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395Y1 - 변기 저수조용 청정제 용기 - Google Patents

변기 저수조용 청정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395Y1
KR200180395Y1 KR2019990025592U KR19990025592U KR200180395Y1 KR 200180395 Y1 KR200180395 Y1 KR 200180395Y1 KR 2019990025592 U KR2019990025592 U KR 2019990025592U KR 19990025592 U KR19990025592 U KR 19990025592U KR 200180395 Y1 KR200180395 Y1 KR 200180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container
supply pipe
wat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5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학
Original Assignee
한상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학 filed Critical 한상학
Priority to KR20199900255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3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3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4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solid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청정제 용기는,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에 연결된 보충수 공급관과, 상기 급수관과 보충수 공급관을 연결하는 연결 튜브를 포함하는 통상의 좌변기 저수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수조 내의 정상 수면 위에 위치하고, 용기 본체 및 이 용기 본체 위에 덮이는 뚜껑으로 구성되고, 상기 뚜껑에는 연결 튜브에 연통하는 보충수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연결 튜브에 연통하는 보충수 출구가 형성된 구성을 취한다. 상기 뚜껑에는 공기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공기 구멍을 개폐하는 차단판이 뚜껑의 아랫면에 소정 각도로 선회가능하게 부착된다. 청정제 용기는 이를 저수조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용기 걸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변기 저수조용 청정제 용기 {CLEANING AGENT CONTAINER FOR WATER TANK OF CHAMBER POT}
본 고안은 변기 저수조용 청정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정제 용기를 저수조 내의 정상 수면 위에 위치시킴으로써 저수조에 급수되는 기간 이외에는 청정제가 건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청정제를 절약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청정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에는 변기 본체의 벽에 끼는 오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저수조 내에 고체 형태의 청정제를 사용한다. 이러한 청정제는 저수조 내의 물에 녹아서, 용변을 본 후에 저수조 내의 물을 변기에 배출하는 동안에 이 물과 함께 배출되어 변기 본체의 벽을 세척하는 작용을 한다.
도1은 일반적인 변기 저수조 내에 청정제를 투입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2는 저수조, 4는 보충수 공급관, 6은 급수관, 7은 저수조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밸브체(도시 생략)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구, 8은 연결 튜브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청정제(5)는 저수조(2) 내의 물에 침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청정제는 수용성의 고체로 되어 있으며, 소정 용기에 들어 있는 상태로 또는 고체 청정제 자체로서 저수조의 바닥부에서 물에 침지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고체 청정제는 물에서 녹는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더라도 저수조 내의 물에서 계속적으로 녹기 때문에, 변기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많이 녹아서 청정제를 과다 사용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사용된 청정제는 대부분이 용변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용변과 함께 배출되어 버리기 때문에 변기 세척에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청정제를 필요한 양만큼만 사용하여 그 효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청정제 사용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청정제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청정제 용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에 연결된 보충수 공급관과, 상기 급수관과 보충수 공급관을 연결하는 연결 튜브를 포함하는 통상의 좌변기 저수조에 사용하기 위한 청정제 용기에 있어서, 저수조 내의 정상 수면 위에 위치하고, 용기 본체 및 이 용기 본체 위에 덮이는 뚜껑으로 구성되고, 상기 뚜껑에는 연결 튜브에 연통하는 보충수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연결 튜브에 연통하는 보충수 출구가 형성된 구성을 취하는 청정제 용기가 마련된다.
상기 뚜껑에는 공기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공기 구멍을 개폐하는 차단판이 뚜껑의 아랫면에 소정 각도로 선회가능하게 부착된다. 청정제 용기는 이를 저수조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용기 걸이를 포함한다.
도1은 일반적인 변기 저수조 내에 청정제가 투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청정제 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청정제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청정제 용기의 뚜껑에 마련된 공기 구멍 및 차단판을 도시한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저수조
4 : 보충수 공급관
6 : 급수관
8 : 연결 튜브
10 : 용기 걸이
12 : 청정제 용기
12a : 용기 본체
12b : 뚜껑
12c : 보충수 출구
12d : 보충수 입구
20 : 공기 구멍
28 : 차단판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청정제 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2에서, 2는 저수조, 4는 보충수 공급관, 6은 급수관, 8은 연결 튜브, 10은 용기 걸이, 12는 청정제 용기이다.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취하는 변기 저수조에서, 물은 급수원(도시 생략)으로부터 급수관(6)을 통해서 저수조(2) 내에 소정 수위까지 공급된다. 이때 급수관(6)의 상부에 연결된 연결 튜브(8)를 통해서 보충수 공급관(4)에도 물이 공급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급수관(6)과 보충수 공급관(4)을 연통시키는 연결 튜브의 중간에 청정제 용기(12)를 설치했다. 상기 청정제 용기(12)는 저수조(2) 내의 정상 수면 위에 배치되어서 급수원으로부터 저수조에 물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에는 물에 침지되지 않아 건조 상태를 유지한다. 급수원으로부터 저수조 내에 물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물이 급수관(6)에 연결된 연결 튜브(8)를 통해서 보충수 공급관(4)에도 공급된다. 즉, 물이 급수관을 통해서 공급될 때 공급되는 물의 일부가 연결 튜브(8)와 연이어 그 중간에 배치된 청정제 용기(12)를 통해서 흐르게 되는데, 이때 청정제 용기(12) 내에 투입된 청정제가 녹아서 변기 본체(도시 생략)에 배출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청정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청정제 용기(12)는 대체로 원통형인 용기 본체(12a)와 이 용기 본체의 상부에서 이를 덮는 뚜껑(12b)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뚜껑(12b)의 상부면에는 급수관(6)에 연통하는 보충수 입구(12d)가 마련되고, 용기 본체(12a)의 하부면에는 보충수 공급관(4)에 연통하는 보충수 출구(12c)가 마련되어 있다. 즉, 보충수 입구(12d)를 통해서 청정제 용기(12) 내에 공급되는 물에 의해 용기 내의 청정제가 녹아서 보충수 출구(12c)를 통해서 보충수 공급관(4)을 거쳐 변기 본체로 배출된다. 상기 용기 본체의 주연부에는 청정제 용기(12)를 저수조(2)에 고정시키기 위한 용기 걸이(10)도 마련되어 있다.
도4는 청정제 용기의 뚜껑에 마련된 공기 구멍 및 차단판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청정제 용기(12)의 뚜껑(12b)에는 공기 구멍(20)이 마련되어 있으며, 뚜껑(12b)의 아랫면에는 상기 공기 구멍(20)을 덮는 차단판(28)이 고정구(30)에 의해 소정 각도로 선회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30)는 차단판(28)이 뚜껑(12b)을 개폐할 수 있도록 차단판(28)을 선회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면 어떤 형태라도 무방하다. 상기 공기 구멍(20)은 급수관(6)을 통해서 물이 공급되는 동안에, 즉 보충수 입구(12d)를 통해서 청정제 용기(12)에 물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용기 내의 물의 부력에 의해서 차단판(28)이 상방으로 선회하여 막히고, 물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에는 차단판(28)이 자중에 의해서 하방으로 선회하여 열린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청정제 용기(12) 내의 물이 보충수 공급관(4)을 통해서 완전히 배출되기 때문에 청정제 용기(12) 내의 청정제가 건조 상태로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청정제 용기에서는 물이 공급되는 동안에만 청정제 용기 내의 청정제가 녹으며, 물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에는 공기 구멍에 의해 공기가 유통하여 청정제가 건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물이 공급되는 동안에만 청정제가 녹고 물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에는 청정제가 건조 상태를 유지하므로, 청정제가 과다하게 녹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관(6)과, 급수관(6)에 연결된 보충수 공급관(4)과, 급수관(6)과 보충수 공급관(4)을 연결하는 연결 튜브(8)를 포함하는 통상의 좌변기 저수조에 사용하기 위한 청정제 용기에 있어서,
    저수조 내의 정상 수면 위에 위치하고, 용기 본체(12a) 및 이 용기 본체 위에 덮이는 뚜껑(12b)으로 구성되고, 상기 뚜껑에는 연결 튜브에 연통하는 보충수 입구(12d)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연결 튜브에 연통하는 보충수 출구(12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뚜껑(12b)에 공기 구멍(20)이 마련되고, 공기 구멍(20)을 개폐하는 차단판(28)이 뚜껑의 아랫면에 소정 각도로 선회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제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청정제 용기를 저수조(2)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용기 걸이(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제 용기.
KR2019990025592U 1999-11-20 1999-11-20 변기 저수조용 청정제 용기 KR200180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592U KR200180395Y1 (ko) 1999-11-20 1999-11-20 변기 저수조용 청정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592U KR200180395Y1 (ko) 1999-11-20 1999-11-20 변기 저수조용 청정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395Y1 true KR200180395Y1 (ko) 2000-05-01

Family

ID=19597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592U KR200180395Y1 (ko) 1999-11-20 1999-11-20 변기 저수조용 청정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3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794B1 (ko) * 2021-06-14 2022-01-24 (주)블루테크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794B1 (ko) * 2021-06-14 2022-01-24 (주)블루테크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TWI618841B (zh) Nested toilet cleaner quantitative release device
JP3104910U (ja) 溶液排出器
KR200180395Y1 (ko) 변기 저수조용 청정제 용기
KR20210007382A (ko)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KR200406587Y1 (ko) 소변기용 탈취구
JPH0137011Y2 (ko)
KR200208548Y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WO2005076728A2 (en) Cartridge device and method for adding supplements to a toilet cistern
JP3015390U (ja) 水洗トイレの消毒剤放出量自動制御装置
KR20070046309A (ko) 소변기용 탈취구
JP2602025Y2 (ja) 水洗トイレ用芳香洗浄剤供給装置
JP2606206Y2 (ja) 水洗トイレ用芳香洗浄剤供給装置
JP3721465B2 (ja) ロータンク
JP3659047B2 (ja) 洗浄水タンク
KR200327321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WO2005019546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cleaning material to a toilet
KR200262721Y1 (ko) 절수형 양변기
KR101701371B1 (ko) 화장실의 공간활용과 세척물이 없이 소변의 배수 및 악취가 방지되는 가정용 소변기
KR200267749Y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KR200267756Y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KR200243367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JPH026132Y2 (ko)
KR100328861B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JP3190294B2 (ja) 衛生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