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613Y1 -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613Y1
KR200198613Y1 KR2020000013586U KR20000013586U KR200198613Y1 KR 200198613 Y1 KR200198613 Y1 KR 200198613Y1 KR 2020000013586 U KR2020000013586 U KR 2020000013586U KR 20000013586 U KR20000013586 U KR 20000013586U KR 200198613 Y1 KR200198613 Y1 KR 200198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shift
shift lock
groove
lock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재
Original Assignee
동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원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3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6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토매틱 트렌스미션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의 조작시 사용자의 미숙이나 오동작 등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를 방지하고 전기적인 트러블 시 작동 불능에 대한 개선 대책으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일측부는 브레이크 페달(20)의 회동축(21)에 고정되고, 몸체 타측부에는 지지판(12)이 구비된 걸림구(11)가 형성되어,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푸쉬로드(10)와;
상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위치한 푸쉬로드(10)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브레이크 페달(20)의 조작시 걸림구(11)가 구비된 푸쉬로드(10)로 브레이크 이동량을 전달하여, 걸림구(11)를 위치 이동시키는 인너케이블(30)과;
상기 푸쉬로드(10)를 내측 중심으로 위치 되도록, 몸체 외측으로는 지지프레임(41)이 형성되고, 몸체 상부에는 걸림턱(43)이 구비된 변속홈(42)이 구비되며, 몸체 내측 중심으로는 설치홈(44)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4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의 설치홈(44)에 위치되어, 브레이크 페달(20)의 이동에 의해 전,후로 위치이동 되는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에 단속될 수 있도록, 몸체 일측부에는 단속홈(51)이 형성되고, 몸체 상부에는 가이드 플레이트(40)의 변속홈(42)에 위치되어 변속홈(42)의 걸림턱(43)에 걸려져 단속되는 쉬프트 록 레버(50)와;
상기 쉬프트 록 레버(50)의 상부에 위치되며, 운전자의 주행시 브레이크 페달(20)을 밟아 쉬프트 록 레버(50)에서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가 이탈된 후 쉬프트 록 레버(50)와 가이드핀(52)을 하강시켜 다른 레인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몸체 일측부에는 푸쉬버튼(61)이 형성된 변속레버(60)와;
상기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 후측에 위치되는 지지판(12)과 지지프레임(41) 사이에 설치되어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가 쉬프트 록 레버(50)의 단속홈(51)에서 이탈된 후 복원될 수 있도록 형성된 리턴부재(70)로 구성되어, 브레이크 페달(20)을 밝으면, 상기 브레이크 페달(20)에 설치된 푸쉬로드(10)가 인너케이블(30)에 의해 후퇴되면서, 쉬프트 록 레버(50)의 단속홈(51)에서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가 이탈되어 변속레버(60)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브레이크 페달(20)을 밟지 않는 한 변속이 불가능하여 운전자의 미숙 및 오동작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 제어장치{Shift lever controller for automobiles}
본 고안은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를 기계식인 케이블 구동 시스템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원가의 절감 및 변속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매틱 트렌스미션 자동차의 경우 브레이크 페달과 액셀 페달의 오동작으로 인한 위험요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출발시 파킹(P) 위치에서 쉬프트를 조작할 때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지 않으면 변속이 불가능하도록 쉬프트 록 제어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오토메틱 트렌스미션 자동차에 적용되는 쉬프트 록 제어장치로는 전기식(SOLENOID, ACTUATOR) 방식이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전기식 쉬프트 록 제어장치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을 밟으면 브레이크 페달(1)의 작동암(2)에 설치되는 스톱 램프 스위치(3)의 작동신호가 와이어 하네스(4)를 통해 엑츄에이터(5)에 전달 되어지면서, 엑츄에이터(5)의 작동에 의해 쉬프트 록 레버(6)의 변속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운전자의 조작미숙 및 오동작 등에 의한 자동차의 급발진과 같은 위험요소를 배제시키기 위해 많은 안전장치가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오토매틱 트렌스미션 자동차의 쉬프트 록 제어장치는 전기식 구성을 사용하므로,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쉬프트 록 제어장치의 주 기능을 수행하는 엑츄에이터 가격이 고가의 장비로 인해 생산원가가 상승되어 전체적으로 제반비용이 상승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엑츄에이터 방식은 전기적 트러블시 작동이 안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액츄에이터가 전원에 의해 작동되므로,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등 액츄에이터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작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와이어 하네스에 의해 작동신호를 인가받으므로, 와이어 하네스의 절손시 변속이 불가능한 폐단도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서 언급한 상황에서 별도의 조작등을 통해 쉬프트 록을 제어해야 하므로, 사용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를 기계식인 케이블 구동 시스템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원가의 절감 및 변속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쉬프트 록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며, 견고하여 쉬프트 레버 변속 기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쉬프트 록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식 제어 방식이 아닌 기계식 케이블 방식을 이용하여 쉬프트 록을 제어하므로 어떤한 상황에서도 쉬프트 록 레버의 작동이 가능한 자동차의 쉬프트 록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쉬프트 록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브레이크 페달과 자동 기어 쉬프트 레버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인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 제어장치중 브레이크 페달과 자동 변속 레버간의 케이블 작동 구조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인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 제어장치에 의해 변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구성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푸쉬로드 11 - 걸림구
12 - 지지판 20 - 브레이크 페달
21 - 회동축 30 - 인너케이블
40 - 가이드 플레이트 41 - 지지프레임
42 - 변속홈 43 - 걸림턱
44 - 설치홈 45 - 승강홈
50 - 쉬프트 록 레버 51 - 단속홈
52 - 가이드핀 60 - 변속레버
61 - 푸쉬버튼 70 - 리턴부재
71 - 코일스프링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오토매틱 트렌스미션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의 조작시 사용자의 미숙이나 오동작 등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일측부는 브레이크 페달(20)의 회동축(21)에 고정되고, 몸체 타측부에는 지지판(12)이 형성된 걸림구(11)가 구비되어,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푸쉬로드(10)와;
상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위치한 푸쉬로드(10)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브레이크 페달(20)의 조작시 걸림구(11)가 구비된 푸쉬로드(10)로 브레이크 이동량을 전달하여, 걸림구(11)를 위치 이동시키는 인너케이블(30)과;
상기 푸쉬로드(10)를 내측 중심으로 위치 되도록, 몸체 외측으로는 지지프레임(41)이 형성되고, 몸체 상부에는 걸림턱(43)이 구비된 변속홈(42)이 구비되며, 몸체 내측 중심으로는 설치홈(44)이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4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의 설치홈(44)에 위치되어, 브레이크 페달(20)의 이동에 의해 전,후로 위치이동 되는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에 단속될 수 있도록, 몸체 일측부에는 단속홈(51)이 형성되고, 몸체 상부에는 가이드 플레이트(40)의 변속홈(42)에 위치되어 변속홈(42)의 걸림턱(43)에 걸려져 단속되는 쉬프트 록 레버(50)와;
상기 쉬프트 록 레버(50)의 상부에 위치되며, 운전자의 주행시 브레이크 페달(20)을 밝아 쉬프트 록 레버(50)에서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가 이탈된 후 쉬프트 록 레버(50)와 가이드핀(52)을 하강시켜 다른 레인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몸체 일측부에는 푸쉬버튼(61)이 형성되는 변속레버(60)와;
상기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 후측에 위치되는 지지판(12)과 지지프레임(41) 사이에 설치되어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가 쉬프트 록 레버(50)의 단속홈(51)에서 이탈된 후 복원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리턴부재(7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자동차의 쉬프트 록 제어장치는 브레이크 페달(20)을 밟으면, 상기 브레이크 페달(20)에 설치된 푸쉬로드(10)가 인너케이블(30)에 의해 후퇴되면서, 쉬프트 록 레버(50)의 단속홈(51)에서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가 이탈되어 변속레버(60)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브레이크 페달(20)을 밟지 않는 한 변속이 불가능하여 운전자의 미숙 및 오동작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브레이크 페달과 자동 기어 쉬프트 레버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 제어장치중 브레이크 페달과 자동 변속 레버간의 케이블 작동 구조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 제어장치에 의해 변속되는 상태를 요부 확대 구성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 제어장치는 오토매틱 트렌스미션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의 조작시 사용자의 미숙이나 오동작 등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를 방지함과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여 종래에 비해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 고안인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 제어장치의 푸쉬로드(1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일측부는 브레이크 페달(20)의 회동축(21)에 고정되고, 몸체 타측부에는 지지판(12)이 구비된 걸림구(11)가 형성되어,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
또한, 상기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푸쉬로드(10)의 사이에는 인너케이블(30)이 위치되어 브레이크 페달(20)의 이동량을 타측의 걸림구(11)가 구비된 푸쉬로드(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푸쉬로드(10)는 브레이크 페달(20)의 회동축(21)과 후술될 쉬프트 록 레버(50)의 단속홈(51)에 상호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20)의 조작시 인너케이블(30)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면서, 쉬프트 록 레버(50)의 단속을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는 가이드 플레이트(40)의 외측부에 위치되는 지지프레임(41)에 고정되어 가이드 플레이트(40)의 내측 중심부로 위치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가 위치 고정되는 가이드 플레이트(40)는 몸체 상부에 걸림턱(43)이 구비된 변속홈(42)이 구비되며, 몸체 내측 중심으로는 설치홈(4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의 설치홈(44)에는 브레이크 페달(20)의 조작력에 의해 전,후로 위치이동 되는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에 단속될 수 있도록, 몸체 일측부에는 단속홈(51)이 형성되고, 몸체 상부에는 가이드 플레이트(40)의 변속홈(42)에 위치되어 변속홈(42)의 걸림턱(43)에 걸려져 단속되는 쉬프트 록 레버(5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본 고안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0)을 밟으면 쉬프트 록 레버(50)의 단속홈(51)에 끼우져 쉬프트 록 레버(50)를 단속하던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가 인너케이블(30)에 의해 후측으로 이동하면서, 단속홈(51)에서 해제되면서, 쉬프트 록 레버(5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의 후측과 지지프레임(41) 사이에는 브레이크 페달(20)의 이동에 의해 후측으로 이동된 걸림구(11)를 주행후 변속레버(60)가 파킹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걸림구(11)를 다시 복원시켜 쉬프트 록 레버(50)를 단속할 수 있도록, 리턴부재(70)가 설치된다.
상기 리턴부재(70)로는 복원력이 우수하고 가공이 용이한 코일스프링(71)을 적용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일스프링(71)이 아닌 통상의 복원수단 역시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된다.
한편, 상기 쉬프트 록 레버(50)의 상부에는 운전자의 주행시 브레이크 페달(20)을 밟아 쉬프트 록 레버(50)에서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가 이탈된 후 쉬프트 록 레버(50)와 가이드핀(52)을 하강시켜 다른 레인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몸체 일측부에는 푸쉬버튼(61)이 형성되는 변속레버(6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본 고안인 자동차의 쉬프트 록 제어장치는 운전자의 조작미숙이나 오동작 등에 의해 변속레버(60)를 움직여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페달(20)의 이동에 의해 함께 이동되며, 단부에는 걸림구(11)가 형성되는 푸쉬로드(10)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구(11)에 의해 단속되도록, 쉬프트 록 레버(50)이 몸체 일측부에는 단속홈(51)을 형성하여 사용하므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0)을 밟지 않고는 변속이 불가능하여 변속레버(60)의 오작동 등으로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쉬프트 록 레버(50)에서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가 이탈된 후에는 변속레버(60)의 일측에 형성된 푸쉬버튼(61)을 눌러 쉬프트 록 레버(50)와 가이드핀(52)을 함께 하강시켜 가이드 플레이트(40)의 변속홈(42)에 형성된 걸림턱(43)에서 가이드핀(52)을 이탈시키므로 변속레버(60)를 각 레인지별로 이동시켜 주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쉬트트 록 레버(50)에서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가 이탈된 후 쉬프트 록 레버(50)와 가이드핀(52)이 함께 하강되는 이유는 변속레버(60)의 푸쉬버튼(61)을 누르면 가이드핀(52)이 가이드 플레이트(40)의 변속홈(42) 단부에 형성된 승강홈(45)에서 해제되면서, 가이드핀(52)과 쉬프트 록 레버(50)가 동시에 하강되어, 변속레버(60)를 각 레인지 별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인 자동차의 쉬프트 록 제어장치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0)을 밟으면, 인너케이블(30)에 의해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가 쉬프트 록 레버(50)의 단속홈(51)에 해제되는 구성으로 형성되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면 안전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첫째, 종래에 전기식 쉬프트 록 레버 제어장치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둘째, 종래의 전기식 쉬프트 록 레버 제어장치는 밧데리의 방전 등과 같이 전기적인 트러블 발생시에는 작동이 불가능 하나 본 고안은 기계식 케이블 방식을 이용하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쉬프트 록 레버(50)의 작동이 가능하다.
셋째, 종래의 전기식 장치에 비해 구조가 간결하면서도, 성능이 우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오토매틱 트렌스미션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의 조작시 사용자의 미숙이나 오동작 등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일측부는 브레이크 페달(20)의 회동축(21)에 고정되고, 몸체 타측부에는 지지판(12)이 구비된 걸림구(11)가 형성되어,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푸쉬로드(10)와;
    상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위치한 푸쉬로드(10)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브레이크 페달(20)의 조작시 걸림구(11)가 구비된 푸쉬로드(10)로 브레이크 이동량을 전달하여, 걸림구(11)를 위치 이동시키는 인너케이블(30)과;
    상기 푸쉬로드(10)를 내측 중심으로 위치 되도록, 몸체 외측으로는 지지프레임(41)이 형성되고, 몸체 상부에는 걸림턱(43)이 구비된 변속홈(42)이 구비되며, 몸체 내측 중심으로는 설치홈(44)이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4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의 설치홈(44) 위치되어, 브레이크 페달(20)의 이동에 의해 전,후로 위치이동 되는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에 단속될 수 있도록, 몸체 일측부에는 단속홈(51)이 형성되고, 몸체 상부에는 가이드 플레이트(40)의 변속홈(42)에 위치되어 변속홈(42)의 걸림턱(43)에 걸려져 단속되는 가이드핀(52)이 구비되는 쉬프트 록 레버(50)와;
    상기 쉬프트 록 레버(50)의 상부에 위치되며, 운전자의 주행시 브레이크 페달(20)을 밝아 쉬프트 록 레버(50)에서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가 이탈된 후 쉬프트 록 레버(50)와 가이드핀(52)을 하강시켜 다른 레인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몸체 일측부에는 푸쉬버튼(61)이 형성되는 변속레버(60)와;
    상기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 후측에 위치되는 지지판(12)과 지지프레임(41) 사이에 설치되어 푸쉬로드(10)의 걸림구(11)가 쉬프트 록 레버(50)의 단속홈(51)에서 이탈된 후 복원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리턴부재(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쉬프트 록 제어장치.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재(70)로는 코일스프링(71)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쉬프트 록 제어장치.
KR2020000013586U 2000-05-13 2000-05-13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 제어장치 KR200198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586U KR200198613Y1 (ko) 2000-05-13 2000-05-13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586U KR200198613Y1 (ko) 2000-05-13 2000-05-13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613Y1 true KR200198613Y1 (ko) 2000-10-02

Family

ID=19656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586U KR200198613Y1 (ko) 2000-05-13 2000-05-13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6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608B1 (ko) * 2015-04-13 2015-09-24 경창산업주식회사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608B1 (ko) * 2015-04-13 2015-09-24 경창산업주식회사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4879B2 (ja) セレクトレバー戻し案内を伴う操作装置
KR100494788B1 (ko) 쉬프트레버의 쉬프트록 장치
JP2713971B2 (ja)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JP5897312B2 (ja) 駐車ブレーキシステム
JPH1137290A (ja) 変速機搭載の駐車位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200198613Y1 (ko)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 제어장치
KR20010055753A (ko) 자동차의 변속레버 잠금장치
KR100892484B1 (ko) 변속기의 시프트 록 해제 장치
EP1378688B1 (en) Shift locking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vehicle
KR200198614Y1 (ko)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레버 제어장치
KR100440351B1 (ko) 칼럼at용시프트레버장치의시프트록기구
KR100476267B1 (ko)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안전장치
KR100192358B1 (ko) 자동차의 역진제어장치
KR100887827B1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
KR200198612Y1 (ko) 시프트 락 레버 제어장치
KR100249567B1 (ko) 경사로 주차를 위한 차량 고정 시스템
KR20030031748A (ko) 자동 주차브레이크 장치
KR0182186B1 (ko) 차량용 클러치폐달 고정장치
KR100251355B1 (ko) 오토매틱트랜스밋션자동차의 시프트로크시스템용 시프트로크케이블의 설치구조
JP4048720B2 (ja) 自動変速機のレンジ切換操作装置
KR19990010829A (ko) 자동변속 조작기구의 쉬프트 록장치
KR20020047997A (ko) 변속 레버 록킹장치
JPH0195942A (ja)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JPH0260843A (ja) 作業車
JPH01293232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