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060Y1 - 간지코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간지코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060Y1
KR200186060Y1 KR2019990029678U KR19990029678U KR200186060Y1 KR 200186060 Y1 KR200186060 Y1 KR 200186060Y1 KR 2019990029678 U KR2019990029678 U KR 2019990029678U KR 19990029678 U KR19990029678 U KR 19990029678U KR 200186060 Y1 KR200186060 Y1 KR 200186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kanji
horizontal plate
seating groov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달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9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0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0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 B65B61/2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for placing protecting sheets, plugs, or wads over contents, e.g. cotton-wool in bottles of pi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24Roll hand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천장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간지코일을 간지코일 적치대로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된 간지코일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간지코일이 놓여지고 지게차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로 옮겨지도록 된 간지코일 이송부와, 베이스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되고 지게차의 의해 이송된 간지코일을 밀어 거치대 위에 올려놓기 위한 적치부로 이루어진 간지코일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간지코일 이송장치{Device for transporting paper coil}
본 고안은 스테인리스 냉연코일 권취시 스트립과 스트립 사이에 삽입되는 간지코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지코일을 적치대까지 이송하기 위한 간지코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이나 열간 압연기를 통과한 스트립은 후공정으로 보내기 전에 저장, 운반 기타 처리의 편리성을 위해 코일상으로 말아 운반하게 되는 데, 이때 스트립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기에는 코일로 감겨지는 스트립과 스트립의 상호 접촉에 의한 긁힘이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막기 위해 스트립 사이에 간지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간지 삽입장치가 설치된다.
간지삽입장치는 권취기의 텐션릴 상부에 위치하는 데, 권취기 상부의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간지코일이 장착된 언와인더가 설치되어, 간지코일로부터 풀리는 간지는 작업대에 설치된 가이드롤을 거쳐 하부로 내려뜨러져 텐션릴에 코일로 감겨지는 스트립 사이로 끼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간지롤이 장착되는 언와인더는 연속적인 간지 공급을 위해 통상 두 개가 구비되고, 베이스플레이트 상부에도 거치대를 구비하여 예비 간지롤을 적치해 두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예비 간지코일을 적치대에 올려 놓기 위해서 천장크레인을 사용하게 되는 데, 천장크레인에 간지코일을 걸어 고정시키는 구조가 복잡하여 이송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간지코일 이송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비바닥에 놓여있는 간지코일(100)의 중앙홀에 이송파이프(110)를 통과시키고, 이송파이프(110)의 양 선단에 와이어(111)를 연결하여 천장크레인의 후크(112)에 와이어(111)의 중앙부분을 걸어 고정시킨 후, 크레인 작동에 의해 권취기 상부의 베이스플레이트(150)에 간지코일(100)을 옮겼었다.
그리고 간지코일(100)이 베이스플레이트(150)의 거치대(120)에 놓여지면 다시 작업자는 크레인 후크(112)에서 와이어(111)를 분리하고 간지코일(100)로부터 이송파이프(110)를 빼내게 된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구조는 간지코일을 이송시키기 위한 과정이 복잡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적시에 간지코일을 준비하지 못하게 되어 라인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천장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간지코일을 간지코일 적치대로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된 간지코일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간지코일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간지코일 이송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간지코일 이송장치에서 간지코일 장착부만을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간지코일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플레이트 20 : 지게차
30 : 대차 31 : 수평판
32 : 수직부재 33 : 하부프레임
34 : 무게추 35 : 포크삽입부재
40 : 안착홈 43,44 : 감지센서
50 : 구동실린더 51 : 롤부재
52 : 푸시롤 60 : 몸체
61 : 링크부재 62 : 수직바
63 : 크램프바 65,72,83 : 모터
66 : 스크류 67 : 이동블럭
68 : 작동부재 71 : 회전부재
80 : 레일부재 85 : 와이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간지코일이 놓여지고 지게차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로 옮겨지도록 된 간지코일 이송부와, 베이스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되고 지게차의 의해 이송된 간지코일을 밀어 거치대 위에 올려놓기 위한 적치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대에 놓여진 간지코일을 하나씩 파지하여 간지삽입장치의 간지언와인더에 걸기 위한 장착부가 더욱 포함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간지코일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간지코일 이송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권취기(200)의 텐션릴(201) 상부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10) 위에 텐션릴(201)의 길이방향으로 거치대(11)를 이루는 두 개의 바가 소정간격을 두고 연장설치되어 있고, 뒤쪽에는 하부 텐션릴(201)쪽으로 간지를 내려뜨리기 위한 언와인더(12)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이송부는 지게차(20)에 의해 들어올려져 거치대(11) 끝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적치부는 베이스플레이트(10) 끝쪽에 위치하여 이송부에서 간지코일(100)만을 거치대(11)로 밀게 되어 있고, 장착부는 베이스플레이트(10) 위에 설치되고 언와인더(12) 상부로 이동하여 적치된 간지코일(100)을 파지하여 언와인더(12)로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다.
먼저, 상기 이송부는 코일이 안착되고 지게차(20)에 의해 이동되는 대차(30)와, 베이스플레이트(10) 상부에 형성되어 대차(30)가 놓여지는 안착홈(40) 및, 대차(30) 안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대차(30)는 상부에 간지코일(100)이 얹혀지는 수평판(31)과, 수평판(31) 일측 선단에 고정설치되는 수직부재(32), 수직부재(32) 하단에 수평연결되어 수평판(31)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33), 하부프레임(33)의 양 측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지게차(20)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삽입부재(3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프레임(33)의 끝단에는 무게추(34)가 부착설치되어 대차(30) 전체의 무게 중심이 후단으로 쏠리도록 되어 있고, 수평판(31)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간지코일(100)의 유동방지를 위해 두 개의 지지대(36)를 돌출부착시키며 앞쪽에는 스토퍼부재(37)를 설치하여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안착홈(40)은 대차(30)의 수평판(31)이 삽입되는 것으로, 수평판(31) 삽입시 수평판(31)과 거치대(11)의 높이가 서로 일치하는 깊이로 형성한다. 안착홈(40) 입구쪽의 양 측면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수평판(31)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입구쪽 저면에는 걸림바(41)를 부착하고 걸림바(41)에 대응되는 위치의 수평바 하부에는 걸림홈(38)을 형성하여 수평바가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은 안착홈(40)에 대차(30)의 수평판(31)이 완전히 놓여졌음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안착홈(40)의 입구쪽 바닥과 후방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홀(42)과, 홀(42) 내부에 삽입설치되어 수평판(31)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43)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적치부를 살펴보면, 안착홈(40)을 사이에 두고 거치대(11) 반대쪽의 베이스플레이트(10)에 거치대(11) 방향으로 설치되는 구동실린더(50)와, 구동실린더(50)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간지코일(100)의 길이방향으로 놓여지는 롤부재(51), 롤부재(5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간지코일(100)의 측면을 거치대(11)쪽으로 밀기 위한 푸시롤(52) 및, 구동실린더(50) 좌,우측에 설치되어 롤부재(51)를 지지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홀더(53)와, 가이드바(54)로 이루어진다.
한편, 거치대(11)에 놓여져 있는 간지코일(100)을 언와인더(12)에 걸어 주기 위한 장착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1)에 놓여진 간지코일(100)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수단과, 파지된 간지코일(100)을 들어올려 언와인더(12)로 이송시키기 위한 승강수단 및, 파지된 간지코일(100)의 축방향과 언와인더(12)의 축방향으로 일치시키기 위하여 간지코일(100)을 90°회전시키기 위한 회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지수단은 몸체(60) 좌우측으로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링크부재(61)와, 상부에 두 개의 링크부재(61)가 평행하게 힌지결합되고 하부에는 간지코일(100)의 측면을 파지하기 위한 크램프바(63)가 설치되는 수직바(62), 몸체(60) 하부에 설치된 브라켓(64)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구동모터(65), 구동모터(65)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스크류(66), 스크류(66)에 관통 치합되어 스크류(66)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이동블럭(67), 브라켓(64) 양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을 통해 이동블럭(67) 측면과 일측 링크부재(61)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작동부재(68)로 이루어진다.
또한, 회동수단은 몸체(60)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축부재(70)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재(71), 회전부재(71)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72), 구동모터(72)의 회전축과 축부재(70)에 설치되는 스프로켓휠(73), 스프로켓휠(73)을 연결하는 체인(7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은 베이스플레이트(10) 상부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어 언와인더(12) 상부를 지나 거치대(11)까지 연장되는 레일부재(80)와 레일부재(80)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81), 이동부재(81)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드럼(82), 와이어드럼(82)을 회전시키기 위한 스텝모터(83) 및, 회전부재(71) 상부에 설치되는 도르래(84)와 도르래(84)에 연결되어 와이어드럼(82)에 감겨지는 와이어(85)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적치대 하부에는 간지코일(100)이 놓여있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간지코일(100)의 적치 위치마다 감지센서(44)가 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간지코일(100)은 대차(30) 상부의 수평판(31)에 놓여지게 되는 데, 수평판(31)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부재(37)와 지지대(36)에 의해 유동이 방지된다.
이렇게 간지코일(100)이 놓여진 대차(30)를 베이스플레이트(10)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지게차(20)가 사용된다. 즉, 지게차(20)의 포크를 대차(30)의 하부프레임(33)에 설치되어 있는 포크삽입부재(35)에 밀어 넣고 대차(30)를 들어올려 베이스플레이트(10)에 형성된 안착홈(40)에 대차(30)의 상부 수평판(31)을 밀어넣게 된다.
이때, 수평판(31)이 안착홈(40)에 정확히 삽입되면, 수평판(31)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38)이 안착홈(40)의 입구쪽에 설치된 걸림바(41)에 걸리면서 이탈이 방지되고, 안착홈(40)의 저면과 내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근접센서(43)에 수평판(31)이 감지되게 된다.
이와같이 근접센서(43)에 수평판(31)의 삽입이 감지되면, 해당 신호에 따라 안착홈(40)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실린더(50)가 작동되어 수평판(31)에 놓여진 간지코일(100)을 거치대(11)로 옮기게 된다.
여기서 거치대(11) 하부에는 각각의 간지코일(100)이 놓여지는 위치에 감지센서(44)가 설치되어 있는 데, 거치대(11)에 설치된 모든 센서(44)에 간지코일(100)이 놓여있음이 확인되면, 상기와 같이 구동실린더(50)는 작동하지 않게 되고, 거치대(11)에 간지코일(100)이 비어있음이 확인 된 때에만 구동실린더(50)가 작동하게 된다.
구동실린더(50)가 신장작동함에 따라 롤부재(51)가 밀려나가면서 롤부재(51)에 설치되어 있는 푸시롤(52)이 간지를 거치대(11)쪽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수평판(31)에 놓여져 있던 간지코일(100)이 푸시롤(52)에 밀려 거치대(11)로 옮겨지게 되는 것이다.
간지코일(100)이 적치되면 대차(30)는 다음 간지코일(100) 이송을 위해 지게차(20)에 의해 설치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안착홈(40)에서 탈거된다.
한편, 거치대(11)에 놓여진 간지코일(100)은 필요시 장착부의 크램프바(63)에 의해 파지되어 언와인더(12)에 장착되는 데, 이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텝모터(83)를 작동하여 와이어드럼(82)을 풀어줌에 따라 와이어(85)가 풀리면서 도르래(84)로 연결되어 있는 회전부재(71)를 하강시키게 되고, 따라서 수직바(62)에 설치되어 있는 크램프바(63)가 간지코일(100) 양 측면으로 내려오게 된다.
크램프바(63)가 간지코일(100) 측면에 놓여지게 되면 스텝모터(83)의 작동을 멈추고 몸체(60)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65)를 작동하여 스크류(66)를 회전시킴으로서 스크류(66)에 치합되어 있는 이동블럭(67)을 하강시킨다.
이동블럭(67)이 하강하게 되면, 이동블럭(67)의 측면에 설치된 작동부재(68)가 링크부재(61)를 밑으로 당기게 되고, 두 개의 링크부재(61)가 동일하게 밑으로 회동하면서 축결합되어 있는 수직바(62)를 간지코일(100)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수직바(62)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크램프바(63)가 간지코일(100)의 측면을 파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간지코일(100)이 파지되면, 다시 스텝모터(83)를 역회전시켜 와이어(85)를 와이어드럼(82)에 감아줌으로서, 크램프바(63)에 의해 파지된 간지코일(100)을 들어올리게 된다.
간지코일(100)이 들어올려지면 레일을 따라 이동부재(81)를 언와인더(12)쪽으로 이동시키고 간지코일(100)의 축방향과 언와인더(12)의 축방향을 상호 일치시키기 위하여 간지코일(100)이 파지되어 있는 몸체(60)를 90°회전시킨다.
즉, 회전부재(71)에 설치된 구동모터(72)를 작동시키게 되면 스프로켓휠(73)과 체인(74)으로 연결되어 있는 몸체(60)의 축부재(70)가 회동하면서 간지코일(100)의 축방향을 언와인더(12)의 축방향에 맞추게 된다.
축방향이 일치되면 간지코일(100)을 하강시키고 언와인더(12)를 작동하여 간지코일(100)을 언와인더(12)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간지코일 이송장치에 의하면, 간편하게 간지코일을 이송할 수 있게 되어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고, 라인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언와인더에 장착되는 예비 간지코일이 보관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텐션릴의 길이방향으로 거치대를 이루는 두 개의 바가 소정간격을 두고 연장설치된 권취기에 있어서,
    상부에 간지코일이 얹혀지는 수평판과, 수평판 일측 선단에 고정설치되는 수직부재, 수직부재 하단에 수평연결되어 수평판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 하부프레임의 양 측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삽입부재로 이루어져 코일이 안착되고 지게차에 의해 이동되는 대차와, 베이스플레이트 상부에 형성되어 대차의 수평판이 놓여지는 안착홈으로 이루어진 이송부와;
    상기 안착홈을 사이에 두고 거치대 반대쪽의 베이스플레이트에 거치대 방향으로 설치되는 구동실린더와, 구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간지코일의 길이방향으로 놓여지는 롤부재, 롤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간지코일의 측면을 거치대쪽으로 밀기 위한 푸시롤로 이루어진 적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코일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입구쪽 바닥과 후방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홀과, 홀 내부에 삽입설치되어 수평판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로 이루어져, 안착홈에 대차의 수평판이 완전히 놓여졌음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이 더욱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코일 이송장치.
KR2019990029678U 1999-12-24 1999-12-24 간지코일 이송장치 KR200186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678U KR200186060Y1 (ko) 1999-12-24 1999-12-24 간지코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678U KR200186060Y1 (ko) 1999-12-24 1999-12-24 간지코일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060Y1 true KR200186060Y1 (ko) 2000-06-15

Family

ID=1960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678U KR200186060Y1 (ko) 1999-12-24 1999-12-24 간지코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06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958B1 (ko) * 2001-03-06 2003-11-10 엘지전선 주식회사 코일형 전선 다발의 고정 장치
KR100897776B1 (ko) * 2002-10-28 2009-05-15 주식회사 포스코 후프 권취기의 후프코일 분리 인출장치
KR101185546B1 (ko) 2012-05-03 2012-09-24 권기선 스트립 코일용 이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958B1 (ko) * 2001-03-06 2003-11-10 엘지전선 주식회사 코일형 전선 다발의 고정 장치
KR100897776B1 (ko) * 2002-10-28 2009-05-15 주식회사 포스코 후프 권취기의 후프코일 분리 인출장치
KR101185546B1 (ko) 2012-05-03 2012-09-24 권기선 스트립 코일용 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18122A (ja) ラップを多数コーマ機に自動的に搬送するための搬送装置
CN112319969A (zh) 一种烟叶包装拆外箱装置
NO325745B1 (no) Fremgangsmate og anordning for handtering av tromler med papir
KR200186060Y1 (ko) 간지코일 이송장치
JP3053048B2 (ja) ロール状物質の自動ハンドリング方法および装置
US4339093A (en) Pneumatic roll lifter
US7192236B1 (en) Shelf stacking machine
US4878342A (en) Two-for-one twisting machine
JP6192139B1 (ja) ロール体搬送システム
JP4551175B2 (ja) 平海苔束束ね装置
KR100858126B1 (ko) 스틸 슬리브 폭별 공급장치
JP2000302248A (ja) 長尺物積載装置及び長尺物の積載方法
US3542226A (en) Wire pole handling apparatus
JPH0530728B2 (ko)
JPH10263700A (ja) コイル先端位置決め機能を有するコイルトング
KR20010064199A (ko) 소둔산세라인의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JPH07215557A (ja) 板材加工機のアンローダ装置とその板材積載方法
CN218538022U (zh) 一种叠货区自动叠货设备
KR19980065829U (ko) 간지 코일 자동교환장치
JPH06255980A (ja) タイヤ搬送用吊具
JPH01127569A (ja) 綾巻きパツケージを搬送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JP3174490B2 (ja) ハンガ供給装置
JP4090128B2 (ja) シート分離装置
JPH0630351Y2 (ja) 部品組付け装置
IT9048313A1 (it)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di filo per roccatrice automat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