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345Y1 -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345Y1
KR200196345Y1 KR2019960067625U KR19960067625U KR200196345Y1 KR 200196345 Y1 KR200196345 Y1 KR 200196345Y1 KR 2019960067625 U KR2019960067625 U KR 2019960067625U KR 19960067625 U KR19960067625 U KR 19960067625U KR 200196345 Y1 KR200196345 Y1 KR 200196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ght
braking
brake
emergenc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7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433U (ko
Inventor
심양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7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345Y1/ko
Publication of KR199800544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4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345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등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제동시에 점등되는 제동등의 점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악천후시에 주행하는 자동차가 제동을 하는 경우, 종래의 비상등과 함께 또는 이에 갈음하여 비상등이 점멸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실현하려는 수단으로 본 발명은 제동등(17)과, 비상등(16)과, 브레이크스위치(14)와, 비상등스위치(15)와, 윈도우브러시 스위치(11)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전장시스템에서, 상기 윈도우 브러시가 고단으로 설정되면 브레이크 작동시 비상등을 점등하도록 점등신호를 절환하는 점등신호 절환수단(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의 점등신호 절환수단(13)은 전자석(2)과, 전자석에 의해서 구동되는 래크(5)와 래크의 왕복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6)과,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과(1), 회전판에 설치된 비상등으로의 단자(9) 및 제동등으로의 단자(10)와, 고정판에 설치된 브레이크스위치로 부터의 단자(8)를 포함하는 점등신호절환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시스템을 제공하여 악천후시에도 식별이 용이하여 선행차량의 급제동에 의해 후미차량이 추돌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시스템
자동차의 제동등은 자동차가 주행중 운전자가 감속을 위해 제동페달을 밟는 경우, 후미차량이 선행차량의 감속상태를 사전에 감지할 수 있도록 차량의 후미의 등을 점등하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등화장치이다.
종래의 제동등 점등시스템은 운전석의 제동페달이 작동되면 온되도록 하여 밧데리의 전원을 제동램프로 공급하도록 구성하며 제동등은 적색으로 연속점등되는 구조로 구성한다.
또한 차량에는 비상시에 후미차량에게 이러한 사실을 인지시키도록 하는 수단으로 비상등을 구비하는 바, 차량의 고장등 비상상태가 발생한 경우 또는 악천후시에 점멸하도록 하는 등으로 식별을 용이하게 하도록 점멸식이고 또한 노란색으로 구성되어 멀리서도 인식하기 쉽도록 기능한다.
한편, 비나 눈이 많이 오거나 안개가 많이 끼는 등의 악천후시에는, 램프의 특성상 제동등의 불빛보다 비상등의 불빛이 식별에 용이하다.
대개의 운전자의 경우, 악천후시에는 비상등을 점멸하도록하여 후미차량의 추돌을 방지하려하고 있다.
그러나 제동상태만은 종래의 방법에 따르고 있으므로 선행하는 차량의 제동시에 이를 뒷차가 판단하기 쉽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종래의 비상등과 연계하여 제동등을 점등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요구에 따른 것으로 악천후시에는 차량의 제동등 점등을 비상등과 연계하도록하여 후미차량의 추돌사고등을 사전에 예방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동등 점등시스템 구성에 사용되는 점등신호절환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동등 점등시스템 구성에 사용되는 점등신호절환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동등 점등시스템 회로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판 2 : 전자석
3 : 피스톤 4 : 리턴스프링
5 : 래크 6 : 피니언
7 : 고정판 8 : 브레이크 스위치단자
9 : 비상등 단자 10 : 제동등 단자
11 : 윈도우브러시 스위치 12 : 스위칭기구
13 : 점등신호절환수단 14 : 브레이크 스위치
15 : 비상등스위치 16 : 비상등
17 : 제동등
본 고안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동등(17)과, 비상등(16)과, 브레이크스위치(14)와, 비상등스위치(15)와, 윈도우브러시 스위치(11)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전장시스템에서, 상기 윈도우 브러시가 고단으로 설정되면 브레이크 작동시 비상등을 점등하도록 점등신호를 절환하는 점등신호 절환수단(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의 점등신호 절환수단(13)은 전자석(2)과, 전자석에 의해서 구동되는 래크(5)와 래크의 왕복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6)과,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과(1), 회전판에 설치된 비상등단자(9) 및 제동등단자(10)와, 고정판에 설치된 브레이크스위치 단자(8)를 포함하는 점등신호절환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본 고안의 장치의 작동에 따르면 정상작동시에는 브레이크 스위치(14)로 부터의 신호는 제동등(17)으로 비상등스위치 로부터의 신호는 비상등으로 송신되어 각 스위치의 온/오프로 등화장치가 작동한다.
한편 악천후라는 조건이 만족하면 본장치는 작동을 시작하며, 이를 확인하는 수단으로 윈도우브러시 스위치(11)와 연계된 제어를 하도록 한다.
특히 악천후라면 윈도우브러시 스위치는 2단 또는 3단이상의 고속으로 작동을 시킬 것이고 이러한 상태를 기준으로 본 장치의 작동을 시작하도록 한다.
윈도우브러시 스위치가 고단으로 접속되면 스위칭기구(12)가 온되어 릴레이 스위치로 구성한 점등신호절환수단(13)을 온(ON)시킨다.
그러면 점등신호절환수단은 브레이크 스위치(14)로부터의 신호를 정상상태(OFF)에서는 제동등으로 송신하다가, 점멸하는 구조의 비상등(16)으로 절환하여 브레이크 스위치(14)가 온되면 비상등을 점멸하도록 한다.
이때 비상등의 작동은 비상등 독자적으로 또는 제동등과 함께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윈도우브러시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도 2단 및 3단이 아닌 3단인 경우만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국, 본 장치는 윈도우브러시 스위치의 작동으로 악천후 상태임을 판단한 경우 점등신호절환수단을 절환하여 브레이크가 작동하면 제동등과 함께 또는 제동등에 갈음하여 비상등을 작동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점등신호절환수단(13)의 구성중 한 실시예로서, 전원이 전자석(2)에 공급되면 래크(5)와 피니언(6)을 구동하고, 제동등 단자(10)와 비상등 단자(9)를 포함하는 회전판(1)을 돌려 브레이크스위치단자(8)가 제동등단자 또는 비상등단자와 접촉스위칭되도록 하여 점등신호를 전환하도록 한다.
이때 전자석의 전원을 공급하는 경로는 윈도우브러시 스위치로부터 끌어오면 윈도우브러시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점등신호를 절환할 수 있도록 된다.
전술한 구성의 결과, 악천후시에도 식별이 용이하여 선행차량의 급제동에 의해 후미차량이 추돌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시스템을 제공하였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등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제동시에 점등되는 제동등의 점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악천후시에 주행하는 자동차가 제동을 하는 경우, 종래의 비상등과 함께 또는 이에 갈음하여 비상등이 점멸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laims (2)

  1. 제동등(17)과, 비상등(16)과, 브레이크스위치(14)와, 비상등스위치(15)와, 윈도우브러시 스위치(11)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전장시스템에서, 상기 윈도우 브러시가 고단으로 설정되면 브레이크 작동시 비상등을 점등하도록 점등신호를 절환하는 점등신호 절환수단(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점등신호 절환수단(13)은 전자석(2)과, 전자석에 의해서 구동되는 래크(5)와 래크의 왕복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6)과,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과(1), 회전판에 설치된 비상등단자(9) 및 제동등단자(10)와, 고정판에 설치된 브레이크스위치단자(8)를 포함하는 점등신호절환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시스템.
KR2019960067625U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시스템 KR200196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625U KR200196345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625U KR200196345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433U KR19980054433U (ko) 1998-10-07
KR200196345Y1 true KR200196345Y1 (ko) 2001-02-01

Family

ID=54005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7625U KR200196345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3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433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6345Y1 (ko)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시스템
GB2280553A (en) Deceleration/petrol off warning light for vehicles
KR0139931B1 (ko) 차량의 비상점등장치
KR200197209Y1 (ko) 차량의 비상등 점멸장치
EP0554924A2 (en) Signalling device for a motorcar
KR0117293Y1 (ko) 자동차의 미등장치
KR0138074Y1 (ko) 차량의 비상등구동시 방향표시회로
KR200205656Y1 (ko) 차량 속도 감속시 비상등 점멸 장치
KR0125735Y1 (ko) 브레이크 작동시 작동되는 자동차의 비상등
KR0127549Y1 (ko) 브레이크 램프 점멸장치
JP2003291719A (ja) 自動車車幅灯等の点滅装置
KR101186235B1 (ko) 자동차의 비상 경고장치
KR19980082795A (ko) 자동차의 제동등 및 미등 고장 점검 방법
KR0136710Y1 (ko) 차량의 경고등 점멸장치
KR19980031457A (ko) 급제동시 비상등 점멸장치
KR19990004515U (ko) 자동차 트렁크 도어 내측에 부착되는 비상등
KR19980067302U (ko) 자동차의 비상점멸 표시등 장치
KR19980022501A (ko) 자동차의 방향지시기능을 갖는 비상등
KR19980043599U (ko)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장치
KR19980054523U (ko) 자동차용 비상등 동작 장치
KR19980027655A (ko) 자동차의 급제동 경고장치
KR19980039393A (ko) 후진등 고장시 제동등을 점등하는 회로 및 장치
KR19980033421U (ko) 리어 램프 고장 경고 기능을 갖는 리어 램프 구동회로
KR19980022508A (ko) 차량용 정지신호출력 제어장치
KR19980011297U (ko) 자동차의 안전 정지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