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919Y1 - 조리용 필터 - Google Patents

조리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919Y1
KR200199919Y1 KR2020000007759U KR20000007759U KR200199919Y1 KR 200199919 Y1 KR200199919 Y1 KR 200199919Y1 KR 2020000007759 U KR2020000007759 U KR 2020000007759U KR 20000007759 U KR20000007759 U KR 20000007759U KR 200199919 Y1 KR200199919 Y1 KR 200199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filter
cooked
cover
flui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필
Original Assignee
한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필 filed Critical 한종필
Priority to KR2020000007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919Y1/ko
Priority to KR2020000010034U priority patent/KR2001999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9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조리용기(10)에 저장된 고온의 물(30) 또는 수증기가 간극(ℓ)을 통하여 자유롭게 유입되어 피조리품(40)을 용이하게 찜 요리화 또는 삶은 요리화, 끓임 요리화시키거나 탕재화시킬 수 있으며 피조리품(40)의 내용물(30)이 외부로 빠져나와 조리용기(10) 속의 액체(30) 속에 혼합되는 불편함을 막을 수 있고, 또한, 피조리품(40)의 조리를 완료한 후 조리용기(10)로부터 조리용 필터(100)를 분리하여 다른 차가운 위치에 놓더라도 몸체(110)가 직접적으로 닿지 않고 조임부재(130)의 볼록돌기(132a)에 의한 충격완화 및 내온특성에 의하여 깨지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조리용 필터{A FILTER FOR COOKING}
본 고안은 조리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에 저장된 고온의 물 또는 수증기를 이용하여 피조리품을 자유롭게 찜 요리화 또는 삶은 요리화, 끓임 요리화, 탕재화시킬 수 있으며 피조리품의 내용물이 외부로 분리되어 조리용기 속의 액체 속에 혼합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온도차에 의한 빈번한 깨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COOKING)는 식품재료를 먹기 좋고 맛있게 하기 위하여 음식물을 다듬고 썰고 장만하여 익히거나, 또는 절이거나 담가서 양념 등으로 맛을 내는 기술을 말한다.
그리고, 조리는 소화되기 어려운 식품을 익혀주고, 주재료가 되는 식품에 다른 재료를 첨가하여 맛을 낸 뒤 인체에 유용한 영양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도 한다.
조리법 중 특히 익히는 방법에는 끓이기·볶기·굽기·삶기·튀기기·지지기·조리기·찜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또한, 가열하는 조리방법으로는 화(火)·수(水)·목(木)·금(金)·토(土)의 5종류로 크게 나눌 수 있는 데, 화(火)는 직접 불에 쬐어 굽는 것으로 생선을 굽거나 감자를 굽는 것 등이 이 부류에 속하고, 수(水)는 수증기를 이용해서 가열하는 일종의 찌는 조리법이다. 또한, 목(木)은 목질(木質)을 통해서 가열하는 방법으로 열의 불량도체인 목질을 통해서 뜸 을 들여가며 찌면 독특한 맛이 난다. 금(金)은 끓임·튀김·부침 등 철·구리·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냄비를 사용하여 만드는 요리방법을 말하고, 마지막으로 토(土)는 설구이냄비·곱돌솥·돌 등을 사용하는 요리법이다.
여기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요리법 중에서도 조리의 의미를 감자·고구마, 밤, 옥수수 등의 각종 채소를 찌거나 삶을 때, 원두커피·녹차·감잎차·국화차·귤피차 등의 기호식품을 음용하기 위하여 기호음료를 만들 때, 그리고 홍삼·인삼 등과 같은 각종 한약재를 달이는 경우를 망라하여 정의한다.
그리고, 감자, 원두커피 및 한약재 등과 같이 조리되는 내용물을 피조리품이라 명명하고, 이 피조리품을 요리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조리용 필터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리용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리용 필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 필터(1)는 피조리품(3)을 내장하며 조리용기의 윗테두리(2a)에 걸쳐져 끓여지는 물(5)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놓여진 채 사용될 수도 있고, 조리용기 내부에 저장된 물(5) 속에 직접 넣어진 채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의 윗테두리(2a)에 조리용 필터(1)가 놓여져 히터(4)에 의하여 끓여지는 물(5)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존재할 경우에는 다수 개의 유체구멍(1a)을 통하여 유입되는 수증기를 이용한 찜요리(고구마 또는 밤 등의 요리)가 적당할 것이고, 만약 조리용 필터(1)가 히터(4)에 의하여 끓여지는 물(5)의 표면에 근접한 거리에 위치되는 경우라면 조리용기의 내부 및 조리용 필터(1)의 내부 상호간의 압력차가 발생되어 뜨거운 물(5)이 사이펀(siphon) 원리에 의하여 유체구멍(1a)을 통하여 유입된 후 피조리품(3)에 작용되어 찜 또는 달임요리(원두커피 또는 홍삼 등의 조리 및 제조)를 가능하게 하고, 더불어 조리용 필터(1)가 히터(4)에 의하여 끓여지는 물(5) 속에 직접 넣어진 경우라면 고온의 물(5)이 직접 유체구멍(1a)을 통하여 피조리품(3)에 작용되어 삶은 요리(달걀, 감자 또는 각종 한약재·탕약 등의 제조 및 조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상기 조리용 필터(1)는 합성수지, 금속(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온의 물(5)이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자체의 하부에는 유체구멍(1a)이 형성된다. 이때, 합성수지로 된 조리용 필터(1)는 인체에 유해하여 최근에는 거의 피하고 있는 추세이고, 금속 재질의 조리용 필터(1)는 유체구멍(1a)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이 까다로우며, 유리 재질의 조리용 필터(1)는 내부의 피조리품(3)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기 유리 재질의 조리용 필터(1)는 별도의 커터(cutter)를 이용하여 유체구멍(1a)을 구현하는 데, 이 유체구멍(1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작은 직사각 형상의 다수 개의 관통홀을 이루어 고온의 열을 받을 경우에는 쉽게 깨져 버리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피조리품(3)의 조리를 완료한 후 조리용기로부터 조리용 필터(1)를 빼 내어 다른 차가운 위치에 놓을 경우에 온도차에 의한 유체구멍(1a)의 깨짐현상이 빈번히 발생되어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조리용기에 저장된 고온의 물 또는 수증기를 이용하여 피조리품을 자유롭게 찜 요리화 또는 삶은 요리화, 끓임 요리화, 탕재화시킬 수 있으며 피조리품의 내용물이 외부로 빠져나와 조리용기 속의 액체 속에 혼합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피조리품의 조리를 완료한 후에 조리용기로부터 조리용 필터를 분리하여 다른 차가운 위치에 놓더라도 온도차에 의한 깨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용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리용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리용 필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필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필터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를 포함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필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필터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필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조리용기 20 : 히터
30 : 물, 액체 40 : 피조리품
100 : 조리용 필터 110 : 몸체
110a : 저면 111 : 유체구멍
111a : 라운딩 턱 120 : 덮개
121 : 고정축 121a : 나사홈
122 : 돌출편 123 : 손잡이
130 : 조임부재 131 : 원판
131a : 원형구멍 132 : 지지편
132a : 볼록돌기 ℓ : 간극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적어도 조리용기의 내부에 위치되어 히터에 의하여 끓여지는 물의 작용을 받아 조리되는 피조리품을 내장한 조리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피조리품을 내장한 몸체의 저면에 하측방향으로 라운딩되면서 뚫려져 라운딩 턱을 갖는 유체구멍과, 상기 조리용기의 고온의 물 또는 수증기의 유입통로가 되도록 상기 유체구멍의 내주연으로부터 이격되는 간극을 유지하며 세팅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필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필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필터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를 포함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필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필터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필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식품재료를 먹기 좋고 맛있게 하기 위하여 음식물(30)을 다듬고 썰고 장만하여 익히거나, 또는 절이거나 달여서 맛을 내고 탕재화시키기 위하여 조리용기(10)의 내부에 감자, 밤, 원두커피, 홍삼, 한약재 등을 내장하여 필터링하는 조리용 필터(100)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이 조리용 필터(100)는 피조리품(40)이 히터(20)를 통하여 끓여지는 조리용기(10)에 저장된 고온의 물(30) 또는 수증기에 의하여 찜 요리화 또는 삶은 요리화, 끓임 요리화되거나 탕재화된 후 그 내용물(30)이 외부로 빠져나와 조리용기(10) 속의 액체(30) 속에 혼합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조리용 필터(100)는 조리용기(10)의 내부에 위치되어 히터(20)에 의하여 끓여지는 물(30)의 작용을 받아 조리되는 피조리품(40)을 내장한다.
조리용 필터(100)는 바람직한 실시예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몸체(110)를 이루고, 이 몸체(110)의 저면(110a)에는 하측방향으로 라운딩되면서 뚫려져 라운딩 턱(111a)을 갖는 유체구멍(111)이 구비된다.
이 조리용 필터(100)의 몸체(110) 내부에는 유체구멍(111)으로부터 대략 1∼8㎜ 정도의 간극(ℓ)을 유지하는 덮개(120)가 조임부재(130)에 의하여 세팅되는 데, 이 덮개(120)는 유체구멍(111)의 라운딩 곡률과 일치되는 하면을 가지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외주연에 나사홈(121a)이 형성된 고정축(121)을 구비하고, 상기 조임부재(130)는 고정축(121)의 나사홈(121a)에 회전 결합되면서 라운딩 턱(111a)에 결착되어 몸체(110)의 저면(110a)에 덮개(120)를 견고하게 조립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때, 상기 덮개(120)는 무거운 중량을 가질 경우에는 별도의 조임부재(130)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나, 필요에 따라서는 조임부재(130)를 구비시켜 견고성 및 충격완화, 내온특성을 갖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리용기(10)에 저장된 고온의 물(30) 또는 수증기의 통로가 되는 간극(ℓ)은 덮개(120)의 하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몸체(110)의 저면(110a), 즉 유체구멍(111)의 내주연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 개의 돌출편(122)에 의하여 구현된다.
이 돌출편(122)의 두께에 따라 간극(ℓ)이 결정되고, 간극(ℓ)은 피조리품(40)의 크기에 따라 임의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자의 크기가 작은 한약재 및 원두커피 등과 같은 경우라면 간극(ℓ)은 작을수록 좋고, 고구마, 감자 또는 옥수수와 같이 입자의 크기가 큰 경우라면 간극(ℓ)의 크기는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
한편, 덮개(120)의 상면에는 손잡이(123)가 돌출 성형되는 데, 이 손잡이(123)는 조리용 필터(100)의 분해시 몸체(110)의 내부로부터 덮개(12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조임부재(130)와 결합시 더욱 용이하게 조립 될 수 있도록 회전수단으로 이용된다.
이때, 상기 조임부재(130)는 고정축(121)의 나사홈(121a)에 회전 결합되는 원형구멍(131a)을 구비한 원판(131)과, 이 원판(131)의 외주연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몸체(110)의 라운딩 턱(111a)에 결착되는 다수 개의 지지편(132)을 구비한 얇은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다수 개의 지지편(132)은 몸체(110)의 위치 이동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돌기(132a)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조리용 필터(100)는 히터(20)를 통하여 끓여지는 조리용기(10)에 저장된 물(30) 또는 수증기에 의하여 피조리품(40)을 찜 요리화 또는 삶은 요리화, 끓임 요리화시키거나 탕재화시키면서 그 내용물(30)이 외부로 빠져나와 조리용기(10) 속의 액체(30) 속에 혼합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피조리품(40)의 조리가 완료된 후 조리용기(10)로부터 조리용 필터(100)를 분리하여 다른 차가운 위치에 놓더라도 몸체(110)가 직접적으로 차가운 위치에 닿지 않고 조임부재(130)의 볼록돌기(132a)에 의한 충격완화 및 내온특성에 의하여 깨지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현저히 개선되어 제품 사용상의 유용함을 한층 빛내는 작용을 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필터(100)에 의하면, 조리용기(10)에 저장된 고온의 물(30) 또는 수증기가 간극(ℓ)을 통하여 자유롭게 유입되어 피조리품(40)을 용이하게 찜 요리화 또는 삶은 요리화, 끓임 요리화시키거나 탕재화 시킬 수 있으며 피조리품(40)의 내용물(30)이 외부로 빠져나와 조리용기(10) 속의 액체(30) 속에 혼합되는 불편함을 막을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피조리품(40)의 조리를 완료한 후 조리용기(10)로부터 조리용 필터(100)를 분리하여 다른 차가운 위치에 놓더라도 몸체(110)가 직접적으로 닿지 않고 조임부재(130)의 볼록돌기(132a)에 의한 충격완화 및 내온특성에 의하여 깨지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적어도 조리용기(10)의 내부에 위치되어 히터(20)에 의하여 끓여지는 물(30)의 작용을 받아 조리되는 피조리품(40)을 내장한 조리용 필터(100)에 있어서,
    상기 피조리품(40)을 내장한 몸체(110)의 저면(110a)에 하측방향으로 라운딩되면서 뚫려져 라운딩 턱(111a)을 갖는 유체구멍(111)과,
    상기 조리용기(10)의 고온의 물(30) 또는 수증기의 유입통로가 되도록 상기 유체구멍(111)의 내주연으로부터 이격되는 간극(ℓ)을 유지하며 세팅되는 덮개(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필터(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20)는 상기 유체구멍(111)의 라운딩 곡률과 일치되는 하면을 가지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외주연에 나사홈(121a)이 형성된 고정축(12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축(121)의 나사홈(121a)에 회전 결합되면서 상기 라운딩 턱(111a)에 결착되어 상기 덮개(120)를 상기 몸체(110)의 저면(110a)에 견고하게 조립시키는 조임부재(1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필터(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ℓ)은 상기 유체구멍(111)의 내주연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덮개(120)의 하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돌출편(122)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필터(1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20)는 상면에 돌출 성형된 손잡이(12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필터(100).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130)는
    상기 고정축(121)의 나사홈(121a)에 회전 결합되는 원형구멍(131a)을 구비한 원판(131)과,
    이 원판(131)의 외주연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라운딩 턱(111a)에 결착되는 다수 개의 지지편(132)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필터(100).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지지편(132)은
    상기 몸체(110)의 위치 이동시 충격완화 및 내온특성을 위하여 하측방향으로 돌출 성형된 볼록돌기(132a)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필터(100).
KR2020000007759U 2000-03-18 2000-03-18 조리용 필터 KR200199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759U KR200199919Y1 (ko) 2000-03-18 2000-03-18 조리용 필터
KR2020000010034U KR200199938Y1 (ko) 2000-03-18 2000-04-08 조리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759U KR200199919Y1 (ko) 2000-03-18 2000-03-18 조리용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919Y1 true KR200199919Y1 (ko) 2000-10-16

Family

ID=1964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759U KR200199919Y1 (ko) 2000-03-18 2000-03-18 조리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9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0654B1 (en) Multi-purpose cookware
CA2476344C (en) Rice cooking system for microwave oven
Cunningham The Fannie Farmer Cookbook: Celebrating the 100th Anniversary of America's Great Classic Cookbook
CN109527415A (zh) 一种汽锅及汽锅甲鱼的蒸制方法
CN103181582A (zh) 卤牛肉的制作方法
Isola Simple Italian Cookery
KR200199919Y1 (ko) 조리용 필터
KR200199938Y1 (ko) 조리용 필터
KR200199941Y1 (ko) 조리용 필터
KR100220619B1 (ko) 계란밥 제조방법 및 그 제조기구
CN1164969A (zh) 竹筒焖饭
CN110447893A (zh) 低脂高蛋白营养套餐配方及制作工艺
KR200232889Y1 (ko) 닭 조리기구
KR200182318Y1 (ko) 다용도 음식물 조리기구
JPH02126817A (ja) 天然石を素材とする飲食物の品質向上用器具又は装置
KR100569630B1 (ko) 전주비빔밥 및 그 제조방법
CN211354935U (zh) 火锅
KR19990012833U (ko) 찜과 구이를 요리할 수 있는 조리용 용기
JPS6117708Y2 (ko)
JPH01192318A (ja) 蛇紋石その他岩石を素材とする食品調製用その他の器具
KR200274685Y1 (ko) 닭다리 구이기
EP0809960B1 (en) A method of cooking pasta and a special pan with a lid
RU108270U1 (ru) Горшок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и хранения пищи
KR20230062912A (ko) 다용도 조리기구
KR890005228Y1 (ko) 온도계와 깔때기가 부착된 튀김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