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614Y1 -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레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레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614Y1
KR200198614Y1 KR2020000013587U KR20000013587U KR200198614Y1 KR 200198614 Y1 KR200198614 Y1 KR 200198614Y1 KR 2020000013587 U KR2020000013587 U KR 2020000013587U KR 20000013587 U KR20000013587 U KR 20000013587U KR 200198614 Y1 KR200198614 Y1 KR 200198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key
lock
shift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재
Original Assignee
동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원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3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6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6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레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토매틱 트렌스미션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의 조작시 사용자의 미숙이나 오동작 등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를 방지하며, 주차시 쉬프트 레버가 파킹 위치에서만 키가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후측으로는 브레이크 페달(20)의 이동에 의해 함께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쉬프트 록 케이블(13)과 몸체 후측 중앙부에는 양측으로 경사면(12)이 구비된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와;
상기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의 후측에 위치되어 쉬프트 록 레버(30)의 복원을 제어하는 제 1 리턴부재(14)와;
상기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의 후측에 위치되어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의 전,후 이동시 상,하로 연계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몸체 중심부에는 경사면(12)과 동일한 가이드면(31)이 형성되고, 몸체 하측으로는 돌기부(32)가 위치되며, 몸체 상부에는 설치홈(33)이 구비되는 쉬프트 록 레버(30)와;
상기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의 복원을 제어하는 제 2 리턴부재(34)와;
상기 쉬프트 록 레버(30)의 하부에 위치되어 쉬프트 록 레버(30)의 승강시 돌기부(32)에서 해제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몸체 내측으로는 복원스프링(71)이 위치되고, 몸체 일측으로는 로드(72)가 구비되며, 몸체 후측으로는 키 록 케이블(73)이 형성되는 키 록 플레이트(70)와;
상기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와 쉬프트 록 레버(30), 그리고, 키 록 플레이트(70)를 내부에 수납하여 보호하며, 가이드하는 케이싱부재(40)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20)의 조작에 의해 후측으로 이동되는 키 록 플레이트(70)의 로드(72) 단부에 설치되어, 가이드 플레이트(90)의 변속홈(91)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92)에서 변속레버(60)의 푸쉬버튼(61) 누름조작으로 변속레버(60)를 주행가능한 레인지로 이동시키며, 동시에 키 록 플레이트(70)의 로드(72)와 연결된 키 록 케이블(73)을 당겨 키 록을 해제 시킬 수 있도록, 몸체 하부는 키 록 플레이트(70)와 고정축(51)에 의해 체결되고 몸체 상부에는 변속레버(60)의 가이드핀(62)을 걸어서 하강시키는 걸림부(52)가 구비되는 캠부재(50)로 구성되므로, 본 고안인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레버 제어장치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0)을 밟으면 쉬프트 록 케이블(13)과 연결된 쉬프트 록 플레이트(10)가 전면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쉬프트 록 플레이트(10)가 쉬프트 록 레버(30)의 가이드면을 따라 이동되어 쉬프트 록 레버(30)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쉬프트 록 레버(30)의 돌기부(32)가 키 록 플레이트(70)에서 이탈하게 되며 키 록 플레이트(70)는 후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된 상태에서 변속레버(60)의 푸쉬버튼(61)을 눌러 가이드핀(62)을 하강시키면, 키 록 플레이트(70)의 로드(72)에 설치된 캠부재(50)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 플레이트(90)의 변속홈(91)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92)에서 벗어나면서 다른 레인지로 변속레버(60)를 이동시킬 수 있어 주행이 가능한 상태로 변속가능한 것이다.
또한, 다시 변속레버(60)를 파킹(P) 위치로 이동하고, 푸쉬버튼(61)을 놓으면 가이드핀(62)을 제어하는 리턴스프링(63)에 의해 가이드핀(62)이 캠부재(50)와 함께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로드(72)에 의해 복원되는 키 록 플레이트(70)가 쉬프트 록 레버(30)의 돌기부(32) 저면과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어, 쉬프트 록 레버(30)는 제 1 리턴부재(14)에 의해 다시 복귀하면서 다시 록킹이 되는 것이다.
또, 키 록 장치는 변속레버(60)의 가이드핀(62)에 의해 캠부재(50)가 회전에 의해 하강되면서, 키 록 플레이트(70)의 로드(72)와 연결된 키 록 케이블(73)을 당겨 키 록을 단속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원가가 절감되며, 쉬프트 록 레버(30)와 키 록 장치가 일체형으로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장착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레버 제어장치{ Controller of a shift lock lever and a key lock lever for automobiles}
본 고안은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레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레버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기계식인 케이블 작동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의 단순화에 의한 원가 절감 및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매틱 트렌스미션 자동차의 경우 브레이크 페달과 액셀 페달의 오동작으로 인한 위험요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출발시 파킹(P) 위치에서 쉬프트를 조작할 때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지 않으면 변속이 불가능하도록 쉬프트 록 제어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오토메틱 트렌스미션 자동차에 적용되는 쉬프트 록 제어장치는 전기식(SOLENOID, ACTUATOR) 방식이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키 록 장치는 자동변속 차량의 키에 설치되는 장치로써, 주차시 쉬프트 레버를 파킹(P) 위치에 넣지 않으면 키가 빠지지 않고 반드시 쉬프트 레버가 파킹 위치에서만 키가 빠져 나오는 장치이다.
즉, 상기와 같이 키 록 장치를 형성하는 이유는 자동변속 차량이 주차중에 움직여 발생될 수 있는 위험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한편, 상기 키 록 장치는 쉬프트 록 장치와 통상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작동된다.
따라서, 통상의 쉬프트 록 장치와 키 록 장치의 구성은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을 밟으면 스톱 램프 스위치(2) 작동 신호가 와이어 하네스(3)를 통해 액츄에이터(4)에 전달되어, 상기 액츄에이터(4)의 작동에 의해 쉬프트 록 레버(5)가 움직이며, 이때 변속레버의 푸쉬 버튼을 누르면 가이드핀이 하부로 내려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가이드핀이 하부로 하강되면, 키 록 레버(7) 역시 ' A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키 셋 내의 록킹 스트로크량 만큼 키 록 케이블(8)의 인너 와이어가 작동되어 파킹 포지션이 아니 레인지에서는 키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운전자의 조작미숙 및 오동작 등에 의한 자동차의 급발진과 같은 위험요소를 배제시키기 위해 많은 안전장치가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오토매틱 트렌스미션 자동차의 쉬프트 록 제어장치 및 키 록 장치는 전기식 구성을 사용하므로,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쉬프트 록 제어장치 및 키 록 장치의 주 기능을 수행하는 엑츄레이터 가격이 고가의 장비로 인해 생산원가가 상승되어 전체적으로 제반비용이 상승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엑츄레이터 방식은 전기적 트러블시 작동이 안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즉, 액츄레이터는 전기적인 전원에 의해 작동이 가능하므로,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등의 경우 작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액츄레이터는 와이어 하네스에 의해 작동신호를 인가받으므로, 와이어 하네스의 절손시 변속이 불가능한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상기 키 록 장치와 쉬프트 록 장치는 상호 분리형으로 작동되므로, 각각의 구성 부품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에서 언급한 상황 등에서 별도의 조작등을 통해 쉬프트 록을 제어해야 하므로, 사용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레버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기계식인 케이블 작동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의 단순화에 의한 원가 절감 및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레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며, 견고하여 쉬프트 레버 변속 기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레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식 제어 방식이 아닌 기계식 케이블 방식을 이용하여 쉬프트 록 및 키 록을 제어하므로 어떤한 상황에서도 쉬프트 록 레버의 작동이 가능한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브레이크 페달과 자동 기어 쉬프트 레버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 구조로써, 브레이크 페달을 밟기 전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 구조로써,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쉬프트 록 플레이트를 이동시켜 쉬프트 록 레버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 구조로써, 푸쉬 버튼의 조작에 의한 캠의 회전에 의해 키 록 플레이트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쉬프트 록 플레이트 11 - 승강부재
12 - 경사면 13 - 쉬프트 록 케이블
14 - 제 1 리턴부재 20 - 브레이크 페달
30 - 쉬프트 록 레버 31 - 가이드면
32 - 돌기부 33 - 설치홈
34 - 제 2 리턴부재 40 - 케이싱부재
50 - 캠부재 51 - 고정축
52 - 걸림부 53 - 상부턱
60 - 변속레버 61 - 푸쉬버튼
62 - 가이드핀 63 - 리턴스프링
70 - 키 록 프레이트 71 - 복원스프링
72 - 로드 73 - 키 록 케이블
80 - 코일스프링 90 - 가이드 플레이트
91 - 변속홈 92 - 걸림턱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오토매틱 트렌스미션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의 조작시 사용자의 미숙이나 오동작 등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를 방지하며, 주차시 쉬프트 레버가 파킹 위치에서만 키가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후측으로는 브레이크 페달(20)의 이동에 의해 함께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쉬프트 록 케이블(13)과 몸체 후측 중앙부에는 경사면(12)이 구비된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와;
상기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의 후측에 위치되어 쉬프트 록 레버(30)의 복원을 제어하는 제 1 리턴부재(14)와;
상기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의 후측에 위치되어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의 전,후 이동시 상,하로 연계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몸체 중심부에는 경사면(12)과 동일한 가이드면(31)이 형성되고, 몸체 하측으로는 돌기부(32)가 위치되며, 몸체 상부에는 설치홈(33)이 구비되는 쉬프트 록 레버(30)와;
상기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의 복원을 제어하는 제 2 리턴부재(34)와;
상기 쉬프트 록 레버(30)의 하부에 위치되어 쉬프트 록 레버(30)의 승강시 돌기부(32)에서 해제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몸체 내측으로는 복원스프링(71)이 위치되고, 몸체 일측으로는 로드(72)가 구비되며, 몸체 후측으로는 키 록 케이블(73)이 형성되는 키 록 플레이트(70)와;
상기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와 쉬프트 록 레버(30), 그리고, 키 록 플레이트(70)를 내부에 수납하여 보호하며, 가이드하는 케이싱부재(40)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20)의 조작에 의해 후측으로 이동되는 키 록 플레이트(70)의 로드(72) 단부에 설치되어, 가이드 플레이트(90)의 변속홈(91)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92)에서 변속레버(60)의 푸쉬버튼(61) 누름조작으로 변속레버(60)를 주행가능한 레인지로 이동시키며, 동시에 키 록 플레이트(70)의 로드(72)와 연결된 키 록 케이블(73)을 당겨 키 록을 해제 시킬 수 있도록, 몸체 하부는 키 록 플레이트(70)와 고정축(51)에 의해 체결되고 몸체 상부에는 변속레버(60)의 가이드핀(62)을 걸어서 하강시키는 걸림부(52)가 구비되는 캠부재(5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레버 제어장치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0)을 밟으면 쉬프트 록 케이블(13)과 연결된 쉬프트 록 플레이트(10)가 전면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쉬프트 록 플레이트(10)가 쉬프트 록 레버(30)의 가이드면을 따라 이동되어 쉬프트 록 레버(30)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쉬프트 록 레버(30)의 돌기부(32)가 키 록 플레이트(70)에서 이탈하게되며 키 록 플레이트(70)는 후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된 상태에서 변속레버(60)의 푸쉬버튼(61)을 눌러 가이드핀(62)을 하강시키면, 키 록 플레이트(70)의 로드(72)에 설치된 캠부재(50)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 플레이트(90)의 변속홈(91)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92)에서 벗어나면서 다른 레인지로 변속레버(60)를 이동시킬 수 있어 주행이 가능한 상태로 변속가능한 것이다.
또한, 다시 변속레버(60)를 파킹(P) 위치로 이동하고, 푸쉬버튼(61)을 놓으면 가이드핀(62)을 제어하는 리턴스프링(63)에 의해 가이드핀(62)이 캠부재(50)와 함께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로드(72)에 의해 복원되는 키 록 플레이트(70)가 쉬프트 록 레버(30)의 돌기부(32) 저면과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어, 쉬프트 록 레버(30)는 제 1 리턴부재(14)에 의해 다시 복귀하면서 다시 록킹이 되는 것이다.
한편, 키 록 장치는 변속레버(60)의 가이드핀(62)에 의해 캠부재(50)가 회전에 의해 하강되면서, 키 록 플레이트(70)의 로드(72)와 연결된 키 록 케이블(73)을 당겨 키 록을 단속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브레이크 페달과 자동 기어 쉬프트 레버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 구조로써, 브레이크 페달을 밟기 전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 구조로써,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쉬프트 록 플레이트를 이동시켜 쉬프트 록 레버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 구조로써, 푸쉬 버튼의 조작에 의한 캠의 회전에 의해 키 록 플레이트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 ∼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제어장치의 쉬프트 록 플레이트(10)는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후측으로는 브레이크 페달(20)의 이동에 의해 함께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쉬프트 록 케이블(13)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쉬프트 록 플레이트(10)는 브레이크 페달(20)의 조작에 의해 전면으로 이동될 때 후술될 쉬프트 록 레버(30)를 상부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쉬프트 록 플레이트(10)는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12)이 형성되어 쉬프트 록 레버(30)의 가이드면(31)과 면 접촉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쉬프트 록 레버(30)를 상부로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의 후측으로는 쉬프트 록 레버(30)의 복원을 제어하는 제 1 리턴부재(14)가 설치된다.
상기 제 2 리턴부재(34)는 코일스프링(80)을 사용하여, 브레이크 페달(20)의 조작에 의해 전면으로 이동되는 쉬프트 록 플레이트(10)를 주행후 파킹시 다시 복귀될 경우 쉬프트 록 플레이트(10)를 원할하게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의 후측으로는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의 전,후 이동시 상,하로 연계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몸체 중심부에는 경사면(12)과 동일한 가이드면(31)이 형성되고, 몸체 하측으로는 돌기부(32)가 위치되며, 몸체 상부에는 설치홈(33)이 구비되는 쉬프트 록 레버(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쉬프트 록 레버(30)의 설치홈(33)에는 쉬프트 록 레버(30)의 복원을 제어하는 제 1 리턴부재(14) 설치된다.
상기 제 1 리턴부재(14) 역시 제 2 리턴부재(34)와 같이 코일스프링(80) 및 기타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쉬프트 록 레버(30)의 하부에는 쉬프트 록 레버(30)의 승강시 돌기부(32)에서 해제되어 후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몸체 내측으로는 복원스프링(71)이 위치되고, 몸체 일측으로는 로드(72)가 구비되며, 몸체 후측으로는 키 록 케이블(73)이 형성되는 키 록 플레이트(70)가 설치된다.
즉,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0)을 밟으면 쉬프트 록 플레이트(10)는 쉬프트 록 케이블(13)에 의해 전면으로 이동하고, 이때,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의 후측에 위치된 쉬프트 록 레버(30)는 가이드면(31)의 경사면(12)을 타고 상부로 승강되면, 키 록 플레이트(70)역시 돌기부(32)의 단속에서 해제되면서 후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변속레버의 푸쉬버튼 누름 조작으로 변속레버를 주행가능한 상태로 이동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키 록 플레이트(70)의 일측 로드(72) 단부에는 변속레버(60)의 푸쉬버튼(61) 조작시 가이드 플레이트(90)의 변속홈(91)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92)에서 가이드핀(62)과 함께 이탈되는 캠부재(50)가 설치된다.
상기 캠부재(50)는 몸체 하부는 키 록 플레이트(70)와 고정축(51)에 의해 체결되고 몸체 상부에는 변속레버(60)의 가이드핀(62)에 의해 하강되는 걸림부(52)가 구비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0)을 밟으므로서 후측으로 이동된 키 록 플레이트(70)의 로드(72) 단부에 설치된 캠부재(50)는 조작에 의해 하강되는 가이드핀(62)에 걸려져 함께 하강되면서, 캠부재(50)의 걸림부(52) 윗쪽 상부턱(53)에 걸려져 가이드 플레이트(90)의 걸림턱(92)에서 이탈되므로 주행 가능한 레인지로 이동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다시 변속레버(60)를 파킹 위치로 이동하고 푸쉬버튼(61)을 놓으면 가이드핀(62)의 리턴스프링(63) 복원력에 의해 캠부재(50)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며 연결된 로드(72)로 인하여 키 록 플레이트(70)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때, 키 록 플레이트(70)가 ' A '지점을 지나면 제 1 리턴부재(14)의 복원력에 의해 쉬프트 록 레버(30)가 돌기부(32)와 함께 복원 되면서 변속레버(60)의 락킹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변속레버(60)를 주행 레인지에서 파킹 레인지로 이동시킬 때 키 락 장치는 변속레버(60)의 가이드핀(62)에 의해 캠부재(50)가 회전됨에 따라 로드(72)와 연결된 키 록 플레이트(70)가 움직이면서, 키 록 케이블(73)을 당기게 되어 키 록이 결정되는 것이다.
만약 키 셋의 단계( LOCK, ACC, ON, START)중 록 이외의 위치에 키가 있다면 키 록 케이블(73)과 키 셋의 연결로 인해 키가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반드시 변속레버(60)가 파킹 레인지에 위치에 있고, 푸쉬버튼(61)을 놓아야만 키가 제거되는 구조인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인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제어장치는 브레이크 페달(20)을 밟으면 쉬프트 록 케이블(13)에 의해 쉬프트 록 레버(30)가 해제되는 구성으로 형성되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원가가 절감되며, 쉬프트 록 레버(30)와 키 록 장치가 일체형으로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장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첫째, 종래에 전기식 쉬프트 록 레버 제어장치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쉬프트 록 레버(30)와 키 록 장치를 케이싱부재(40)의 내측에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장착이 가능하다.
둘째, 종래의 전기식 쉬프트 록 레버 제어장치는 밧데리의 방전 등과 같이 전기적인 트러블 발생시에는 작동이 불가능 하나 본 고안은 기계식 케이블 방식을 이용하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쉬프트 록 레버(30) 및 키 록 장치의 작동이 가능하다.
셋째, 종래의 전기식 장치에 비해 구조가 간결하면서도, 성능이 우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오토매틱 트렌스미션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의 조작시 사용자의 미숙이나 오동작 등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를 방지하며, 주차시 쉬프트 레버가 파킹 위치에서만 키가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후측으로는 브레이크 페달(20)의 이동에 의해 함께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쉬프트 록 케이블(13)과 몸체 후측 중앙부에는 경사면(12)이 구비된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와;
    상기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의 후측에 위치되어 쉬프트 록 레버(30)의 복원을 제어하는 제 1 리턴부재(14)와;
    상기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의 후측에 위치되어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의 전,후 이동시 상,하로 연계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몸체 중심부에는 경사면(12)과 동일한 가이드면(31)이 형성되고, 몸체 하측으로는 돌기부(32)가 위치되며, 몸체 상부에는 설치홈(33)이 구비되는 쉬프트 록 레버(30)와;
    상기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의 복원을 제어하는 제 2 리턴부재(34)와;
    상기 쉬프트 록 레버(30)의 하부에 위치되어 쉬프트 록 레버(30)의 승강시 돌기부(32)에서 해제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몸체 내측으로는 복원스프링(71)이 위치되고, 몸체 일측으로는 로드(72)가 구비되며, 몸체 후측으로는 키 록 케이블(73)이 형성되는 키 록 플레이트(70)와;
    상기 쉬프트 록 플레이트(10)와 쉬프트 록 레버(30), 그리고, 키 록 플레이트(70)를 내부에 수납하여 보호하며, 가이드하는 케이싱부재(40)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20)의 조작에 의해 후측으로 이동되는 키 록 플레이트(70)의 로드(72) 단부에 설치되어, 가이드 플레이트(90)의 변속홈(91) 일측에 키 록 플레이트(70)의 로드(72)와 연결된 키 록 케이블(73)을 당겨 키 록을 해제 시킬 수 있도록, 몸체 하부는 키 록 플레이트(70)와 고정축(51)에 의해 체결되고 몸체 상부에는 변속레버(60)의 가이드핀(62)에 의해 하강되는 걸림부(52)가 구비되는 캠부재(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제어장치.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리턴부재(14)(34)로는 코일스프링(80) 및 기타 스프링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제어장치.
KR2020000013587U 2000-05-13 2000-05-13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레버 제어장치 KR200198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587U KR200198614Y1 (ko) 2000-05-13 2000-05-13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레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587U KR200198614Y1 (ko) 2000-05-13 2000-05-13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레버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614Y1 true KR200198614Y1 (ko) 2000-10-02

Family

ID=1965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587U KR200198614Y1 (ko) 2000-05-13 2000-05-13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레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6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4788B1 (ko) 쉬프트레버의 쉬프트록 장치
JPH0137934Y2 (ko)
US5096033A (en) Lockout mechanism and system for vehicle shifter
KR910007749Y1 (ko)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JP5976304B2 (ja) 駐車ブレーキのロック装置
JP4787417B2 (ja) シフトロック装置
KR100405571B1 (ko) 자동차의 경사로 출발 보조장치
KR200198614Y1 (ko) 자동차의 쉬프트 록 레버와 키 록 레버 제어장치
EP1108921B1 (en) Locking apparatus for change lever of vehicle
JPH09109719A (ja) 自動変速車輌用変速レバーのロック装置
KR200198613Y1 (ko)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 제어장치
JP3096396B2 (ja)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387785B1 (ko) 자동변속기차량의 변속레버와 일체형 주차 브레이크
KR102347764B1 (ko) 차량의 시프트 레버 어셈블리
KR100372418B1 (ko) 이중 잠금 기능을 갖는 차량용 주차브레이크
KR100326666B1 (ko) 자동 변속기 차량용 변속 레버의 시프트 록킹장치
KR100476267B1 (ko)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안전장치
KR20020052282A (ko) 자동차의 자동변속레버 시프트 록 및 키 인터록 캠역전방지장치
KR100249567B1 (ko) 경사로 주차를 위한 차량 고정 시스템
KR200191606Y1 (ko) 시프트 로크 장치
JP2917101B2 (ja)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418673B1 (ko) 자동 변속기의 쉬프트 레버 로킹 장치
JP2908453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制御装置
KR0118868B1 (ko) 변속레버의 변속 노이즈 저감장치
KR100192358B1 (ko) 자동차의 역진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