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761Y1 -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 - Google Patents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761Y1
KR200183761Y1 KR2020000000420U KR20000000420U KR200183761Y1 KR 200183761 Y1 KR200183761 Y1 KR 200183761Y1 KR 2020000000420 U KR2020000000420 U KR 2020000000420U KR 20000000420 U KR20000000420 U KR 20000000420U KR 200183761 Y1 KR200183761 Y1 KR 200183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blade
double
duct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윤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태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태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태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00000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7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7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36Ducting arrangements with ducts including air distributors, e.g. air collecting boxes with at least thre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로서, 두겹으로 구성되는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에 있어서, 상판(24)과 하판(26)의 접합을 두겹의 소재 자체를 압착하여 조인트(62),(64)를 형성하고, 상기 상판조인트(62) 및 하판조인트 (64)는 기밀성을 위하여 각각 오목-볼록돌기(63),(65) 및 바닥판(67),(68)을 가지도록 압착하는 톡스 조인트(Tox joint) 압착방식으로 접합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겹블레이드를 접합함에 있어, 겹블레이드에 아무런 구멍을 내지 않고 톡스 조인트 방식으로 압착하여 상하판을 접합하는 구조를 보임으로서, 누기가 방지되고 덕트 내의 공기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Binding Structure for Duct Damper Both Blade}
본 고안은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덕트 에어 누설을 적극 방지하고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제조공수를 단축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건물에는 건물 내의 공기조화를 위하여 공기송풍로인 덕트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덕트에는 유체의 적절한 조절을 위하여 송풍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이른바 댐퍼를 설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댐퍼(damper)란 용어는 계측기, 차량, 항공기, 일반기계, 구조물 등의 진동계에 부가하여 자유진동의 감소 및 방지, 강제진동의 진폭저감을 꾀하는 제진장치를 말하지만, 본 고안의 건축분야에서는 유체(공기)의 동압저항을 이용하는 유체댐퍼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덕트의 원래 목적은 건물 내의 원활한 공기조화라고 하는 긍정적인 면에 있지만 화재발생 시에는 불길(火通路)의 역할을 하여 부정적 기능을 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 덕트의 적적한 통로부분에 화재용 댐퍼를 설치하여 화재 발생 시 이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 덕트댐퍼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덕트댐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부호 10은 댐퍼 전체를 구성하고 기타 구성요소를 지지고정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이다. 이 프레임(10) 내부에는 다수개의 블레이드(20)가 9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겹블레이드(20)의 선단에는 기밀유지를 위하여 개스킷(28)이 부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블레이드(20)에 있어서는 상기 개스킷(28)은 겹블레이드(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20)의 중간부에는 후술하는 손잡이의 조작으로 다수개의 겹블레이드(20)가 일체로 동작가능하도록 연결봉(16)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 12는 상기 샤프트(50)의 양측단에 설치되는 공기 누설방지를 위한 캡, 14는 하부 프레임(10) 내측에 부착된 누설방지편, 부호 18은 상기 연결봉(16)과 겹블레이드(20) 사이에 이들을 조립하기 위한 브라케트이다.
상기 프레임(10) 일측에는 댐퍼의 송풍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거나 다시 개방하는 등의 외부 조작을 위하여 조절 손잡이(40) 및 조절 유니트(4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20)는 2장의 판으로 된 겹블레이드를 사용하기도 한다.
도 2는 종래의 겹블레이드(20)의 접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부호 24는 겹블레이드(20)의 상판, 22는 하판이다. 이들 상하판(24),(22)의 양단은 체결볼트(32) 및 너트(34)에 의하여 나사조립되어 있다. 즉, 상기 상하판(24),(22)은 프레싱 공정에서 피어싱 하여 볼트체결하고 있다.
상기 체결볼트(32) 및 너트(34) 대신에 리벳을 이용하여 리벳팅 공정으로 마무리할 수도 있다. 부호 52는 상기 겹블레이드(20)와 샤프트(50)를 머그용접 등으로 고정하는 용접부이다. 이 용접부(52)는 상기 2장의 상하판(24),(22) 중 어느 한판에 구멍을 내어 샤프트(50) 부분을 보이게 한 후 용접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된 덕트댐퍼는 평시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공기조화를 행하다가, 화재가 발생하거나 필요 시 외부공기를 차단할 경우에는 상기 조절 손잡이를 조작하여 조절 유니트(42)가 연결봉(16)을 수직운동시켜 겹블레이드(2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겹블레이드(20)가 90도 회전하여 프레임(10)내부를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덕트 댐퍼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상기 상하판(24),(22)으로 이루어지는 겹블레이드(20)는, 근본적으로 체결볼트(32)를 통과시켜야 하기 때문에 상기 상하판(24),(22)에 체결구멍을 형성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은 이 구멍 사이로 공기가 누설된다.
2. 상기 체결볼트(32) 및 너트(34)가 상하판(24),(22)의 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공기흐름을 방해한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문제를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덕트 에어 누설을 적극 방지하고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제조공수를 단축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덕트댐퍼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겹블레이드의 접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2 : 캡
14 : 누설방지편 16 : 연결봉
18 : 브라케트 20 : 겹블레이드(블레이드)
22 : 하판 24 : 상판
28 : 개스킷 32 : 체결볼트
34 : 너트 40 : 조절 손잡이
42 : 조절 유니트 50 : 샤프트
52 : 용접부 62 : 상판조인트
63,65 : 오목-볼록돌기 64 : 하판조인트
67,68 : 바닥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의 고정구조는,
두겹으로 구성되는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에 있어서,
상판과 하판의 접합을 두겹의 소재 자체를 압착하여 조인트를 형성하고,
상기 상판조인트 및 하판조인트는 기밀성을 위하여 각각 오목-볼록돌기 및 바닥판을 가지도록 압착하는 톡스 조인트(Tox joint) 압착방식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겹블레이드를 접합함에 있어, 겹블레이드에 아무런 구멍을 내지 않고 톡스 조인트 방식으로 압착하여 상하판을 접합하는 구조를 보임으로서, 누기가 방지되고 덕트 내의 공기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설명 상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종래 설명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상하판(24),(22)으로 구성되는 겹블레이드(20)의 상호 접합 시, 겹블레이드(20)에 구멍을 내어 체결볼트(32) 및 너트(34)로 이들 구성요소를 접합하는 방식에서, 상기 구멍 사이에서 누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아예 구멍을 채택하지 않았으며 용접으로 인한 녹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접공정을 아예 없앤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접합구조는 이른바 코킹과 리벳팅 방식을 혼합한 접합구조로 하고 있다. 즉, 이 방식은 톡스 조인트(Tox joint) 방식으로서 두겹의 소재 자체를 압착하여 접합하는 것이다.
이 도면에서 부호 62는 상판(24)의 조인트, 64는 하판(22)의 조인트이고, 상기 상판조인트(62) 및 하판조인트(64)는 각각 오목-볼록돌기(63),(65) 및 바닥판(67),(68)을 가지고 있다. 이들 구성요소는 상기 톡스 조인트 압착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상판조인트(62)의 오목-볼록돌기(63)가 하판조인트(64)의 오목-볼록돌기(65) 내로 삽입되어 압착된다.
이때 상기 상판조인트(62) 및 하판조인트(64)의 바닥판(67),(68)도 함께 압착되어 기밀성을 높인다.
이와 같은 방식은 덕트용 댐퍼에서는 최초의 접합구조이며, 겹블레이드(20)에 어떠한 구멍도 뚫지 않기 때문에 공기누설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 종래에는 체결볼트(32) 및 너트(34)를 사용하여 겹블레이드(20)를 상호 접함하기 때문에 돌출된 체결볼트(32) 및 너트(34)가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이들 체결볼트(32) 및 너트(34)에 먼지 덩어리가 누적되고, 나중에 이것이 일시에 탈거되어 덕트 통로를 막거나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겹블레이드(20)의 표면으로부터 아무런 공기흐름 방해요소가 돌출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원활하게 공기를 흐르게 하여 실내 쾌적한 공기조화를 도모한다.
본 고안은 먼지에 영향을 받는 환경, 즉 반도체 제조라인의 크린룸에 설치하거나 전산실 등에 적용하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에 의하면, 겹블레이드를 접합함에 있어, 겹블레이드에 아무런 구멍을 내지 않고 톡스 조인트 방식으로 압착하여 상하판을 접합하는 구조를 보임으로서, 누기가 방지되고 덕트 내의 공기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두겹으로 구성되는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에 있어서,
    상판(24)과 하판(22)의 접합을 두겹의 소재 자체를 압착하여 조인트(62),(64)를 형성하고,
    상기 상판조인트(62) 및 하판조인트(64)는 기밀성을 위하여 각각 오목-볼록돌기(63),(65) 및 바닥판(67),(68)을 가지도록 압착하는 톡스 조인트(Tox joint) 압착방식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
KR2020000000420U 2000-01-08 2000-01-08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 KR200183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420U KR200183761Y1 (ko) 2000-01-08 2000-01-08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420U KR200183761Y1 (ko) 2000-01-08 2000-01-08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761Y1 true KR200183761Y1 (ko) 2000-06-01

Family

ID=1963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420U KR200183761Y1 (ko) 2000-01-08 2000-01-08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76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619B1 (ko) 2006-10-31 2007-12-12 현대제철 주식회사 덕트용 댐퍼 구조
KR200457849Y1 (ko) 2009-04-17 2012-01-06 성광기전주식회사 편심조절과 호환성을 개선한 냉각탑용 팬블레이드
KR102082237B1 (ko) * 2019-03-08 2020-02-27 주식회사 대명공조 방화용 스틸 댐퍼
KR20210015032A (ko) 2019-07-31 2021-02-10 원준호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619B1 (ko) 2006-10-31 2007-12-12 현대제철 주식회사 덕트용 댐퍼 구조
KR200457849Y1 (ko) 2009-04-17 2012-01-06 성광기전주식회사 편심조절과 호환성을 개선한 냉각탑용 팬블레이드
KR102082237B1 (ko) * 2019-03-08 2020-02-27 주식회사 대명공조 방화용 스틸 댐퍼
KR20210015032A (ko) 2019-07-31 2021-02-10 원준호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KR102295518B1 (ko) 2019-07-31 2021-08-30 원준호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3761Y1 (ko)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
US9677284B1 (en) Thermally adaptive wall covering
GB2425348A (en) Air duct connection box having multiple connection points
JPH10246470A (ja) 分離型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WO2017061013A1 (ja)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
JP6777884B2 (ja) 天井埋込ダクト型空気調和機
JP2000161817A (ja) 圧縮機用配管の振動減衰装置
CA2823794A1 (en) Rectangular sheet metal sealed duct
KR200183760Y1 (ko)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의 고정구조
JP6908876B2 (ja) 天井埋込ダクト型空気調和機
KR10205021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진동 감지 시스템
JPH10266455A (ja) ケーシングパネル及びその接合構造
JPH0144524B2 (ko)
JP6777885B2 (ja) 天井埋込ダクト型空気調和機
KR102295518B1 (ko)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JP3114725U (ja) 消音ボックス
JP3751298B2 (ja) 吹出口装置の支持構造
JP2007099230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11216323A (ja) フィルタ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2003222358A (ja) 空気調和機のフレームの結合構造および空気調和機
JP3387822B2 (ja) 断熱パネル
JP4671552B2 (ja) 空調用設備
JP2581479B2 (ja) クリーンルーム間仕切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2000120189A (ja) 外壁面における部材取付部分のシール構造
JPH0728501Y2 (ja) 熱交換ユニツ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