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168U -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 - Google Patents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168U
KR20180000168U KR2020160003916U KR20160003916U KR20180000168U KR 20180000168 U KR20180000168 U KR 20180000168U KR 2020160003916 U KR2020160003916 U KR 2020160003916U KR 20160003916 U KR20160003916 U KR 20160003916U KR 20180000168 U KR20180000168 U KR 201800001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lades
damper
tim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498Y1 (ko
Inventor
원준호
Original Assignee
원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준호 filed Critical 원준호
Priority to KR2020160003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49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1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1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4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62C2/14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 A62C2/16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multi-vane roll or fold-up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블레이드를 화염에 견디도록 철재로 제작하되 각 블레이드가 겹쳐지는 부위에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얇은 강판을 설치하여 폐쇄시 변형되면서 밀착되어 밀폐됨으로써 기밀성이 향상되는 구조를 제공하고 각 블레이드가 겹쳐지는 부위를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수 번 절곡하여 폐쇄시 상호 밀착되는 부분이 다수 곳에서 발생되어 밀페성을 향상시킨 절곡밀폐부를 하나 이상 형성함으로 기밀성이 향상되는 구조를 제공하여 폐쇄시 2중으로 밀폐되어 기밀성이 개선되는 구조를 제공하며 블레이드의 중앙을 각형으로 절곡하고 이와 대응되는 각형 회전축을 삽입후 고정수단으로 결합하여 블레이드와 회전축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고 회전력 전달시 고정수단과 동시에 각형 회전축에서 블레이드의 각형 연결부에 직접 회전력을 전달함으로 보다 견고하고 정확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방화방연 댐퍼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0)는, 강재로 제조되며 폐쇄시 각 블레이드(40)가 겹쳐지는 부위에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얇은 강판을 설치하되 폐쇄시 블레이드(40)가 상호 밀착되면서 얇은 강판의 변형에 의해 밀폐되는 탄성밀폐부(61)를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폐쇄시 각 블레이드(40)가 겹쳐지는 부위를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수 번 절곡되어 폐쇄시 상호 밀착되는 면적을 넓혀 밀폐하는 절곡밀폐부(62)를 형성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폐쇄시 2중으로 밀폐되어 기밀성이 개선되고; 상기 블레이드(40)는 블레이드의 중앙을 각형으로 절곡하고, 블레이드(40)의 중앙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을 블레이드와 대응되도록 각형으로 형성하며 관통하는 고정수단(70)으로 결합하여 견고하고 정확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Fire and Smoke Damper with Improved Structure}
본 고안은 방화방연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레이드를 화염에 견디도록 철재로 제작하되 각 블레이드가 겹쳐지는 부위에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얇은 강판을 설치하여 폐쇄시 변형되면서 밀착되어 밀폐됨으로써 기밀성이 향상되는 구조를 제공하고 각 블레이드가 겹쳐지는 부위를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수 번 절곡하여 폐쇄시 상호 밀착되는 부분이 다수 곳에서 발생되어 밀폐성을 향상시킨 절곡밀폐부를 하나 이상 형성함으로 기밀성이 향상되는 구조를 제공하여 폐쇄시 2중으로 밀폐되어 기밀성이 개선되는 구조를 제공하며 블레이드의 중앙을 각형으로 절곡하고 이와 대응되는 각형 회전축을 삽입후 고정수단으로 결합하여 블레이드와 회전축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고 회전력 전달시 고정수단과 동시에 각형 회전축에서 블레이드의 각형 연결부에 직접 회전력을 전달함으로 보다 견고하고 정확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에 관한 것이다.
통상, 방화방연 댐퍼(Fire and Smoke damper)라고 하면, 화재 발생시 화염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불길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방화댐퍼(Fire Damper)와 유독가스와 연기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고 배연하기 위해 설치되는 방연댐퍼(Smoke Damper)를 혼합한 형태의 댐퍼로서, 화재시 화염과 가스에 의한 피해를 동시에 방지할 목적으로 불길을 차단하면서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고 배연하는 댐퍼이다.
그런데, 종래 방화방연 댐퍼를 공조기 설치업체에서 공조설비와 함께 설치하면서 상대적으로 가볍고 부식이 없는 알루미늄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공조설비 설치규정상으로 알루미늄 소재의 설비를 설치하여도 무방하기에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화방연 댐퍼(101)도 알루미늄 소재로 제조하고, 상기 알루미늄 댐퍼의 폐쇄시 기밀유지를 위해 블레이드(140) 간의 겹쳐지는 부분에 합성수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된 밀폐부재(160)를 결합하여 설치하여 왔다.
그러나, 알루미늄 소재의 방화방연 댐퍼(101)는 용융점이 660℃인 알루미늄의 특성상 화재시 화염에 의해 쉽게 녹아내려 제 역할을 할 수 없어 소방법상으로 부적합하다. 또한, 화염에 취약한 합성수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밀폐부재(160)도 당연히 부적합하다.
해외사례를 보면, 방화방연 댐퍼는 최초 화재발생후 1.5 ~ 3시간 또는 3시간 이상 견딜수 있는가를 기준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방화방연 댐퍼가 화염에 대해 1.5 ~ 3시간 정도를 견딜 수 있으려면 용융점이 1400℃ 이상인 강재, 철재로 제조되어야 한다.
종래에도, 방화방연 댐퍼(101)의 프레임(110)과 블레이드(140)를 철로 제조한 제품들이 있으나, 밀폐부재(160)가 없거나 합성수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밀폐부재(160)를 사용하고 있어 화재시 화염에 의해 밀폐부재(160)가 발화되면서 유독가스의 발생 원인이 되고 이를 전파하게 되는 문제점과 밀폐부재(160)가 없는 경우 기밀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방화방연 댐퍼(101)는 블레이드(14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50)이 원주형상이고 블레이드(140)의 연결부 또한 원호형상으로 상호 접하면서 스폿용접 또는 회전축(150)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서 견고하지 못하여, 블레이드(140)에 가해지는 풍압이 스폿용접부 또는 볼트에 전부 가압되어 파손되는 사례가 빈번하였다.
또한, 회전축(150)과 블레이드(140)의 사이가 밀착되지 않아 들뜨거나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블레이드(140)가 흔들림이 발생되어 회전축(150)에서 블레이드(140)에 전달되는 회전력이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여 블레이드(140)와 블레이드(14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80692호(출원일: 2011년 6월 21일), 발명의 명칭: "방화댐퍼"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블레이드를 화염에 견디도록 철재로 제작하되 각 블레이드가 겹쳐지는 부위에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얇은 강판을 설치하여 폐쇄시 변형되면서 밀착되어 밀폐됨으로써 기밀성이 향상되는 구조를 제공하고 각 블레이드가 겹쳐지는 부위를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수 번 절곡하여 폐쇄시 상호 밀착되는 부분이 다수 곳에서 발생되어 밀폐성을 향상시킨 절곡밀폐부를 하나 이상 형성함으로 기밀성이 향상되는 구조를 제공하여 폐쇄시 2중으로 밀폐되어 기밀성이 개선되는 구조를 제공하며 블레이드의 중앙을 각형으로 절곡하고 이와 대응되는 각형 회전축을 삽입후 고정수단으로 결합하여 블레이드와 회전축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고 회전력 전달시 고정수단과 동시에 각형 회전축에서 블레이드의 각형 연결부에 직접 회전력을 전달함으로 보다 견고하고 정확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직사각 프레임의 내측에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화재시 화염에 견디면서 유독가스의 이동을 차단하고 배연시키는 방화방연 댐퍼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0)는, 화재시 화염에 일정시간 견딜 수 있도록 강재로 제조되며 각 블레이드(40)의 사이 틈새를 통한 누출을 방지하도록 폐쇄시 각 블레이드(40)가 겹쳐지는 부위에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얇은 강판을 설치하되 폐쇄시 블레이드(40)가 상호 밀착되면서 얇은 강판의 변형에 의해 밀폐되는 탄성밀폐부(61)를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폐쇄시 각 블레이드(40)가 겹쳐지는 부위를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수 번 절곡되어 폐쇄시 상호 밀착되는 부분이 다수 곳에서 발생되어 밀폐성을 향상시키는 절곡밀폐부(62)를 형성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폐쇄시 2중으로 밀폐되어 기밀성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에 있어서, 상기 탄성밀폐부(61)는, 일측은 블레이드(40)의 평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일정각도로 블레이드(40)로부터 이탈되어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과, 일측은 블레이드(40)에 고정되고 타측은 일정지름을 갖는 호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과, U자형으로 절곡되어 블레이드(40)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둘러싸도록 고정되어 형성되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에 있어서, 상기 절곡밀페부(62)는, 그 절곡부의 형상을 단면모양에 따라 일정경사각을 갖는 각형 절곡부 또는 원호형 절곡부로 형성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0)는 블레이드의 중앙을 각형으로 절곡하고, 블레이드(40)의 중앙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을 블레이드와 대응되도록 각형으로 형성하며 관통하는 고정수단(70)으로 결합하여 견고하고 정확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블레이드를 화염에 견디도록 철재로 제작하되 각 블레이드가 겹쳐지는 부위에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얇은 강판을 설치하여 폐쇄시 변형되면서 밀착되어 밀폐됨으로써 기밀성이 향상되는 구조를 제공하고 각 블레이드가 겹쳐지는 부위를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수 번 절곡하여 폐쇄시 상호 밀착되는 부분이 다수 곳에서 발생되어 밀폐성이 향상된 절곡밀폐부를 하나 이상 형성함으로 기밀성이 향상되는 구조를 제공하여 폐쇄시 2중으로 밀폐되어 기밀성이 개선되는 구조를 제공하며 블레이드의 중앙을 각형으로 절곡하고 이와 대응되는 각형 회전축을 삽입후 고정수단으로 결합하여 블레이드와 회전축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고 회전력 전달시 고정수단과 동시에 각형 회전축에서 블레이드의 각형 연결부에 직접 회전력을 전달함으로 보다 견고하고 정확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 방화댐퍼의 정면 및 평면을 보이는 개략도
도 2 는 본 고안을 적용한 방화방연댐퍼의 정면 및 평면을 보이는 개략도
도 3 은 본 고안을 적용한 방화방연댐퍼의 블레이드 및 각형 회전축을 보이는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을 적용한 방화방연댐퍼의 탄성밀폐부의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도
도 5 는 본 고안을 적용한 방화방연댐퍼의 개선된 밀폐구조를 보이는 부분확대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하며, 본 고안을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본 고안의 방화방연댐퍼(1)는, 화재시 화염에 견딜 수 있도록 블레이드(40)를 일정두께의 강판으로 제조하고 각 블레이드(40)의 사이 틈새를 통한 누출을 방지하고자 블레이드(40)가 겹쳐지는 부위에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얇은 강판을 설치하여 블레이드(40)가 폐쇄시 밀착되면서 얇은 강판의 변형에 의해 밀폐되는 탄성밀폐부를 제공하고 동시에 각 블레이드(40)가 겹쳐지는 부위를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수 번 절곡되어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절곡밀폐부를 갖는 구조를 제공하여 폐쇄시 2중으로 밀폐되어 기밀성이 개선되는 구조를 제공하며 블레이드의 중앙을 각형으로 절곡하고 이와 대응되는 각형 회전축을 삽입후 고정수단으로 결합하여 블레이드와 회전축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고 회전력 전달시 고정수단과 동시에 각형 회전축에서 블레이드의 각형 연결부에 직접 회전력을 전달함으로 보다 견고하고 정확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방화방연 댐퍼(1)는, 화염에 일정시간 이상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모든 구성품을 강재,철재 또는 이와 대등한 방화성능을 갖는 금속재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방화방연 댐퍼(1)는, 프레임(10)과 블레이드(40)와 피스톤(20)과 회전축(50)과 링크기구(30)와 밀폐부(60)를 모두 강재로 제작하였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중 밀폐부(60)는, 탄성밀폐부(61)와 절곡밀폐부(62)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밀폐부(61)는, 각 블레이드(40)의 사이 틈새를 통한 누출을 방지하도록 폐쇄시 각 블레이드(40)가 겹쳐지는 부위에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얇은 강판을 이용하여 설치하되 폐쇄시 블레이드(40)가 상호 밀착되면서 얇은 강판의 변형에 의해 밀폐되도록 형성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밀폐부(61)는, 일측은 블레이드(40)의 평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일정각도로 블레이드(40)로부터 이탈되어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도 4a)되는 탄성밀폐부(61a)와, 일측은 블레이드(40)에 고정되고 타측은 일정지름을 갖는 호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도 4b)되는 탄성밀폐부(61b))와, U자형으로 절곡되어 블레이드(40)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둘러싸도록 고정되어 형성(도 4c)되는 탄성밀폐부(61c)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40)의 일측 좌측단부에 U자형으로 절곡되어 블레이드(40)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둘러싸도록 고정되어 형성되는 탄성밀폐부(61c)를 설치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우측 상면상에 일측은 블레이드(40)의 평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일정각도로 블레이드(40)로부터 이탈되어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탄성밀폐부(61a)를 설치하였다.
도 5를 살펴보면, 좌측은 밀폐시, 우측은 개방시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밀폐시 좌측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블레이드(40)가 밀착되면서 좌측단에 설치된 U자형 탄성밀폐부(61c)가 우측 상면상에 설치된 경사각을 갖는 탄성밀폐부(61a)를 누르면서 함께 변형되어 밀폐상태를 유지하다가, 우측과 같이 개방시 양측 블레이드(40)가 상호간에 이격되면서 U자형 탄성밀폐부(61c)와 경사각을 갖는 탄성밀폐부(61a)가 탄성에 의해 원래상태로 복원되는 모습을 보인다.
다음, 상기 절곡밀폐부(62)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쇄시 각 블레이드(40)가 겹쳐지는 부위를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수 번 절곡되어 폐쇄시 상호 만나서 밀착되는 부분이 다수 곳에서 발생됨에 따라 밀착성을 향상시켜 밀폐하도록 형성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곡부의 형상은 단면모양에 따라 일정경사각을 갖는 각형 절곡부와 원호형 절곡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밀폐부(62)에 하나 이상의 탄성밀폐부(61)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탄성밀폐부(61)와 절곡밀폐부(62)를 포함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폐쇄시 2중으로 밀폐되어 기밀성이 개선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40)는 블레이드의 중앙을 4각형으로 절곡하고, 블레이드(40)의 중앙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50)을 블레이드와 대응되도록 4각형으로 형성하며 관통하는 고정수단(70)으로 결합하여 견고하고 정확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블레이드를 화염에 견디도록 철재로 제작하되 각 블레이드가 겹쳐지는 부위에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얇은 강판을 설치하여 폐쇄시 변형되면서 밀착되어 밀폐됨으로써 기밀성이 향상되는 구조를 제공하고 각 블레이드가 겹쳐지는 부위를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수 번 절곡하여 폐쇄시 상호 밀착되는 부분이 다수 곳에서 발생되어 밀페성을 향상시킨 절곡밀폐부를 하나 이상 형성함으로 기밀성이 향상되는 구조를 제공하여 폐쇄시 2중으로 밀폐되어 기밀성이 개선되는 구조를 제공하며 블레이드의 중앙을 각형으로 절곡하고 이와 대응되는 각형 회전축을 삽입후 고정수단으로 결합하여 블레이드와 회전축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고 회전력 전달시 고정수단과 동시에 각형 회전축에서 블레이드의 각형 연결부에 직접 회전력을 전달함으로 보다 견고하고 정확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방화방연 댐퍼 10: 프레임
20: 피스톤 30: 링크기구
40: 블레이드 50: 회전축
60: 밀폐부 61: 탄성밀폐부
62: 절곡밀폐부 70: 고정수단

Claims (4)

  1. 직사각 프레임의 내측에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화재시 화염에 견디면서 유독가스의 이동을 차단하고 배연시키는 방화방연 댐퍼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0)는,
    화재시 화염에 일정시간 견딜 수 있도록 강재로 제조되며 각 블레이드(40)의 사이 틈새를 통한 누출을 방지하도록 폐쇄시 각 블레이드(40)가 겹쳐지는 부위에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얇은 강판을 설치하되 폐쇄시 블레이드(40)가 상호 밀착되면서 얇은 강판의 변형에 의해 밀폐되는 탄성밀폐부(61)를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폐쇄시 각 블레이드(40)가 겹쳐지는 부위를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수 번 절곡되어 폐쇄시 상호 밀착되는 부위가 많아져 밀폐성이 향상되는 절곡밀폐부(62)를 형성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폐쇄시 2중으로 밀폐되어 기밀성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밀폐부(61)는, 일측은 블레이드(40)의 평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일정각도로 블레이드(40)로부터 이탈되어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과,
    일측은 블레이드(40)에 고정되고 타측은 일정지름을 갖는 호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과,
    U자형으로 절곡되어 블레이드(40)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둘러싸도록 고정되어 형성되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밀페부(62)는, 그 절곡부의 형상을 단면모양에 따라 일정경사각을 갖는 각형 절곡부 또는 원호형 절곡부로 형성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0)는 블레이드의 중앙을 각형으로 절곡하고, 블레이드(40)의 중앙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을 블레이드와 대응되도록 각형으로 형성하며 관통하는 고정수단(70)으로 결합하여 견고하고 정확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


KR2020160003916U 2016-07-06 2016-07-06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 KR200485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916U KR200485498Y1 (ko) 2016-07-06 2016-07-06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916U KR200485498Y1 (ko) 2016-07-06 2016-07-06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68U true KR20180000168U (ko) 2018-01-16
KR200485498Y1 KR200485498Y1 (ko) 2018-01-17

Family

ID=61279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916U KR200485498Y1 (ko) 2016-07-06 2016-07-06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49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055B1 (ko) * 2018-09-19 2019-07-17 미래설비엔지니어링(주) 기밀성을 향상한 댐퍼
KR102066180B1 (ko) * 2019-08-01 2020-02-11 이성민 화재 방지 시스템
KR102082237B1 (ko) * 2019-03-08 2020-02-27 주식회사 대명공조 방화용 스틸 댐퍼
KR20210015032A (ko) * 2019-07-31 2021-02-10 원준호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KR20210022382A (ko) * 2019-08-20 2021-03-03 이성한 내화 발포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댐퍼
KR20210106833A (ko) 2020-02-21 2021-08-31 서광옥 방연 및 방화용 밀폐형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146B1 (ko) * 2019-10-29 2021-05-12 주식회사 태영엔지니어링 댐퍼용 금속 날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806B1 (ko) * 2001-10-16 2004-03-11 박재현 고층 건물의 풍량제어용 제연댐퍼
KR200396639Y1 (ko) * 2005-07-09 2005-09-23 전범수 제연댐퍼의 댐퍼블레이드 연결장치
KR20100000727U (ko) * 2009-12-14 2010-01-22 주식회사 삼우파워시스템 댐퍼용 판 스프링형 시일 구조
KR101080692B1 (ko) 2011-06-21 2011-11-08 (주)동아풍력 방화 댐퍼
KR101625923B1 (ko) * 2015-12-02 2016-05-31 최부순 배기분리형 댐퍼용 블레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806B1 (ko) * 2001-10-16 2004-03-11 박재현 고층 건물의 풍량제어용 제연댐퍼
KR200396639Y1 (ko) * 2005-07-09 2005-09-23 전범수 제연댐퍼의 댐퍼블레이드 연결장치
KR20100000727U (ko) * 2009-12-14 2010-01-22 주식회사 삼우파워시스템 댐퍼용 판 스프링형 시일 구조
KR101080692B1 (ko) 2011-06-21 2011-11-08 (주)동아풍력 방화 댐퍼
KR101625923B1 (ko) * 2015-12-02 2016-05-31 최부순 배기분리형 댐퍼용 블레이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055B1 (ko) * 2018-09-19 2019-07-17 미래설비엔지니어링(주) 기밀성을 향상한 댐퍼
KR102082237B1 (ko) * 2019-03-08 2020-02-27 주식회사 대명공조 방화용 스틸 댐퍼
KR20210015032A (ko) * 2019-07-31 2021-02-10 원준호 풍도댐퍼 및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KR102066180B1 (ko) * 2019-08-01 2020-02-11 이성민 화재 방지 시스템
KR20210022382A (ko) * 2019-08-20 2021-03-03 이성한 내화 발포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댐퍼
KR20210106833A (ko) 2020-02-21 2021-08-31 서광옥 방연 및 방화용 밀폐형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498Y1 (ko)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498Y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방화방연 댐퍼
US4894966A (en) Fire stopping apparatus
KR101638116B1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US7478839B2 (en) Penetration slider seal expansion joint apparatus and method
US20070181183A1 (en) Pressure relief vent devices
KR101988237B1 (ko)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및 그 시공방법
EP2823862B1 (en) Damper assembly for ventilation system
KR102251150B1 (ko) 금속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27395A (ko) 방화문
KR101676712B1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CN106795983A (zh) 密封组件和密封段
EP2935958B1 (en) Butterfly vent
EP1960058B1 (en) Fire damper barrier flange
KR102034978B1 (ko) 단열 및 결로방지 도어
KR20210106833A (ko) 방연 및 방화용 밀폐형 댐퍼
KR20190008112A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 장치
CN209724125U (zh) 一种消防通道用防火门设备
KR101249492B1 (ko) 안전 방화문 시스템
KR102557838B1 (ko) 내화충전재 설치구조가 개선된 방화 댐퍼 및 그 시공방법
KR101624802B1 (ko)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
KR102270211B1 (ko) 건물의 환기 덕트용 댐퍼
CN111089177A (zh) 防火阀
CN214534701U (zh) 烟道防火止回阀
KR101541100B1 (ko) 방화 셔터용 힌지
KR20110009098U (ko) 특수문용 기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