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760Y1 -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760Y1
KR200183760Y1 KR2020000000419U KR20000000419U KR200183760Y1 KR 200183760 Y1 KR200183760 Y1 KR 200183760Y1 KR 2020000000419 U KR2020000000419 U KR 2020000000419U KR 20000000419 U KR20000000419 U KR 20000000419U KR 200183760 Y1 KR200183760 Y1 KR 200183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haft
damper
duc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윤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태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태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태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00000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7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어도 전체를 구성하고 기타 구성요소를 지지고정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10)과, 회전가능하게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 (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덕트 내의 공기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댐퍼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50)와 블레이드(20)는 별도의 접합용 브라케트(60)를 사용하여 접합되고, 상기 접합용 브라케트(60)는 중간부에 샤프트(50)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홈(66)을 형성하고 양날개 측에는 각각의 체결구멍이 형성되며, 체결용 볼트(62)와 너트(64)로 상기 블레이드(20)와 샤프트(50)를 상호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 고정구조이다.
따라서, 블레이드를 샤프트에 접합함에 있어 별도의 접합용 브라케트를 이용하여 접합구성하는 구조를 보임으로서, 누기가 방지되고 아연도금 강판에 용접부위가 없어 녹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의 고정구조{Fixing Structure for Duct Damper Blade}
본 고안은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덕트 에어 누설을 적극 방지하고 블레이드 설치 공정시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용접으로 인한 녹발생을 해소할 수 있는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건물에는 건물 내의 공기조화를 위하여 공기송풍로인 덕트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덕트에는 유체의 적절한 조절을 위하여 송풍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이른바 댐퍼를 설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댐퍼(damper)란 용어는 계측기, 차량, 항공기, 일반기계, 구조물 등의 진동계에 부가하여 자유진동의 감소 및 방지, 강제진동의 진폭저감을 꾀하는 제진장치를 말하지만, 본 고안의 건축분야에서는 유체(공기)의 동압저항을 이용하는 유체댐퍼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덕트의 원래 목적은 건물 내의 원활한 공기조화라고 하는 긍정적인 면에 있지만 화재발생시에는 불길(火通路)의 역할을 하여 부정적 기능을 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 덕트의 적적한 통로부분에 화재용 댐퍼를 설치하여 화재 발생시 이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 덕트댐퍼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덕트댐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부호 10은 댐퍼 전체를 구성하고 기타 구성요소를 지지고정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이다. 이 프레임 (10) 내부에는 다수개의 블레이드(20)가 9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블레이드(20)의 선단에는 기밀유지를 위하여 개스킷(22)이 부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블레이드(20)에 있어서는 상기 가스킷(22)은 블레이드(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20)의 중간부에는 후술하는 손잡이의 조작으로 다수개의 블레이드(20)가 일체로 동작가능하도록 연결봉(30)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 12는 상기 샤프트(50)의 양측단에 설치되는 공기 누설방지를 위한 캡, 14는 하부 프레임(10) 내측에 부착된 누설방지편, 부호 32는 상기 연결봉(30)과 블레이드(20) 사이에 이들을 조립하기 위한 브라케트이다.
상기 프레임(10) 일측에는 댐퍼의 송풍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거나 다시 개방하는 등의 외부 조작을 위하여 조절 손잡이(40) 및 조절 유니트(42)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블레이드(20)와 샤프트(50)의 조립 시에 사용되는 절개지지편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블레이드(20)와 샤프트(50)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 (20) 일측에 샤프트(50)가 배치될 안내홈(26)을 형성하고, 이 안내홈(26)의 일측과 타측에 절개지지편(24)을 절단형성하여, 이 절개지지편(24) 내에 상기 샤프트(50)를 끼워맞춤한 후 태그 용접 등의 용접공정을 이용하여 조립하고 있다. 부호 52는 용접부이다.
이러한 구조로 된 덕트댐퍼는 평시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공기조화를 행하다가, 화재가 발생하거나 필요 시 외부공기를 차단할 경우에는 상기 조절 손잡이를 조작하여 조절 유니트(42)가 연결봉(30)을 수직운동시켜 블레이드 (2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블레이드(20)가 90도 회전하여 프레임(10)내부를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덕트 댐퍼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상기 샤프트(50)와 블레이드(20)의 접합시, 절개지지편(24)을 피어싱 (piercing) 등의 공정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샤프트(50)와 블레이드(20) 사이에 누기(air leak)가 발생하여 정도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
2. 상기 샤프트(50)와 블레이드(20)의 접합시, 용접부(52)로써 마감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10)은 아연도금 원자재이므로 용접으로 인한 녹발생이 심하여 라이프 사이클이 짧고 설비하자가 많이 발생한다. 즉, 아연도금 강판은 가능한 한 용접부위가 없어야 녹발생이 없게 되는데 하절기에 냉방 사용시 덕트 내부의 온도 차이에 따른 결로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고 이때 상기 용접부(52) 부위에 녹(rust)이 발생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 문제를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덕트 에어 누설을 적극 방지하고 블레이드 설치 공정시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용접으로 인한 녹발생을 해소할 수 있는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덕트댐퍼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블레이드와 샤프트의 조립시에 사용되는 절개지지편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블레이드와 샤프트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2 : 캡
14 : 누설방지편 20 : 블레이드
22 : 개스킷 24 : 절개지지편
26 : 안내홈 30 : 연결봉
32 : 브라케트 40 : 조절 손잡이
42 : 조절 유니트 50 : 샤프트
52 : 용접부 60 : 접합용 브라케트
62 : 체결용 볼트 64 : 너트
66 : 안내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의 고정구조는,
적어도 전체를 구성하고 기타 구성요소를 지지고정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과, 회전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덕트 내의 공기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댐퍼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블레이드는 별도의 접합용 브라케트를 사용하여 접합되고,
상기 접합용 브라케트는 중간부에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을 형성하고 양 날개 측에는 각각의 체결구멍이 형성되며,
체결용 볼트와 너트로 상기 블레이드와 샤프트를 상호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블레이드를 샤프트에 접합함에 있어 별도의 접합용 브라케트를 이용하여 접합구성하는 구조를 보임으로서, 누기가 방지되고 아연도금 강판에 용접부위가 없어 녹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의 고정구조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설명 상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종래 설명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샤프트(50)와 블레이드(20)의 접합 시, 이들 구성요소 사이에 누기가 발생하지 않고 용접으로 인한 녹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어싱 공정을 생략하고 용접공정을 아예 없앤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50)와 블레이드(20)의 접합에 있어서 접합용 브라케트(60)를 사용하여 이들 구성요소를 접합한다는 점이다. 즉, 상기 접합용 브라케트(60)는 중간부에 샤프트(50)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홈(66)을 형성하고 양 날개 측에는 각각의 체결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있다. 부호 62는 체결용 볼트, 64는 상기 체결용 볼트(62)와 나사맞춤하는 너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 고정구조는, 상기 블레이드(20)와 샤프트(50)의 결합에 있어서, 블레이드(20)에 어떠한 구멍도 뚫지 않음으로서 리크의 근본적 결함요소를 제거하게 된다. 즉 양 구성요소의 접합 시, 별도의 접합용 브라케트(60)와 체결용 볼트(62)와 너트(64)를 이용하여 샤프트(50)를 블레이드(20)에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아무런 용접부위가 없어 하절기 결로현상에 의한 녹발생이 없게 되고 블레이드(20)에 전혀 구멍을 뚫지 않기 때문에 블레이드(20) 구멍을 통하여 공기가 누설되는 현상을 적극 배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 고정구조에 의하면, 블레이드를 샤프트에 접합함에 있어 별도의 접합용 브라케트를 이용하여 접합구성하는 구조를 보임으로서, 누기가 방지되고 아연도금 강판에 용접부위가 없어 녹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적어도 전체를 구성하고 기타 구성요소를 지지고정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10)과, 회전가능하게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덕트 내의 공기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댐퍼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50)와 블레이드(20)는 별도의 접합용 브라케트(60)를 사용하여 접합되고,
    상기 접합용 브라케트(60)는 중간부에 샤프트(50)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홈 (66)을 형성하고 양 날개 측에는 각각의 체결구멍이 형성되며,
    체결용 볼트(62)와 너트(64)로 상기 블레이드(20)와 샤프트(50)를 상호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 고정구조.
KR2020000000419U 2000-01-08 2000-01-08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의 고정구조 KR200183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419U KR200183760Y1 (ko) 2000-01-08 2000-01-08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419U KR200183760Y1 (ko) 2000-01-08 2000-01-08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760Y1 true KR200183760Y1 (ko) 2000-06-01

Family

ID=1963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419U KR200183760Y1 (ko) 2000-01-08 2000-01-08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76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236B1 (ko) 2007-01-23 2007-11-16 최부순 건물의 환기덕트용 댐퍼
KR101625923B1 (ko) * 2015-12-02 2016-05-31 최부순 배기분리형 댐퍼용 블레이드
KR101663127B1 (ko) * 2015-10-15 2016-10-07 주식회사 그린에어텍 소음저감형 댐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236B1 (ko) 2007-01-23 2007-11-16 최부순 건물의 환기덕트용 댐퍼
KR101663127B1 (ko) * 2015-10-15 2016-10-07 주식회사 그린에어텍 소음저감형 댐퍼
KR101625923B1 (ko) * 2015-12-02 2016-05-31 최부순 배기분리형 댐퍼용 블레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325B1 (ko) 실링구조체가 구비된 공기유동량 조절댐퍼용 블레이드 및 이를 이용한 공기유동량 조절댐퍼
KR200183760Y1 (ko)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의 고정구조
KR960006745Y1 (ko) 옥내부와 옥외부가 신축적으로 연결된 일체성형 에어컨디셔너
US5171184A (en) Tensioned fire damper assembly and method
KR200183761Y1 (ko) 덕트용 댐퍼의 겹블레이드 접합구조
US4515068A (en) Damper with integral mounting means
US20150276258A1 (en) Air control damper with retracting end blade stop
KR200322851Y1 (ko) 제연댐퍼
KR100776236B1 (ko) 건물의 환기덕트용 댐퍼
KR200183762Y1 (ko)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 실링구조
JP2006145117A (ja) 空調用吹出口
US20130306746A1 (en) Retrofit Flap Damper Assembly System for Cone Type Damper Variable Air Volume Boxes
KR101177848B1 (ko) 앵글 서포트의 볼팅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가 구비된 선박
JP2006349305A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組み立て方法
US20130331024A1 (en) Retrofit Flap Damper Assembly System for Cone Type Damper Variable Air Volume Boxes
KR20230059410A (ko)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및 이의 시공방법
JP2604738Y2 (ja) 防火ダンパ
JP2011247027A (ja) 制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間仕切り壁
US10512183B2 (en) Control board enclosure with sliding platform
KR102410550B1 (ko) 공조기용 팬 샤프트의 유지보수를 위한 착탈식 패널
KR880001396B1 (ko) 내외벽 구조물에 설치된 냉난방 계통의 열매체 유통로 연결장치
JP5291539B2 (ja) 建物
CN219318608U (zh) 一种暖通系统用风阀
JP3838754B2 (ja) 防振継手
KR20220163669A (ko) 내화충전재 설치구조가 개선된 방화 댐퍼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