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237B1 -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237B1
KR101988237B1 KR1020170149521A KR20170149521A KR101988237B1 KR 101988237 B1 KR101988237 B1 KR 101988237B1 KR 1020170149521 A KR1020170149521 A KR 1020170149521A KR 20170149521 A KR20170149521 A KR 20170149521A KR 101988237 B1 KR101988237 B1 KR 101988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gear
blade
smok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3536A (ko
Inventor
김정엽
이수각
전승원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49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2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3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24F11/34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by opening air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화재 발생 시 연기 확산을 방지할 목적으로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덕트에 설치되는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는 프레임 내측면 사이에 상하로 배치된 날개판 단부에 면접촉연결구가 형성되어, 회전축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날개판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로 수직 배열되는 과정에서 면접촉연결구가 서로 겹쳐지면서 면접촉 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프레임의 프레임몸통부를 관통하여 노출된 회전축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하로 물려지도록 배치되어 중앙기어부의 회전에 의하여 함께 회전되어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및 그 시공방법{SMOKE DAMPER WITH ENHANCED AIRTIGHTNESS AND CONSTRUCTION METHOD TREREFOR}
본 발명은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건축설비 등에 있어 화재 발생 시 연기 확산을 방지할 목적으로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덕트에 설치되는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 NFIRS(National Fire Incident Reporting System) 통계에 의하면 화재 재난으로 인한 사망자 중에서 연기로 인한 사망자는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화재에 의하여 발생하는 연기로 인한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자연배연, 기계배연, 급기가압설비 등 다양한 방안이 적용되고 있다.
예컨대, 연기가 발생 구획에서 다른 구획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건물을 구획화(Compartmentation)하는 방안이 적용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연기가 다른 구획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덕트를 통해 내부에 방연댐퍼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방연댐퍼는 평상시에는 열려 있다가 연기 또는 높은 온도를 감지하면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닫혀 덕트에 의해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화재 시 연기 확산을 효과적으로 막기 위하여 방연댐퍼의 기밀성능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수밖에 없음을 알 수 있으며, 방연댐퍼가 제대로 기능하지 않아 방연댐퍼를 통해 연기가 확산된다면, 연기가 다른 구획으로 이동되어 피난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는 곧 인명 피해로 이어지게 된다.
방연댐퍼 설치와 관련된 국외 기준에는 미국의 UL 555S, 영국의 BS EN 1366-10 등이 있다. 국내의 경우 건축법과 KS 표준에서 방화댐퍼의 방연시험방법에 대해 명시하고 있으나, 댐퍼의 기밀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시험장치의 부재 등으로 인하여 선진 외국에 비하여 방연댐퍼의 성능기준이 엄격히 적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댐퍼 구동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a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댐퍼 구동장치(10)는 양단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가 내향 절곡되게 갖추어져 틀을 이루는 제 1,2프레임(15,12)과;
상기 제 1,2프레임(15,12)에 그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복수개 구비되는 블레이드(25)와;
상기 제 1,2프레임(15,12)에 그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블레이드(25) 양단에 구비되어 제 1,2프레임(15,12)의 가이드홈에 가이드 삽입되도록 그 양측면에 가이드돌기가 돌출되며 중앙은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부재(14)와;
상기 제 1프레임(15)의 가이드홈에 가이드 삽입되는 고정부재(14)의 후면측으로 블레이드(25)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삽입되되, 그 외주면에는 기어(45)로 이루어지고, 중앙은 삽입홀(50)이 관통된 복수개의 기어부재(55)와;
상기 블레이드(25)와, 고정부재(14)와, 기어부재(55)와, 제 1프레임(15)에 삽입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60)와;
상기 연결부재(60) 일단을 삽입시켜 기어부재(55)로 서로 맞물려 있는 블레이드(25)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레버부재(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청정공기의 풍향을 상향으로 토출시키고자 할 때에는 레버부재(65)를 상향으로 회동시키면 가이드부재(75)의 가이드장홀(17)을 따라 회동되고, 상기 레버부재(65)의 회동과 동시에 연결부재(60)에 의해 레버부재(65)와 연결되어 있는 기어부재(55)와 상기 연결부재(60)의 일측을 삽입시키고 있는 블레이드(25)가 동시에 회동하게 된다.
이때, 기어부재(55)의 기어(45)에 서로 맞물려 있는 상,하단의 기어부재(55)도 동시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로 인하여 기어부재(55)에 연결부재(60)로 연결되어 있는 블레이드(25)가 동시에 회동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로서 종래 댐퍼 개폐구조로서 기어부재(55)가 상하로 물려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블레이드(25)를 서로 개폐시킬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b는 종래 다른 댐퍼 개폐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즉,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이용해 내부 공기통로를 개방하거나 차단시키도록 구성된 댐퍼 구조에 있어서,
일측면과 이에 대향되는 타측면이 개구되고, 개구된 공기통로로서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댐퍼본체(2)와;
상기 댐퍼본체(2)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고 상기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주동력축과, 상기 주동력축과 연결된 구동기어를 가지는 구동부(3)와;
상기 댐퍼본체(2)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며 돌출된 다수개의 회전축과, 상기 각각의 회전축을 축으로 하는 다수개의 회전기어(53)와, 판형상으로 상기 댐퍼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공기통로를 개폐시키는 다수개의 블레이드(51)로 구성된 개폐부(5)와;
상기 회전기어와 각각 대응되어 맞물리는 다수개의 종동렉기어이(44)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주동렉기어이가 구비된 렉기어바를 가지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부(3)의 회전 구동력에 따라 상기 렉기어바가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종동렉기어이(44)가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51)를 일방향으로 순차적 회전시켜 공기통로를 개폐시키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이러한 댐퍼 개폐장치는 블레이드 개폐를 위해서 기어, 렉기어를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개폐하려고 하고는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도 1a 및 도 1b에 의한 종래 댐퍼개폐장치는 댐퍼가 닫힘 상태일 때 블레이드와 블레이드가 서로 밀접하게 겹치지 못하여, 블레이드 틈으로 연기가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블레이드와 블레이드가 접하는 부위가 서로 선 접촉하고 있어 발생하는 문제라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종래 댐퍼 개폐장치는 블레이드의 일괄적인 개폐동작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c는 종래 기밀성이 개선된 날개 구조를 갖는 대향익 댐퍼를 도시한 것이다.
즉, 면상에 등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사이마다 걸고리가 구비되며, 양단부에 결합구가 형성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결합구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구비된 상부 및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사각형상의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통공에 관통되도록 이루어진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연장된 날개판이 형성되며, 상기 날개판의 일측단부에는 T자 형상으로서 외주면에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소음방지구(31)가 구비된 단속리브(23)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일측방향으로 절곡된 폐쇄리브(24)가 형성되는 다수의 날개(20)와;
상기 날개가 자중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통공을 관통한 회전축과, 상기 걸고리에 지그재그형태로 결합되어 마찰력을 가중시키는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의 소음방지구를 개스킷 형태로 사용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상기 댐퍼의 날개(20)는 회전축이 서로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지그재그로 배치되도록 하고 있어 제작상의 어려움과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기 때문에 기밀성 확보를 위해서 공간과 비용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 10-0865130호(발명의 명칭: 댐퍼 개폐 구조, 공개일자: 2008년10월24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73046호(발명의 명칭: 기밀성이 개선된 날개 구조를 갖는 대향익 댐퍼, 공개일자: 2014년06월10일)
이에 본 발명은 기어의 회전에 의해 블레이드의 개폐가 구동되도록 하면서 방연댐퍼의 기능에 맞추어 블레이드를 완전 열림/완전 닫힘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되, 블레이드와 블레이드가 서로 면접촉하여, 블레이드 사이 틈새를 최소화하고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되 블레이드 회전축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가 단순하여 경제적으로 제작이 가능한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및 그 시공방법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 내측면 사이에 상하로 배치된 날개판 단부에 면접촉연결구가 형성되어, 회전축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날개판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로 수직 배열되는 과정에서 면접촉연결구가 서로 겹쳐지면서 면접촉 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프레임의 프레임몸통부를 관통하여 노출된 회전축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하로 물려지도록 배치되어 중앙기어부의 회전에 의하여 함께 회전되어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하여, 중앙 기어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는 90도만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프레임을 블레이드가 개폐되도록 하며
상기 기어부는 원형판 형태로서 블레이드의 양 회전축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중앙고정홀(H)이 형성된 회전몸통부; 상,하로 배치되어 접하는 회전몸통부의 외주면 일부에만 각각 형성되어 서로 물려지는 기어; 상기 회전몸통부를 관통하는 홈으로서 기어 주위의 몸통부를 관통하는 호형의 홈으로 형성되며, 연장길이는 기어의 연장길이 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고, 멈춤구가 관통되는 회전홀;을 포함하여, 프레임에 설치되어 위치 변동 없는 멈춤구가 회전홀의 내측단부면(A)에 접할 때 회전몸통부의 회전은 구속되어 회전몸통부가 90도만 회전되도록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a) 상기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를 구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를 건축물의 덕트 중간에 연결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댐퍼의 개폐구조가 아닌 방연댐퍼의 경우 연기의 누출방지가 우선적이므로 블레이드를 완전 열림/완전 닫힘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및 그 시공방법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연댐퍼는 블레이드 형상이 회전축의 변화없이 블레이드와 블레이드가 면으로 접촉하여 블레이드 사이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연기 누설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및 그 시공방법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댐퍼 구동장치의 예시도,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의 구성사시도, 블레이드 면접촉 예시도 및 기어부 작용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기어부의 작용 및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의 개폐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시공방법 순서도 및 시공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100) ]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100)의 구성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10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프레임(110), 블레이드(120), 기어부(130), 기어구동부(1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프레임(110)은 도 4b와 같이, 덕트(200)의 단면형태에 맞추어 양 덕트(200)를 중간에서 서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연결플랜지(111)가 형성된 사각중공관 형태의 프레임몸통부(112)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20)는 도 2a 및 도 3과 같이, 회전축(121), 날개판(122), 면접촉연결구(12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121)은 프레임몸통부(112)의 양 내측면에 형성된 회전홀에 양 단부가 삽입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일종의 봉부재로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판(122)은 회전축(121) 양측방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연기 누출을 방지하는 평판형태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접촉연결구(123)는 블레이드(120)의 날개판(122) 접촉부가 서로 겹쳐지는 부위에서 연기 누출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날개판이 서로 면접촉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예컨대 도 2b와 같이, 날개판(122)의 양 단부는 반원형 면접촉연결구(123)가 각각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날개판 일측면에 형성된 반원형 면접촉연결구(123)는 다른 날개판 일측면에 형성된 반원형 면접촉연결구(123)에 끼워지면서 반원형 면접촉연결구(123)들이 서로 면접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블레이드(120)의 반원형 면접촉연결구(123)가 서로 겹쳐지면서 면접촉하도록 하기 때문에 방연댐퍼에서 지적된 연기 누출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하고 있게 된다.
이러한 블레이드(120)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이, 프레임몸통부(112) 내측에서 90도만 회전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이에 상,하 직선 형태로 수직 배열하게 되면 폐쇄되고, 각각 수평형태로 배열되면 개방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수직 배열하면서 면접촉연결구(123)가 서로 겹쳐지면서 면접촉 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기어부(130)는 도 2a와 같이, 회전몸통부(131), 기어(132), 회전홀(133), 멈춤구(13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회전몸통부(131)는 원형판 형태로서 블레이드 설치개수에 맞추어 블레이드(120)의 양 회전축(121)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중앙고정홀(H)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132)는 상,하로 배치되어 접하는 회전몸통부(131)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서 상,하 회전몸통부(131)의 기어(132)는 서로 맞물려 있어 어느 한쪽이 회전하게 되면 기어(132)에 물려진 다른 기어(132)도 회전되도록 하여 도 2a의 경우 5개의 기어부(130)는 중앙에 위치한 기어부(130) 회전에 의하여 함께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어(132)는 회전몸통부(131)가 접하는 외주면 부위(L로 표시)에만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의 기어(132)는 90도로 회전량이 제한되므로 기어(132)를 외주면 전체에 형성시킬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회전홀(133)은 회전몸통부(131)를 관통하는 홈으로서 도 2a에 의하면 기어(132) 주위의 회전몸통부(131)를 관통하는 호형의 홈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회전홀(133)의 연장길이는 기어(132)의 연장길이 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게 되며, 회전홀(133)에는 멈춤구(134)가 관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멈춤구(134)는 블레이드(120)의 날개판(122) 단부면에 수평으로 연장된 봉부재로서 직경은 회전홀(133)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구비된다.
이에 멈춤구(134)는 그 위치에 변동이 없으므로, 회전홀(133)의 내측단부면(A)이 멈춤구(134)가 접할때 회전몸통부(131)의 회전은 구속되어 제어된다.
이에 상기 회전홀(133)은 호형 또는 반원형으로서 연장길이와 멈춤구(134)에 의하여 회전량이 구속되며 본 발명의 경우에는 회전몸통부(131)가 90도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홀의 연장길이를 구비하게 된다.
이로서 도 2c 및 도 2d와 같이, 본 발명의 블레이드(120)는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상,하 블레이드(120)는 일직선상으로 수직 배치되도록 세팅되고, 이에 덕트를 따라 이동하는 연기는 블레이드(120)가 수직 배치됨에 따라 프레임(110)을 폐쇄된다.
또한 상기 폐쇄된 상태의 블레이드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게 되면 블레이드는 수평으로 서로 세팅되어 연기는 프레임(110)을 개방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90도 개폐작동만으로 블레이드가 개폐작용을 하도록 하여 기밀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방연댐퍼(또는 방화용댐퍼, 방화댐퍼라고도 한다.)의 기능에 충실하게 된다.
상기 기어구동부(140)는 도 2c 및 도 2d와 같이, 기어부(130)를 회전시켜 기어부(130)에 양 단부가 고정 설치된 블레이드(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동부(140)는 종래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와 대비해서 힘의 전달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정밀한 블레이드 제어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즉, 프레임(110) 중앙부에 설치된 기어부(130)는 적어도 1개가 존재하므로 이를 기준으로 상,하로 기어(132)에 의하여 물려진 기어부(130)는 중앙 기어부(130)가 회전하면 동일한 방향(시계, 반시계)으로 회전하도록 배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중앙 기어부(130)에는 구동막대부(141)가 중앙고정홀(H)에 끼워져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동막대부(141)는 액츄에이터(미도시)에 물려져 토크가 전달되어 회전되도록 하게 된다.
이로서 액츄에이터 제어에 의하여 구동막대부(141)의 토크량, 회전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최종 블레이드(120)가 90도 회전되면서 프레임(110)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즉 방연댐퍼는 연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불필요하게 블레이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경우 내구성, 프레임의 변형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90도로 강제로 제한하게 된다.
[ 본 발명의 블레이드(120) 면접촉 ]
도 2b는 본 발명의 블레이드(120) 면접촉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앞서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의 블레이드(120)는 도 3a와 같이, 수직으로 일직선상으로 배치(수직 배열)됨에 따라 연기 누출을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각각 상하로 배치된 블레이드(120)의 날개판(122)의 단부면이 서로 면접촉되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2b의 경우 날개판 일측면에 형성된 반원형 면접촉연결구(123)는 다른 날개판 일측면에 형성된 반원형 면접촉연결구(123)에 끼워지면서 반원형 면접촉연결구(123) 전체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말하자면 상하로 배치된 날개판(132)의 측면이 선접촉하지 않고 접촉면적이 커지는 면접촉에 의하여 연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면접촉연결구(123)의 형태는 반원형 뿐만 아니라, 삼각, 사각형등 서로가 접하면서 접촉면적이 넓어지는 다양한 면접촉 형태가 채택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면접촉연결구(123)의 특징은 블레이드의 회전축(121)이 동일한 직선상에 존재하여도 블레이드 양 단부에 면접촉연결구(123)가 서로 겹쳐지도록 하게 되어 회전축(121)을 서로 달리 어긋나게 배치하는 등의 배치구조가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프레임(110)의 단면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져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 본 발명의 기어부(130) 작동 ]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의 기어부(130) 작용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 의하면 상기 기어부(130)는 5개가 상하로 서로 기어(132)가 물려져 있는데 중앙 기어부(130)를 제외하고는 상하 배치 개수는 조절되면 총 3,5,7개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중앙 기어부(130)의 상하 회전몸통부(131) 외주면에는 기어(132)가 형성되어 상하로 기어부(130)가 물려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3b와 같이, 중앙 기어부(130)를 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하의 기어부(130)는 각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최상단 및 하단의 기어부(13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기어부(130)의 회전은 멈춤구(134)에 90도 회전으로 각각 제어되도록 하게 된다. 즉, 멈춤구(134)는 프레임몸통부(112)에 형성된 회전홀(133)에 삽입되어 있어 회전홀(133)의 내측단부면(A)이 멈춤구(134)가 접하도록 회전홀(133)의 연장길이가 정해져 있고,
블레이드(120)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상,하 블레이드(120)는 일직선상으로 수직 배치되도록 세팅되고, 또한 상기 블레이드를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수평으로 서로 세팅되도록 하게 된다.
[ 본 발명의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시공방법 ]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시공방법의 순서도 및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4b와 같이 수평으로 연장되는 덕트(200)는 건축물등에 있어 개별층 상부공간에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턱드(200)는 사각중공관 형태로서 상부공간에 매달려지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각 층의 덕트(200) 중간에는 본 발명의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100)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100)의 기어구동부(140)를 구성하는 액츄에이터가 일체로 형성되어 센서를 통해 제어부도 구비하여 방연댐퍼를 작동시키게 되면 덕트(200) 내부의 연기는 방연댐퍼가 설치된 부위를 기준으로 누출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먼저 본 발명의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100)를 구비하게 된다.(s100)
이러한 방연댐퍼(10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프레임(110), 블레이드(120), 기어부(130), 기어구동부(14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100)는 프레임(110)의 연결플랜지(111)를 이용하여 양 덕트(200) 중간에 연결되도록 설치하게 된다.(s200)
이러한 연결은 연결플랜지(111)와 덕트(200)의 연결플랜지를 서로 볼트와 너트등의 고정연결구를 사용하면 된다.
이에 연기 누출이 예상되는 경우, 상기 기어구동부(140)의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이는 작업자가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미도시된 센서를 프레임(110)에 장착하고, 센서에 의하여 연기가 검지되면 자동으로 액츄에이터가 작동하도록 하게 된다.(s300)
이러한 센서는 당연히 기어구동부(140)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액츄에이터 작동에 의하여 본 발명의 블레이드(120)는 수직으로 일직선상으로 배치(수직 배열)됨에 따라 연기 누출을 폐쇄시키게 되며 각각 상하로 배치된 블레이드(120)의 날개판(122)의 단부면이 서로 면접촉되어 연기 누출을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연기가 각층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 피난 시 사람 등이 질식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연기 누출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 즉 센서에 검측에 의하여 연기누출이 발생하지 않게 되면 액츄에이터를 다시 작동시켜 블레이드(120)가 각각 수평형태로 배열되면서 블레이드(120)는 연기가 덕트를 통해 최종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s400)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110: 프레임 111: 연결플랜지
112: 프레임몸통부 120: 블레이드
121: 회전축 122: 날개판
123: 면접촉연결구 130: 기어부
131: 회전몸통부 132: 기어
133: 회전홀 134: 멈춤구
140: 기어구동부 141: 구동막대부
200: 덕트

Claims (10)

  1. 프레임(110) 내측면 사이에 상하로 배치된 날개판(122) 단부에 면접촉연결구(123)가 형성되어, 회전축(121)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날개판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로 수직 배열되는 과정에서 면접촉연결구(123)가 서로 겹쳐지면서 면접촉 되는 블레이드(120); 및
    상기 프레임(110)의 프레임몸통부(112)를 관통하여 노출된 회전축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하로 물려지도록 배치되어 중앙 기어부의 회전에 의하여 함께 회전되어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기어부(130);를 포함하여, 중앙 기어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120)는 90도만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프레임을 블레이드가 개폐되도록 하며,
    상기 기어부(130)는 원형판 형태로서 블레이드(120)의 양 회전축(121)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중앙고정홀(H)이 형성된 회전몸통부(131); 상,하로 배치되어 접하는 회전몸통부(131)의 외주면 일부에만 각각 형성되어 서로 물려지는 기어(132); 상기 회전몸통부(131)를 관통하는 홈으로서 기어(132) 주위의 몸통부(131)를 관통하는 호형의 홈으로 형성되며, 연장길이는 기어(132)의 연장길이 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고, 멈춤구(134)가 관통되는 회전홀(133);을 포함하여,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위치 변동 없는 멈춤구(134)가 회전홀(133)의 내측단부면(A)에 접할 때 회전몸통부(131)의 회전은 구속되어 회전몸통부가 90도만 회전되도록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20)는
    회전축(121)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날개판(122); 및 상기 날개판 단부에 형성되어 블레이드가 수직배열되면서 서로 겹쳐저 면접촉되는 면접촉연결구(123);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121)은 프레임의 프레임몸통부 내측면 사이에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130)의 회전몸통부(131)에 구동막대부(141)가 중앙고정홀(H)에 끼워져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구동막대부(141)는 액츄에이터에 물려져 토크가 전달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기어구동부(140)가 더 형성되는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구(134)에 의하여 90도 회전되는 블레이드는 상하로 수직 배열되어 프레임(110)을 개방시키고, 수평으로 배열되어 프레임을 폐쇄시키되, 상기 프레임(110)은 덕트(200)의 단면형태에 맞추어 양 덕트(200)를 중간에서 서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연결플랜지(111)가 형성된 사각중공관 형태의 프레임몸통부(112)를 포함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6. (a) 제 1항의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100)를 구비하는 단계;
    (b) 상기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100)를 건축물의 덕트 중간에 연결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덕트는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100)의 기어구동부(140)를 구성하는 액츄에이터가 일체로 형성되어, 센서를 통해 제어부도 구비하여 방연댐퍼를 작동시키게 되면 덕트(200) 내부의 연기는 방연댐퍼가 설치된 부위를 기준으로 누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시공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100)는 프레임(110)의 연결플랜지(111)를 이용하여 양 덕트(200) 중간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도록 하되, 센서를 프레임(110)에 장착하고, 센서에 의하여 연기가 검지되면 자동으로 액츄에이터가 작동하도록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연기 누출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 센서에 검측에 의하여 액츄에이터를 다시 작동시켜 블레이드(120)가 각각 수평형태로 배열되면서 블레이드(120)는 연기가 덕트를 통해 최종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시공방법.
  10. 삭제
KR1020170149521A 2017-11-10 2017-11-10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및 그 시공방법 KR101988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521A KR101988237B1 (ko) 2017-11-10 2017-11-10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521A KR101988237B1 (ko) 2017-11-10 2017-11-10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536A KR20190053536A (ko) 2019-05-20
KR101988237B1 true KR101988237B1 (ko) 2019-06-12

Family

ID=6667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521A KR101988237B1 (ko) 2017-11-10 2017-11-10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2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333B1 (ko) 2021-09-13 2022-10-07 휴미텍코리아(주)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 및 이를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227B1 (ko) * 2020-03-13 2022-03-03 원준호 급기댐퍼의 댐퍼날개 각도 조절장치
KR102418803B1 (ko) * 2020-06-12 2022-07-11 주식회사 정민엔지니어링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기밀유지가 우수한 방화댐퍼
KR102254662B1 (ko) * 2020-08-26 2021-05-21 홍성완 다용도 양방향 댐퍼
CN113108403B (zh) * 2021-04-27 2022-09-02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的排烟系统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393Y1 (ko) * 2004-04-01 2004-06-16 주식회사새한공조 다기능 댐퍼
KR101160940B1 (ko) 2011-02-22 2012-06-28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공기조화기의 댐퍼 구동장치
KR200466554Y1 (ko) * 2011-04-29 2013-04-24 김도수 미늘타입 댐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373B1 (ko) * 1999-08-17 2002-01-05 원하연 공기조화기의 댐퍼 구동장치
KR100865130B1 (ko) 2008-06-16 2008-10-24 (주)효진엔지니어링 댐퍼 개폐 구조
KR200473046Y1 (ko) 2013-04-26 2014-06-10 (주)유창엔지니어링 기밀성이 개선된 날개 구조를 갖는 대향익 댐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393Y1 (ko) * 2004-04-01 2004-06-16 주식회사새한공조 다기능 댐퍼
KR101160940B1 (ko) 2011-02-22 2012-06-28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공기조화기의 댐퍼 구동장치
KR200466554Y1 (ko) * 2011-04-29 2013-04-24 김도수 미늘타입 댐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333B1 (ko) 2021-09-13 2022-10-07 휴미텍코리아(주)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 및 이를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536A (ko) 201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237B1 (ko)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및 그 시공방법
JP6131446B2 (ja) 気密性の向上したダンパー一体型ブロワー装置
JPH09318208A (ja) 可燃性冷媒を用いた冷凍装置
KR102082237B1 (ko) 방화용 스틸 댐퍼
EP2181733B1 (en) Fireproof damper with holes, created by the combination of two tubular elements, suiting the pins of the blade; and method for installing said fireproof damper
KR200473046Y1 (ko) 기밀성이 개선된 날개 구조를 갖는 대향익 댐퍼
WO2014076739A1 (ja) 建造物用換気装置
RU2009104146A (ru) Структура, относящаяся к пожар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KR101017573B1 (ko) 환기창용 루버
EP2366435A1 (en) Fire damper
AU2006351545B2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642261B1 (ko) 환기시스템의 전동댐퍼
WO2004072531A1 (en) Damper with rotary valve
KR100552439B1 (ko) 건물의 환기장치
PT2179768E (pt) Dispositivo corta-fogo e de extracção de fumos
JP2004034734A (ja) 風向調整装置
EP3061503B1 (en) Fire damper
TWM478061U (zh) 電動防火防煙閘門
GB2517704B (en) Damper for an airflow duct having a closing mechanism
PL221312B1 (pl) Przegroda przeciwpożarowa
JP2019066183A (ja) 環境形成装置及び貫通孔部構造
JP4797268B2 (ja) 換気装置
KR102313725B1 (ko) 내화 발포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댐퍼
JPH0424350Y2 (ko)
CN219177017U (zh) 一种防火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