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9410A -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410A
KR20230059410A KR1020210143571A KR20210143571A KR20230059410A KR 20230059410 A KR20230059410 A KR 20230059410A KR 1020210143571 A KR1020210143571 A KR 1020210143571A KR 20210143571 A KR20210143571 A KR 20210143571A KR 20230059410 A KR20230059410 A KR 20230059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body
wall
fire
dampe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현수
Original Assignee
곽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현수 filed Critical 곽현수
Priority to KR1020210143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9410A/ko
Publication of KR20230059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62C2/14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방화 댐퍼를 공조 덕트에 일체로 시공이 가능하되 설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교체, 점검, 해체 및 재설치가 용이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한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및 이의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벽체를 관통하는 덕트 몸체;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덕트 몸체를 통과시키는 관통홀이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방화 날개; 및 덕트 몸체의 중공부에 설치되어 덕트 몸체의 공기통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댐퍼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및 이의 시공방법{WALL CONCEALED TYPE VENTILATION AND FIRE PROTECTION DAMP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에 관통 설치되는 공조 덕트 내측에 설치되어 방화 기능을 수행하며 시공성을 개선시킨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 댐퍼는 공조용 덕트 등의 공기통로에 설치되어 블레이드의 개폐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방연(防憐) 및 방화(防火) 기능을 수행한다. 방화 댐퍼는 화재 발생 등의 상황에서 댐퍼 블레이드가 폐쇄되었을 때 연기 또는 화염이 블레이드와 케이싱 사이로 통과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함으로써 안전성을 극대화한다.
한편, 건축물의 시공시 외벽 또는 층간벽 등의 벽체에 공조용 덕트가 관통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용 덕트는 각 공간부를 연결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연장되거나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어 연장된다. 공조용 덕트를 벽체에 원활히 설치하기 위해 벽체에 관통 슬리브를 먼저 시공한다.
종래의 방화 댐퍼는 크게 케이스와, 블레이드와, 구동수단과,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블레이드는 개방시 통풍이 이루어지고 폐쇄시 화염, 연기, 유독가스 등의 차단 기능을 한다. 구동수단은 블레이드를 개폐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액추에이터 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는 온도 및 연기를 감지하여 구동수단을 연동시킨다.
종래의 방화 댐퍼는 시공 등의 문제로 인해 벽체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소방법상 방화 댐퍼는 벽체 내부에 시공하는 것이 원칙이다. 방화 댐퍼를 벽체 내부에 설치할 경우, 그 설치가 매우 어렵고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 만약, 방화 댐퍼를 벽체 내부에 설치한 경우에도 교체, 점검, 해체 및 재설치가 난해하여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1171호(2021.04.12)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방화 댐퍼를 공조 덕트에 일체로 시공이 가능하되 설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교체, 점검, 해체 및 재설치가 용이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한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덕트 및 방화 댐퍼 모듈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시공성을 크게 개선하며 부품 원가를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공조용 덕트의 설치 공간상의 센터기 맞지 않는 비대칭 환경에서도 원활하게 시공이 가능한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벽체를 관통하는 덕트 몸체;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덕트 몸체를 통과시키는 관통홀이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방화 날개; 및 덕트 몸체의 중공부에 설치되어 덕트 몸체의 공기통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댐퍼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화 날개는 덕트 몸체의 측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화 날개는 덕트 몸체의 측면 둘레를 따라 동일 길이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화 날개의 덕트 몸체의 측면 둘레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덕트 몸체가 벽체 내측의 센터에 위치했을 때 덕트 몸체와 벽체 내측면 간의 갭의 2배로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방화 날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덕트 몸체에 대해 스크류 체결되어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화 날개는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덕트 몸체의 단부를 삽입시키는 덕트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덕트연장부의 단부에, 이웃하는 덕트와의 체결을 위한 플랜지가 구비된다.
상기 덕트 몸체의 단부에 조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덕트연장부에 덕트 몸체의 조립홀에 대응되는 조립홀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 몸체와 방화 날개가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스크류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 몸체의 측면에 봉홀이 형성된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방화 날개에 덕트 몸체의 봉홀에 대응되는 봉홀이 형성되며, 한 쌍의 방화 날개에 형성된 봉홀과 덕트 몸체의 봉홀에 체결되는 봉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덕트 몸체와 방화 날개가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구속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의 시공방법은 덕트 몸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덕트 몸체의 단면적보다 넓게 벽체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 덕트 몸체에 댐퍼모듈을 설치하는 단계; 댐퍼모듈이 설치된 덕트 몸체가 벽체의 홀에 삽입된 상태로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측 단부에 방화 날개를 체결하거나, 댐퍼모듈이 설치된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측 단부에 방화 날개가 일체로 결합된 덕트 몸체를 벽체의 홀에 삽입하는 단계; 및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타측 단부에 방화 날개를 체결하여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벽체 양측에서 방화 날개를 밀착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및 이의 시공방법은 방화 댐퍼를 공조 덕트에 일체로 시공이 가능함에 따라 설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교체, 점검, 해체 및 재설치가 용이하여 유지 보수의 큰 이점이 있다.
또한, 덕트에 방화 날개를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함에 따라 벽체의 일측에서 방화 날개를 지지한 상태로 반대쪽에서 다른 하나의 방화 날개를 덕트 몸체에 결합하는 것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시공이 완성된다.
아울러, 덕트와 벽체 사이의 틈으로 별도의 충전재를 채울 필요가 없고, 덕트와 벽체 사이의 틈에 별도의 강판을 용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해지므로 시공성이 향상되고 작업의 용이함이 극대화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및 이의 시공방법은 벽체의 설치 환경상 덕트 몸체가 센터에 위치하지 않는 비대칭 환경일 때에도 방화 날개가 덕트 몸체의 외측과 벽체의 내측 사이의 갭을 효율적으로 커버할 수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 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의 다른 환경에서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변형 예에 따른 방화 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변형 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의 정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변형 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및 이의 시공방법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는 건축물의 시공시 외벽 또는 층간벽 등의 벽체(3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덕트 몸체(100)와 방화 날개(200) 및 댐퍼모듈(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는 이웃하는 공조용 덕트와 결합되어, 벽체(300)로 구획된 각 공간부를 연결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연장되거나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어 연장된다.
덕트 몸체(10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사각 단면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은 도 3의 좌우 방향이다. 즉, 덕트 몸체(100)는 중공부(110)를 갖는 중공 형상의 사각형 관 형상이며, 벽체(300)를 관통하여 공조용 덕트로 사용된다.
벽체(300)에 형성된 홀(310)은 덕트 몸체(100)의 원활한 시공을 위해 덕트 몸체(100)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일례로, 덕트 몸체(100)의 가로폭과 세로폭이 300㎜ × 200㎜ 규격일 때, 벽체(300)의 홀(310)의 가로폭과 세로폭은 400㎜ × 300㎜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덕트 몸체(100)의 외측과 벽체(300)의 내측 사이에 불가피하게 형성되는 갭(Gap)에는 방화 수단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덕트 몸체(100)의 단부에 조립홀(130)이 형성된다. 즉, 덕트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양단부에는 절곡부(120)가 직각으로 굴곡 형성된다. 절곡부(120)에는 조립홀(130)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덕트 몸체(100)의 측면에는 측면홀(160)이 관통 형성된다. 덕트 몸체(100)에 형성된 측면홀(160)은 덕트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방화 날개(200)와의 체결시 원활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다.
방화 날개(200)는 덕트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된다. 방화 날개(200)에는 관통홀(210)이 덕트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 경우, 관통홀(210)은 덕트 몸체(10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덕트 몸체를 통과시킨다.
또한, 방화 날개(200)는 덕트 몸체(100)의 측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특히, 방화 날개(200)는 덕트 몸체(10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동일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즉, 방화 날개(200)는 관통홀(210)이 중심에 위치하고 관통홀(210)로부터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댐퍼모듈(400)은 덕트 몸체(100)의 중공부(110)에 설치되어 덕트 몸체(100)의 공기통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댐퍼모듈(400)은 하나 또는 복수의 블레이드(410) 및 댐퍼구동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블레이드(410)는 덕트 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개방시 통풍이 이루어지고 폐쇄시 화염, 연기, 유독가스 등의 차단 기능을 한다. 댐퍼구동부(420)는 블레이드(410)를 개폐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블레이드(410)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댐퍼모듈(400)은 온도 및 연기를 감지하여 구동수단을 연동시키는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댐퍼구동부(420)는 전기모터, 액추에이터 등 다양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댐퍼모듈(400)의 댐퍼구동부(420)는 덕트 몸체(100)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고, 댐퍼구동부(420)의 구동축이 덕트 몸체(100)에 관통 형성된 홀을 통과하여 내측으로 인입된다. 덕트 몸체(100)의 내측에서 댐퍼구동부(420)의 구동축이 블레이드(410)의 피봇축과 연결되어 회전 작동된다. 댐퍼구동부(420)와 블레이드(410) 사이에는 기어타입, 벨트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댐퍼모듈(400)의 작동은 퓨즈 형태 또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한편, 댐퍼모듈(400)은 블레이드(410)를 구동시키기 위한 댐퍼구동부(420)를 핸들 및 핸들박스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핸들은 천정덕트 연결형 M.F.D 또는 벽체용 M.F.D 또는 M.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댐퍼모듈(400)은 평상시 닫힘 상태를 유지하지만 화재시 자동감지기 및 수동기동에 의해 화재 해당층만 동작되어 열린다. 연기 배출시 고온의 열기가 일정시간 배출되어 댐퍼내 휴즈가 동작해 블레이드가 닫힌다. M.F.D는 휴즈가 장착된 형태이며 M.D는 휴즈가 삭제된 형태이다. 또한, 핸들은 복합댐퍼인 M.V.D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M.V.D는 성능시험 3가지 요건인 차압, 방연풍속, 비개방층 차압 중 복합댐퍼 차압시 면적 30% 방연풍속시 면적 70%에 의해 평상시는 M.V.D 70% 면적이 닫힘 상태이며 수직풍도내 차압평균압 이하일 경우 복합리턴보드에 의해 연동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핸들은 F.D(Fird Damper)의 형태 또는 F.V.D(Fire Volume Damper)의 형태 또는 P.R.D(Piston Releasor Damper)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F.D는 특수설계 제작으로 덕트 면적을 100% 활용 가능하며 공기유출방지는 물론 공기저항이 적어 풍압손실이 미소하다. F.V.D는 평상시에는 볼륨 댐퍼의 기능을 수행하며 화재시 온도 응답성을 가진 휴즈 72℃(작동시간 25초 이내)의 작동으로 블레이드가 폐쇄된다. P.R.D는 소형 경량이고 운반이 용이하며 비교적 고압력에 의한 오동작 위험이 없는 장점을 갖는다.
도 10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의 댐퍼모듈(400)은 핸들박스(421) 및 핸들(422)을 구비할 수 있다. 핸들(422)의 회전 조작을 통해 블레이드(410)가 회동되도록 구현 가능하다. 아울러, 도 11 및 도 12를 더 참조하면, 또 다른 변형 예로 댐퍼모듈(400)은 P.R.D(Piston Releasor Damper)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덕트 몸체(100) 일측에 실린더(423)가 설치되어 피스톤(424)이 왕복 이동 가능하다. 피스톤(424)에 래크 앤 피니언 타입과 베벨 기어 타입의 구조를 통해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한다. 기어(425)가 회전되면 샤프트(426)가 회전되어 블레이드(410)가 회동하는 구조이다. 도면부호 427은 실린더용 튜브이다.
바람직하게는, 방화 날개(200)의 덕트 몸체(100)의 측면 둘레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덕트 몸체(100)가 벽체(300) 내측의 센터에 위치했을 때 덕트 몸체(100)와 벽체(300) 내측면 간의 갭의 2배로 형성되도록 한다.
일례로, 덕트 몸체(100)의 가로폭과 세로폭이 300㎜ × 200㎜ 규격일 때, 벽체(300)의 홀(310)의 가로폭과 세로폭은 400㎜ × 300㎜로 형성되며, 방화 날개(200)의 한 쪽에 100㎜씩 연장하여 가로폭과 세로폭이 500㎜ × 400㎜가 되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벽체(300)의 설치 환경상 덕트 몸체(100)가 센터에 위치하지 않는 환경일 때에도 방화 날개(200)가 덕트 몸체(100)의 외측과 벽체(300)의 내측 사이의 갭을 효율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도 9는 덕트 몸체(100)가 벽체(300) 내측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도 9와 반대 방향으로 편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아울러, 방화 날개(200)는 덕트연장부(220) 및 플랜지(230)를 구비한다. 덕트연장부(220)는 관통홀(210)의 둘레를 따라 덕트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덕트 몸체(100)의 단부를 삽입시킨다. 덕트연장부(220)에 덕트 몸체(100)의 일부가 삽입되어 덕트연장부(220)가 덕트몸체(100)의 일부를 감싸면서 덕트연장부(220)와 덕트 몸체(100)는 일부 구간 중첩된다.
플랜지(230)는 이웃하는 덕트와의 체결을 위한 것으로서, 덕트연장부(220)의 단부에 형성된다. 플랜지(230)는 덕트연장부(220)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굴곡되어 형성된다. 플랜지(230)에는 이웃하는 덕트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240)이 덕트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아울러, 덕트연장부(220)에는 조립홀(250)이 형성되며, 조립홀(250)은 덕트연장부(220)의 내측에 결합된 "ㄴ"자 앵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덕트연장부(220)의 조립홀(250)은 덕트 몸체(100)의 조립홀(130)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덕트 몸체(100)와 방화 날개(200)는 덕트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스크류 체결된다.
즉, 볼트(198)가 덕트 몸체(100)의 조립홀(130)과 덕트연장부(220)의 조립홀(250)을 차례로 관통하며 반대쪽에서 너트(199)로 체결함으로써, 덕트 몸체(100)와 방화 날개(200)는 콘크리트 벽체(300)에 길이 방향으로 밀착 결합된다. 이 경우, 한 쌍의 방화 날개(200) 중 적어도 하나는 덕트 몸체(100)에 대해 스크류 체결되어 탈착 가능하다.
즉, 덕트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측에는 방화 날개(200)가 일체로 결합되고 타측에 방화 날개(200)가 볼트(198) 및 너트(199)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덕트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측에 방화 날개(200)가 볼트(198) 및 너트(199)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타측에도 방화 날개(200)가 볼트(198) 및 너트(199)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8을 더 참조하면, 덕트 몸체(100)와 방화 날개(200) 간을 체결하는 다른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는 전술한 실시 예와 비교하여 다른 구성은 동일하며 덕트 몸체(100)와 방화 날개(200) 간의 체결 구조만 변경하였으며, 뒤에서는 달라진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는 브라켓(180) 및 봉부재(280)를 구비한다. 브라켓(180)은 "ㄴ"자 앵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덕트 몸체(100)의 측면에 결합된다. 브라켓(180)에는 덕트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봉홀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방화 날개(200)에는 봉홀이 형성된다. 방화 날개(200)의 봉홀은 덕트 몸체(100)의 봉홀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봉부재(280)는 한 쌍의 방화 날개(200)에 형성된 봉홀과 덕트 몸체(100)의 봉홀에 체결된다. 즉, 봉부재(280)의 외주면에는 덕트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너트(199)를 체결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봉부재(280)가 방화 날개(200)의 봉홀과 덕트 몸체(100)의 봉홀을 관통하여 양측에 너트(199)로 체결된다. 이로 인해, 덕트 몸체(100)와 방화 날개(200)가 덕트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구속 체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의 시공방법은 덕트 몸체(100)가 통과할 수 있도록 덕트 몸체(100)의 단면적보다 넓게 벽체(300)에 홀(310)을 형성하는 단계와, 덕트 몸체(100)에 댐퍼모듈(400)을 설치하는 단계와, 댐퍼모듈(400)이 설치된 덕트 몸체(100)가 벽체(300)의 홀(310)에 삽입된 상태로 덕트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측 단부에 방화 날개(200)를 체결하거나, 댐퍼모듈(400)이 설치된 덕트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측 단부에 방화 날개(200)가 일체로 결합된 덕트 몸체(100)를 벽체(300)의 홀(310)에 삽입하는 단계와, 덕트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타측 단부에 방화 날개(200)를 체결하여 덕트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벽체(300) 양측에서 방화 날개(200)를 밀착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도 9를 더 참조하면, 방화 날개(200)에는 점검구(208)가 형성된다. 점검구(208)는 방화 날개(200)에 덕트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점검구(208)에는 점검구커버(209)가 피스를 통해 체결되어 탈착 가능하다. 점검구(208)는 한 쌍의 방화 날개(20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점검구커버(209)를 점검구(208)로부터 분리하여 방화 날개(200) 내측의 점검을 수행하고 점검이 완료되면 다시 피스로 점검구커버(209)를 점검구(208)에 체결한다. 점검구(208) 및 점검구커버(209)를 통해, 방화 댐퍼용 모터등의 부속을 교체 수리할 수 있고 화이어 볼륨 댐퍼의 휴즈를 교체 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및 이의 시공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덕트 몸체 110: 중공부
120: 절곡부 130: 조립홀
160: 측면홀 180: 브라켓
198: 볼트 199: 너트
200: 방화 날개 210: 관통홀
220: 덕트연장부 230: 플랜지
240: 체결홀 250: 조립홀
260: 측면홀 280: 봉부재
300: 벽체
400: 댐퍼모듈 410: 댐퍼구동부
420: 블레이드

Claims (9)

  1.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벽체를 관통하는 덕트 몸체;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덕트 몸체를 통과시키는 관통홀이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방화 날개; 및
    덕트 몸체의 중공부에 설치되어 덕트 몸체의 공기통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댐퍼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 날개는 덕트 몸체의 측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 날개는 덕트 몸체의 측면 둘레를 따라 동일 길이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 날개의 덕트 몸체의 측면 둘레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덕트 몸체가 벽체 내측의 센터에 위치했을 때 덕트 몸체와 벽체 내측면 간의 갭의 2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5. 제2 항에 있어서,
    한 쌍의 방화 날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덕트 몸체에 대해 스크류 체결되어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 날개는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덕트 몸체의 단부를 삽입시키는 덕트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덕트연장부의 단부에, 이웃하는 덕트와의 체결을 위한 플랜지가 구비되는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몸체의 단부에 조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덕트연장부에 덕트 몸체의 조립홀에 대응되는 조립홀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 몸체와 방화 날개가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스크류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몸체의 측면에 봉홀이 형성된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방화 날개에 덕트 몸체의 봉홀에 대응되는 봉홀이 형성되며,
    한 쌍의 방화 날개에 형성된 봉홀과 덕트 몸체의 봉홀에 체결되는 봉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덕트 몸체와 방화 날개가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구속 체결되는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9. 제1 항의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의 시공방법으로서,
    덕트 몸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덕트 몸체의 단면적보다 넓게 벽체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
    덕트 몸체에 댐퍼모듈을 설치하는 단계;
    댐퍼모듈이 설치된 덕트 몸체가 벽체의 홀에 삽입된 상태로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측 단부에 방화 날개를 체결하거나, 댐퍼모듈이 설치된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측 단부에 방화 날개가 일체로 결합된 덕트 몸체를 벽체의 홀에 삽입하는 단계; 및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타측 단부에 방화 날개를 체결하여 덕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벽체 양측에서 방화 날개를 밀착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의 시공방법.
KR1020210143571A 2021-10-26 2021-10-26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059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571A KR20230059410A (ko) 2021-10-26 2021-10-26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571A KR20230059410A (ko) 2021-10-26 2021-10-26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410A true KR20230059410A (ko) 2023-05-03

Family

ID=8638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571A KR20230059410A (ko) 2021-10-26 2021-10-26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94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171B1 (ko) 2020-06-11 2021-04-15 김성군 더블 솔레노이드 작동기를 갖는 방화댐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171B1 (ko) 2020-06-11 2021-04-15 김성군 더블 솔레노이드 작동기를 갖는 방화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6143A (en) Shut-off damper
US20070173192A1 (en) Small duct high velocity damper assembly
JP6157407B2 (ja) 空気調和機の風向調整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US8500528B2 (en) Combination bearing, linkage pin and shaft coupling for a damper
US6237630B1 (en) HVAC damper
KR20230059410A (ko) 벽체 매립형 제연 및 방화 댐퍼 및 이의 시공방법
US4917350A (en) Gasketless air damper
KR102082237B1 (ko) 방화용 스틸 댐퍼
WO2017208920A1 (ja) ダンパ装置
JP2008111593A (ja) 空気調和機
US20050022880A1 (en) Damper vane
JP2010121873A (ja) 空気調和機
KR200454288Y1 (ko) 전동 디퓨저
GB2039361A (en) Ventilating damper
KR100603630B1 (ko) 공동주택용의 현관문 상부에 설치되는 외부조망을 겸한환기장치
US20240003435A1 (en) Ball valve
KR200322851Y1 (ko) 제연댐퍼
KR20110017709A (ko) 역풍방지 댐퍼
US20130306746A1 (en) Retrofit Flap Damper Assembly System for Cone Type Damper Variable Air Volume Boxes
KR200475035Y1 (ko) 방연댐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0183760Y1 (ko)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의 고정구조
KR102251146B1 (ko) 댐퍼용 금속 날개
JP2006349305A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組み立て方法
KR102557838B1 (ko) 내화충전재 설치구조가 개선된 방화 댐퍼 및 그 시공방법
CN211177360U (zh) 驱动组件、空调室内机和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