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477Y1 - 자동차의 센터필러 하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센터필러 하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477Y1
KR200187477Y1 KR2019950039391U KR19950039391U KR200187477Y1 KR 200187477 Y1 KR200187477 Y1 KR 200187477Y1 KR 2019950039391 U KR2019950039391 U KR 2019950039391U KR 19950039391 U KR19950039391 U KR 19950039391U KR 200187477 Y1 KR200187477 Y1 KR 200187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enter pillar
vehicle
reinforcement
gus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9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7256U (ko
Inventor
추태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39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477Y1/ko
Publication of KR9700372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72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4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센터필러 하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센터필러 하단부의 내부에 절곡패널형태를 갖는 보강패널을 구비하고, 이것의 자체강성 및 변형을 통하여 차량측면 충돌시의 충격을 대부분 흡수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센터필러 하부의 실내유입정도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센터필러 하부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센터필러 하부구조
제 1 도는 자동차의 일부 측면도
제 2 도는 종래의 센터필러 하부구조를 나타내는 제 1 도에서의 A-A선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은 센터필러 하부구조를 나타내는 제 1 도에서의 A-A선 단면도 및 보강패널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센터필러 내측패널 11 : 센터필러의 외측패널
12 : 바닥패널 13 : 거셋패널(Gusset panel)
14 : 사이드패널 15 : 더스트 커버
16 : 보강패널 17 : 그루브
본 고안은 센터펄러의 하부에 측방향 강성을 갖춘 보강패널을 설치하고, 이것의 자체강성 및 변형을 이용하여 차량 측면 충돌시의 충격을 대부분 흡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센터필러 하부의 실내유입정도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센터필러 하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측면 충돌시 자체하단부 특히, 센터필러 하부의 응력집중현상으로 이곳이 심한 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이로 인해 센터필러 하부의 실내유입량이 많아지게 되므로서, 탑승자의 인체 상해치중 하체에 미치는 상해정도가 크게 나타나게 되는것을 알 수 있다.
첨부도면 제 2도는 센터필러 내외측패널(10), (11)이 서로 일정 공간부를 형성하면서 조합되어 있고, 내측패널(10)의 하단부에는 바닥패널(12)과 연접되는 거셋패널(13)이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외측패널(11)의 바깥쪽에는 사이드패널(14)이 중첩되어 있는 구조의 센터필러 하부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5는 더스트 커버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센터필러 하부구조는 차량 측면 충돌시 충분한 측방향 강성을 갖기에는 매우 취약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센터필러 하부의 실내유입을 막는 데에는 별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으며, 이에 대한 보강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센터필러 하단부의 내부에 절곡패널형태를 갖는 보강패널을 구비하고, 이것의 자체강성 및 변형을 통하여 차량 측면 충돌시의 충격을 대부분 흡수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센터필러 하부의 실내유입정도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센터필러 하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내외측패널(10), (11)이 공간부를 형성하면서 조합되고, 내측패널(10)의 아래쪽에는 거셋패널(13)이 연접되며, 외측패널(11)의 바깥쪽에는 사이드패널(14)이 중첩되는 구조의 센터필러 하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패널(10), (11)사이의 공간부에 ㄷ자형 단면을 갖는 보강패널(16)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패널(16)의 날개부와 전면부가 거셋패널(13)과 외측패널(11)의 각 안쪽면에 동시 밀착되면서 융착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보강패널(16)의 전면부와 날개꺽임부에는 자체 강성을 강화하기 위한 다수의 그루브(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센터필러 하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보강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과 11은 센터필러 내측패널과 센터필러 외측패널을 나타낸다. 상기 센터필러 내외측패널(10), (11)은 각각의 측단 날개부를 맞댄 상태로 융착되어 일체형의 기둥 형태로 조합된다. 이렇게 조합되는 내외측패널(10), (11)의 내부에는 사각 단면의 공간부가 형성되게 되며, 이때의 공간부는 차량 측면 충돌시의 측방향 충격을 수용할 수 있는 완충구간의 역할을 하게된다. 또한 도면부호 13은 거셋 패널을 나타낸다. 상기 거셋패널(13)은 내측패널(10)의 하단부와 이곳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사이드 실내측패널(도시되지 않음)을 이어주는 연결부재이다. 이러한 거셋패널(13)의 상단부는 내측패널(10)의 하단부와 일부 겹쳐지면서 함께 접합되고, 바깥쪽면 예컨대, 차실내쪽을 향하는 면에는 바닥패널(12)이 연접 접합된다. 특히, 상기 거셋패널(13)의 상단폭 중앙에는 사각절개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사각용기형상의 더스트 커버(15)가 바깥쪽에서 안쪽 즉, 차실내쪽에서 공간부 안쪽으로 삽입 체결된다. 또한, 도면부호 16은 보강패널을 나타낸다. 상기 보강패널(16)은 기본적으로 띄편 형태의 패널로 이루어져 있으며, 패널길이 방향으로 수차례 90°절곡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볼때 ㄷ자형 단면을 갖은 절곡형 패널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보강패널(16)은 상기 거셋패널(13)과 외측패널(11) 사이에서 전면부가 충격이 진행되어오는 쪽을 마주볼 수 있도록 바깥쪽으로 향하게 되는 동시에 양측벽부가 위아래로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융착고정된다. 즉, 보강패널(16)의 양측벽부가 갖는 각각의 날개부는 거셋패널(13)의 안쪽면에 밀착되면서 융착고정되고, 이와 동시에 전면부는 외측패널(11)의 안쪽면에 밀착되면서 융착고정된다. 마치, 상기 보강패널(16)은 거셋패널(13)과 외측패널(11)사이의 틈새에 꼭맞게 끼워져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되는 보강패널(16)의 안쪽으로는 거셋패널(13)에 장착되어 있는 더스트 커버(15)가 포함되게 되고, 보강패널(16)의 전면부는 최외각의 사이드패널(14) 및 그 안쪽의 외측패널(11)과 함께 중첩되면서 차량 측면 충돌시의 측방향 충격을 직접 받아낼 수 있게 된다.
특히, 보강패널(16)의 전면부에는 단면 안쪽으로 향하도록 돌출된 그루브(17)가 적어도 2열이상 나란하게 형성되고, 양측벽부와 날개부 간의 꺽임부위에도 다수의 그루브(17)가 형성된다. 이러한 그루브(17)들은 보강패널(16)의 자체강성을 강화시켜줄 뿐만 아니라 보강패널(16)이 충격에 의해 급속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된다. 따라서, 차량 측면 충돌시의 측방향 충격이 사이드패널(14)을 거쳐서 외측패널(11)의 전면에 전해지게 되면, 이때의 외측패널(11)은 보강패널(16)을 통한 내측패널(10) 및 거셋패널(13)과의 상호보완적인 연계구조가 갖는 지지강성을 이용하여 충격을 1차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한편, 보강패널(16)의 효과적인 자체강성을 이용하여 1차 저감된 충격을 대부분 흡수 분산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센터필러 하단부의 실내유입정도를 현저히 격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센터필러 하단부의 내부에 효과적인 충격흡수가 가능한 보강패널을 설치하고, 이것에 의해 차량 측면 충돌시 센터필러 하단부의 실내유입량을 최소화 함으로써, 탑승자의 인체상해치 특히, 하체의 상해정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내외측패널(10), (11)이 공간부를 형성하면서 조합되고, 내측패널(10)의 아래쪽에는 거셋패널(13)이 연접되며, 외측패널(11)의 바깥쪽에는 사이드패널(14)이 중첩되는 구조의 센터필러 하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패널(10), (11) 사이의 공간부에 ㄷ자형 단면을 갖는 보강패널(16)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패널(16)의 날개부와 전면부가 거셋패널(13)과 외측패널(11)의 각 안쪽면에 동시 밀착되면서 융착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센터필러 하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널(16)의 전면부와 날개꺽임부에는 자체 강성을 강화하기 위한 다수의 그루브(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센터필러 하부구조.
KR2019950039391U 1995-12-08 1995-12-08 자동차의 센터필러 하부구조 KR200187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9391U KR200187477Y1 (ko) 1995-12-08 1995-12-08 자동차의 센터필러 하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9391U KR200187477Y1 (ko) 1995-12-08 1995-12-08 자동차의 센터필러 하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256U KR970037256U (ko) 1997-07-26
KR200187477Y1 true KR200187477Y1 (ko) 2000-07-15

Family

ID=19432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9391U KR200187477Y1 (ko) 1995-12-08 1995-12-08 자동차의 센터필러 하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4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4365B2 (en) * 2019-08-26 2022-02-22 Mazda Motor Corporation Side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4365B2 (en) * 2019-08-26 2022-02-22 Mazda Motor Corporation Side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256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3520Y1 (ko) 차량의 하부 차체구조
KR950010168Y1 (ko)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KR950009031Y1 (ko)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KR200187477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하부구조
KR0142925B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보강구조
JP2000095148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KR200198923Y1 (ko) 차체 프레임의 프런트 사이드 멤버 구조
KR0138928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0120431Y1 (ko) 자동차 사이드실과 센타플로워 리어 크로스 멤버의 결합구조
KR200187474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구조
KR0120538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KR200247118Y1 (ko) 자동차의 프론트 필러업퍼 조인트 구조
KR930008315Y1 (ko) 자동차의 후론트 사이드부재
KR0120428Y1 (ko) 자동차 사이드실과 크로스 멤버의 결합구조
KR0120448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KR200187473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구조
KR100217578B1 (ko)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 빔 고정구조
KR200210036Y1 (ko) 차량용 사이드 실 패널 어셈블리
KR100188595B1 (ko) 차량용 차체 전방 상부부재의 보강구조
KR0120542Y1 (ko) 자동차의 루프사이드 레일구조
KR20060038204A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보강구조
KR100211387B1 (ko) 차량의 리어도어 보강판
KR970001254Y1 (ko) 자동차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KR200197178Y1 (ko) 자동차의 루프 사이드 레일 구조
KR100337509B1 (ko) 측면 충돌에 대한 강성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차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