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749Y1 -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749Y1
KR200267749Y1 KR2020010032446U KR20010032446U KR200267749Y1 KR 200267749 Y1 KR200267749 Y1 KR 200267749Y1 KR 2020010032446 U KR2020010032446 U KR 2020010032446U KR 20010032446 U KR20010032446 U KR 20010032446U KR 200267749 Y1 KR200267749 Y1 KR 200267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leaning agent
detergent
auxiliary tank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한식
Original Assignee
강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한식 filed Critical 강한식
Priority to KR2020010032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7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74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탱크를 갖춘 수세식 변기의 청결 유지 및 살균을 비롯한 방향을 목적으로 탱크 내로 투입되는 청정제를 효과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청정제(3)를 보유하는 저장탱크(10)와, 상기 저장탱크(10)의 청정제를 유도 공급하는 공급관(20)과, 공급관(20)과 연결되어 청정제(3)를 공급받는 보조탱크(30)와, 보조탱크(30)의 하단에 연결되어 수위에 따라 위치가변하며 보조탱크(30)내의 청정제(3)를 세척수탱크로 배출하는 밸브수단(40)으로 이루어진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를 제공하여 청정제의 재충전(refill)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청정제의 투입량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동시에 청정제의 투입량을 탱크의 용량에 따라 간편하게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Device for setting cleaner in toilet tank}
본 고안은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탱크를 갖춘 수세식 변기의 청결 유지 및 살균을 비롯한 방향을 목적으로 탱크 내로 투입되는 청정제를 효과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세식 변기는 밸브장치에 의해 세척수의 공급 및 배출이 제어되는 탱크 및 이 탱크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변기로 구성되어 있다. 탱크는 일정량의 세척수를 저장하고 있다가 배출레버의 작동에 의해 저장되어있던 세척수를 예정된 경로를 통해 변기로 배출하여 변기내의 오물을 씻어내게 된다.
상기 밸브장치는 플로트밸브를 포함하고 있어 수위에 따라 수도를 개폐하게되므로 탱크가 항시 일정한 수위를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밸브장치는 탱크의 배출구에 설치되어 탱크의 외부에 마련되는 작동레버와 연동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작동레버의 작동에 의해 밸브가 열리는 것에 의해 세척수를 배출하게 된다.
위에서 알 수 있듯이 수세식 변기는 항시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고 있게 되므로 일정기간 동안 사용을 하지 않거나 또는 청소를 하지 않으면, 저장되어 있는 물에 세균이 번식하거나 심하게는 부패되어 위생상태를 해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들은 수세식 변기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살균제, 소독제, 방향제(이하, 청정제로 약칭함)등을 탱크 내에 투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청정제는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있는데, 그 일례를 살펴보면, 고형 청정제를 내장한 용기를 탱크에 넣어두고, 세척수가 용기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청정제와 교통할 수 있도록 하여 청정제가 세척수에 의해 용해되도록 하는 청정제품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청정제품은 용기내부에 들어있는 청정제가 탱크의 세척수에 의해 직접 용해됨과 동시에 탱크 내로 투입되므로 투입량이 일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녹게 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청정제는 탱크 내의 세척수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도 지속적으로 녹아 내리게 되므로 장기간 세척수가 배수되지 않을 경우에는 세척수 내의 청정제 농도가 짙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청정제의 소모가 촉진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수반된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일회 사용후 뒤이어 곧바로 사용하게 되면 청정제가 충분히 용해되지 않은 상태에서 세척수가 배출되어 농도가 묽게 되므로 원하는 목적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청정용기는 청정제가 완전히 소모되면, 청정제의 재투입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용기를 폐기해야 하므로 쓰레기 공해를 유발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 이외에도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 93-8249호(화장실 변기용 세척 및 /또는 청정용 장치)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공개 97-49716호(수세식 변기의 청정 절수기구)에는 이와 관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에 기술들은 청정제가 직접적으로 세척수와 교통되고 있어 청정제가 탱크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위에서 열거한 문제점들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8548호 및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0-49356호에 기재되어 있는 수세식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이 장치들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청정제의 재충전(refill)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청정제의 투입량을 항시 일정하게 또는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청정제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제공되는 밸브수단의 구조가 복잡하고, 그로 인해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청정제의 재충전(refill)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청정제의 투입량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청정제의 투입량을 탱크의 용량에 따라 간편하게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수세식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의 세척수 배출작동의 중간과정을 보인 부분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의 세척수 배출작동의 완료상태를 보인 부분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세척수탱크 2: 세척수
3: 청정제 10: 저장탱크
20: 공급관 22: 조절구
30: 보조탱크 32: 탱크본체
34: 상부커버 36: 안내관
40: 밸브수단 42: 중량체
44: 배출관 44a: 상부 배출공
44b: 하부 배출공 46: 부체
48: 스토퍼 42a, 48a: 시일부재
50: 걸이기구 52: 클립부
54: 힌지 56: 고정부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청정제를 보유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청정제를 유도 공급하는 공급관과, 공급관과 연결되어 청정제를 공급받는 보조탱크와, 보조탱크의 하단에 연결되어 수위에 따라 위치가변하며 보조탱크내의 청정제를 세척수탱크로 배출하는 밸브수단으로 이루어진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수단은 보조탱크의 하부에 구성되는 안내관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원통형 배출관이 일체로 구성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며, 배출관상단에 스토퍼를 고정하여 배출관의 하부위치를 제한하고, 중량체의 하부에 부체가 고정되어 중량체 상하이동시 배출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배출공을 통해 배출관내의 청정제가 세척수탱크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량체는 원판형으로 구성되어 테두리를 따라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는 원형의 저장공간을 형성하여 세척수의 배출시 저장공간에 잔류하는 세척수의 자중에 의해 하강을 촉진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청정제 투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세척수탱크(1)의 상부에 배치되는 선방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살균제, 소독제, 방향제 등이 독립적으로 또는 둘 이상이 적절하게 혼합되어 있는 청정제(3)를 보유하는 저장탱크(10)를 포함된다. 저장탱크(10)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하여 청정제의 사용량에 따라 크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탱크(10)는 뚜껑(12)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청정제의 재충전이 가능케 되며, 뚜껑(12)에는 저장탱크(10)내부에 대기압이 작용할 수 있도록 압력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저장탱크(10)의 하부에는 대기압에 의해 배출되는 청정제(3)를 후술하는 보조탱크(30)로 유도 공급하는 공급관(20)이 연결되어 있다. 이 공급관(20)은 플렉시블하게 구성되어 임의의 방향으로 손쉽게 휘어질 수 있으며,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공급관(20)상에는 통과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구(2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관(20)으로부터 청정제(3)를 공급받는 보조탱크(3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보조탱크(30)는 세척수탱크(1) 내부에 수장되는 것으로 공급관(20)에 매달려 있는 형태로 지지된다. 보조탱크(30)는 하부에 안내관(36)이 형성되는 탱크본체(32)와, 이 탱크본체(32)와 상부에 나사 결합되는 커버(34)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관(20)은 상부커버(34)의 상단에 형성되는 유입관(34a)에 결합되며, 이때, 현가되어 있는 보조탱크(30)가 자중에 의해 공급관(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충분히 양호한 체결력을 갖도록 고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주로 클립밴드 또는 나사 결합등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관(20)상에는 공급관이 세척수탱크(1)의 뚜껑에 의해 눌려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는 고정구(24)가 제공된다. 이 고정구(24)는 공급관(20)의 관로의 변형이 잃어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설치시 후술하는 보조탱크의 자중에 의해 공급관(20)이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결합력을 가져야 한다.
본 고안은 보조탱크(30)의 하부에 수위에 따라 위치가변하는 밸브수단이 설치되어 보조탱크(30)내의 청정제(3)를 세척수탱크(1)로 배출토로 구성된다.
밸브수단(40)은 보조탱크(30)의 하부에 구성되는 안내관(36)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원통형 배출관(44)이 일체로 구성되는 중량체(42)를 포함하며, 배출관(44)상단 즉, 보조탱크(30)내부에 위치하는 스토퍼(48)를 나사 체결하여 스토퍼(48)가 보조탱크(30)의 저면에 닿는 시점에서 배출관(44)의 하강위치를 제한하게 된다. 배출관(44)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상. 하 배출공(44a, 44b)은 배출관(44)의 승강시 적어도 보조탱크(30)의 내부와 세척수탱크(1)의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즉, 상. 하 배출공(44a, 44b)의 사이의 간격은 적어도 안내관(36)의 길이보다 길어야 한다. 이는 상기 저장탱크(10)에 작용하는 대기압이 보조탱크(30)의 청정제에 작용되도록 하여 배출관(44)내의 청정제(3)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한편, 중량체(42)는 원판형으로 구성되어 테두리를 따라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는 원형의 저장공간(43)을 갖는다.
또한, 중량체(42)의 하부에는 비중이 물보다 작은 부체(46)가 고정되어 수위가 올라감에 따라 중량체(42)가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탱크(20)는 적어도 중량체(42)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되어야 한다. 즉, 중량체(42)가 세척수탱크(1)의 내벽에 닿게되면 승강작용이 제한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탱크(20)를 크게 구성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편의상 보조탱크(20)가 저장탱크(10)보다 크게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저장태크(10)의 용량은 보조탱크(20)보다는 크게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저장탱크(10)의 용량은 사용자의 취향에 맞도록 외형 및 사용용량 등을 다양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도 2는 변기의 사용대기상태 즉, 세척수탱크(1)내에 세척수(2)가 만수위를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세척수 배출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세척수 배출동작이 완료되어 밸브수단이 완전히 하강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2를 보면, 저장탱크(10)에 보유되어 있는 청정제(3)는 공급관(20)을 따라 보조탱크(30)로 공급되고, 보조탱크(30)내에는 저장탱크(10)로부터 청정제(3)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충만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보조탱크(30)내의 청정제는 상부 배출공(44a)을 통해 배출관(44)내로 유입되므로 배출관(44)내부에도 청정제가 충만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배출관(44)은 부체(46)의 부력에 의해 상부로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배출관(44)의 하단과 중량체(42)의 접촉면에서는 누설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세척수(2)가 배출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2)의 수위가 내려가면 예정된 위치에서 중량체(42)의 자중에 의해 배출관(44)이 하강하기 시작한다. 배출관(44)의 하강에 따라 하부 배출공(44b)이 개방되어 지면 배출관(44)내의 청정제(3)가 세척수탱크(1)로 흘러들어 세척수(2)와 혼합되며 변기로 배출되어 소정의 목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세척수의 수위가 내려가는 과정에서 중량체(42)의 저장공간(43)에는 세척수(2)가 잔류하게 되므로 중량체의 중력을 크게하여 하강력을 배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 즉, 도 3과 같이 하부 배출공(44b)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부 배출공(44a)은 계속하여 보조탱크(30)내부와 연통하게 되어 상기 저장탱크(10)에 작용하는 대기압이 청정제가 작용하게 되므로 하부 배출공(44b)을 통한 청정제(3)의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계속하여 배출관(44)의 하강이 더 진행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배출공(44b)은 계속하여 개방상태를 유지하나 상부 배출공(44a)이 안내관(36)내로 진입하여 막혀지게 되므로 배출관(44)내에는 대기압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더 이상의 청정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때 배출관(44)내에는 일부 청정제의 잔량이 존재하고 있게 된다.
여기서, 밸브수단의 일회동작에 의해 세척수탱크(1)로 흘러 들어가는 청정제(3)의 총량은 위의 작용(배출관(44)의 하강작용)에 의해 세척수탱크(1)내로 흘러 들어가는 청정제의 양과 이하에서 설명되는 밸브수단(40)의 상승 작용시에 배출관(44)을 통해 흘러 들어가는 청정제의 량이 더해진 양이다.)
즉, 다시 세척수탱크(1)에 세척수(2)가 공급되면, 부력에 의해 중량체(42)가 상승하기 시작하고, 다시 도 3과 같은 상태를 거치게 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작용에 의해 배출관(44)내의 잔류하고 있는 청정제(3)가 세척수탱크(1)로 배출되어 진다. 물론, 이 과정에서 상부 배출공(44a)을 통해 보조탱크(30)내의 청정제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나 배출관(44)의 상승속도가 새로이 유입되는 청정제의 배출을 허용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실질적으로 유입된다 하더라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 제한적인 요소로 작용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배출관(44)이 계속하여 상승하여 다시 도 2와 같은 상태로 복귀하게 되면 보조탱크(30)내의 청정제(3)가 배출관(44)으로 유입되어 배출관(44)내에는 새로운 청정제(3)가 충만한 상태를 유지하며 다음 배출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공급관(20)에 설치되는 조절구(22)에 의해 일회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조절구는 공급관(20)의 허용단면적을 가변시키는 구조를 갖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이며,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필요한 변경, 부가 등에 의해서도 목적달성이 예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급관(20)에 설치되는 조절구(22)에 의해 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나 배출량의 조절은 배출관(44)의 길이 또는 직경 등을 적절하게 설계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48)의 저면 및 중량체(42)의 배출관(44) 주변 즉, 이들이 안내관(36)의 주변과 접하는 부위에 각각 시일부재(42a, 48a)를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배출관(44)을 통한 청정제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에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별도의 걸이기구(50)를 제공하여 보조탱크(20)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더욱 안정된 상태로 작동을 이룰 수 있게 된다. 걸이기구(50)는 상단에 구성되어 세척수탱크(1)의 상단주연에 걸리게 되는 클립부(52)가 힌지(54)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세척수탱크(1)의 상단 형태에 따라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탱크(20)를 감싸는 고정부(56)는 보조탱크(20)의 수직방향 유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충분한 탄성 가압력을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경우에는 본 고안의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언급된 저장탱크(10) 및 공급관(20)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보조탱크(20)만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조탱크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조탱크(20)의 용량을 확대가 요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는 저장탱크와 공급관에 의해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보조탱크 그리고 보조탱크에 설치되어 청정제를 일정량씩 배출하는 밸브수단으로 구성되어, 청정제의 재충전(refill)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청정제의 투입량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동시에 청정제의 투입량을 탱크의 용량에 따라 간편하게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청정제(3)를 보유하는 저장탱크(10)와,
    상기 저장탱크(10)의 청정제를 유도 공급하는 공급관(20)과,
    공급관(20)과 연결되어 청정제(3)를 공급받는 보조탱크(30)와,
    보조탱크(30)의 하단에 연결되어 수위에 따라 위치가변하며 보조탱크(30)내의 청정제(3)를 세척수탱크로 배출하는 밸브수단(40)으로 이루어진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40)은 보조탱크(30)의 하부에 구성되는 안내관(36)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원통형 배출관(44)이 일체로 구성되는 중량체(42)를 포함하며, 배출관(44)상단에 스토퍼(48)를 고정하여 배출관(44)의 하부위치를 제한하고, 중량체(42)의 하부에 부체(46)가 고정되어 중량체 상하이동시 배출관(44)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배출공(44a, 44b)을 통해 배출관(44)내의 청정제가 세척수탱크(1)로 배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42)는 원판형으로 구성되어 테두리를 따라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는 원형의 저장공간(43)을 형성하여 세척수의 배출시 저장공간(43)에 잔류하는 세척수의 자중에 의해 하강을 촉진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
KR2020010032446U 2001-10-24 2001-10-24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KR200267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446U KR200267749Y1 (ko) 2001-10-24 2001-10-24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446U KR200267749Y1 (ko) 2001-10-24 2001-10-24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749Y1 true KR200267749Y1 (ko) 2002-03-13

Family

ID=7311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446U KR200267749Y1 (ko) 2001-10-24 2001-10-24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7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690A (ko) * 2014-12-09 2016-06-17 박대율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690A (ko) * 2014-12-09 2016-06-17 박대율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
KR101665007B1 (ko) 2014-12-09 2016-10-11 박대율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96334B1 (en) Sanitary fixture
GB2291895A (en) Automatic sterilizing device for flush toilet or urinal
US20080301866A1 (en) Cleaning Agent Dispenser for a Flushing Tank
JP6885933B2 (ja) 自己洗浄式トイレアセンブリおよびシステム
JP2006500496A (ja) 節水型洋風便器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KR20180128832A (ko) 용액 공급기
KR200267749Y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US6820287B2 (en) Down-stroke dispenser
US6341385B1 (en) Toilet bowl fluid dispensing system
KR200267756Y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EP1130178A3 (en) Dispenser for the dosage of sanitizing and/or deodorant liquids, particularly for cisterns toilet bowls
KR102300750B1 (ko) 용액 공급 장치
US20070006369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cleaning material to a toilet
KR100328861B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WO2005076728A2 (en) Cartridge device and method for adding supplements to a toilet cistern
KR200208548Y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CN108505600B (zh) 一种防溅水马桶
KR200220454Y1 (ko) 수세식 좌변기용 세정제 투입용기
JPH0634457Y2 (ja) 芳香洗浄液滴下装置
KR102000232B1 (ko) 양변기
KR102061085B1 (ko) 수세식 좌변기용 세정액 공급장치
JPH0738279U (ja) 水洗トイレ用芳香洗浄剤供給装置
JP2968400B2 (ja) 水洗便器用薬剤供給装置
CA2411235A1 (en) Detergent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