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032A -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032A
KR20210015032A KR1020190093259A KR20190093259A KR20210015032A KR 20210015032 A KR20210015032 A KR 20210015032A KR 1020190093259 A KR1020190093259 A KR 1020190093259A KR 20190093259 A KR20190093259 A KR 20190093259A KR 20210015032 A KR20210015032 A KR 20210015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amper
wing
middle plate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5518B1 (ko
Inventor
원준호
Original Assignee
원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준호 filed Critical 원준호
Priority to KR1020190093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518B1/ko
Publication of KR20210015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insertion in flat panels, e.g. in door or window-p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용접으로 결합하여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전,후판의 밀착부가 단폭날개에 겹쳐지도록 하여 판스프링을 단폭날개에 기밀하게 밀착시키는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장폭날개(100)는 상,하부회전축(20)(30)에 고정되는 중판(110)과, 중판(110)의 전면 일측에 배치되어 양측에는 전면으로 접혀진 중첩부(121)가 형성된 전판(120)과, 중판(110)의 후면 타측에 배치되어 양측에는 후면으로 접혀진 중첩부(131)가 형성된 후판(130)과, 중판(110)과 전판(120) 및 중판(110)과 후판(130)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폐쇄시 단폭날개(40)에 밀착되는 경사부(141)가 형성된 판스프링(140)으로 이루어지고, 중판(110), 판스프링(140), 전판(120) 및 중판(110), 판스프링(140), 후판(130)은 압착결합부(150)(160)가 형성되도록 압착하는 판금압착 성형결합법으로 결합되며, 전판(120)의 일측과 후판(130)의 타측에는 중판(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폐쇄시 단폭날개(40)와 2~3㎜ 겹쳐지면서 판스프링(140)의 경사부(141)를 단폭날개(40)에 밀착시키는 밀착부(122)(132)가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Wind dampers and smoke damper blade joint structure}
본 발명은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댐퍼 날개의 중판과 전,후판 및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장폭날개를 무용접으로 결합하여 판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중판과 전,후판의 양측에 중첩부를 형성하여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전,후판의 밀착부가 단폭날개에 겹쳐지도록 하여 판스프링을 단폭날개에 한층 더 기밀하게 탄력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댐퍼 날개는 압출에 의하여 생산하였다. 압출이라는 방법이 길이 방향으로 같은 형태를 길게 뽑아내는데 사용하는 방법이고, 제조단가가 저렴하므로 대량으로 생산하는데 적합하므로 댐퍼 날개를 생산하는데 적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댐퍼 날개는 동일한 규격의 다수의 제품을 생산하여야 하므로 낱개를 생산할 필요 없이 압출에 의하여 길게 뽑아낸 후, 이를 절단하기만 하면 다수의 댐퍼 날개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압출은 모든 재질에 대해서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강판 등의 재질에 대해서는 압출 생산이 불가능한 것이다.
과거 댐퍼에 있어서는 일반공기조절용과 제연용이 서로 분리되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일반공기조절용과 제연용을 병행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댐퍼 날개에 있어서, 일반적인 공조용뿐만 아니라 제연용으로도 사용가능하게 재질 특성을 갖추어야 할 필요가 점점 더 대두 되고 있다. 일반적인 알루미늄 압출성형품으로는 제연 온도에 대한 내구성에 상당한 약점을 보유하고 있어서 제연용으로 병행 사용하기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강판 등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재질로 댐퍼 날개를 제조할 필요가 점점 더 대두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강판 등 우수한 재질을 적용하여야 되는 우수한 품질의 댐퍼 날개에 있어서는 압출 공정을 적용할 수 없어서 대량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댐퍼 날개는 통상 상당한 두께를 갖는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하나의 강판을 구부리어 형상을 바꾸는 포밍이라는 방법에 의하여 이러한 두께를 갖는 제품을 형성하는 것은 생각지도 못하는 실정이었다. 물론 두 개의 강판을 각각 포밍하고 용접하면 댐퍼 날개의 형상이 되지만 용접이라는 작업은 댐퍼 날개의 재질에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기존에는 포밍에 의하여 댐퍼 날개를 형성하는 방법은 전혀 사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 하기 특허문헌 1의 국내 등록특허 제10-0966864호에는 상판과 하판의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은 위로 볼록하며, 상기 하판은 아래로 볼록하며, 상기 상판과 하판은 양 사이드에서 서로 겹치게 접혀져서 결합되되, 상기 상판은 양 사이드에서 각각 내측으로 절곡된 후 상기 하판과 서로 겹치도록 접혀지고 상기 하판은 양 사이드에서 각각 내측으로 절곡된 후 상기 상판과 서로 겹치도록 접혀져서 결합되어 있고, 상기 댐퍼 날개는 양 사이드에서 내측으로 만입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의 양 끝단은 내측으로 접힌 후 다시 V 자형으로 절곡되고, 상기 하판의 양 끝단은 내측으로 접힌 후 다시 역V자형으로 절곡되며, 상기 V자형으로 절곡된 부분과 상기 역V자형으로 절곡된 부분이 서로 겹치면서 접혀서 상기 상판과 하판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완전형 댐퍼 날개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댐퍼 날개는 두 개의 강판을 동시에 포밍하고 시밍하면서 댐퍼 날개를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하되 측면에서 겹치면서 접혀서 결합되게 함으로써, 압출에 부적합한 우수한 물성을 갖는 강판을 사용하여 댐퍼 날개를 제조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포밍, 시밍, 절단이라는 일련의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댐퍼 날개를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높은 생산성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댐퍼 날개는 날개의 양측으로 밀폐부재가 없기 때문에, 차후에 날개의 양측으로 밀폐부재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특히 상판과 하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2의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183761호에는 두겹으로 구성되는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에 있어서, 상판과 하판의 접합을 두겹의 소재 자체를 압착하여 조인트를 형성하고, 상기 상판조인트 및 하판조인트는 기밀성을 위하여 각각 오목-볼록돌기 및 바닥판을 가지도록 압착하는 톡스 조인트(Tox joint) 압착방식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겹블레이드 접합구조는 상,하판으로 구성되는 겹블레이드의 상호 접합 시, 겹블레이드에 구멍을 내어 체결볼트 및 너트로 이들 구성요소를 접합하는 방식에서, 상기 구멍 사이에서 누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아예 구멍을 채택하지 않았으며 용접으로 인한 녹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접공정을 아예 없앤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즉 겹블레이드에 아무런 구멍을 내지 않고 톡스 조인트 방식으로 압착하여 상,하판을 접합하는 구조를 보임으로서, 누기가 방지되고 덕트 내의 공기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겹블레이드는 상판과 하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고, 특히 상판조인트 및 하판조인트의 오목-볼록돌기가 단순히 원통형으로 압착되어 접합구조가 견고하지 못하기 때문에 결합력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겹블레이드의 선단에는 기밀유지를 위하여 개스킷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개스킷이 유연성이 없는 강판이므로 개스킷이 서로 완전하게 밀착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개스킷과 개스킷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므로 그 틈새 사이로 공기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고, 공기누설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 제10-0966864호(등록일자 : 2010.06.22) 특허문헌 2 : 등록실용신안 제20-0183761호(등록일자 : 2000.03.1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중판과 전,후판 및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장폭날개를 판금압착 성형결합법(tox joint)으로 결합하여 판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하려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댐퍼를 구성하는 중판과 전,후판의 양측에 중첩부를 형성하여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전,후판의 밀착부가 단폭날개에 겹쳐지도록 하여 판스프링을 단폭날개에 한층 더 기밀하게 탄력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댐퍼 폐쇄시 풍도덕트의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판금압착 성형결합법으로 결합되는 압착결합부에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확장부를 형성하여 장폭날개를 한층 더 견고하게 무용접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댐퍼의 본체에 수직 등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장폭날개로서, 상기 장폭날개는 중앙부가 상,하부회전축의 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중판과, 상기 중판의 전면 중앙부 일측에 배치되어 양측에는 전면으로 접혀진 중첩부가 형성된 전판과, 상기 중판의 후면 중앙부 타측에 배치되어 양측에는 후면으로 접혀진 중첩부가 형성된 후판과, 상기 중판과 전판 및 중판과 후판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폐쇄시 단폭날개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경사부가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구성하고, 상기 중판, 판스프링, 전판 및 중판, 판스프링, 후판은 압착결합부가 형성되도록 압착하는 판금압착 성형결합법으로 결합하며, 상기 전판의 일측과 후판의 타측에는 중판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폐쇄시 단폭날개와 2~3㎜ 겹쳐지면서 판스프링의 경사부를 단폭날개에 밀착시키는 밀착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중판의 일측에는 후면으로 접혀지는 중첩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판의 타측에는 전면으로 접혀지는 중첩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밀착부의 단부는 폐쇄시 판스프링의 경사부를 단폭날개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도록 라운드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압착결합부에는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확장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판의 타측과 후판의 일측 상,하부에는 상,하부회전축이 끼워지는 절개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댐퍼에는 온도센서와 압력센서가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풍도용 댐퍼로 적용토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댐퍼는 풍도덕트에서 분기된 덕트지관에 연기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연기의 인입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에 따르면, 장폭날개를 구성하는 중판, 판스프링, 전판 및 중판, 판스프링, 후판이 압착결합부가 형성되도록 압착하는 판금압착 성형결합법으로 각각 결합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장폭날개를 판금압착 성형결합법을 이용한 무용접으로 결합하여 판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판에 전판과 후판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압착결합부를 통해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로 각각 결합되고, 중판과 전,후판의 양측에는 중첩부가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장폭날개의 강도를 보강하여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판의 일측과 후판의 타측에는 중판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폐쇄시 단폭날개와 2~3㎜ 각각 겹쳐지면서 판스프링의 경사부를 단폭날개에 한층 더 기밀하게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장폭날개와 단폭날개 사이 틈새를 차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댐퍼의 누기율을 잡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누기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판금압착 성형결합법으로 결합되는 압착결합부에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확장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중판, 판스프링, 전판 및 중판, 판스프링, 후판이 압착결합부로부터 쉽게 빠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더욱 견고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폭날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폭날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폭날개와 단폭날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폭날개의 개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폭날개의 폐쇄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연댐퍼의 내부를 보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연댐퍼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풍도댐퍼의 내부를 보인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풍도댐퍼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댐퍼(10)의 본체(11)에 수직 등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장폭날개(100)로서, 상기 장폭날개(100)는 중앙부가 상,하부회전축(20)(30)의 고정홈(21)(31)에 끼워져 고정되는 중판(110)과, 상기 중판(110)의 전면 중앙부 일측에 배치되어 양측에는 전면으로 접혀진 중첩부(121)가 형성된 전판(120)과, 상기 중판(110)의 후면 중앙부 타측에 배치되어 양측에는 후면으로 접혀진 중첩부(131)가 형성된 후판(130)과, 상기 중판(110)과 전판(120) 및 중판(110)과 후판(130)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폐쇄시 단폭날개(40)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경사부(141)가 형성된 판스프링(1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판(110), 판스프링(140), 전판(120) 및 중판(110), 판스프링(140), 후판(130)은 압착결합부(150)(160)가 형성되도록 압착하는 판금압착 성형결합법으로 결합되며, 상기 전판(120)의 일측과 후판(130)의 타측에는 중판(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폐쇄시 단폭날개(40)와 2~3㎜ 겹쳐지면서 판스프링(140)의 경사부(141)를 단폭날개(40)에 밀착시키는 밀착부(122)(132)가 형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장폭날개(100)는 본체(11)의 통과공간(12)에 수직 등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장폭날개(100)는 중판(110), 전판(120), 후판(130), 판스프링(1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중판(110), 전판(120), 후판(130)은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판스프링(140)은 얇은 강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판과 전판 및 중판과 후판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폐쇄시 단폭날개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경사부가 형성된 판스프링은 얇은 강판으로 탕성을 갖는 것으로 댐퍼의 날개를 폐쇄시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휨이 발생하거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탄성을 가지므로 밀착시 기밀을 유지하게 됨으로 공기 뿐만아니라 물이 누수되지 않는 정도로 기밀이 유지되어 댐퍼를 폐쇄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기밀이 유지되는 본 발명의 댐퍼는 제연댐퍼 뿐만 아니라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풍도덕트용 댐퍼로 사용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댐퍼의 날개가 다수개로 이루어진 것이나 이는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풍도덕트용 댄퍼로 사용시에는 날개의 개수가 2쪽 또는 3쪽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중판(110)은 장폭날개(10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중판(110)의 중앙 상,하부에는 상,하부회전축(20)(30)의 고정홈(21)(31)이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판(110)의 일측에는 후면으로 접혀지는 중첩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중판(110)의 타측에는 전면으로 접혀지는 중첩부(1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판(110)의 양측에는 후면 및 전면으로 각각 접혀진 중첩부(111)(112)가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중판(110)의 강도를 보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판(120)은 중판(110)의 전면 중앙부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전판(120)의 양측에는 전면으로 접혀진 중첩부(121)가 각각 형성되고, 전판(120)의 일측에는 중판(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폐쇄시 단폭날개(40)의 일측과 2~3㎜ 겹쳐지면서 판스프링(140)의 경사부(141)를 단폭날개(40)에 밀착시키는 밀착부(1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판(120)의 양측에는 전면으로 접혀진 중첩부(121)가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전판(120)의 강도를 보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후판(130)은 중판(110)의 후면 중앙부 타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후판(130)의 양측에는 후면으로 접혀진 중첩부(131)가 각각 형성되고, 후판(130)의 타측에는 중판(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폐쇄시 단폭날개(40)의 타측과 2~3㎜ 겹쳐지면서 판스프링(140)의 경사부(141)를 단폭날개(40)에 밀착시키는 밀착부(13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후판(130)의 양측에는 후면으로 접혀진 중첩부(131)가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후판(130)의 강도를 보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밀착부(122)(132)의 단부는 폐쇄시 판스프링(140)의 경사부(141)를 단폭날개(40)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도록 라운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밀착부(122)(132)의 단부는 둥글게 라운드로 형성되기 때문에, 폐쇄시 밀착부(122)(322)의 단부가 회전하면서 판스프링(140)의 경사부(141)를 단폭날개(40)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므로 기밀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판(120)의 타측과 후판(130)의 일측 상,하부에는 상,하부회전축(20)(30)이 끼워지는 절개부(123)(13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판(120)과 후판(130)의 절개부(123)(133)는 상,하부회전축(20)(30)의 고정홈(21)(31)을 중판(110)에 용이하게 끼우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상기 판스프링(140)은 중판(110)과 전판(120) 및 중판(110)과 후판(130)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판스프링(140)에는 전판(120)과 후판(130)의 밀착부(122)(132)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경사부(141)가 일체로 형성되고, 경사부(141)는 폐쇄시 단폭날개(40)에 탄력적으로 기밀하게 밀착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140)의 경사부(141)는 도 5에서와 같이 폐쇄시 단폭날개(40)에 탄력적으로 기밀하게 밀착되고, 이에 의해 장폭날개(100)와 단폭날개(40) 사이 틈새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판스프링(140)의 경사부(141)를 통해 댐퍼(10)의 누기율을 잡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압착결합부(150)는 중판(110), 판스프링(140), 전판(120)에 다수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압착결합부(150)는 판금압착 성형결합법으로 압착되어 중판(110), 판스프링(140), 전판(120)을 무용접으로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압착결합부(160)는 중판(110), 판스프링(140), 후판(130)에 다수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압착결합부(160)는 판금압착 성형결합법으로 압착되어 중판(110), 판스프링(140), 후판(130)을 무용접으로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중판(110)에 전판(120)과 후판(130)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압착결합부(150)(160)를 통해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로 각각 결합되고, 상기 중판(110)과 전,후판(120)(130)의 양측에는 중첩부(111)(112)(121)(131)가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장폭날개(100)의 강도를 보강하여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판금압착 성형결합법(tox joint)은 나사결합이나 리벳결합 또는 스폿용접 등을 이용하지 않고 강판을 압착으로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이러한 판금압착 성형결합법은 2개의 금형으로 그 가압면 상에 돌출부가 마련된 볼록금형과 오목한 요홈부가 마련된 오목금형을 사용하는데, 이들 볼록금형과 오목금형을 가동하여 중판(110), 판스프링(140), 전판(120) 및 중판(110), 판스프링(140), 후판(130)을 각각 위,아래에서 눌러 압착하게 되면, 볼록금형측 소재가 오목금형측 소재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되며, 이로써 금형의 형상에 따라 볼록하게 돌출된 단추 모양의 압착결합부(150)(160)가 형성되면서 중판(110), 판스프링(140), 전판(120) 및 중판(110), 판스프링(140), 후판(130)의 접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중판(110), 판스프링(140), 전판(120) 및 중판(110), 판스프링(140), 후판(130)을 판금압착 성형결합법으로 압착하여 결합하면, 판스프링(140)의 변형, 비틀림, 들뜸 현상 등을 방지하여 판스프링(140)을 단폭날개(40)에 기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140)과 단폭날개(40)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으므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공기누설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작업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업이 용이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압착결합부(150)(160)에는 내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경사확장부(151)(16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압착결합부(150)(160)의 단면은 도 2에서와 같이 경사확장부(151)(161)에 의해 사다리꼴의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중판(110), 판스프링(140), 전판(120) 및 중판(110), 판스프링(140), 후판(130)이 압착결합부(150)(160)로부터 쉽게 빠져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더욱 견고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10)의 구성과 장폭날개(100)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댐퍼(10)는 도 6,7에서와 같이 제연댐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댐퍼(10)는 도 8,9에서와 같이 풍도댐포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댐퍼(10)의 본체(11)는 댐퍼(10)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체(11)의 내부에는 격판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수납공간(13)과 통과공간(12)이 구비된다.
상기 수납공간(13)은 전방이 개방된 수납실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수납공간(12)의 내부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댐퍼(10)가 제연댐퍼로 사용될 경우 차압 및 방연풍속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4a)와 스위치(14b) 등의 부품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4)이 내장된다. 이때, 상기 댐퍼(10)가 도 8에서와 같이 풍도댐퍼로 사용될 경우에는 제연댐퍼와는 달리 인쇄회로기판(14)은 설치되지 않는다.
상기 통과공간(12)은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환기 및 급기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통과공간(12)에는 다수의 장폭날개(100)와 단폭날개(40)가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통과공간(12)의 양측에는 폐쇄시 양측의 장폭날개(100)에 접촉되는 차단판(12a)(12b)이 각각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통과공간(12)에 장폭날개(100)는 수직 등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단폭날개(40)는 장폭날개(100)들 사이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배치되며, 장폭날개(100)와 단폭날개(40)는 본체(11)의 통과공간(12)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장폭날개(100)의 폭은 단폭날개(4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댐퍼(10)가 도 6,7에서와 같이 제연댐퍼로 사용되는 경우 장폭날개(100)는 4개를 설치하고 단폭날개(40)는 3개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댐퍼(10)가 도 8에서와 같이 풍도댐퍼로 사용되는 경우 장폭날개(100)는 2개를 설치하고 단폭날개(40)는 1개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회전축(20)은 본체(11)의 통과공간(12)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회전축(30)은 본체(11)의 통과공간(12)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부회전축(20)의 하부와 하부회전축(30)의 상부에는 장,단폭날개(100)(40)의 상,하부에 각각 끼워지는 고정홈(21)(31)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회전축(20)(30)은 장,단폭날개(100)(4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단폭날개(40)의 일측에는 전면으로 접혀진 중첩부(41)가 형성되고, 상기 단폭날개(40)의 타측에는 후면으로 접혀진 중첩부(42)가 형성되며, 상기 단폭날개(40)의 양측 중첩부(41)(42) 사이로 상,하부회전축(20)(30)의 고정홈(21)(31)이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상기 단폭날개(40)는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단폭날개(40)의 일측에는 전면으로 접혀진 중첩부(41)가 형성되고, 상기 단폭날개이드(40)의 타측에는 후면으로 접혀진 중첩부(42)가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단폭날개(40)의 강도를 보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폭날개(100)와 단폭날개(40)는 상부회전축(20)에 서로 맞물리도록 각각 고정되는 제1,2기어(50)(60)에 의해 상호 반대방향으로 연동하여 회전된다.
상기 제1기어(50)는 장폭날개(100)를 지지하는 상부회전축(20)의 상부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일체형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기어(60)는 단폭날개(40)를 지지하는 상부회전축(20)의 상부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기어(50)와 제2기어(60)는 도 6에서와 같이 상부회전축(20)에 서로 맞물리도록 각각 고정되어 장폭날개(100)와 단폭날개(40)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도 6에서와 같이 제1기어(50) 또는 제2기어(60)들 중 어느 하나에는 모터(70)가 연결되고, 이러한 모터(70)는 제1,2기어(50)(60)를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댐퍼(10)는 실내의 온도센서(S1)와 풍도덕트의 압력센서(S2)의 감지에 의해 실내의 공기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풍도용 댐퍼로 적용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S1)는 각 실(방)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센서(S2)는 풍도덕트(80)에 설치된다.
상기 온도센서(S1)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온도센서(S1)는 통제실의 수신반에 연결되고 수신반에서는 모터(7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온도센서(S1)가 감지한 실내의 측정 온도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실내의 측정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 차이만큼 모터(70)를 통하여 장,단폭날개(100)(40)의 개도율을 조절하여 공기유입량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상기 압력센서(S2)는 부속실 압력과 옥내압력의 차압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러한 압력센서(S2)는 모터(70)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압력센서(S2)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을 수신한 후, 모터(70)를 통하여 장,단폭날개(100)(40)의 개도율을 조절하여 누설량 및/또는 보충량의 공급 풍량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댐퍼(10)는 풍도덕트(80)에서 분기된 덕트지관(81)에 연기감지센서(S3)가 설치되어 연기의 인입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댐퍼(10)는 덕트지관(81)에 설치되고, 상기 풍도덕트(80)는 천장(9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덕트지관(81)의 하부에는 디퓨져(82)가 설치된다.
상기 연기감지센서(S3)는 각실의 천장에 설치된 디퓨저와 댐퍼 사이의 덕트지관(81)에 설치되어 화재시 연기의 발생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연기감지센서(S3)는 모터(70)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연기감지센서(S3)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수신한 후, 모터(70)를 통하여 유독성 연기가 주위로 번지지 않도록 장,단폭날개(100)(40)를 자동으로 폐쇄한다.
즉, 화재가 발생하면 불꽃보다 먼저 확산되는 것이 연기이므로 화재가 발생된 방(실)의 연기가 풍도덕트를 통하여 다른 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기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수신반으로 전해지고 수진반에서는 해당위치의 댐퍼(10)를 폐쇄토록 함으로서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장폭날개(100)를 구성하는 중판(110), 판스프링(140), 전판(120) 및 중판(110), 판스프링(140), 후판(130)이 압착결합부(150)(160)가 형성되도록 압착하는 판금압착 성형결합법으로 각각 결합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장폭날개(100)를 판금압착 성형결합법을 이용한 무용접으로 결합하여 판스프링(140)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중판(110)에 전판(120)과 후판(130)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압착결합부(150)(160)를 통해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로 각각 결합되고, 중판(110)과 전,후판(120)(130)의 양측에는 중첩부(111)(112)(121)(131)가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장폭날개(100)의 강도를 보강하여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전판(120)의 일측과 후판(130)의 타측에는 중판(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폐쇄시 단폭날개(40)와 2~3㎜ 각각 겹쳐지면서 판스프링(140)의 경사부(141)를 단폭날개(40)에 한층 더 기밀하게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122)(132)가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장폭날개(100)와 단폭날개(40) 사이 틈새를 차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댐퍼(10)의 누기율을 잡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누기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은 판금압착 성형결합법으로 결합되는 압착결합부(150)(1600)에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확장부(151)(161)가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중판(110), 판스프링(140), 전판(120) 및 중판(110), 판스프링(140), 후판(130)이 압착결합부(150)(160)로부터 쉽게 빠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더욱 견고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댐퍼 11 : 본체
20 : 상부회전축 21 : 고정홈
30 : 하부회전축 31 : 고정홈
40 : 단폭날개 80 : 풍도덕트
81 : 덕트지관 100 : 장폭날개
110 : 중판 111.112 : 중첩부
120 : 전판 121 : 중첩부
122 : 밀착부 123 : 절개부
130 : 후판 131 : 중첩부
132 : 밀착부 133 : 절개부
140 : 판스프링 141 : 경사부
150,160 : 압착결합부 151,161 : 경사확장부
S1 : 온도센서 S2 : 압력센서
S3 : 연기감지센서

Claims (7)

  1. 댐퍼(10)의 본체(11)에 수직 등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장폭날개(100)로서,
    상기 장폭날개(100)는 중앙부가 상,하부회전축(20)(30)의 고정홈(21)(31)에 끼워져 고정되는 중판(110)과,
    상기 중판(110)의 전면 중앙부 일측에 배치되어 양측에는 전면으로 접혀진 중첩부(121)가 형성된 전판(120)과,
    상기 중판(110)의 후면 중앙부 타측에 배치되어 양측에는 후면으로 접혀진 중첩부(131)가 형성된 후판(130)과,
    상기 중판(110)과 전판(120) 및 중판(110)과 후판(130)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폐쇄시 단폭날개(40)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경사부(141)가 형성된 판스프링(1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판(110), 판스프링(140), 전판(120) 및 중판(110), 판스프링(140), 후판(130)은 압착결합부(150)(160)가 형성되도록 압착하는 판금압착 성형결합법으로 결합되며,
    상기 전판(120)의 일측과 후판(130)의 타측에는 중판(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폐쇄시 단폭날개(40)와 2~3㎜ 겹쳐지면서 판스프링(140)의 경사부(141)를 단폭날개(40)에 밀착시키는 밀착부(122)(1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판(110)의 일측에는 후면으로 접혀지는 중첩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중판(110)의 타측에는 전면으로 접혀지는 중첩부(1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122)(132)의 단부는 폐쇄시 판스프링(140)의 경사부(141)를 단폭날개(40)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도록 라운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결합부(150)(160)에는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확장부(151)(16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판(120)의 타측과 후판(130)의 일측 상,하부에는 상,하부회전축(20)(30)이 끼워지는 절개부(123)(1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10)는 실내의 온도센서(S1)와 풍도덕트의 압력센서(S2)의 감지에 의해 실내의 공기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풍도용 댐퍼로 적용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10)는 풍도덕트(80)에서 분기된 덕트지관(81)에 연기감지센서(S3)가 설치되어 연기의 인입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KR1020190093259A 2019-07-31 2019-07-31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KR102295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259A KR102295518B1 (ko) 2019-07-31 2019-07-31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259A KR102295518B1 (ko) 2019-07-31 2019-07-31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032A true KR20210015032A (ko) 2021-02-10
KR102295518B1 KR102295518B1 (ko) 2021-08-30

Family

ID=7456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259A KR102295518B1 (ko) 2019-07-31 2019-07-31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51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761Y1 (ko) 2000-01-08 2000-06-01 주식회사태영엔지니어링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
KR200357337Y1 (ko) * 2004-05-04 2004-07-27 삼광공조 주식회사 댐퍼용 실링 구조
KR20090068043A (ko) * 2007-12-21 2009-06-25 세인엔지니어링(주) 부식방지를 위해 내부가 코팅되는 공조용 댐퍼의 디스크결합구조
KR100966864B1 (ko) 2008-03-24 2010-06-29 상미에어텍 주식회사 완전형 댐퍼 날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댐퍼날개
KR20180000168U (ko) * 2016-07-06 2018-01-16 원준호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
KR20180089730A (ko) * 2017-02-01 2018-08-09 김광태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 및 소방 급기댐퍼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761Y1 (ko) 2000-01-08 2000-06-01 주식회사태영엔지니어링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
KR200357337Y1 (ko) * 2004-05-04 2004-07-27 삼광공조 주식회사 댐퍼용 실링 구조
KR20090068043A (ko) * 2007-12-21 2009-06-25 세인엔지니어링(주) 부식방지를 위해 내부가 코팅되는 공조용 댐퍼의 디스크결합구조
KR100966864B1 (ko) 2008-03-24 2010-06-29 상미에어텍 주식회사 완전형 댐퍼 날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댐퍼날개
KR20180000168U (ko) * 2016-07-06 2018-01-16 원준호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
KR20180089730A (ko) * 2017-02-01 2018-08-09 김광태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 및 소방 급기댐퍼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518B1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306961A (ja) 壁パネル用シール材
US9134040B2 (en) Curb adapter
CN101368759A (zh) 一种空调风口过滤装置及其过滤材料更换方法
WO2012056083A1 (en) Joining device for connecting air conditioning duct members to each other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a joining device
US20110105011A1 (en) Sheet metal frame for access door
CN105782605A (zh) 通风空调系统耐压型风管防漏风构造及风管管节加工方法
EP1617032A1 (en) Defrosting and heat-insulating device for window
US4934115A (en) Hinged wall construction
KR20210015032A (ko)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CN205664028U (zh) 一种通风空调系统用耐压型金属风管防漏风构造
CN205781560U (zh) 一种通风空调系统用补偿型金属风管防漏风构造
US4155209A (en) Fluid-sealed sheet metal joint
CN101634376A (zh) 一种复合风管及其方法
CN205818854U (zh) 汽车空调风门
CN206247711U (zh) 多折式换热器和空调器
CN201043651Y (zh) 复合风管断桥连接法兰
CA2242292A1 (en) Air-conditioning element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CN2821458Y (zh) 双彩钢板保温风管
CN216692169U (zh) 一种截止阀
CN213108912U (zh) 一种配合铝管容差较大的防水盖板
CN213334879U (zh) 一种具有密封效果的中央空调通风管道安装机构
CN201335493Y (zh) 一种挂壁式空调器室内机的出风口结构
CN2883250Y (zh) 一种保温集装箱壁板
CN2929030Y (zh) 阳光板连接压条
KR200183761Y1 (ko)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