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커맨드부(30)는 커맨드 신호 버퍼(11)에 입력된 상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 기록 인에이블 신호 bWE, 칩 셀렉트 신호 bCS 각각을, 클럭 신호 CMDLTC에 동기하여 커맨드 래치(13A)에서 래치하고, 래치한 각각의 신호를 커맨드 디코더(13B)에 출력한다. 커맨드 디코더(13B)는 입력된 신호를 디코드하여, 임의의 컬럼계통 회로 동작을 행하기 위한 신호 COLUMN-COMMAND를 출력한다.
상기 어드레스부(40)는 커맨드 버퍼(16)에 입력된 상기 어드레스 신호 ADDRESS를 클럭 신호 bADDDLTC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래치(17A)에서 래치하고, 래치한 신호 ROW-ADDRESS를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17B)에 출력한다.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17B)는 입력된 신호 ROW-ADDRESS를 디코드하여 임의의 로우 어드레스 선택선을 활성화한다.
또한, 상기 어드레스부(40)는 커맨드 버퍼(16)에 입력된 상기 어드레스 신호 ADDRESS를 클럭 신호 ADDDLTC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래치(18A)로써 래치하고, 래치한 신호 COLUMN-ADDRESS를 어드레스 디코더(도시하지 않음)에 출력한다. 어드레스 디코더는 입력된 신호 COLUMN-ADDRESS를 디코드하여 임의의 컬럼 어드레스 선택선을 활성화한다.
또한, 상기 어드레스부(40)는 커맨드 버퍼(16)에 입력된 상기 뱅크 셀렉트 신호 BSn을, 클럭 신호 bADDDLTC, 신호 ADDDLTC에 각각 동기하여 래치 회로(도시하지 않음)로써 래치한다. 또한, 래치한 신호를 디코더(도시하지 않음)로써 디코드하여 뱅크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 BS<0 : 3>을 출력한다.
다음에, 도 6a ∼ 도 6e, 도 7 a ∼ 도 7e 및 도 8a ∼ 도 8c를 이용하여, 클럭 생성부(20), 커맨드부(30), 어드레스부(40)의 상세한 회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이들 클럭 생성부(20), 커맨드부(30), 어드레스부(40)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6a ∼ 도 6e는 클럭 생성부(20)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버퍼 IB1에 입력된 클럭 신호 CLK는 인버터 I1, I2, I3, I4를 통하여, 인버터 I4의 출력부로부터 클럭 신호 ACP로서 출력된다. 또한, 신호 ACP는 인버터 I5를 통하여 클럭 신호 bACP로서 출력된다. 이들 클럭 신호 CLK, 클럭 신호 ACP, 클럭 신호 bACP의 파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럭 신호 ACP는 NAND 회로 NA1의 제1 단자에 입력됨과 함께, 인버터 I6, I7, I8을 통하여 NAND 회로 NA1의 제2 단자에 입력된다. 이 NAND 회로 NA1의 출력부로부터는 클럭 신호 bCMDLTC가 출력된다. 또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럭 bACP 신호는 NAND 회로 NA2의 제1 단자에 입력됨과 함께, 인버터 I9, I10, I11을 통하여 NAND 회로 NA2의 제2 단자에 입력된다. 이 NAND 회로 NA2의 출력부로부터는 클럭 신호 CMDLTC가 출력된다. 이들 클럭 신호 bCMDLTC, 클럭 신호 CMDLTC의 파형은 도 9에 도시한다.
또한,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럭 ACP 신호는 NAND 회로 NA3의 제1 단자에 입력됨과 함께, 인버터 I12, I13, I14를 통하여 NAND 회로 NA3의 제2 단자에 입력된다. 이 NAND 회로 NA3의 출력부로부터는 클럭 신호 bADDDLTC가 출력된다. 또한,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럭 bACP 신호는 NAND 회로 NA4의제1 단자에 입력됨과 함께, 인버터 I15, I16, I17을 통하여 NAND 회로 NA4의 제2 단자에 입력된다. 그리고, NAND 회로 NA4의 출력부로부터는 신호 ADDDLTC가 출력된다. 이들 클럭 신호 bADDDLTC, 클럭 신호 ADDDLTC의 파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a ∼ 도 7e는 상기 커맨드부(30)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우선, 커맨드부(30) 내의 커맨드 신호 버퍼(11) 및 커맨드 래치(12A, 13A)의 회로 구성을 설명한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버퍼 IB11에 입력된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는 인버터 I21을 통해 드라이버 DR1에 입력된다. 이 드라이버 DR1의 출력은 클럭드 인버터 CI1을 통해, 래치 회로를 구성하는 인버터 I22 및 인버터 I23에 입력되고, 이 래치 회로의 출력부로부터는 신호 RASLTC가 출력된다. 또한, 드라이버 DR1의 출력은 클럭드 인버터 CI2를 통해, 래치 회로를 구성하는 인버터 I24 및 인버터 I25에 입력된다. 이 래치 회로의 출력부로부터는 신호 CASLTC가 출력된다. 또, 클럭드 인버터 CI1의 제어단에는 신호 bCMDLTC가 입력되며 클럭드 인버터 CI2의 제어단에는 신호 CMDLTC가 입력된다.
상기 도 7a에 나타내는 회로에서는 입력 버퍼 IB11에 신호 bRASCAS로서 "L"이 입력되면, 인버터 I21로써 반전되어 "H"가 되고, 드라이버 DR1을 통해 클럭드 인버터 CI1의 입력부에 공급된다. 클럭드 인버터 CI1은 제어단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 bCMDLTC가 "L"일 때만 열고, 입력부에 공급되어 있는 "H"를 "L"로 반전하여 인버터 I22, I23으로 이루어지는 래치 회로에 공급한다. 이 래치 회로는공급된"L"을 "H"로 반전하여, 신호 RASLTC로서 "H"를 출력한다. 또, 클럭드 인버터 CI1의 제어단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 bCMDLTC가 "H"일 때는 클럭드 인버터 CI1의 출력은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되어, 출력부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래치 회로에 래치되어 있는 신호가 그대로 신호 RASLTC로서 출력된다.
상기 인버터 I21로부터 출력되는 "H"는 드라이버 DR1을 통해 클럭드 인버터 CI2의 입력부에 공급된다. 클럭드 인버터 CI2는 제어단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 CMDLTC가 "L"일 때만 열고, 입력부에 공급되어 있는 "H"를 "L"로 반전하여 인버터 I24, I25로 이루어지는 래치 회로에 공급한다. 이 래치 회로는 공급된 "L"을 "H"로 반전하여, 신호 CASLTC로서 "H"를 출력한다. 또, 클럭드 인버터 CI2의 제어단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 CMDLTC가 "H"일 때는 클럭드 인버터 CI2의 출력부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래치 회로에 래치되어 있는 신호가 그대로 신호 CASLTC로서 출력된다.
또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버퍼 IB12에 입력된 신호 bWE는 인버터 I26을 통해 드라이버 DR2에 입력된다. 이 드라이버 DR2의 출력은 클럭드 인버터 CI3을 통해, 래치 회로를 구성하는 인버터 I27 및 인버터 I28에 입력되며, 이 래치 회로의 출력부로부터는 신호 WELTC-o가 출력된다. 또한, 드라이버 DR2의 출력은 클럭드 인버터 CI4를 통해, 래치 회로를 구성하는 인버터 I29 및 인버터 I30에 입력되며, 이 래치 회로의 출력부로부터는 신호 WELTC-e가 출력된다. 또, 클럭드 인버터 CI3의 제어단에는 신호 bCMDLTC가 입력되며, 클럭드 인버터 CI4의 제어단에는 신호 CMDLTC가 입력된다.
상기 도 7b에 도시하는 회로에서는 입력 버퍼 IB12에 신호 bWE로서 "L"이 입력되면, 인버터 I26으로써 반전되어 "H"가 되며, 드라이버 DR2를 통해 클럭드 인버터 CI3의 입력부에 공급된다. 클럭드 인버터 CI3은 제어단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 bCMDLTC가 "L"일 때만 열고, 입력부에 공급되어 있는 "H"를 "L"로 반전하여, 인버터 I27, I28로 이루어지는 래치 회로에 공급한다. 이 래치 회로는 공급된 "L"을 "H"로 반전하고, 신호 WELTC-o로서 "H"를 출력한다. 또, 클럭드 인버터 CI3의 제어단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 bCMDLTC가 "H"일 때는, 클럭드 인버터 CI3의 출력부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래치 회로에 래치되어 있는 신호가 그대로 신호 WELTC-o로서 출력된다.
상기 인버터 I26으로부터 출력되는 "H"는 드라이버 DR2를 통해 클럭드 인버터 CI4의 입력부에 공급된다. 클럭드 인버터 CI4는 제어단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 CMDLTC가 "L"일 때만 열고, 입력부에 공급되어 있는 "H"를 "L"로 반전하여 인버터 I29, I30으로 이루어지는 래치 회로에 공급한다. 이 래치 회로는 공급된 "L"을 "H"로 반전하여, 신호 WELTC-o로서 "H"를 출력한다. 또, 클럭드 인버터 CI3의 제어단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 CMDLTC가 "H"일 때는 클럭드 인버터 CI3의 출력부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래치 회로에 래치되어 있는 신호가 그대로 신호 WELTC-o로서 출력된다.
또한,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버퍼 IB13에 입력된 신호 bCS는 인버터 I31을 통해 드라이버 DR3에 입력된다. 이 드라이버 DR3의 출력은 클럭드 인버터 CI5를 통해, 래치 회로를 구성하는 인버터 I32 및 인버터 I33에 입력되며, 인버터 I32의 출력부로부터는 신호 CSLTC-o가 출력된다. 또한, 드라이버 DR3의 출력은 클럭드 인버터 CI6을 통해, 래치 회로를 구성하는 인버터 I34 및 인버터 I35에 입력되며, 인버터 I34의 출력부로부터는 신호 CSLTC-e가 출력된다. 또, 클럭드 인버터 CI5의 제어단에는 신호 bCMDLTC가 입력되며, 클럭드 인버터 CI6의 제어단에는 신호 CMDLTC가 입력된다.
상기 도 7c에 나타내는 회로에서는 입력 버퍼 IB13에 신호 bCS로서 "L"이 입력되면, 인버터 I31로써 반전되어 "H"가 되며, 드라이버 DR3을 통해 클럭드 인버터 CI5의 입력부에 공급된다. 클럭드 인버터 CI5는 제어단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 bCMDLTC가 "L"일 때만 열고, 입력부에 공급되어 있는 "H"를 "L"로 반전하여, 인버터 I32, I33으로 이루어지는 래치 회로에 공급한다. 이 래치 회로는 공급된 "L"을 "H"로 반전하여 신호 CSLTC-o로서 "H"를 출력한다. 또, 클럭드 인버터 CI5의 제어단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 bCMDLTC가 "H"일 때는 클럭드 인버터 CI5의 출력부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래치 회로에 래치되어 있는 신호가 그대로 신호 CSLTC-o로서 출력된다.
상기 인버터 I31로부터 출력되는 "H"는 드라이버 DR3을 통해 클럭드 인버터 CI6의 입력부에 공급된다. 클럭드 인버터 CI6은 제어단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 CMDLTC가 "L"일 때만 열고, 입력부에 공급되어 있는 "H"를 "L"로 반전하여 인버터 I34, I35로 이루어지는 래치 회로에 공급한다. 이 래치 회로는 공급된 "L"을 "H"로 반전하여 신호 CSLTC-e로서 "H"를 출력한다. 또, 클럭드 인버터 CI6의 제어단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 CMDLTC가 "H"일 때는 클럭드 인버터 CI6의 출력부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래치 회로에 래치되어 있는 신호가 그대로 신호 CSLTC-e로서 출력된다.
또한, 도 7a ∼ 도 7c에 나타내는 회로에서, 입력 버퍼 IB11 ∼ IB13 각각에 신호 bRASCAS, 신호 bWE, 신호 bCS로서 "H"가 입력되었을 때는 각 부의 신호가 역극성이 되며, 신호 RASLTC, 신호 CASLTC, 신호 WELTC-o, 신호 WELTC-e, 신호 CSLTC-o 및 신호 CSLTC-e 각각으로부터는 "L"이 출력된다. 신호 bCMDLTC 또는 신호 CMDLTC가 입력되는 클럭드 인버터 CI1 ∼ CI6 각각의 동작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커맨드부(30) 내의 커맨드 디코더(12B, 13B)의 회로 구성을 설명한다.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NAND 회로 NA5의 제1 단자에는 신호 CSLTC-o가 입력되고, 그 제2 단자에는 신호 xRASLTC가 그 제3 단자에는 신호 xWELTC-o가 입력된다. 이 NAND 회로 NA5의 출력은 드라이버 DR4를 통해 신호 ROW-C0MMAND로서 출력된다. 또, NAND 회로 NA5의 제2 단자, 제3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 xRASLTC, xWELTC-o는 신호 RASLTC, WELTC-o 각 신호를 인버터를 통해 논리 반전시킨 신호 혹은 논리 반전시키지 않은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나타낸다.
상기한 구성을 취하는 커맨드 디코더는 로우 커맨드의 수만큼 구비되고, 신호 CSLTC-o, xRASLTC, xWELTC-o가 모두 "H"가 된 경우에만 신호 ROW-COMMAND가 "L"이 되고, "뱅크 액티브(BANK ACTIVE)", "뱅크 프리차지(BANK PRICHARGE)" 등의 커맨드가 액티브해진다.
또한,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NAND 회로 NA6의 제1 단자에는 신호 CSLTC-e가 입력되며, 그 제2 단자에는 신호 xCASLTC가 그 제3 단자에는 신호 xWELTC-e가 입력된다. 이 NAND 회로 NA6의 출력은 드라이버 DR5를 통해 신호 COLUMN-C0MMAND로서 출력된다. 또, NAND 회로 NA6의 제2 단자, 제3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 xCASLTC, xWELTC-e는 신호 CASLTC, WELTC-e의 각 신호를 인버터를 통해 논리 반전시킨 신호 혹은 논리 반전시키지 않은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나타낸다.
상기한 구성을 취하는 커맨드 디코더는 컬럼 커맨드의 수만큼 구비되고, 신호 CSLTC-e, xCASLTC, xWELTC-e가 모두 "H"가 된 경우에만 신호 COLUMN-COMMAND가 "L"이 되며, "리드(READ)", "라이트(WRITE)" 등의 커맨드가 액티브해진다.
또, 여기서는 NAND 회로 NA5에 입력되는 신호 CSLTC-o, 신호 RASLTC, 신호 WELTC-o가 모두 "H"일 때에 커맨드가 선택되도록 하였지만, 이들의 신호가 모두 "L"일 때에 커맨드가 선택되도록 해도 된다. 단, 이 경우에는 NAND 회로 NA5를 NOR 회로로 바꿀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NAND 회로 NA6에 입력되는 신호 CSLTC-e, 신호 CASLTC, 신호 WELTC-e가 모두 "H"일 때에 커맨드가 선택되도록 하였지만, 이들의 신호가 전부 "L"일 때에 커맨드가 선택되도록 해도 된다. 단,이 경우에는 NAND 회로 NA6을 NOR 회로로 바꿀 필요가 있다.
도 8a ∼ 도 8c는 상기 어드레스부(40)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버퍼 IB21에 외부로부터 입력된 어드레스 신호 ADDRESS는 인버터 I51을 통해 드라이버 DR11에 입력된다. 이 드라이버 DR11의 출력은 클럭드 인버터 CI11의 입력부에 공급된다. 클럭드 인버터 CI11은 제어단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 bADDDLTC가 "L"일 때만 열고, 입력부에 공급되어 있는 신호 ADDRESS를 반전하여, 인버터 I41, I42로 이루어지는 래치 회로에 공급한다. 이 래치 회로는 공급된 신호를 반전하여, 신호 ROW-ADDRESS를 출력한다. 또, 클럭드 인버터 CI11의 제어단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 bADDDLTC가 "H"일 때는 클럭드 인버터 CI11의 출력부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래치 회로에 래치되어 있는 신호가 그대로 신호 ROW-ADDRESS로서 출력된다.
상기 드라이버 DR11로부터 공급되는 신호 ADDRESS는 클럭드 인버터 CI12의 입력부에 공급된다. 클럭드 인버터 CI12는 제어단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 ADDDLTC가 "L"일 때만 열고, 입력부에 공급되어 있는 신호 ADDRESS를 반전하여 인버터 I43, I44로 이루어지는 래치 회로에 공급한다. 이 래치 회로는 공급된 신호를 반전하여 신호 COLUMN-ADDRESS를 출력한다. 또, 클럭드 인버터 CI12의 제어단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 ADDDLTC가 "H"일 때는 클럭드 인버터 CI12의 출력부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래치 회로에 래치되어 있는 신호가 그대로 신호 COLUMN-ADDRESS로서 출력된다.
또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버퍼 IB22에 외부로부터 입력된 뱅크 셀렉트 신호 BSn은 인버터 I52를 통해 드라이버 DR12에 입력된다. 이 드라이버 DR12의 출력은 클럭드 인버터 CI13의 입력부에 공급된다. 클럭드 인버터 CI13은 제어단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 bADDDLTC가 "L"일 때에만 열고, 입력부에 공급되어 있는 신호를 반전하여, 인버터 I45, I46으로 이루어지는 래치 회로에 공급한다. 이 래치 회로는 공급된 신호를 반전하여, 신호 BSILTCn-e를 출력한다. 또, 클럭드인버터 CI13의 제어단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 bADDDLTC가 "H"일 때는 클럭드 인버터 CI13의 출력부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래치 회로에 래치되어 있는 신호가 그대로 신호 BSILTCn-e로서 출력된다.
상기 드라이버 DR12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는 클럭드 인버터 CI14의 입력부에 공급된다. 클럭드 인버터 CI14는 제어단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 ADDDLTC가 "L"일 때에만 열고, 입력부에 공급되어 있는 신호를 반전하여, 인버터 I47, I48로 이루어지는 래치 회로에 공급한다. 이 래치 회로는 공급된 신호를 반전하여 신호 BSILTCn-o를 출력한다. 또, 클럭드 인버터 CI14의 제어단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 ADDDLTC가 "H"일 때는 클럭드 인버터 CI14의 출력부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래치 회로에 래치되어 있는 신호가 그대로 신호 BSILTCn-o로서 출력된다.
또한,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NAND 회로 NA11의 제1 단자에는 신호 xBSILTC0-e가 입력되며, 그 제2 단자에는 신호 xBSILTC1-e가 입력된다. 이 NAND 회로 NA11의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인버터 I49를 통해 OR 회로 RR1의 제1 단자에 입력된다. NAND 회로 NA12의 제1 단자에는 신호 xBSILTC0-o가 입력되고 그 제2 단자에는 신호 xBSILTC1-o가 입력된다. 이 NAND 회로 NA12의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인버터 I50을 통해 OR 회로 RRl의 제2 단자에 입력된다. 그리고, OR 회로 RR1의 출력부로부터는 신호 BS<0 : 3>이 출력된다. 또, 신호 xBSILTC0-e, xBSILTC1-e, xBSILTC0-o, xBSILTC1-o는 각각 신호 BSILTC0-e, BSILTC1-e, BSILTC0-o, BSILTC1-o의 각 신호를 인버터를 통해 논리 반전시킨 신호 혹은 논리 반전시키지 않은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나타낸다.
다음에, 도 10 ∼ 도 13을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메모리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은 CAS 신호의 레이턴시가 2, 버스트 길이가 4, 뱅크수가 4인 인터리브에서의 판독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11은 CAS 신호의 레이턴시가 2,버스트 길이가 4, 4 뱅크인 인터리브에서의 기입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12는 CAS 신호의 레이턴시가 2, 버스트 길이가 2, 뱅크수가 4인 인터리브에서의 판독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또한, 도 13은 CAS 신호의 레이턴시가 2, 버스트 길이가 2, 뱅크수가 4인 인터리브에서의 기입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우선, 도 10에 나타내는 CAS 신호의 레이턴시가 2, 버스트 길이가 4, 뱅크수가 4인 인터리브에서의 판독 동작은 이하와 같아진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RA를 취득한다.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다음에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RB를 취득하고, 계속하여 클럭 신호 CLK의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CA를 취득한다.
마찬가지로,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다음에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RC를 취득하고, 계속해서 클럭 신호 CLK의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CB를 취득한다. 마찬가지로,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다음에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RD를 취득하여, 계속해서 클럭 신호 CLK의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CC를 취득한다. 또한,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다음에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CD를 취득한다.
이에 따라, 컬럼 어드레스 CA를 취득한 후, 클럭 신호 CLK의 2회째의 상승 직후부터, 데이터 DA0, DA1, DA2, DA3이 출력된다. 또한, 간극없이, DA3에 이어서 데이터 DB0, DB1, DB2, DB3이 출력된다. 계속해서, 마찬가지로 간극없이 DB3에 계속해서 데이터 DC0, DC1, DC2, DC3이 출력된다. 또한, DC3에 이어서 데이터 DD0, DD1, DD2, DD3이 출력된다.
또, 데이터 DA0, DA1, DA2, DA3은 로우 어드레스 RA와 컬럼 어드레스 CA에 따라 판독되는 데이터이다. 또한, 데이터 DB0, DB1, DB2, DB3은 로우 어드레스 RB와 컬럼 어드레스 CB에 따라 판독되는 데이터이다. 데이터 DC0, DC1, DC2, DC3은 로우 어드레스 RC와 컬럼 어드레스 CC에 따라 판독되는 데이터이다. 데이터 DD0, DD1, DD2, DD3은 로우 어드레스 RD와 컬럼 어드레스 CD에 따라 판독되는 데이터이다.
이와 같이 클럭 신호 CLK의 1사이클에 있어서,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신호를 취득하고,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취득함으로써, 랜덤한 로우 액세스에 대해서도 간극이 없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실효적인 데이터 전송레이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11에 나타내는 CAS 신호의 레이턴시가 2,버스트 길이가 4, 뱅크수가 4인 인터리브에서의 기입 동작은 이하와 같아진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RA를 취득한다.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다음에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RB를 취득하고, 계속해서 클럭 신호 CLK의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CA를 취득한다.
마찬가지로,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다음에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RC를 취득하고, 계속해서 클럭 신호 CLK의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CB를 취득한다. 마찬가지로,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다음에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RD를 취득하고, 계속해서 클럭 신호 CLK의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CC를·취득한다. 또한,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다음에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CD를 취득한다.
이에 따라, 컬럼 어드레스 CA를 취득한 직후부터, 데이터 DA0, DA1, DA2, DA3의 기입이 행해진다. 또한, 간극없이 DA3에 이어서 데이터 DB0, DB1, DB2, DB3의 기입이 행해진다. 계속해서, 마찬가지로 간극없이, DB3에 이어서 데이터 DC0, DC1, DC2, DC3의 기입이 행해진다. 또한, DC3에 계속해서 데이터 DD0, DD1, DD2, DD3의 기입이 행해진다.
또, 데이터 DA0, DA1, DA2, DA3은 로우 어드레스 RA와 컬럼 어드레스 CA에 따라 선택되는 번지를 선두로 하는 4개의 번지에 순차 기입된다. 또한, 데이터DB0, DB1, DB2, DB3은 로우 어드레스 RB와 컬럼 어드레스 CB에 따라 선택되는 번지를 선두로 하는 4개의 번지에 순차 기입된다. 데이터 DC0, DC1, DC2, DC3은 로우 어드레스 RC와 컬럼 어드레스 CC에 따라 선택되는 번지를 선두로 하는 4개의 번지에 순차 기입된다. 데이터 DD0, DD1, DD2, DD3은 로우 어드레스 RD와 컬럼 어드레스 CD에 따라 선택되는 번지를 선두로 하는 4개의 번지에 순차 기입된다.
이와 같이 클럭 신호 CLK의 1 사이클에 있어서,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신호를 취득하고,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취득함으로써, 랜덤한 로우 액세스에 대해서도 간극이 없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실효적인 데이터 전송레이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12에 나타내는 CAS 신호의 레이턴시가 2, 버스트 길이가 2, 뱅크수가 4인 인터리브에서의 판독 동작은 이하와 같아진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RA를 취득한다.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다음에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RB를 취득한다. 또한,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다음에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RC를 취득한다.
또한,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다음에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CA를 취득하고, 계속해서 클럭 신호 CLK의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RD를 취득하고, 계속해서 클럭 신호CLK의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CB를 취득한다. 또한,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다음에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CC를 취득한다. 또한,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다음에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CD를 취득한다.
이에 따라, 컬럼 어드레스 CA를 취득한 후, 클럭 신호 CLK의 2회째의 상승 직후부터 데이터 DA0, DA1이 출력된다. 또한, 간극없이 DA1에 이어서 데이터 DB0, DB1이 출력된다. 계속해서, 마찬가지로 간극없이 DB1에 이어서 데이터 DC0, DC1이 출력된다. 또한, DC1에 계속해서 데이터 DD0, DD1이 출력된다.
또, 데이터 DA0, DA1은 로우 어드레스 RA와 컬럼 어드레스 CA에 따라 판독되는 데이터이다. 또한, 데이터 DB0, DB1은 로우 어드레스 RB와 컬럼 어드레스 CB에 따라 판독되는 데이터이다. 데이터 DC0, DC1은 로우 어드레스 RC와 컬럼 어드레스 CC에 따라서 판독되는 데이터이다. 데이터 DD0, DD1은 로우 어드레스 RD와 컬럼 어드레스 CD에 따라서 판독되는 데이터이다.
이와 같이 클럭 신호 CLK의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신호를 취득하고, 클럭 신호 CLK의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취득함으로써, 랜덤한 로우 액세스에 대해서도 간극이 없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실효적인 데이터 전송레이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13에 도시하는 CAS 신호의 레이턴시가 2, 버스트 길이가 2, 뱅크수가 4인 인터리브에서의 기입 동작은 이하와 같아진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RA를 취득한다.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다음에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RB를 취득한다. 또한,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다음에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RC를 취득한다.
또한,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다음에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CA를 취득하고, 계속해서 클럭 신호 CLK의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RD를 취득하고, 계속해서 클럭 신호 CLK의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CB를 취득한다. 또한,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다음에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CC를 취득한다. 또한,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CAS가 다음에 "L"이 된 기간에, 클럭 신호 CLK의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CD를 취득한다.
이에 따라, 컬럼 어드레스 CA를 취득한 직후부터, 데이터 DA0, DA1의 기입이 행해진다. 또한, 간극없이 DA1에 이어서 데이터 DB0, DB1의 기입이 행해진다. 계속해서, 마찬가지로 간극없이 DB1에 이어서 데이터 DC0, DC1의 기입이 행해진다. 또한, DCi에 계속해서 데이터 DD0, DD1의 기입이 행해진다.
또, 데이터 DA0, DA1은 로우 어드레스 RA와 컬럼 어드레스 CA에 따라 선택되는 번지를 선두로 하는 2개의 번지에 순차 기입된다. 또한, 데이터 DB0, DB1은 로우 어드레스 RB와 컬럼 어드레스 CB에 따라 선택되는 번지를 선두로 하는 2개의 번지에 순차 기입된다. 데이터 DC0, DC1은 로우 어드레스 RC와 컬럼 어드레스 CC에 따라서 선택되는 번지를 선두로 하는 2개의 번지에 순차 기입된다. 데이터 DD0, DD1은 로우 어드레스 RD와 컬럼 어드레스 CD에 따라 선택되는 번지를 선두로 하는 2개의 번지에 순차 기입된다.
이와 같이 클럭 신호 CLK의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로우 어드레스 신호를 취득하고, 클럭 신호 CLK의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취득함으로써, 랜덤한 로우 액세스에 대해서도 간극이 없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실효적인 데이터 전송레이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데이터의 입출력뿐만아니라 어드레스 신호, 뱅크 선택 신호,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CAS, 칩 셀렉트 신호 bCS, 기록 인에이블 신호 bWE의 각 커맨드용 신호도 DDR화함으로써, 랜덤한 로우 액세스에 대해서도 간극이 없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지며, 실효적인 데이터 전송레이트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클럭의 상승 엣지로 로우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하강 엣지로 컬럼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것에 한정하면, 종래의 SDRAM과 같이 RAS, CAS의 신호를 두개 설치하지 않고 하나로 끝마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종래, 4비트의 신호로부터 행하고 있던 커맨드의 디코드를 3 비트로 끝마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커맨드 디코더를 구성하는 회로의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어 레이아웃 면적의 삭감, 고속화, 저소비 전력화도 가능해진다.
종래의 싱크로너스 DRAM(DDR-SDRAM)에서는 로우 어드레스와 컬럼 어드레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없고, 특히 랜덤한 로우 어드레스가 입력될 때에 데이터 전송 상의 간극이 생기고 있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어드레스 신호의 취득을 DDR화하고 또한 로우 어드레스 신호를 클럭의 상승 신호에 동기하여 취득하고,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클럭의 하강 신호에 동기하여 취득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종래의 싱크로너스 DRAM에서 생기고 있는 데이터 전송 상의 간극을 없앨 수 있어, 데이터 전송의 효율을 올릴 수 있다.
또한, 로우 어드레스를 클럭의 상승 엣지로 취득하는 것으로 하여, 컬럼 어드레스를 클럭의 하강 엣지로 취득하는 것으로 한정한 것으로, 종래의 SDRAM에 입력되는 bRAS, bCAS의 신호는 하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회로를 간소화할 수 있어 칩면적의 삭감, 소비 전력의 삭감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이, 클럭의 상승 엣지로 로우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하강 엣지에서 컬럼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구성으로 하면, 로우 어드레스용, 컬럼 어드레스용에 별도로 어드레스 핀, 어드레스 버스, 어드레스 버퍼를 설치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 상의 간극을 없앨 수 있어 데이터 전송의 효율을 올릴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DDR(Double Data Rate) 동작을 행하는 반도체 메모리, 특히 DRAM에서 데이터의 입출력뿐만아니라, 어드레스 신호, 뱅크 선택 신호,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RAS,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bCAS, 칩 셀렉트 신호 bCS, 기록 인에이블 신호 bWE의 각 커맨드용 신호도 DDR화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더구나, 단순히 각 신호를 DDR 화하는 것뿐만아니라,각각의 신호를 그 목적에 따라 어떤 것은 외부 클럭의 상승 엣지에 동기하여 취득하는 것에 한정하고, 또 다른 어떤 것은 외부 클럭의 하강 엣지에 동기하여 취득하는 것에 한정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입력하는 신호를 삭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로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칩 면적의 삭감 및 회로 동작의 고속화을 행하고 있다.
이상 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칩 면적을 증대시키지 않고,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할 수 있어 회로 동작의 고속화가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반도체 메모리에 있어서,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 셀 - 상기 메모리 셀은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지정됨 - ;
    상기 메모리 셀에 대한 동작의 타이밍을 취하기 위해서 공급된 클럭 신호 - 상기 클럭 신호는 상승 엣지와 하강 엣지를 포함함 - ;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엣지와 하강 엣지 양쪽의 엣지에 동기하여, 상기 메모리 셀을 지정하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취득하는 어드레스 취득 회로; 및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엣지와 하강 엣지 양쪽의 엣지에 동기하여, 상기 동작을 지시하는 커맨드용 신호를 취득하는 커맨드 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신호는 로우측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로우 어드레스 신호와, 컬럼측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어드레스 취득 회로는,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엣지, 하강 엣지중 어느 한 쪽의 엣지에 동기하여 상기 로우 어드레스 신호를 취득함과 동시에, 상기 로우 어드레스 신호가 취득하는 상기 한쪽 엣지와 상이한, 상기 한쪽 엣지의 다음의 다른쪽 엣지에 동기하여 상기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어드레스 신호의 취득 기간을 규정하는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와, 상기 컬럼 어드레스 신호의 취득 기간을 규정하는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가 공급되고,
    상기 어드레스 취득 회로는 상기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가, 소정의 값일 때에만 상기 로우 어드레스 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가 소정의 값일 때만 상기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상기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의 2개의 신호는 하나의 동일한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어드레스 신호 및 상기 컬럼 어드레스 신호의 취득 기간을 규정하는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가 공급되고,
    상기 어드레스 취득 회로는, 상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가 소정의 값일 때만, 상기 로우 어드레스 신호 및 상기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신호의 취득 기간을 규정하는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가 공급되고,
    상기 어드레스 취득 회로는 상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가 소정의 값일 때만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용 신호가 지시하는 상기 동작은 상기 메모리 셀에 대한 정보의 기입 및 판독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8. 반도체 메모리에 있어서,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 셀 - 상기 메모리 셀은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지정됨 - ;
    상기 메모리 셀에 대한 동작의 타이밍을 취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클럭 생성 회로;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엣지, 하강 엣지중 어느 한쪽의 엣지에 동기하여 상기 메모리 셀을 지정하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유지하는 제1 유지 회로;
    상기 제1 유지 회로에 의한 유지시에 이용한 상기 한쪽의 엣지와 상이한, 상기 한쪽 엣지 다음의 다른 쪽의 엣지에 동기하여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유지하는 제2 유지 회로;
    상기 제1 유지 회로에 유지된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디코드하는 제1 디코드 회로; 및
    상기 제2 유지 회로에 유지된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디코드하는 제2 디코드 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엣지, 하강 엣지중 어느 한쪽의 엣지에 동기하여, 상기 동작을 지시하는 커맨드용 신호를 유지하는 제3 유지 회로; 및
    상기 제1 유지 회로에 의한 유지시에 이용한 상기 한쪽 엣지와 상이한 다른 쪽 엣지에 동기하여, 상기 커맨드용 신호를 유지하는 제4 유지 회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신호는 로우측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로우 어드레스 신호와, 컬럼측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지 회로는 상기 로우 어드레스 신호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유지 회로는 상기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어드레스 신호의 취득 기간을 규정하는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와, 상기 컬럼 어드레스 신호의 취득 기간을 규정하는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가 공급되고,
    상기 제1 유지 회로는 상기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가 소정의 값일 때만, 상기 로우 어드레스 신호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유지 회로는 상기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가 소정의 값일 때만 상기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상기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의 두개 신호는 하나의 동일한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어드레스 신호 및 상기 컬럼 어드레스 신호의 취득 기간을 규정하는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가 공급되고,
    상기 제1 유지 회로, 상기 제2 유지 회로의 각각은 상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가 소정의 값일 때만 상기 로우 어드레스 신호, 상기 컬럼 어드레스 신호의 각각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신호의 취득 기간을 규정하는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가 공급되고,
    상기 제1 유지 회로 및 상기 제2 유지 회로는 상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가 소정의 값일 때에만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용 신호가 지시하는 상기 동작은 상기 메모리 셀에 대한 정보의 기입 및 판독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16. 반도체 메모리에 있어서,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 셀;
    상기 메모리 셀에 대한 동작의 타이밍을 취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클럭 생성 회로;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엣지, 하강 엣지중 어느 한쪽의 엣지에 동기하여, 상기 동작을 지시하는 커맨드용 신호를 유지하는 제1 유지 회로;
    상기 제1 유지 회로에 의한 유지시에 이용한 상기 한쪽의 엣지와 상이한 다른 쪽의 엣지에 동기하여, 상기 커맨드용 신호를 유지하는 제2 유지 회로;
    상기 제1 유지 회로에 유지된 상기 커맨드용 신호를 디코드하는 제1 디코드 회로; 및
    상기 제2 유지 회로에 유지된 상기 커맨드용 신호를 디코드하는 제2 디코드 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용 신호가 지정하는 상기 동작은, 상기 메모리 셀에 대한 정보의 기입 및 판독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KR10-2001-0038054A 2000-06-30 2001-06-29 반도체 메모리 KR100426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00253A JP4011833B2 (ja) 2000-06-30 2000-06-30 半導体メモリ
JP2000-200253 2000-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295A true KR20020002295A (ko) 2002-01-09
KR100426556B1 KR100426556B1 (ko) 2004-04-08

Family

ID=18698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8054A KR100426556B1 (ko) 2000-06-30 2001-06-29 반도체 메모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66511B2 (ko)
JP (1) JP4011833B2 (ko)
KR (1) KR100426556B1 (ko)
TW (1) TW5087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30392B (en) 2001-06-18 2005-04-01 Innovative Silicon Sa Semiconductor device
JP4768163B2 (ja) * 2001-08-03 2011-09-07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
JP4694067B2 (ja) * 2001-09-28 2011-06-01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EP1357603A3 (en) 2002-04-18 2004-01-14 Innovative Silicon SA Semiconductor device
EP1355316B1 (en) 2002-04-18 2007-02-21 Innovative Silicon SA Data storage device and refreshing method for use with such device
US6931479B2 (en) * 2003-03-04 2005-08-16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functional inputs of a memory device
US20040228168A1 (en) 2003-05-13 2004-11-18 Richard Ferrant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7085153B2 (en) 2003-05-13 2006-08-01 Innovative Silicon S.A. Semiconductor memory cell, array, architecture and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6912150B2 (en) * 2003-05-13 2005-06-28 Lionel Portman Reference current generator, and method of programming, adjusting and/or operating same
KR100546339B1 (ko) * 2003-07-04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동 데이터 스트로빙 모드와 데이터 반전 스킴을 가지는단일 데이터 스트로빙 모드를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반도체 장치
US7335934B2 (en) 2003-07-22 2008-02-26 Innovative Silicon S.A.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7184298B2 (en) 2003-09-24 2007-02-27 Innovative Silicon S.A. Low power programming technique for a floating body memory transistor, memory cell, and memory array
KR100560773B1 (ko) * 2003-10-09 2006-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모드의 재설정없이 버스트 길이를 제어할 수 있는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DE102004050037B4 (de) * 2003-10-09 2015-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eicherbauelement, Speichersystem und Betriebsmodussetzverfahren
JP4632114B2 (ja) * 2003-11-25 2011-02-16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7519879B2 (en) * 2004-04-26 2009-04-14 Agil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in-circuit probing of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US7476939B2 (en) 2004-11-04 2009-01-13 Innovative Silicon Isi Sa Memory cell having an electrically floating body transistor and programming technique therefor
US7251164B2 (en) 2004-11-10 2007-07-31 Innovative Silicon S.A. Circuitry for and method of improving statistical distribution of integrated circuits
US7466783B2 (en) * 2004-12-13 2008-12-16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to implement a double data rate (DDR) interface
US7301838B2 (en) 2004-12-13 2007-11-27 Innovative Silicon S.A. Sense amplifier circuitry and architecture to write data into and/or read from memory cells
US7301803B2 (en) 2004-12-22 2007-11-27 Innovative Silicon S.A. Bipolar reading technique for a memory cell having an electrically floating body transistor
US7606066B2 (en) 2005-09-07 2009-10-20 Innovative Silicon Isi Sa Memory cell and memory cell array having an electrically floating body transistor,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7355916B2 (en) 2005-09-19 2008-04-08 Innovative Silicon S.A. Method and circuitry to generate a reference current for reading a memory cell, and device implementing same
US7683430B2 (en) 2005-12-19 2010-03-23 Innovative Silicon Isi Sa Electrically floating body memory cell and array, and method of operating or controlling same
JP2007184052A (ja) 2006-01-10 2007-07-19 Elpida Memory Inc コマンド生成回路及びこれらを備えた半導体記憶装置
US7542345B2 (en) 2006-02-16 2009-06-02 Innovative Silicon Isi Sa Multi-bit memory cell having electrically floating body transistor, and method of programming and reading same
US7492632B2 (en) 2006-04-07 2009-02-17 Innovative Silicon Isi Sa Memory array having a programmable word length,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7606098B2 (en) 2006-04-18 2009-10-20 Innovative Silicon Isi Sa Semiconductor memory array architecture with grouped memory cell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7933142B2 (en) 2006-05-02 2011-04-26 Micron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memory cell and array using punch-through to program and read same
US8069377B2 (en) 2006-06-26 2011-11-29 Micron Technology, Inc. Integrated circuit having memory array including ECC and column redundanc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7542340B2 (en) 2006-07-11 2009-06-02 Innovative Silicon Isi Sa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memory array having a segmented bit line architecture and method of controlling and/or operating same
US7788438B2 (en) 2006-10-13 2010-08-31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ulti-input/output serial peripheral interface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US8264041B2 (en) 2007-01-26 2012-09-11 Micron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device with electrically floating body
US8518774B2 (en) 2007-03-29 2013-08-27 Micron Technology, Inc. Manufacturing process for zero-capacitor random access memory circuits
JP2008257776A (ja) * 2007-04-03 2008-10-23 Elpida Memory Inc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064274B2 (en) 2007-05-30 2011-11-22 Micron Technology, Inc. Integrated circuit having voltage generation circuitry for memory cell array, and method of operating and/or controlling same
US8085594B2 (en) 2007-06-01 2011-12-27 Micron Technology, Inc. Reading technique for memory cell with electrically floating body transistor
US8194487B2 (en) 2007-09-17 2012-06-05 Micron Technology, Inc. Refreshing data of memory cells with electrically floating body transistors
US8536628B2 (en) 2007-11-29 2013-09-17 Micron Technology, Inc. Integrated circuit having memory cell array including barri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8349662B2 (en) 2007-12-11 2013-01-08 Micron Technology, Inc. Integrated circuit having memory cell 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090175115A1 (en) * 2008-01-09 2009-07-09 Christoph Bilger Memory device, method for accessing a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ing
US8773933B2 (en) 2012-03-16 2014-07-08 Micron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accessing memory cells
US8014195B2 (en) 2008-02-06 2011-09-06 Micron Technology, Inc. Single transistor memory cell
US8189376B2 (en) 2008-02-08 2012-05-29 Micron Technology, Inc. Integrated circuit having memory cells including gate material having high work fun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957206B2 (en) 2008-04-04 2011-06-07 Micron Technology, Inc. Read circuitry for an integrated circuit having memory cells and/or a memory cell arra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7947543B2 (en) 2008-09-25 2011-05-24 Micron Technology, Inc. Recessed gate silicon-on-insulator floating body device with self-aligned lateral isolation
US7933140B2 (en) 2008-10-02 2011-04-26 Micron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reducing a voltage swing
US7924630B2 (en) 2008-10-15 2011-04-12 Micron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simultaneously driving a plurality of source lines
US8223574B2 (en) 2008-11-05 2012-07-17 Micron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block refresh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8213226B2 (en) 2008-12-05 2012-07-03 Micron Technology, Inc. Vertical transistor memory cell and array
KR101033464B1 (ko) 2008-12-22 2011-05-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집적 회로
US8319294B2 (en) 2009-02-18 2012-11-27 Micron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providing a source line plane
WO2010102106A2 (en) 2009-03-04 2010-09-10 Innovative Silicon Isi Sa Techniques for forming a contact to a buried diffusion layer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120006516A (ko) 2009-03-31 2012-01-18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들
US8139418B2 (en) 2009-04-27 2012-03-20 Micron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controlling a direct injectio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8508994B2 (en) 2009-04-30 2013-08-13 Micron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device with floating gate and electrically floating body
US8498157B2 (en) 2009-05-22 2013-07-30 Micron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providing a direct injectio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8537610B2 (en) 2009-07-10 2013-09-17 Micron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provid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11018427A (ja) 2009-07-10 2011-01-27 Renesas Electronics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9076543B2 (en) 2009-07-27 2015-07-07 Micron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providing a direct injectio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8199595B2 (en) 2009-09-04 2012-06-12 Micron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sens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8174881B2 (en) 2009-11-24 2012-05-08 Micron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reducing disturbance in a semiconductor device
US8310893B2 (en) 2009-12-16 2012-11-13 Micron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reducing impact of array disturbs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8416636B2 (en) 2010-02-12 2013-04-09 Micron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controll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8576631B2 (en) 2010-03-04 2013-11-05 Micron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sens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8411513B2 (en) 2010-03-04 2013-04-02 Micron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provid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hierarchical bit lines
US8369177B2 (en) 2010-03-05 2013-02-05 Micron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reading from and/or writing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130007609A (ko) 2010-03-15 2013-01-18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들
US8411524B2 (en) 2010-05-06 2013-04-02 Micron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refresh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8760945B2 (en) 2011-03-28 2014-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command/address calibration
US8531878B2 (en) 2011-05-17 2013-09-10 Micron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provid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9559216B2 (en) 2011-06-06 2017-01-31 Micron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biasing same
JP5834798B2 (ja) * 2011-11-15 2015-12-24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半導体メモリの動作方法、システムおよび半導体メモリの製造方法
KR20220128789A (ko) 2021-03-15 2022-09-2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 장치
US20230386531A1 (en) * 2022-05-31 2023-11-30 Sandisk Technologies Llc Chip select, command, and address encoding
US20230395108A1 (en) * 2022-06-03 2023-12-07 Sandisk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vely enabling/disabling memory di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0577B2 (ja) 1990-09-17 2000-03-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記憶装置
JP3992757B2 (ja) 1991-04-23 2007-10-17 テキサス インスツルメ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マイクロプロセッサと同期するメモリ、及びデータプロセッサ、同期メモリ、周辺装置とシステムクロックを含むシステム
JPH09213065A (ja) 1996-02-07 1997-08-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憶装置
KR100252048B1 (ko) * 1997-11-18 2000-05-01 윤종용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마스킹 회로 및 데이터 마스킹방법
JP2000076853A (ja) * 1998-06-17 2000-03-14 Mitsubishi Electric Corp 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JP3522116B2 (ja) * 1998-08-04 2004-04-26 富士通株式会社 複数ビットのデータプリフェッチ機能をもつメモリデバイス
KR100306966B1 (ko) * 1998-08-04 2001-11-30 윤종용 동기형버스트반도체메모리장치
JP3259696B2 (ja) * 1998-10-27 2002-02-25 日本電気株式会社 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JP3708729B2 (ja) * 1998-11-18 2005-10-19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100333648B1 (ko) * 1999-06-28 2002-04-24 박종섭 데이타스트로브신호의 폴링에지에 동기되어 쓰기동작을 수행하는 디디알에스 디램
JP4216415B2 (ja) * 1999-08-31 2009-01-28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11833B2 (ja) 2007-11-21
JP2002025254A (ja) 2002-01-25
US20020003748A1 (en) 2002-01-10
TW508791B (en) 2002-11-01
US6466511B2 (en) 2002-10-15
KR100426556B1 (ko)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6556B1 (ko) 반도체 메모리
JP3788867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5835443A (en) High speed semiconductor memory with burst mode
US6507900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plural blocks with selecting and sensing or reading operations in different blocks carried out in parallel
JP2000163969A (ja) 半導体記憶装置
JP2001110183A (ja) 半導体記憶装置
JP3604291B2 (ja) ダブルレートの入出力回路を有するメモリデバイス
KR10116174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WO2005004164A1 (ja) 半導体記憶装置
US20040100856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daptive for use circumstance
CN113129958A (zh) 用于宽时钟频率范围命令路径的设备和方法
JP2002157900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3699638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ライトデータマスキング方法
JP2003059267A (ja) 半導体記憶装置
JPH1040677A (ja) 半導体メモリ
JPH09153278A (ja) 半導体メモリ
US6636455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hat operates in synchronization with a clock signal
KR20190103697A (ko) 반도체 장치
JP2012113819A (ja) 自動プリチャージ制御回路と半導体メモリ装置とプリチャージング動作制御方法
JP4817477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20090060605A (ko) 오토 프리차지 회로
JP2000339957A (ja) 半導体記憶装置
US11328756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system performing auto-precharge operation
US20230176608A1 (en) Read clock start and stop for synchronous memories
JPH09251773A (ja) 半導体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