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333B1 -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 및 이를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 - Google Patents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 및 이를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333B1
KR102445333B1 KR1020210122057A KR20210122057A KR102445333B1 KR 102445333 B1 KR102445333 B1 KR 102445333B1 KR 1020210122057 A KR1020210122057 A KR 1020210122057A KR 20210122057 A KR20210122057 A KR 20210122057A KR 102445333 B1 KR102445333 B1 KR 102445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rner
end surface
corner bloc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식
Original Assignee
휴미텍코리아(주)
(주)설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미텍코리아(주), (주)설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휴미텍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210122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1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at the junction of the fram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사각형 프레임 조립체에서 서로 직교하는 두 프레임부의 각각의 코너부분을 고정할 때 조립하는 프레임 조립체를 이동시키지 않으면서 한 사람의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두 프레임부의 각각의 코너부분을 용이하게 결합한 후 고정할 수 있는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 및 이를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가 개시된다. 이와 같은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은,전방 좌측방향 또는 전방 우측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체결공(215a,215b)이 각각 형성된 사각면체 형상의 몸체부(211)와; 상기 몸체부(211)의 우측단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결합 클립(212,214)와; 상기 몸체부(211)의 상단면과 좌측단면 또는 우측단면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를 따라 ㄴ자 형상으로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된 장착홈에 장착되는 ㄱ자 또는 ㄴ자 형상의 누설 방지판(2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 및 이를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 {Frame assembly for damper and corner block therefor}
본 발명은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 및 이를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형 프레임 조립체에서 서로 직교하는 두 프레임부의 코너부분을 고정할 때 조립하는 프레임 조립체를 이동시키지 않고 작업자가 코너부분을 이동하면서 용이하게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는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 및 이를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퍼는 고압가스 배관이나 유체배관에서의 밸브처럼, 산업 환기 및 공기조화 시스템에서 유량을 조절, 차단, 역류방지, 압력개방, 기류분배 등의 역할을 하는 기구로서, 공조용으로는 알루미늄을, 산업용으로는 철강재(Steel Sheet, Galvanized steel)나 (특수)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을 사용하여 제작을 하며, 공조용이나 산업용을 불문하고, 날개의 회전방향에 따라 평행익형 댐퍼, 대향익형 댐퍼 및 혼합형 댐퍼, 그리고 슬라이드형 댐퍼로 나눠진다.
또한, 외형 모양에 따라 원형(Round)댐퍼, 사각형(Rectangular)댐퍼 및 타원(Oval)형 댐퍼로 나누고, 사용목적에 따라 풍량 조절용(Volume control), 차단용(Shut-off), 역류방지용(Back-draft), 압력개방용(Pressure relief, Check), 기류분배용(Divert) 등으로 나누며, 특수목적용으로 방화(Fire)댐퍼, 방연(Smoke)댐퍼, 동파방지(Anti freeze)댐퍼 등은 차단용 댐퍼를 응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댐퍼는 크게 다수의 프레임과 중간 프레임으로 구성된 프레임 조립체와 프레임 조립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공기량 조절용 블레이드부로 구성되며, 공기량 조절용 블레이드부는 짐 실(Jamb Seal), 블에이드 실(Blade Seal), 축(Axle) 및 메인 샤프트(Main Shaft), 베어링(Bearing), 연결대(Linkage), 핸들(Handle), 상대 플랜지(Flange), 바람막이(Stopper)로 구성된다.
이러한 댐퍼 관련 종래기술을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41037호 (2007.07.12.)에는 클린룸 내부의 공기를 그 클린룸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그 클린룸의 벽에 마련되는 배기구에 배치되며, 상기 벽의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진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부재; 및 자중에 의해 상기 관부재의 통로를 따라 하향이동하여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1위치와, 상기 클린룸 내의 공기 압력에 의해 상기 관부재의 통로를 따라 상향이동하여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개방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관부재의 통로 내에 배치되는 이동체로 구성되는 압력조절용 댐퍼 조립체가 개시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6987호 (2013.08.08.)는 댐퍼프레임부를 철판을 접어 일체로 형성하여 용접과정없이 제조할 수 있으며, 철판을 펼쳐 형성된 전개도 상에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네 개의 측면이 일체형으로 서로 접혀지게 함체 형상으로 조립되어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댐퍼프레임부와; 상기 댐퍼 프레임부의 내부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댐퍼프레임부 내부로 유동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량 조절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댐퍼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8237호 (2019.06.05.)에는 화재 발생 시 연기 확산을 방지할 목적으로,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는 프레임 내측면 사이에 상하로 배치된 날개판 단부에 면접촉연결구가 형성되어, 회전축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날개판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로 수직 배열되는 과정에서 면접촉연결구가 서로 겹쳐지면서 면접촉 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프레임의 프레임몸통부를 관통하여 노출된 회전축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하로 물려지도록 배치되어 중앙기어부의 회전에 의하여 함께 회전되어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덕트에 설치되는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2661호 (2000.08.31.)에는 공조기의 덕트라인상에 설치되어 그 덕트라인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조립식 댐퍼가 개시되며, 이와 같은 조립식 댐퍼는 프레임 본체(12) 내부에 다수개의 블레이드(13)가 회동가능하게 형성됨에 있어 양측 수직프레임(10)(10')의 상하단부에 브래킷(16)을 수평으로 절곡하여 그 내부에 스크류 체결공(17a)(17b)(17c)을 형성하고, 상하 수평프레임(11)(11')의 양 단부측에 스크류 체결공(18a)(18b)(18c)을 형성하여 상기 브래킷(16)의 스크류 체결공(17a)(17b)(17c)과 수평프레임(11)(11')의 스크류 체결공(18a)(18b)(18c)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스크류(19a)(19b)(19c)를 체결함에 의해 프레임 본체(12)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기술들은 프레임 조립체를 철강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조립성과 내구성은 좋은 반면, 지하도나 터널 등 열악한 환경에서 내구성을 유지하고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압력(교번 하중)의 작용에 뒤틀림 없이 작동을 유지하면서도 가급적 제작,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기 위해 프레임 조립체의 재질을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의 프레임 조립체는 용접이나 볼팅방식으로 고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ㄱ자 형상의 코너 클립을 서로 직교하는 두 프레임에 끼운 상태에서 프레스장치를 사용하여 고정할 부분을 압착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적어도 2명 이상의 작업자가 프레임 조립체의 모서리부분을 계속 이동시켜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41037호 (2007.07.1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6987호 (2013.08.0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8237호 (2019.06.0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2661호 (2000.08.31)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각형 프레임 조립체에서 서로 직교하는 두 프레임부의 각각의 코너부분을 고정할 때 조립하는 프레임 조립체를 이동시키지 않으면서 한 사람의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두 프레임부의 각각의 코너부분을 용이하게 결합한 후 고정할 수 있는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 및 이를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에 고압 하중이 걸릴 경우에도 전체 프레임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부에 걸리는 하중에 의한 프레임의 휨 현상을 줄일 수 있는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 및 이를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각형 프레임 조립체에서 서로 직교하는 두 프레임부의 각각의 코너부분을 고정하기 전에 각각의 코너 블럭부에 해당 모서리 부분에 기밀 방지판을 삽입 및 결합한 후 두 프레임부의 각각의 코너부분을 고정할 수 있는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 및 이를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을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는, 소정 형상의 프레임 조립체의 밑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프레임부(110)와;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좌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되, 우측하단 모서리(121)가 상기 제1 프레임부(110)의 좌측상단 모서리(111)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제2 프레임부(120)와;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우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되, 좌측하단 모서리(131)가 상기 제1 프레임부(110)의 우측상단 모서리(112)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제3 프레임부(130)와;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좌측하단 모서리(141)가 상기 제2 프레임부(120)의 우측상단 모서리(122)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우측하단 모서리(142)는 상기 제3 프레임부(130)의 좌측상단 모서리(132)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제4 프레임부(140)와; 상기 제1 프레임부(110)의 좌측상단 모서리(111)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의 우측하단 모서리(121)가 만나는 제1 내측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부(110)의 좌측단면(113)과 상기 제2 프레임부(120)의 하단면(123)에 각각 삽입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 코너 블록부(210)와; 상기 제1 프레임부(110)의 우측상단 모서리(112)와 상기 제3 프레임부(130)의 좌측하단 모서리(131)가 만나는 제2 내측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부(110)의 우측단면(114)과 상기 제3 프레임부(130)의 하단면(133)에 각각 삽입방식으로 결합되는 제2 코너 블록부(220)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의 우측상단 모서리(122)와 상기 제4 프레임부(140)의 좌측하단 모서리(141)가 만나는 제3 내측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프레임부(120)의 상단면(124)과 상기 제4 프레임부(140)의 좌측단면(143)에 각각 삽입방식으로 결합되는 제3 코너 블록부(230)와; 상기 제3 프레임부(130)의 좌측상단 모서리(132)와 상기 제4 프레임부(140)의 우측상단 모서리(144)가 만나는 제4 내측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3 프레임부(130)의 상단면(134)과 상기 제4 프레임부(140)의 우측단면(144)에 각각 삽입방식으로 결합되는 제4 코너 블록부(240)와; 상기 제1 코너 블록부(210)의 좌측 외측면에서 상기 제1 프레임(110)의 좌측단면(113)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체결부재(310)와; 상기 제2 코너 블록부(220)의 우측 외측면에서 상기 제1 프레임(110)의 우측단면(114)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체결부재(320)와; 상기 제1 코너 블록부(210)의 하측 외측면에서 상기 제2 프레임(120)의 하단면(123)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체결부재(330)와; 상기 제2 코너 블록부(220)의 하측 외측면에서 상기 제3 프레임(130)의 하단면(133)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체결부재(340)와; 상기 제3 코너 블럭부(230)의 상측 외측면에서 상기 제2 프레임(120)의 상단면(124)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체결부재(350)와; 상기 제4 코너 블럭부(240)의 상측 외측면에서 상기 제3 프레임(130)의 상단면(134)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6 체결부재(360)와; 상기 제3 코너 블럭부(230)의 좌측 외측면에서 상기 제4 프레임(130)의 좌측단면(143)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7 체결부재(370)와; 상기 제4 코너 블럭부(240)의 우측 외측면에서 상기 제4 프레임(130)의 우측단면(144)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8 체결부재(3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 블록은, 소정 형상의 프레임 조립체에서 서로 직교하는 두 프레임부의 코너부분을 고정하는 코너블럭에 있어서, 전방 좌측방향 또는 전방 우측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체결공(215a,215b)이 각각 형성된 사각면체 형상의 몸체부(211)와; 상기 몸체부(211)의 우측단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결합 클립(212,214)와; 상기 몸체부(211)의 상단면과 좌측단면 또는 우측단면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를 따라 ㄴ자 형상으로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된 장착홈에 장착되는 ㄱ자 또는 ㄴ자 형상의 누설 방지판(21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 및 이를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는, 사각형 프레임 조립체에서 서로 직교하는 두 프레임부의 각각의 코너부분을 고정할 때 조립하는 프레임 조립체를 이동시키지 않으면서 한 사람의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두 프레임부의 각각의 코너부분을 용이하게 결합한 후 고정할 수 있어, 종래 보다 작업자의 수와 작업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작업공수 또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2명 이상인 경우, 사각형 프레임 조립체에서 서로 직교하는 두 프레임부의 각각의 코너부분을 종래 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고정하거나 작업자가 4명 이상인 경우에는 동시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을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에 고압 하중이 걸릴 경우에도 전체 프레임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부에 걸리는 하중에 의한 프레임의 휨 현상을 줄일 수 있어, 각각의 프레임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전체 프레임 조립체의 무게를 줄이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각형 프레임 조립체에서 서로 직교하는 두 프레임부의 각각의 코너부분을 고정하기 전에 각각의 코너 블럭부에 해당 모서리 부분에 기밀 방지판을 삽입 및 결합한 후 두 프레임부의 각각의 코너부분을 고정할 수 있어, 각각의 프레임부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누설 방지판을 각각의 프레임부에 삽입하는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을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을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을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에서 서로 이웃한 프레임부에 하나의 코너 블록이 결합 및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을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의 프레임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을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의 측면도 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을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을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을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에서 서로 이웃한 프레임부에 하나의 코너 블록이 결합 및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을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의 프레임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을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을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는, 사각형 프레임 조립체의 밑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프레임부(110)와, 사각형 프레임 조립체의 좌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되, 우측하단 모서리(121)가 제1 프레임부(110)의 좌측상단 모서리(111)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제2 프레임부(120)와, 사각형 프레임 조립체의 우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되, 좌측하단 모서리(131)가 제1 프레임부(110)의 우측상단 모서리(112)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제3 프레임부(130)와, 사각형 프레임 조립체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좌측하단 모서리(141)가 제2 프레임부(120)의 우측상단 모서리(122)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우측하단 모서리(142)는 제3 프레임부(130)의 좌측상단 모서리(132)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제4 프레임부(140)와, 제1 프레임부(110)의 좌측상단 모서리(111)와 제2 프레임부(120)의 우측하단 모서리(121)가 만나는 제1 내측공간에 배치되며, 제1 프레임부(110)의 좌측단면(113)과 제2 프레임부(120)의 하단면(123)에 각각 삽입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 코너 블록부(210)와, 제1 프레임부(110)의 우측상단 모서리(112)와 제3 프레임부(130)의 좌측하단 모서리(131)가 만나는 제2 내측공간에 배치되며, 제1 프레임부(110)의 우측단면(114)과 제3 프레임부(130)의 하단면(133)에 각각 삽입방식으로 결합되는 제2 코너 블록부(220)와, 제2 프레임부(120)의 우측상단 모서리(122)와 제4 프레임부(140)의 좌측하단 모서리(141)가 만나는 제3 내측공간에 배치되며, 제2 프레임부(120)의 상단면(124)과 제4 프레임부(140)의 좌측단면(143)에 각각 삽입방식으로 결합되는 제3 코너 블록부(230)와, 제3 프레임부(130)의 좌측상단 모서리(132)와 제4 프레임부(140)의 우측상단 모서리(144)가 만나는 제4 내측공간에 배치되며, 제3 프레임부(130)의 상단면(134)과 제4 프레임부(140)의 우측단면(144)에 각각 삽입방식으로 결합되는 제4 코너 블록부(240)와, 제1 코너 블록부(210)의 좌측 외측면에서 제1 프레임(110)의 좌측단면(113)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체결부재(310)와, 제2 코너 블록부(220)의 우측 외측면에서 제1 프레임(110)의 우측단면(114)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체결부재(320)와, 제1 코너 블록부(210)의 하측 외측면에서 제2 프레임(120)의 하단면(123)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체결부재(330)와, 제2 코너 블록부(220)의 하측 외측면에서 제3 프레임(130)의 하단면(133)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체결부재(340)와, 제3 코너 블럭부(230)의 상측 외측면에서 제2 프레임(120)의 상단면(124)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체결부재(350)와, 제4 코너 블럭부(240)의 상측 외측면에서 제3 프레임(130)의 상단면(134)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6 체결부재(360)와, 제3 코너 블럭부(230)의 좌측 외측면에서 제4 프레임(130)의 좌측단면(143)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7 체결부재(370)와, 제4 코너 블럭부(240)의 우측 외측면에서 제4 프레임(130)의 우측단면(144)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8 체결부재(380)와, 제1 내지 제4 프레임부(110~140)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공기량 조절용 블레이드부(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각각의 제1 내지 제4 프레임부(110~140)는 압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상면 또는 하면에 다양한 형상을 길이방향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판, 알루미늄 합금판, 갈바늄강판, 또는 열간압연강판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4 프레임부(110,140)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면서 그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2 및 제3 프레임부(120,130)의 형상 또한 좌우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면서 그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제1 내지 제4 프레임부(110~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프레임부(110)를 예를 들어 그 구성을 설명하면, 제1 프레임부(110)는, 미리 설정된 두께와 넓이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베이스판(11)과, 베이스판(11)의 좌측 단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되어 각각의 제1 프레임부(110)의 좌측 높이(h1)를 형성하도록 연장된 후, 제1 끼움홈(12)을 형성하도록 내측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 연장 후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제1 연장판(13)과, 베이스판(11)의 우측 단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프레임부(110)의 우측 높이(h2)를 형성하도록 연장된 후, 제2 끼움홈(14)을 형성하도록 내측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 연장 후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제2 연장판(15)과, 베이스판(11)의 밑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베이스판(11)의 밑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공(16)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돌기부(17)와, 베이스판(11)의 밑면에 형성된 체결 돌기부(17) 사이에 하측 또는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내부에 소정 형상의 결합홈(18)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베이스판(11)의 밑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부(19)와, 베이스판(11)의 좌측단 밑면과 우측단 밑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 제1 끼움홈(12) 및 제2 끼움홈(14)의 반대편을 형성하면서 서로 대향되도록 하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각각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 돌기(13a,15a)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돌기(13a,15a), 체결 돌기부(17) 그리고 결합 돌기부(19)가 베이스판(11)의 하부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제1 및 제2 돌기(13a,15a), 체결 돌기부(17) 그리고 결합 돌기부(19)를 베이스판(11)의 하부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어, 전체 프레임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부에 걸리는 하중에 의한 프레임의 휨 현상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프레임 조립체의 무게를 줄이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1 내지 제4 코너 블록부(210~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코너 블록부(210)를 예를 들어 그 구성을 설명하면, 제1 코너 블록부(210)는, 전방 좌측방향 또는 전방 우측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체결공(215a,215b)이 각각 형성된 사각면체 형상의 몸체부(211)와, 몸체부(211)의 우측단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결합 클립(212,214)와, 몸체부(211)의 한 쌍의 제1 결합 클립(212,214) 사이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돌기(213)와, 몸체부(211)의 좌측단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2 결합 클립(216,218)와, 몸체부(211)의 한 쌍의 제2 결합 클립(216,218) 사이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돌기(217)와, 몸체부(211)의 상단면과 좌측단면 또는 우측단면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를 따라 ㄴ자 형상으로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된 장착홈(219a)에 장착되는 ㄱ자 또는 ㄴ자 형상의 누설 방지판(219)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작업자는 누설 방지판을 몸체부(211)의 상단면과 좌측단면 또는 우측단면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를 따라 ㄴ자 형상으로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된 장착홈(219a)에 수작업으로 장착한 후 서로 직교하는 두 프레임부의 각각의 코너부분을 고정할 수 있어, 종래에 실행했던 각각의 프레임부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누설 방지판을 각각의 프레임부에 삽입하는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8 체결부재(310~380)는 너트를 사용하지 않는 탭 볼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볼트의 머리부분의 형상에는 제약을 받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을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에서 각각의 코너 블록부와 서로 직교하는 두 프레임부와의 결합 및 고정관계를 도 3을 참조하여 제1 코너 블록부(210)가 제1 및 제2 프레임부(110,120)에 결합 및 고정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1 프레임부(110)의 내부 폭(w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부(110)의 좌측단면(113)에 마주하는 제1 코너 블록부(210)의 전방 우측면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제1 코너 블록부(210)의 전방 우측면이 제1 프레임부(110)의 내부 폭(w0)의 내부를 따라 삽입 또는 탈거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제2 프레임부(120)의 내부 폭도 제2 프레임부(120)의 하측단면(123)에 마주하는 제1 코너 블록부(210)의 전방 좌측면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제1 코너 블록부(210)의 전방 좌측면이 제2 프레임부(120)의 내부 폭의 내부를 따라 삽입 또는 탈거될 수 있다.
이때, 제1 코너 블록부(210)의 전방 우측면이 제1 프레임부(110)의 좌측단면(113)에 삽입 및 결합되는 원리를 설명하면, 제1 코너 블록부(210)의 전방 좌측면에서 전방 또는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결합 클립(212,214)이 제1 프레임부(110)의 제1 끼움홈(12) 및 제2 끼움홈(14)에 일정 길이 각각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한 쌍의 제1 결합 클립(212,214) 사이에서 전방 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결합돌기(213)도 제1 프레임부(110)의 결합 돌기부(19)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결합홈(18)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일정 길이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이어, 작업자에 의해 한 쌍의 체결부재(310)가 제1 코너 블록부(210)의 몸체부(211)에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제1 체결공(215a)을 통해 체결 돌기부(17)의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공(16)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1 코너 블록부(210)의 전방 좌측면이 제2 프레임부(120)의 하측단면(123)에 삽입 및 결합되는 원리를 설명하면, 제1 코너 블록부(210)의 전방 좌측면에서 전방 또는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2 결합 클립(216,218)이 제2 프레임부(120)의 제1 끼움홈(22) 및 제2 끼움홈(24)에 일정 길이 각각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한 쌍의 제2 결합 클립(216,218) 사이에서 전방 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결합돌기(217)도 제2 프레임부(120)의 결합 돌기부(29)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결합홈(28)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일정 길이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이어, 작업자에 의해 한 쌍의 체결부재(330)가 제2 코너 블록부(220)의 몸체부(221)에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제2 체결공(215b)을 통해 체결 돌기부(27)의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공(26)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코너 블록부(210)이 제1 프레임부(110)의 좌측단면(113) 및 제2 프레임부(120)의 하측단면(123)에 각각 결합 및 고정되는 방식으로, 제2 코너 블록부(220)가 제1 프레임부(110)의 우측단면(114) 및 제3 프레임부(130)의 하측단면(133)에 각각 결합 및 고정되고, 제3 코너 블록부(230)이 제2 프레임부(120)의 상측단면(124)와 제4 프레임부(140)의 좌측단면(143)에 각각 결합 및 고정되고, 제4 코너 블록부(240)가 제3 프레임부(130)의 상측단면(134)과 제4 프레임부(140)의 우측단면(144)에 각각 결합 및 고정되는데, 제4 프레임부(140)를 결합 및 고정하기 전에 다수의 공기량 조절용 블레이드(300)를 제1 내지 제3 프레임부(110)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수직 설치판(11a) 및 제2 수직 설치판(11b) 및 제2 내지 제3의 내측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제2 내지 제3 수직 설치판(미도시)의 내부에 삽입 및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 및 이를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에 따르면, 사각형 프레임 조립체에서 서로 직교하는 두 프레임부의 각각의 코너부분을 고정할 때, 한 사람의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두 프레임부의 각각의 코너부분을 용이하게 결합한 후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보다 작업자의 수도 2명 이상에서 1명으로 줄일 수 있고, 작업량도 프레스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각각의 코너 블록부를 수조작으로 결합시키고 체결부재로 고정하기 때문에 작업공수와 작업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2명 이상인 경우, 사각형 프레임 조립체에서 서로 직교하는 두 프레임부의 각각의 코너부분을 종래 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고정하거나 작업자가 4명 이상인 경우에는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제1 프레임부(110) 좌측상단 모서리(111)
우측상단 모서리(112) 좌측단면(113)
우측단면(114) 베이스판(11)
제1 수직 설치판(11a) 제2 수직 설치판(11b)
제1 끼움홈(12) 제1 연장판(13)
제1 돌기(13a) 제2 끼움홈(14)
제2 연장판(15) 제2 돌기(15a)
체결공(16) 체결 돌기부(17)
결합홈(18) 결합 돌기부(19)
제2 프레임부(120) 우측하단 모서리(121)
우측상단 모서리(122) 하단면(123)
하단면(124) 제3 프레임부(130)
좌측하단 모서리(131) 좌측상단 모서리(132)
하단면(133) 상단면(134)
제4 프레임부(140) 좌측하단 모서리(141)
우측하단 모서리(142) 좌측단면(143)
우측단면(144) 제1 코너 블록부(210)
몸체부(211) 제1 결합 클립(212,214)
제1 결합돌기(213) 제1 및 제2 체결공(215a,215b)
제2 결합 클립(216,218) 제2 결합돌기(217)
누설 방지판(219) 제2 코너 블록부(220)
제3 코너 블록부(230) 제4 코너 블록부(240)
제1 체결부재(310) 제2 체결부재(320)
제3 체결부재(330) 제4 체결부재(340)
제5 체결부재(350) 제6 체결부재(360)
제7 체결부재(370) 제8 체결부재(380)

Claims (6)

  1. 소정 형상의 프레임 조립체의 밑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프레임부(110)와;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좌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되, 우측하단 모서리(121)가 상기 제1 프레임부(110)의 좌측상단 모서리(111)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제2 프레임부(120)와;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우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되, 좌측하단 모서리(131)가 상기 제1 프레임부(110)의 우측상단 모서리(112)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제3 프레임부(130)와;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좌측하단 모서리(141)가 상기 제2 프레임부(120)의 우측상단 모서리(122)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우측하단 모서리(142)는 상기 제3 프레임부(130)의 좌측상단 모서리(132)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제4 프레임부(140)와;
    상기 제1 프레임부(110)의 좌측상단 모서리(111)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의 우측하단 모서리(121)가 만나는 제1 내측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부(110)의 좌측단면(113)과 상기 제2 프레임부(120)의 하단면(123)에 각각 삽입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 코너 블록부(210)와;
    상기 제1 프레임부(110)의 우측상단 모서리(112)와 상기 제3 프레임부(130)의 좌측하단 모서리(131)가 만나는 제2 내측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부(110)의 우측단면(114)과 상기 제3 프레임부(130)의 하단면(133)에 각각 삽입방식으로 결합되는 제2 코너 블록부(220)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의 우측상단 모서리(122)와 상기 제4 프레임부(140)의 좌측하단 모서리(141)가 만나는 제3 내측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프레임부(120)의 상단면(124)과 상기 제4 프레임부(140)의 좌측단면(143)에 각각 삽입방식으로 결합되는 제3 코너 블록부(230)와;
    상기 제3 프레임부(130)의 좌측상단 모서리(132)와 상기 제4 프레임부(140)의 우측상단 모서리(144)가 만나는 제4 내측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3 프레임부(130)의 상단면(134)과 상기 제4 프레임부(140)의 우측단면(144)에 각각 삽입방식으로 결합되는 제4 코너 블록부(240)와;
    상기 제1 코너 블록부(210)의 좌측 외측면에서 상기 제1 프레임(110)의 좌측단면(113)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체결부재(310)와;
    상기 제2 코너 블록부(220)의 우측 외측면에서 상기 제1 프레임(110)의 우측단면(114)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체결부재(320)와;
    상기 제1 코너 블록부(210)의 하측 외측면에서 상기 제2 프레임(120)의 하단면(123)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체결부재(330)와;
    상기 제2 코너 블록부(220)의 하측 외측면에서 상기 제3 프레임(130)의 하단면(133)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체결부재(340)와;
    상기 제3 코너 블럭부(230)의 상측 외측면에서 상기 제2 프레임(120)의 상단면(124)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체결부재(350)와;
    상기 제4 코너 블럭부(240)의 상측 외측면에서 상기 제3 프레임(130)의 상단면(134)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6 체결부재(360)와;
    상기 제3 코너 블럭부(230)의 좌측 외측면에서 상기 제4 프레임(130)의 좌측단면(143)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7 체결부재(370)와;
    상기 제4 코너 블럭부(240)의 우측 외측면에서 상기 제4 프레임(130)의 우측단면(144)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8 체결부재(3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제1 내지 제4 코너 블록부(210~240)는,
    전방 좌측방향 또는 전방 우측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체결공(215a,215b)이 각각 형성된 사각면체 형상의 몸체부(211)와;
    상기 몸체부(211)의 우측단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결합 클립(212,214)와;
    상기 몸체부(211)의 한 쌍의 제1 결합 클립(212,214) 사이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돌기(213)와;
    상기 몸체부(211)의 좌측단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2 결합 클립(216,218)와;
    상기 몸체부(211)의 한 쌍의 제2 결합 클립(216,218) 사이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돌기(217)와;
    상기 몸체부(211)의 상단면과 좌측단면 또는 우측단면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를 따라 ㄴ자 형상으로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된 장착홈(219a)에 장착되는 ㄱ자 또는 ㄴ자 형상의 누설 방지판(21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을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4 프레임부(110,140)의 형상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임의의 제1 프레임부(110)는,
    미리 설정된 두께와 넓이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베이스판(11)과;
    상기 베이스판(11)의 좌측 단면에 수직 설치판(11a)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판(11)의 좌측 단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되어 각각의 상기 제1 프레임부(110)의 좌측 높이(h1)를 형성하도록 연장된 후, 제1 끼움홈(12)을 형성하도록 내측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 연장 후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제1 연장판(13)과;
    상기 베이스판(11)의 우측 단면에 수직 설치판(11b)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판(11)의 우측 단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프레임부(110)의 우측 높이(h2)를 형성하도록 연장된 후, 제2 끼움홈(14)을 형성하도록 내측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 연장 후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제2 연장판(15)과;
    상기 베이스판(11)의 밑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판(11)의 밑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공(16)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돌기부(17)와;
    상기 베이스판(11)의 밑면에 형성된 상기 체결 돌기부(17) 사이에 하측 또는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내부에 소정 형상의 결합홈(18)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베이스판(11)의 밑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부(19)와;
    상기 베이스판(11)의 좌측단 밑면과 우측단 밑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 서로 대향되도록 하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각각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 돌기(13a,15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을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돌기(13a,15a), 상기 체결 돌기부(17) 그리고 상기 결합 돌기부(19)는 상기 베이스판(11)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거나, 상기 베이스판(11)의 하부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을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122057A 2021-09-13 2021-09-13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 및 이를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 KR102445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057A KR102445333B1 (ko) 2021-09-13 2021-09-13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 및 이를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057A KR102445333B1 (ko) 2021-09-13 2021-09-13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 및 이를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333B1 true KR102445333B1 (ko) 2022-10-07

Family

ID=8359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057A KR102445333B1 (ko) 2021-09-13 2021-09-13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 및 이를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33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382U (ko) * 1996-12-31 1998-10-07 이재협 코너 브라켓트
KR200202661Y1 (ko) 1998-04-21 2000-11-15 문종호 조립식댐퍼
JP2003222382A (ja) * 2002-01-31 2003-08-08 Daiei Giken Kogyo Kk 分割組立て式角型ダンパーケーシング
KR100741037B1 (ko) 2006-07-12 2007-07-19 (주)에이치엔씨 압력조절용 댐퍼 조립체
KR101296987B1 (ko) 2012-07-19 2013-08-14 김미야 댐퍼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47073A (ko) * 2013-10-23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 핸들링 유닛 및 그 조립방법
KR101988237B1 (ko) 2017-11-10 2019-06-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382U (ko) * 1996-12-31 1998-10-07 이재협 코너 브라켓트
KR200202661Y1 (ko) 1998-04-21 2000-11-15 문종호 조립식댐퍼
JP2003222382A (ja) * 2002-01-31 2003-08-08 Daiei Giken Kogyo Kk 分割組立て式角型ダンパーケーシング
KR100741037B1 (ko) 2006-07-12 2007-07-19 (주)에이치엔씨 압력조절용 댐퍼 조립체
KR101296987B1 (ko) 2012-07-19 2013-08-14 김미야 댐퍼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47073A (ko) * 2013-10-23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 핸들링 유닛 및 그 조립방법
KR101988237B1 (ko) 2017-11-10 2019-06-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40706A1 (en) Drain pan assembly for fan coil unit
US200800148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register boxes, improving penetration sealing, improving airflow and reducing the labor costs to install ceiling registers
US6792722B2 (en) Casing for cold bridge-free air handling unit
JP6099925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US4508376A (en) Flange type duct joint assembly and seal arrangement therefor
KR10187256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2445333B1 (ko) 누설방지부가 장착된 코너블럭 및 이를 구비한 댐퍼용 프레임 조립체
US20070167127A1 (en) Ventilation air distribution box
JP6777884B2 (ja) 天井埋込ダクト型空気調和機
US20140048167A1 (en) Rectangular Sheet Metal Sealed Duct
JP6908876B2 (ja) 天井埋込ダクト型空気調和機
US10591179B2 (en) Flexible register boot for heated and cooled air
WO2020248977A1 (en) Air conditioning appliance and telescoping air plenum
US20210063028A1 (en) Air conditioning appliance and telescoping air plenum with self-adjusting divider
JP6777885B2 (ja) 天井埋込ダクト型空気調和機
US11953229B2 (en) Adaptive HVAC support structure
CN217383103U (zh) 厨房空调排风系统和厨房空调系统
WO2021036563A1 (en) Air conditioning appliance and telescoping air plenum with face seal
CN221098836U (zh) 调湿装置及空气处理系统
CN219976729U (zh) 一种具有热交换芯体固定结构的空调器
KR20050064963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배관 지지구조
CN220623115U (zh) 一种具有对接缝隙密封结构的暖通风管
JP2007271139A (ja) 空気調和機
US20130306048A1 (en) Indoor Coil Adapter
KR20230116539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