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659Y1 - 2단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2단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659Y1
KR200191659Y1 KR2019980005481U KR19980005481U KR200191659Y1 KR 200191659 Y1 KR200191659 Y1 KR 200191659Y1 KR 2019980005481 U KR2019980005481 U KR 2019980005481U KR 19980005481 U KR19980005481 U KR 19980005481U KR 200191659 Y1 KR200191659 Y1 KR 2001916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allet
guide rails
lifting pallet
li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311U (ko
Inventor
남궁문학
Original Assignee
남궁문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문학 filed Critical 남궁문학
Priority to KR2019980005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65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3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3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6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6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대의 차량을 상, 하2단으로 주차하기 위한 2단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국내 특허출원 제96-19301호의 계량고안에 관한 것이며, 회동링크의 가동측 선단에서 승강팔레트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제작상의 편의성과 작동상의 정확성을 고려하여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하고, 또 승강팔레트를 회동링크의 가동측 선단에 고정하는 수단을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2단 주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은, 지면 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1쌍의 기초프레임(1, 1)과, 기초프레임(1, 1) 사이의 입고위치에서 기초프레임(1, 1) 외측의 출고위치로 이동 가능한 접지팔레트(2)와, 기초프레임(1, 1)의 길이방향 양 선단부에 수직되게 각각 설치된 수직가이드레일(3, 3) 및 지주(4, 4)와, 수직가이드레일(3, 3)과 지주(4, 4)의 상부 선단에 양단이 각각 고정된 아치상의 상부가이드레일(5, 5)과, 일단부가 기초프레임(1, 1)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그 타단부가 연결링크(6, 6)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실린더(7)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된 2쌍의 회동링크(8, 8, 9, 9)와,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부에 지지되고 회동링크(8, 8, 9, 9)의 회동에 의해 수직가이드레일(3, 3)과 상부가이드레일(5, 5)에 안내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접지팔레트(2)의 상부로 이동 가능함과 함께 상기 수직가이드레일(3, 3)에 안내될 때에는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상부가이드레일(5, 5)에 안내될 때에는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에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승강팔레트(10)를 포함하는 2단 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팔레트(10)를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은, 승강팔레트(10)의 가로빔(10b) 내에 형성된 롤러지지면(11, 12)이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에 설치된 롤러(8a, 8a, 9a, 9a)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된 것이고, 상기 승강팔레트(10)를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에 고정하는 수단은, 상기 지주(4, 4)측 연결링크(6)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3)에 스톱브라켓(14)의 일단부가 삽입 가능하고 스톱브라켓(10)의 타단부는 승강팔레트(1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0a)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승강팔레트(10)가 상부가이드레일(5, 5)에 안내되는 시점에서는 상기 스톱브라켓(14)의 일단부가 그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링크(6)의 걸림턱(13)에 삽입되므로서 승강팔레트(10)가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에 고정되고 승강팔레트(10)가 수직가이드레일(3, 3)에 안내되는 시점에서는 회동링크(9, 9)의 상단부가 스톱브라켓(14)을 상측으로 회동시켜 연결링크(6)의 걸림턱(13)에서 이탈되게 하는 것에 의해 승강팔레트(1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단 주차장치
본 고안은, 2대의 차량을 상, 하 2단으로 주차하기 위한 2단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2대의 차량을 상, 하 2단으로 주차하기 위한 종래의 진보된 기술로는 본원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 제96-19301호가 알려져 있으며, 그 기술적 구성은, 지면 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1쌍의 기초프레임과, 기초프레임 사이의 입고위치에서 기초프레임 외측의 출고위치로 이동 가능한 접지팔레트와, 기초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 선단부에 수직되게 각각 설치된 수직가이드레일 및 지주와, 수직가이드레일과 지주의 상부 선단에 양단이 각각 고정된 아치상의 상부가이드레일과, 일단부가 기초프레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그 타단부가 연결링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실린더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된 2쌍의 회동링크와, 회동링크의 가동측 선단부에 지지되고 회동링크의 회동에 의해 수직가이드레일과 상부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접지팔레트의 상부로 이동 가능함과 함께 상기 수직가이드레일에 안내될 때에는 회동링크의 가동측 선단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상부가이드레일에 안내될 때에는 회동링크의 가동측 선단에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승강팔레트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2단 주차장치는, 승강팔레트가 실린더에 의한 회동링크의 회동 동작에 의해 수직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수직방향으로 상승한 후 이어서 상부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접지팔레트의 상측으로 입고되고, 회동링크의 반대되는 회동 동작에 의해 상부가이드레일과 수직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지면 위의 출고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2단 주차장치는, 승강팔레트가 상부 일부 구간에서 원호를 그리며 이동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구간에서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것이므로 승강시 접지팔레트의 상측 모서리부를 침범하지 않는 것이어서 그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겠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차장치에 있어서는, 회동링크의 가동측 선단에서 승강팔레트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제작상의 편의성이나 작동의 정확성을 고려하지 못한 것이고, 승강팔레트를 회동링크의 가동측 선단에 고정하는 수단은 그 작동의 정확성을 신뢰하기에 미합한 것이어서 오작동이 발생할 우려가 많은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주차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회동링크의 가동측 선단에서 승강팔레트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제작상의 편의성과 작동상의 정확성을 고려하여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하고, 또 승강팔레트를 회동링크의 가동측 선단에 고정하는 수단을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2단 주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배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6도는 제3도의 C-C선 단면도.
제7도는 제1도의 투시방향 D에서 승강브라켓의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8도는 제1도의 투시방향 D에서 승강브라켓의 고정 해제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9도는 본 고안에 있어 접지팔레트를 출고위치로 한 상태의 우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초프레임 2 : 접지팔레트
3 : 수직가이드레일 4 : 지주
5 : 상부가이드레일 6 : 연결링크
7 : 실린더 8, 9 : 회동링크
10 : 승강팔레트 11, 12 : 롤러지지면
14 : 스톱브라켓
본 고안은, 지면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1쌍의 기초프레임과, 기초프레임 사이의 입고위치에서 기초프레임 외측의 출고위치로 이동 가능한 접지팔레트와, 기초프레임의 길이방향 양 선단부에 수직되게 각각 설치된 수직가이드레일 및 지주와, 수직가이드레일과 지주의 상부 선단에 양단이 각각 고정된 아치상의 상부가이드레일과, 일단부가 기초프레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그 타단부가 연결링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실린더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된 2쌍의 회동링크와, 회동링크의 가동측 선단부에 지지되고 회동링크의 회동에 의해 수직가이드레일과 상부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접지팔레트의 상부로 이동 가능함과 함께 상기 수직가이드레일에 안내될 때에는 회동링크의 가동측 선단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상부가이드레일에 안내될 때에는 회동링크의 가동측 선단에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승강팔레트를 포함하는 2단 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팔레트를 회동링크의 가동측 선단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은, 승강팔레트의 가로빔 내에 형성된 롤러지지면이 회동링크의 가동측 선단에 설치된 롤러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된 것이고, 상기 승강팔레트를 회동링크의 가동측 선단에 고정하는 수단은, 상기 지주측 연결링크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스톱브라켓의 일단부가 삽입 가능함과 함께 스톱브라켓의 타단부는 승강팔레트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주차장치로 상기 과제를 해결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팔레트의 가로빔 내에 형성된 롤러지지면이 회동링크의 가동측 선단에 설치된 롤러에 지지되어 슬라이딩하는 것이므로 그 구성이 극히 간단하고 롤러가 롤러지지면에서 이탈할 우려가 없는 것이다.
또, 승강팔레트가 상부가이드레일에 안내되는 시점에서 상기 스톱브라켓의 일단부가 그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링크의 걸림턱에 삽입되므로서 승강팔레트가 회동링크의 가동측 선단에 고정되고, 승강팔레트가 수직가이드레일에 안내되는 시점에서는 회동링크의 상단부가 스톱브라켓을 상측으로 회동시켜 연결링크의 걸림턱에서 이탈되게 하는 것에 의해 승강팔레트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도록 된 것이므로, 회동링크에 대한 승강팔레트의 고정 및 고정해제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배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지면 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1쌍의 기초프레임(1, 1)과, 기초프레임(1, 1) 사이의 입고위치에서 기초프레임(1, 1) 외측의 출고위치로 이동 가능한 접지팔레트(2)와, 기초프레임(1, 1)의 길이방향 양 선단부에 수직되게 각각 설치된 수직가이드레일(3, 3) 및 지주(4, 4)와, 수직가이드레일(3, 3)과 지주(4, 4)의 상부 선단에 양단이 각각 고정된 아치상의 상부가이드레일(5, 5)과, 일단부가 기초프레임(1, 1)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그 타단부가 연결링크(6)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실린더(7)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된 2쌍의 회동링크(8, 8, 9, 9)와,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부에 지지되고 회동링크(8, 8, 9, 9)의 회동에 의해 수직가이드레일(3, 3)과 상부가이드레일(5, 5)에 안내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접자팔레트(2)의 상부로 이동 가능함과 함께 상기 수직가이드레일(3, 3)에 안내될 때에는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상부가이드레일(5, 5)에 안내될 때에는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에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승강팔레트(10)에 대한 구성은 종래의 기술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고안은 상기 승강팔레트(10)를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과, 상기 승강팔레트(10)를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에 고정하는 수단을 달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4도 및 제5도는, 승강팔레트(10)를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승강팔레트(10)의 가로빔(10a) 내에는 롤러지지면(11, 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롤러지지면(11, 12)은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에 설치된 롤러(8a, 8a, 9a, 9a)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회동링크(8, 8, 9, 9)에 대한 승강팔레트(10)의 고정상태가 해제된 상태일 때, 승강팔레트(10)는 롤러지지면(11, 12)이 롤러(8a, 8a, 9a, 9a)에 지지된 상태로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부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것이다.
제7도 및 제8도는 승강팔레트(10)를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에 고정하는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지시부호 13은, 상기 지주(4)측 연결링크(6)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3)이고, 지시부호 14는, 대략형상으로 되어 하측 단부가 상기 걸림턱(13)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상측 단부는 승강팔레트(1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0a)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스톱브라켓이다. 이 스톱브라켓(14)의 하단부 일측에 연장하여는 연장편(1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승강팔레트(10)가 상부가이드레일(5, 5)에 안내되는 시점에서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톱브라켓(14)의 일단부가 그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링크(6)의 걸림턱(13)에 삽입되므로서 승강팔레트(10)가 회동링크(8, 9)의 가동측 선단에 고정되고 승강팔레트(10)가 수직가이드레일(3, 3)에 안내되는 시점에서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링크(9, 9)의 상단측에 형성된 밀착판(9b)이 스톱브라켓(14)의 연장편(14a)을 상측으로 회동시켜 스톱브라켓(14)을 연결링크(6)의 걸림턱(13)에서 이탈되게 하는 것에 의해 승강팔레트(1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2단 주차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팔레트(10)를 출고위치 즉, 접지팔레트(2) 앞의 지면에 접지되게 한 상태(L의 위치)에서 승강팔레트(10) 위로 자동차를 진입시킨 후, 실린더(7)를 작동시켜 로드를 신장시키면 상호 연결된 회동링크(8, 9)는 제3도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평행상태를 유지한 체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이 회동링크(8, 9)가 회동하면 회동링크(8, 9)의 가동단에 설치된 롤러(8a, 9a)가 승강팔레트(10)의 가로빔(10b)에 형성된 롤러지지면(11, 12)에서 구름운동하고 승강팔레트(10)와 함께 이동되는 스프로킷휠(15)이 수직가이드레일(3)에 설치된 체인(CH1)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 승강팔레트(10)는 지면과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직가이드레일(3)을 따라 상승하여 수직가이드레일(3)의 상단부측에 이르게 된다(M의 위치). 승강팔레트(10)가 수직가이드레일(3)의 상단부측에 이르러 상부가이드레일(5)에 안내되기 시작하면 스톱브라켓(14)의 일단부가 그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링크(6)의 걸림턱(13)에 삽입되므로서 승강팔레트(10)가 회동링크(8, 9)의 가동측 선단에 고정된다(제7도의 상태).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회동링크(8, 9)가 더 회동하면 승강팔레트(10)와 함께 이동하는 스프로킷휠(15)이 상부가이드레일(5) 내의 체인(CH1)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 승강팔레트(10)는 어떠한 장해도 없이 회동하여 접지팔레트(2) 위의 입고위치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팔레트(10)가 입고위치에 이르게 되면 별도의 컨트롤러에 의해 실린더의 작동이 정지되고 이와 동시에 승강팔레트(10)는 입고상태로 정지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에 있어서 회동링크(8, 9)가 경사위치일 경우에는 기초프레임(1)에 회동모멘트가 작용할 것이나, 이는 뒤쪽 지주 사이에 설치된 웨이트(16)에 의해 저지되는 것이므로 주차장치가 쓰러지는 등의 우려는 없는 것이다.
다음, 승강팔레트(10)에 실려진 자동차를 출고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실린더(7)를 작동시켜 로드를 단축하면 앞의 작동과 반대되는 작동에 의해 승강팔레트(10)는 지면 위의 출고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출고위치로의 이동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승강팔레트(10)의 좌, 우 선단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경사판(10c)은 지주(4)의 하측에 설치된 가이드판(17)의 안내에 의해 펼쳐져 접지되는 것이고, 승강팔레트(10)가 출고위치에 이르면 승강팔레트(10) 위의 자동차를 도로쪽으로 주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2단 주차장치는 승강팔레트(10)를 입고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접지팔레트(2)를 기초프레임(1) 상의 입고위치나 승강팔레트(10)의 출고위치와 동일한 출고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접지팔레트(2)는 제1도에서와 같이 기초프레임(1) 사이에 위치할 때 입고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접지팔레트(2)를 출고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팔레트(2)의 뒤쪽에 설치된 모터(18)를 작동시켜 접지팔레트(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축(18a)을 회전시키면 축(18a)의 양단에 설치된 스프로킷휠(19)이 기초프레임(1)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설된 체인(CH2)을 따라 제9도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앞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접지팔레트(2)는 승강팔레트(10)의 출고위치와 동일한 출고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접지팔레트(2)는 그 하부에 설치된 바퀴(2a) 의해 출고위치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접지팔레트(2)가 출고위치에 이르면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모터의 작동이 정지되고 이에 의해 접지팔레트(2)는 출고상태로 정지한다. 이와 같이 접지팔레트(2)가 출고상태로 정지하면 그 위로 자동차를 진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접지팔레트(2)에 실려진 자동차를 입고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모터(18)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앞의 동작과 반대되는 동작에 의해 접지팔레트(2)는 입고위치로 이동 정지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승강팔레트의 가로빔 내에 형성된 롤러지지면에 회동링크의 가동측 선단에 설치된 롤러가 접하여 구름운동 하는 것이므로, 승강팔레트를 회동링크의 가동측 선단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이 극히 간단하고 롤러가 롤러지지면에서 이탈할 우려가 없는 것이어서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승강팔레트가 상부가이드레일에 안내되는 시점에서 상기 스톱브라켓의 일단부가 그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링크의 걸림턱에 삽입되므로서 승강팔레트가 회동링크의 가동측 선단에 고정되고, 승강팔레트가 수직가이드레일에 안내되는 시점에서는 회동링크의 상단부가 스톱브라켓을 상측으로 회동시켜 연결링크의 걸림턱에서 이탈되게 하는 것에 의해 승강팔레트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도록 된 것이므로, 회동링크에 대한 승강팔레트의 고정 및 고정해제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Claims (1)

  1. 지면 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1쌍의 기초프레임(1, 1)과, 기초프레임(1, 1) 사이의 입고위치에서 기초프레임(1, 1) 외측의 출고위치로 이동 가능한 접지팔레트(2)와, 기초프레임(1, 1)의 길이방향 양 선단부에 수직되게 각각 설치된 수직가이드레일(3, 3) 및 지주(4, 4)와, 수직가이드레일(3, 3)과 지주(4, 4)의 상부 선단에 양단이 각각 고정된 아치상의 상부가이드레일(5, 5)과, 일단부가 기초프레임(1, 1)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그 타단부가 연결링크(6, 6)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실린더(7)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된 2쌍의 회동링크(8, 8, 9, 9)와,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부에 지지되고 회동링크(8, 8, 9, 9)의 회동에 의해 수직가이드레일(3, 3)과 상부가이드레일(5, 5)에 안내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접지팔레트(2)의 상부로 이동 가능함과 함께 상기 수직가이드레일(3, 3)에 안내될 때에는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상부가이드레일(5, 5)에 안내될 때에는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에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승강팔레트(10)를 포함하는 2단 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팔레트(10)를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은, 승강팔레트(10)의 가로빔(10b) 내에 형성된 롤러지지면(11, 12)이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에 설치된 롤러(8a, 8a, 9a, 9a)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된 것이고, 상기 승강팔레트(10)를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에 고정하는 수단은, 상기 지주(4, 4)측 연결링크(6)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3)에 스톱브라켓(14)의 일단부가 삽입 가능하고 스톱브라켓(10)의 타단부는 승강팔레트(1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0a)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승강팔레트(10)가 상부가이드레일(5, 5)에 안내되는 시점에서는 상기 스톱브라켓(14)의 일단부가 그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링크(6)의 걸림턱(13)에 삽입되므로서 승강팔레트(10)가 회동링크(8, 8, 9, 9)의 가동측 선단에 고정되고 승강팔레트(10)가 수직가이드레일(3, 3)에 안내되는 시점에서는 회동링크(9, 9)의 상단부가 스톱브라켓(14)을 상측으로 회동시켜 연결링크(6)의 걸림턱(13)에서 이탈되게 하는 것에 의해 승강팔레트(1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주차장치.
KR2019980005481U 1998-04-08 1998-04-08 2단 주차장치 KR2001916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481U KR200191659Y1 (ko) 1998-04-08 1998-04-08 2단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481U KR200191659Y1 (ko) 1998-04-08 1998-04-08 2단 주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311U KR19990039311U (ko) 1999-11-05
KR200191659Y1 true KR200191659Y1 (ko) 2000-08-16

Family

ID=19533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481U KR200191659Y1 (ko) 1998-04-08 1998-04-08 2단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6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9883A (zh) * 2019-01-07 2019-04-16 天津市职业大学 三层停车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061B1 (ko) * 2000-05-10 2003-10-17 송철수 주택용 주차장치
KR20040022779A (ko) * 2002-09-07 2004-03-18 황태홍 이단 주차 장치
CN109779339A (zh) * 2019-01-15 2019-05-21 深圳职业技术学院 一种保持载物水平的提升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9883A (zh) * 2019-01-07 2019-04-16 天津市职业大学 三层停车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311U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01194B2 (en) Folding transport conveyor for a construction machine, automotive construction machine, as well as method for pivoting a transport conveyor
JP4491775B2 (ja) 階段通行する手押し車
EP1172483B1 (en) Under bridge access apparatus with cross-linking member connecting tower with vehicular chassis
CN104355122A (zh) 一种升降滚床输送机
JPS5929450B2 (ja) 車輛付き検査兼保守装置
KR200191659Y1 (ko) 2단 주차장치
WO2006046335A1 (ja) 自動車車体移載方法及び移載装置
CN102597692B (zh) 用于支承车轮的设备
CN107773912B (zh) 一种易移动的跑步机
KR101444792B1 (ko) 인삼 해가림 시설용 지주목 설치장치
JP2001275452A (ja) 茶葉摘採機
KR100597370B1 (ko) 차량용 리프트장치
JP5092486B2 (ja) 移載装置
JP3536271B2 (ja) 車両用昇降装置
JP3087103B2 (ja) 車両の移送装置
JPH0718895A (ja) 車輌のリフト格納装置
KR0164683B1 (ko) 2단 주차장치
KR100232003B1 (ko) 상용차량의 적재대 접철식 덮개장치
JPH0712171Y2 (ja) 車輌運搬車
JPH0124166Y2 (ko)
JPH10273978A (ja) 二段駐車装置
JPS596179A (ja) タイヤ組付装置
JPH11199187A (ja) 車両用リフト装置
JP3182454U (ja) 立体駐車装置
JPS5811833Y2 (ja) リンク式昇降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