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874Y1 - 장식 체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장식 체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874Y1
KR200195874Y1 KR2019990029574U KR19990029574U KR200195874Y1 KR 200195874 Y1 KR200195874 Y1 KR 200195874Y1 KR 2019990029574 U KR2019990029574 U KR 2019990029574U KR 19990029574 U KR19990029574 U KR 19990029574U KR 200195874 Y1 KR200195874 Y1 KR 200195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old
decorative
connecting member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5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홍
정성훈
Original Assignee
김우홍
정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홍, 정성훈 filed Critical 김우홍
Priority to KR20199900295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8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8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LMAKING METAL CHAINS
    • B21L11/00Making chains or chain links of special shape
    • B21L11/005Making ornamental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LMAKING METAL CHAINS
    • B21L11/00Making chains or chain links of special shape
    • B21L11/10Making chains or chain links of special shape the chain links having opposed correspondingly shaped cylindrical and hook-like parts of which one parts forms a hinge-like support for the adjacent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부재의 체결공에 체결핀이 관통 절곡되어 견고한 연결과 함께 사각 원형 등의 형상을 간단히 변환시켜 미감적 효과를 증대할 수 있도록 한 여성용 장식 목걸이 등의 장식용 체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연결부재의 측판과 측판사이로 또다른 연결부재의 측판이 인입되므로서 상, 하 연결부재는 서로 45°어긋난 상태에서 연결되고 이러한 연속연결에 따라 장식줄은 'S'자형으로 꼬임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장식줄은 쉽게 끊어지고 제조상의 어려움 및 장치의 고장이 많은 단점과 특히 장식줄의 꼬임에 의한 장식효과를 저감시키거나 한정된 장식도구만을 구성하여야 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간단히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연결부재와 부재를 체결하되, 도 5에서와 같이 연결부재(b)에 체결공를 형성시켜 체결편이 상기 체결공을 관통함과 함께 중앙공으로 2차 절곡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견고성과 꼬임 발생이 없으며 사각 원형 등의 체인을 금형의 교체로 간단히 제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장식 체인 제조장치{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decoration chain}
본 고안은 여성용 장식 목걸이 등의 장식용 체인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결부재의 체결공에 체결핀이 관통 절곡되어 견고한 연결과 함께 사각 원형 등의 형상을 간단히 변환시켜 미감적 효과를 증대할 수 있도록 한 장식 체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식용 금속체인의 제조장치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1)의 롤 띠형부재(a)가 안내롤(2)을 거쳐 제 3캠(3)의 승강봉(4)에 의해 압지된 압착장치(5)에 압착되고 미도시된 제 1캠의 연동으로 이송 아암(6)이 상기 압착장치(5)를 밀어 이에 압착된 띠형부재(a)를 이송하고 여기서 이송된 띠형부재(a)가 하금형(7) 내에 있고, 이 하금형(7) 하부측으로는 이송공(8)을 가지는 이송판(9)이 제 2캠(10) 로드와 이송 아암에 의해 상기 이송판(9)을 이송하도록 구비하며 제 4, 5캠(11)의 종동절에 구비된 상금형(7-1)이 하금형(7) 중심을 지나는 띠형부재(a)를 펀칭하면서 연결부재를 얻음과 같이 상기 연결부재를 이송시켜 금형과 형구에 의해 절곡 및 연결함으로서 기다란 장식줄을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한 이송판(10)의 이송공(8)에 끼워진 연결부재가 다음 작업공정인 절곡 및 체결장치부 상부에 도달되면 다수의 연동캠의 1차 금형이 하향시켜 이송판 (9)의 이송공(8)에 고정된 연결부재를 하향과 함께 1차 형구에 의해 연결부재는 각각의 절곡편이 상향절곡 되면서 1차 형구내에 괘착되고 또다른 캠의 작동으로 종동절이 하향되면서 상기 1차압봉을 관통한 2차압봉이 상기의 연결부재 몸체부를 하향 압송함에 따라 2차형구에 의한 절곡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하의 연결부재가 결합체결된다.
이때에 연결부재의 측판과 측판사이로 또다른 연결부재의 측판이 인입되므로서 상, 하 연결부재는 서로 45°어긋난 상태에서 연결되고 이러한 연속연결에 따라 장식줄은 'S'자형으로 꼬임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장식줄은 쉽게 끊어지는 문제점과 함께 제조상의 어려움 및 장치의 고장이 많은 단점과 특히 장식줄의 꼬임에 의한 장식효과를 저감시키거나 한정된 장식도구만을 구성하여야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체인장치에서의 꼬임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체결구조에 의해 완성된 장식줄(x)을 하향으로 당기는 구성을 구비시켜서 1차, 2차압봉에 의한 움직임을 해소하고 2차 연결부재(b)의 인입 즉시 전 인입된 부재가 내향되면서 후 인입된 부재를 체결하도록 함으로서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104234호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선등록 고안에서는 연결부재(b)와 연결부재(b) 간의 체결방법으로 연결부재의 절취된 체결측판 사이로 이전의 체결편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편이 절곡되어 체결하도록 하되, 체결측판 사이로 다음의 체결편이 위치되어 장식줄은 'S'자 꼬임을 이루되 장치에 별도의 이송 당김수단이 병행시켜 제조된 장식줄을 당김으로서 체결작업에서의 이탈방지와 함께 하향이송력을 부여하여 작업중 연결부재가 이탈되고 또는 이송불량을 해소함으로 제조가 보다 정밀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바 있으나 이러한 장치에서도 장식줄에 꼬임이 발생되고 있어 전기한 바와 같이 꼬임에 의한 장식효과를 저감시키는 단점과 단순 끼워마춤에 따른 단절로 그 사용효과를 크게 진보시키지 못하고 특히 쉽게 절단되는 문제로 장식줄이 쉽게 끊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며 특히 회전 꼬임을 이루어 장식줄의 미감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간단히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연결부재와 부재를 체결하되, 도 5에서와 같이 연결부재(b)에 체결공을 형성시켜 체결편이 상기 체결공을 관통함과 함께 중앙공으로 2차 절곡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견고성과 꼬임 발생이 없으며 사각 원형 등의 체인을 금형의 교체로 간단히 제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띠형 재료의 압송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제 2도에서 압송된 띠형 재료의 금형 펀칭과 펀칭된 연결부재의 이송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의 (A)(B)(C)는 펀칭된 연결부재를 연결하여 장식부재를 구성하는 작동설명도.
도 5의 (A)(B)는 본 고안의 장식부재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 2 : 안내롤 5 : 압착장치
6 : 이송 아암 7 : 하금형 7-1 : 상금형
8 : 체결공 9 : 이송판 11 : 제 4, 5캠
20 : 절곡 및 체결장치부 21 : 제 6캠 22 : 제 7캠
23 : 제 8캠 24 : 제 1금형 25 : 제 2금형
26 : 제 3금형 27 : 제 1형구 28 : 제 2형구
31 : 절취측판 32 : 체결편 33 : 체결공
34 : 중앙공 100 : 완성된 장식줄 a : 띠형부재
b : 연결부재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띠형 재료의 압송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제 2도에서 압송된 띠형 재료의 금형 펀칭과 펀칭된 연결부재의 이송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의 (A)(B)(C)는 펀칭된 연결부재를 연결하여 장식부재를 구성하는 작동설명도 및 도 5의 (A)(B)는 본 고안의 장식부재의 요부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형 띠형부재(a)가 안내롤(2)을 거쳐 기체(1)의 압착장치(5)에 압착되고 이송 아암(6)이 상기 압착장치(5)를 밀어 띠형부재(a)를 이송시켜 띠형부재(a)가 하금형(7) 내에서 제 4, 5캠(11)의 종동절에 구비된 상금형(7-1)이 하금형(7) 중심을 지나는 띠형부재(a)를 펀칭하여 연결부재(b)를 얻어 절곡 및 체결장치부(20)로 이송하면 상기 체결장치부(20)에서 전후의 연결부재를 상하체결함으로서 장식줄을 제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부(20)는 도 1에서와 같이 제 6캠(21), 제 7캠(22) 및 제 8캠 (23)의 각 상, 하연동 종절로 승, 하강하는 제 1금형(24), 제 2금형(25) 및 3금형 (26)을 중첩 구성시켜 순차적으로 승, 하강구성된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연결부재(b)가 이송판(9)의 이송 체결공(8)에 끼워져 제 1형구(27) 상부로 공급되면 제 1금형(24)이 하강되어 연결부재(b)를 1차 가압으로 도 4의 (B)에서와 같이 판형의 연결부재(b)의 절취측판(31) 단부의 체결편(32)을 ''형으로 절곡시키면서 하강하고 먼저 유입된 연결부재(b)의 체결편(32)이 유입되고 체결공(33)에 관통함과 함께, 제 2금형(25)이 (C)에서와 같이 하강하면서 상기 절곡된 절취측판(31)을 가압과 함께 제 2형구(28) 내로 밀어 넣어 2차절곡함과 제 3금형이 하강하여 내향된 체결편(32)을 먼저 유입된 연결부재(b)의 중앙공(34) 내로 밀어넣어 ''형의 내향절곡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 5의 (A)(B)에서와 같이 연결부재(b)를 도3의 상하금형 (7)(7-1)에 의해 형성되고 있으나 그 형상이 열십자형 또는 원형, 사각에 체결편 (32)을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제 1, 2금형의 사각 원형 등에 따라 원형줄과 사각 또는 타원 직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00은 완성된 장식줄, 3은 제 3캠, 10은 제 2캠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띠형 재료의 압송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제 2도에서 압송된 띠형 재료의 금형 펀칭과 펀칭된 연결부재의 이송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의 (A)(B)(C)는 펀칭된 연결부재를 연결하여 장식부재를 구성하는 작동설명도 및 도 5의 (A)(B)는 본 고안의 장식부재의 요부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형 띠형부재 (a)를 공급시켜 안내롤(2)에 의해 기체(1)의 압착장치(5)에 압착되고 이송 아암(6)이 상기 압착장치(5)를 밀어 띠형부재(a)를 이송한다.
즉, 도 2와 3에서와 같이 상기 띠형부재(a)가 하금형(7) 내에 있을 때에 제 4, 5캠(11)의 종동절에 구비된 상금형(7-1)이 하금형(7) 중심을 지나는 띠형부재(a)를 펀칭하여 도 5의 열십자형의 절취측판(31)과 일체의 체결편(32)을 형성하고 상기 절취측판(31)에는 각각의 체결공(33)과 중앙에 중앙공(34)을 형성한 연결부재(B)를 얻게 된다. 계속 이동하는 이들 하부에 위치된 이송판(9)의 이송 체결공(8)에 상기 연결부재(B)가 끼워지고 이때에 제 2캠(10) 로드와 이송 아암에 의해 상기 이송판(9)을 이송시켜 상기 펀칭된 연결부재(B)가 다음 작업공정인 절곡 및 체결장치부(20) 제 1형구(27) 상부에 도달되면 도 4의 (A)에서와 같이 도 1의 제 6캠(21)과 제 7캠(22) 및 제 8캠 (23)이 각각의 상, 하연동 종절을 연동하여 이에 연결된 제 1금형(24)과 제 2금형 (25) 및 3금형(26)을 순차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도 4 에서와 같이 연결부재(b)가 이송판(9)에 의해 제 1형구(27)상부로 공급되면 제 1금형(24)이 하강되어 ''형판 연결부재(b)를 1차 가압하여 (B)에서와 같이 연결부재(b)의 절취측판(31)에서 연장된 체결편(32)을 ''형으로 양단부를 상향 절곡시켜 하강하면서 먼저 유입된 연결부재(b)의 ''형 체결편(32)이 절취측판(31)에 천공된 체결공(33)에 관통함과 함께 도 4(A)의 일점쇄선표기와 같이 제 2금형(25)이 하강하여 상기 연결부재(b)를 제 2형구(28)에 밀어 넣음으로서 (C)에서와 같이 상하부재가 결합되고 이와 함께 제 3금형(26)이 하강하면서 상기 절곡된 체결편(32)을 가압과 함께 연결부재(b)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앙공(34) 내로 상기 체결편(32)의 끝단부를 내향 절곡시켜 상하 연결부재(b)를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의 연속으로 본 고안은 도 5의 (A)(B)에서와 같이 연속된 장식용 줄을 제조하게 되는 것이며 특히 상하 연결부재(b)가 꼬임이 없는 상태의 상하로 체결되어 장식줄이 견고하고 미감적 효과를 증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열십자형 또는 원형, 사각의 연결부재를 구성시켜 사각줄, 원형 등의 체인줄을 구성할 수 있고 체결편(32)이 이중절곡연결로 견고성을 높여 장식줄의 끊어짐을 개선한 고안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체인줄의 연결부재구성에서의 측판과 측판사이로 또다른 연결부재의 체결편이 인입되어 연결됨으로서 장식줄에서 꼬임이 발생되는 한편 단순히 측판사이로 유입된 체결편이 절곡되어 연결됨에 따라 체결수단이 약해 쉽게 이탈 절단되는 폐단과 함께 꼬임으로 인한 미감적 효과를 저감하고 있는 통상의 장식줄에서 연결부재에 체결공을 형성시켜 체결편이 상기 체결공을 관통함과 함께 중앙공에서 2차의 절곡으로 체결됨으로서 견고한 체결과 함께 상하 수직연결에 의한 꼬임을 방지하여 장식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며 특히 통상의 장치에서의 문제점을 간단히 개선하고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장점 및 불량율을 해소하게 되는 기술향상에 의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의 고안이다.

Claims (4)

  1. 띠형부재(a)가 안내롤(2)을 거쳐 기체(1)의 압착장치(5)에 압착되고 이송 아암(6)이 상기 압착장치(5)를 밀어 띠형부재(a)를 이송시켜 띠형부재(a)가 하금형 (7) 내에서 제 4, 5캠(11)의 종동절에 구비된 상금형(7-1)이 하금형(7) 중심을 지나는 띠형부재(a)를 펀칭하여 연결부재(B)를 얻어 절곡 및 체결장치부(20)로 이송하면 상기 체결장치부(20)에서 전후의 연결부재를 상하체결함으로서 장식줄을 제조하는 장식줄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부(20)는 제 6캠(21), 제 7캠(22) 및 제 8캠(23)으로 상, 하연동하는 제 1금형(24), 제 2금형(25), 3금형(26)을 연동함과,
    상기 연결부재(b)는 제 1금형(24)으로 절취측판(31) 단부의 체결편(32)을 상향 절곡함과 제 2금형(25)은 상기 절취측판(31)을 제 2형구(28) 내로 밀어 넣어 상하부재를 연결하고,
    제 3금형은 체결공(33)을 관통한 체결편(32)을 연결부재(b)의 중앙공(34) 내로 절곡시켜 연결부재(b)가 상하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체인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b)는 절취측판(31)과 체결편(32)이 형성되고 절취측판(31)에는 체결공(33)과 중앙부에 중앙공(34)을 뚫어서 된 연결부재로 장식줄을 제조하는 장식 체인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금형(24)과 제 2금형(25)을 원형의 형상으로 구성하여 장식줄의 형상이 원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체인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금형(24)과 제 2금형(25)을 사각 형상으로 구성하여 장식줄이 사각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체인 제조장치.
KR2019990029574U 1999-12-24 1999-12-24 장식 체인 제조장치 KR2001958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574U KR200195874Y1 (ko) 1999-12-24 1999-12-24 장식 체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574U KR200195874Y1 (ko) 1999-12-24 1999-12-24 장식 체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874Y1 true KR200195874Y1 (ko) 2000-09-15

Family

ID=1960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574U KR200195874Y1 (ko) 1999-12-24 1999-12-24 장식 체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8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6416A (ko) 파이프 행거의 지지부재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JPH05146837A (ja) コンベヤベルト又は類似のベルトを結合する装置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り製造した結合装置
KR200195874Y1 (ko) 장식 체인 제조장치
KR20100129622A (ko) 장신용 체인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068180B2 (ja) パズルロック形圧縮リングの自動的な製造方法および製造機械
US1580910A (en) Chai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2593681A (zh) 一种换向器的换向片、其制造方法及专用冲模
KR101184156B1 (ko)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보석난집 및 액세서리 제품
CN111276842A (zh) 一种用于自动压接设备的链带式插针及其制造方法
TW201741525A (zh) 內含鋼線之橡膠片之製造裝置及製造方法
KR100497342B1 (ko) 체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594330B2 (en) Rosary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960002712Y1 (ko) 장식용 금속체인의 제조장치
KR102425780B1 (ko) 장신용 체인 제작장치
KR100492128B1 (ko) 캡의 걸림편 밴딩 금형과 상기 금형을 이용한프로그레시브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캡 제조방법
CN106001335B (zh) 一种衣架加工装置
KR200310248Y1 (ko) 체인 제조장치
US1939346A (en) Method of producing a chain link and the link made by such a method
KR100819782B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
US1793099A (en) Cha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23496B1 (ko) 난줄의 제조방법
KR101662453B1 (ko) 와이어 옷걸이 성형용 금형유닛 및 이를 갖는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
KR101233102B1 (ko) 체인 제조장치
KR102046058B1 (ko) 금 중량이 절감되는 장신구용 연결구 제조방법
CN218408334U (zh) 对扣钉多次成型的高强度订扣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