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548Y1 -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548Y1
KR200208548Y1 KR2019980022784U KR19980022784U KR200208548Y1 KR 200208548 Y1 KR200208548 Y1 KR 200208548Y1 KR 2019980022784 U KR2019980022784 U KR 2019980022784U KR 19980022784 U KR19980022784 U KR 19980022784U KR 200208548 Y1 KR200208548 Y1 KR 2002085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opening
storage container
main storag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141U (ko
Inventor
강한식
정선택
Original Assignee
강한식
정선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한식, 정선택 filed Critical 강한식
Priority to KR2019980022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548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1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1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5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548Y1/ko

Links

Landscapes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척수탱크를 갖춘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 변기의 청결상태 유지 및 살균작용을 위해 세척수탱크에 투입되는 청정제의 량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는 청정제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형성되는 유입공(104)을 통해 세척수(2)를 공급받는 주저장부(S1)를 갖추고, 걸림수단(200)에 의해 수세식 변기의 세척수탱크 일측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걸리게 되는 저장용기(100)와; 저장용기(100)의 상부로부터 저장용기 내로 깊이 조절이 가능하게 삽입고정되며,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청정제(120)의 하단부를 저장용기 내의 일정한 위치에서 주저장부(S1)와 연통하도록 지지하는 투입관(110)과; 저장용기(100)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주저장부(S1)와 연통될 때 주저장부(S1)로부터 청정액(3)을 공급받는 임시저장부(S2)를 형성하며, 세척수가 예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지면 임시저장부(S2)내의 청정액을 세척수탱크로 방출하는 배출수단(300)으로 이루어진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고체 또는 액체 청정제의 호환이 가능하며, 항시 일정한 양의 청정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기의 청결도를 높일 수 있게될 뿐만 아니라 청정제의 재공급이 가능하게 되므로 폐기물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본 고안은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세척수탱크를 갖춘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 변기의 청결상태 유지 및 살균작용을 이루도록 세척수탱크 내에 투입되는 청정제의 호환성을 갖게하며, 투입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세식 변기는 세척수탱크 내에 일정량의 세척수를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저장된 세척수를 변기로 배출하여 변기내의 오물을 씻어내며 정화조로 흘러가도록 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가정용 변기에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세식 변기의 세척수탱크는 수위에 따라 자동적으로 작동하는 밸브장치에 의해 항시 일정량의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수세식 변기는 일정기간 동안 사용을 하지 않거나 또는 청소를 하지 않으면, 세척수탱크 내의 물에 세균이 번식하거나 심하게는 부패되어 위생상태를 해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그러므로, 수세식 변기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정제 또는 소독제 등을 세척수탱크 내에 투입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수단들이 개발되어 있다.
그 일례를 살펴보면, 고형 청정제를 내장한 용기를 세척수탱크 내에 수장하고, 세척수가 용기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청정제와 교통할 수 있도록 하여 청정제가 세척수에 의해 녹게 하는 청정제품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청정제품은 용기내에 내장되어 있는 청정제가 세척수에 의해 녹음과 동시에 세척수탱크 내로 투입되므로 투입량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청정제는 세척수탱크 내의 세척수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도 지속적으로 녹아 내리게 되므로 장기간 세척수가 배수되지 않을 경우에는 세척수 내의 청정제 농도가 짙어지게 된다. 반대로 일차 사용 후 뒤이어 곧바로 사용하게 되면 청정제가 충분히 용해되지 않은 상태에서 세척수가 배출되어 농도가 묽게 되므로 원하는 목적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를 갖게 되는 것이다.
특히, 종래의 청정용기는 청정제가 계속하여 녹게 되므로 소모가 촉진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수반된다.
또한, 종래의 청정용기는 청정제가 완전히 소모되면, 청정제의 재투입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용기를 폐기해야 하므로 쓰레기 공해를 유발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 이외에도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 93-8249호(화장실 변기용 세척 및 /또는 청정용 장치), 동 94-701903호(소독약, 청정제 또는 방향제를 변기내에 방출하기 위한 장치),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공개 97-49716호(수세식 변기의 청정 절수기구)등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위에 기술한 것들중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 93-8249호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공개 97-49716호는 청정제가 직접적으로 세척수와 교통되고 있어 청정액이 세척수탱크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위에서 열거한 문제점들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 94-701903호는 일회사용시 일정량의 청정액이 투입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액상의 청정제만을 이용하고 있고, 특히, 통상의 변기에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체 및 액체 청정제를 공용할 수 있으며, 청정제의 투입량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세척수탱크 100: 저장용기
104: 유입공 110: 투입관
112: 개방공 120: 청정제
210: 고정부재 220: 가동부재
310: 연결관 312: 제 1개페공
320: 조절관 322: 제 2개페공
332: 부체 334: 작동봉
336: 안내리브 338:제 1개폐판
340: 제 2개페판 S1: 주저장부
S2: 임시저장부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면에 형성되는 유입공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는 주저장부를 갖추고, 걸림장치에 의해 수세식 변기의 세척수탱크 일측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걸리게 되는 저장용기와; 저장용기의 상부로부터 저장용기 내로 깊이 조절이 가능하게 삽입고정되며,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청정제의 하단부가 저장용기 내의 일정한 위치에서 주저장부와 연통하도록 지지하는 투입관과; 저장용기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주저장부와 연통될 때 주저장부로부터 청정액을 공급받는 임시저장부를 형성하며, 세척수가 예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지면 임시저장부내의 청정액을 세척수탱크로 방출하는 배출수단으로 이루어진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체적인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에 일정량의 저장공간(이하, '주저장부'로 함)를 갖춘 저장용기(100)가 제공된다. 이 저장용기(100)는 상면에 세척수탱크(1)와 연통되는 유입공(104)이 형성되어 이 유입공(104)을 통해 세척수탱크(1)의 세척수(2)가 주저장부(S1)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저장용기(100)의 상부중앙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는 공급관(10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공(104)은 공급관(102)주위에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된다. 또한, 저장용기(100)의 밑면에는 주저장부(S1)를 개방하며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는 배출관(10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공(10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가 넓고 주저장부(S1)로 들어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구성되어 저장용기 내의 물이 역류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다시 도 1을 보면, 본 고안은 상기 저장용기(100)를 세척수탱크(1)내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걸림수단(200)을 포함한다. 걸림수단(200)은 세척수탱크(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재(210)와, 저장용기(100)를 지지하며 고정부재(210)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부재(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210)는 세척수탱크(1)의 상변에 걸어 맞춤되는 걸림편(212)과, 이 걸림편(212)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조절공(214)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조절편(214)이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동부재(220)는 고정부재(210)의 조절편(2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편(222)과, 지지편(222)의 하단에서 직각 절곡되어 상기 저장용기(1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링(224)이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동부재(220)의 지지편(222)에는 조절공(214)과 동심상으로 관통하는 관통공(226)이 형성된다.
걸림수단(200)은 관통공(226)을 통해 조절공(214)에 삽입되어 고정부재(210)와 가동부재(220)의 상대위치를 설정하는 조절핀(228)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저장용기(100)에는 상부로부터 저장용기 내로 깊이 조절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투입관(110)이 제공되어 있다. 이 투입관(110)은 청정제(120)를 자중에 의해 낙하 가능하게 수용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가 상기 공급관(102)에 나사결합되며 하부가 저장용기(100)내의 세척수(2)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투입관(110)은 수용되어 있는 청정제(120)의 하부가 주저장부(S1)와 연통하도록 하부의 외주면 및 저면에는 청정제(120)를 주저장부(S1)로 노출시키는 복수의 개방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저면에 형성된 개방공은 외주면에 형성된 개방공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용기(100)의 하부에는 주저장부(S1)로부터 일정량의 청정액(3)을 공급받아 수용하며, 세척수가 예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지면 공급받은 일정량의 청정액을 세척수탱크(1)로 방출하는 배출수단(300)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배출수단(300)은 적어도 주저장부(S1)또는 세척수탱크(1)와 격리되는 임시저장부(S2)를 포함하며, 이 임시저장부(S2)는 세척수탱크(1)와 격리되는 상태에서 주저장부(S1)와 연통되어 주저장부(S1)로부터 청정액을 공급받게 된다.
배출수단(300)은 상기 배출관(106)에 나사결합되는 연결관(310)과, 이 연결관(310)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관(320) 및 조절관에 의해 안내되며,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개폐부재(330)를 포함한다.
연결관(310)은 주저장부(S1)와 연통되며 관로에 제 1개폐공(312)이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조절관(320)은 연결관(310)과 연통되며 관로에는 제 1개폐공(312)과의 사이에 임시저장부(S2)를 형성하는 제 2개폐공(322)이 형성된다. 이때, 제 2개폐공(322)의 단면적은 제 1개폐공(312)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임시저장부(S2)의 단위시간당 청정액 유입량보다 배출량이 크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관(320)의 하부에는 하단이 개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의 안내홈(3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임시저장부(S2)는 조절관(320)을 연결관(310)에 대해 조이거나 푸는 것에 의해 가용체적이 변화하게 되어 배출되는 청정액(3)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330)는 조절관(320)의 주연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330)와, 연결관(310)과 조절관(320)내에 배열되어 간격을 두고 각각 제 1개폐공(312) 및 제 2개폐공(322)을 개폐하는 제 1개폐판(332) 및 제 2개폐판(338)을 갖춘 작동봉(334)과, 상기 조절관(320)에 형성된 안내홈(324)을 따라 이동하며 작동봉(334)의 하단과 부체(330)를 연결하는 복수의 안내리브(336)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관(320)의 하단에는 멈춤링(350)이 나사결합되어 안내리브(336)의 이탈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제 1개폐판(332)과 제 2개폐판(338)은 동시에 제 1개폐공(312) 및 제 2개폐공(322)을 폐쇄할 수 없도록 제 1개폐공(312) 및 제 2개폐공(322)의 간격보다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도 2는 변기의 사용대기상태 즉, 세척수탱크(1)내에 세척수(2)가 만수위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세척수 배출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세척수'라 함은 세척수탱크내에 있는 순수한 물을 의미하며, '청정액'이라 함은 청정제가 녹아 있는 상태로 주저장부 및 임시저장부에 보유되어 있는 세척수를 의미한다.)
먼저 도 2를 보면, 세척수(2)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부체(330)가 부력에 이해 상승하게 되므로 제 2개폐판(338)이 제 2개폐공(322)을 막고 있으며, 제 1개폐판(332)은 제 1개폐공(312)을 개방하게 되어 임시저장부(S2)는 주저장부(S1)와 연통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계속하여 세척수(2)가 만수위에 근접하게되면 세척수(2)가 유입공(104)을 통해 주저장부(S1)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공(104)을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2)는 제 1개폐공(312)을 통해 임시저장부(S2)로 유입되어 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저장용기(100)내에 세척수(2)가 차오르게 되면, 유입된 세척수는 투입관(110)에 수용되어 있는 청정제(120)와 접하게 되므로, 주저장부(S1) 및 임시저장부(S2)의 세척수는 청정제가 녹아 있는 청정액으로 채워지게 된다.
이때, 주저장부(S1)에 청정제가 녹게되면, 주저장부(S1)내의 청정제의 농도가 세척수의 농도보다 짙어지게 되므로 녹아있는 청정제 성분이 유입공(104)을 통해 세척수탱크(1)로 이동하려는 확산(擴散)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유입공(104)의 형태가 깔때기형태로 구성되어 상부에서 작용하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크게되므로 주저장부(S1)의 청정액(3)이 세척수탱크(1)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세척수탱크(1)내의 세척수(2)가 배출되어지면, 세척수(2)의 수위가 일정높이 이하로 내려가는 시점에서 부체(330)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안내리브(336)에 의해 부체(330)에 연결된 작동봉(334)이 하강하여 제 1개폐판(332)이 제 1개폐공(312)을 막게 되고, 제 2개폐판(338)이 제 2개폐공(322)을 개방하게 되므로 임시저장부(S2)내의 청정액(3)은 세척수탱크(1)로 배출되어, 세척수(2)와 혼합된 상태에서 변기로 배수되어 진다. 상기 개폐공들의 개방초기에는 제 1개폐공(312) 및 제 2개폐공(322)이 동시에 개방되는 순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제 1개폐공(312)의 단면적이 제 2개폐공(322)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극히 소량의 청정액만이 임시저장부(S2)로 유입되므로 본 고안에서 의도하는 바를 벗어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체(330)는 안내리브(336)가 안내홈(324)을 따라 이동하므로 회전 및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동작을 이루게 된다.
이어서, 세척수탱크(1)내에 다시 물이 차오르면 도 2를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작동이 반복되고, 단지 유입공(104)을 통해 주저장부(S1)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양은 임시저장부(S2)로 공급되는 청정액의 양만을 보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작용의 반복에 의해 청정제는 소모가 진행되는데, 일정량의 용해가 진행되면 청정제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며, 계속하여 투입관(110)으로 진입하게 되므로 지속적인 공급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변기내로 방출된 세척수의 색깔등을 판단하여 사용자가 조절관(320)을 연결관(310)에 의해 조이거나 풀어 배출되는 청정액(3)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걸림수단(200)의 조절에 의해 세척수탱크(1)내의 수위에 맞추어 저장용기(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조절핀(228)을 뽑아 가동부재(220)를 이동시킨 후 저장용기(100)를 수위에 맞춘 후 다시 조절핀(228)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조절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고형의 청정제에 적용되는 구성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액상의 청정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즉, 위에서 설명한 저장용기에 액상의 청정제를 투입하기만 하면 고형의 원료의 작동과 동일한 작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단, 이 경우에는 투입관은 불필요한 구성으로 작용하나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액상의 청정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저장용기의 단순한 설계변경에 의해 효과적으로 청정작용을 이룰 수 있다.
도 4에는 액상의 청정제를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설계된 저장용기를 적용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인용하여 도시하였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부득이 언급되는 부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에 따르면, 저장용기(400)는 상면에 캡(43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주입관(410)을 통해 액상의 청정액(3)를 공급받는 주저장부(S1)를 갖추고 있으며, 걸림수단(200)에 의해 수세식 변기의 세척수탱크(1) 일측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걸리게 된다. 상기 캡(430)에는 대기압이 주저장부(S1)내에 영향을 미치도록 연통공(432)이 형성되어 있다.
저장용기(400)의 밑면에는 주저장부(S1)를 개방하며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는 배출관(4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장용기(400)를 세척수탱크(1)에 지지하는 걸림수단(200) 및 배출관(420)에 연결되어 저장용기(400)내의 청정제를 배출하는 배출수단(30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세척수(2)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부체(330)가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므로 제 2개폐판(338)이 제 2개폐공(322)을 막고 있으며, 제 1개폐판(332)은 제 1개폐공(312)을 개방하게 되어 임시저장부(S2)는 주저장부(S1)와 연통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주저장부(S1)내의 액상의 청정제는 임시저장부(S2)로 공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세척수탱크(1)내의 세척수(2)가 배출되어지면, 세척수(2)수위가 일정높이 이하로 내려가는 시점에서 부체(330)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안내리브(336)들에 의해 부체(330)에 연결된 작동봉(334)이 하강하여 제 1개폐판(332)이 제 1개폐공(312)을 막게 되고, 제 2개폐판(338)이 제 2개폐공(322)을 개방하게 되므로 임시저장부(S2)내의 액상의 청정제(120)는 세척수탱크(1)로 배출되어, 세척수(2)와 혼합된 상태에서 변기로 배수되어 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청정제의 농도가 짙으므로 조절관을 연결관에 대해 조여 임시저장부의 체적을 가능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청정제가 소모되면 캡(430)을 열고 원료를 보충할 수 있게 되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는 청정제를 수용하고 있는 저장용기의 하부에 청정제를 외부로 일정량씩 배출토록 하는 밸브장치를 설치하고, 밸브 장치는 세척수가 배출될 때 연동하도록 하여 항시 일정한 양의 청정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기의 청결도를 높일 수 있게될 뿐만 아니라 청정제의 재공급이 가능하게 되므로 폐기물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8)

  1. 상면에 형성되는 유입공(104)을 통해 세척수(2)를 공급받는 주저장부(S1)를 갖추고, 걸림수단(200)에 의해 수세식 변기의 세척수탱크 일측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걸리게 되는 저장용기(100)와;
    저장용기(100)의 상부로부터 저장용기 내로 깊이 조절이 가능하게 삽입고정되며,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청정제(120)의 하단부를 저장용기 내의 일정한 위치에서 주저장부(S1)와 연통하도록 지지하는 투입관(110)과;
    저장용기(100)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주저장부(S1)와 연통될 때 주저장부(S1)로부터 청정액(3)을 공급받는 임시저장부(S2)를 형성하며, 세척수가 예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지면 임시저장부(S2)내의 청정제를 세척수탱크로 방출하는 배출수단(300)으로 이루어진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200)은,
    세척수탱크(1)의 상변에 걸리는 걸림편(212)과. 이 걸림편(212)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조절공(214)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조절편(214)이 일체로 이루어진 고정부재(210)와;
    고정부재(210)의 조절편(2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조절공(214)과 동심상으로 관통하는 관통공(226)이 형성된 지지편(222)과, 지지편(222)의 하단에서 직각 절곡되어 상기 저장용기(1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링(224)이 일체로 이루어진 가동부재(220)와;
    지지편(222)의 관통공(226)을 통해 조절편(214)의 조절공(214)에 삽입되어 고정부재(210)와 가동부재(220)의 상대위치를 설정하는 조절핀(22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부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는 공급관(102)이 일체로 형성되고, 공급관(102)주위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입공(104)이 형성되며, 밑면에는 주저장부를 개방하며 외주연에 나사가 형성되는 배출관(106)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
  4.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104)은 입구가 넓고 주저장부(S1)로 들어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관(110)은 상기 공급관(102)에 나사결합되며 청정제(120)가 자중에 의해 낙하가능하게 수용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부 외주면 및 저면에는 청정제(120)를 주저장부(S1)로 노출시키는 복수의 개방공(11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300)은,
    상기 배출관(106)에 나사결합되어 주저장부(S1)와 연통되며 관로에 제 1개폐공(312)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연결관(310)과;
    연결관(310)에 나사결합되어 연결관(310)과 연통되며 관로에는 제 1개폐공(312)과의 사이에 임시저장부(S2)를 제공하는 제 2개폐공(322)이 형성되고,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의 안내홈(324)이 형성되는 조절관(320)과,
    조절관(320)의 주연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체(330)와, 연결관(310)과 조절관(320)내에 배열되어 간격을 두고 각각 제 1개폐공(312) 및 제 2개폐공(322)을 개폐하는 제 1개폐판(332) 및 제 2개폐판(338)을 갖춘 작동봉(334)과, 안내홈(324)을 따라 이동하며 작동봉(334)의 하단과 부체(330)를 연결하는 복수의 안내리브(336)와,
    상기 조절관(320)의 하단에 나사결합되어 안내리브(336)의 이탈을 제한하는 멈춤링(3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개폐공(322)의 단면적은 제 1개폐공(312)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
  8. 상면에는 캡(432)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된 주입관(410)을 통해 액상의 청정액(3)을 공급받는 주저장부(S1)를 갖추고, 걸림수단(200)에 의해 수세식 변기의 세척수탱크 일측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걸리게 되는 저장용기(400)와;
    저장용기(400)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주저장부(S1)와 연통될 때 주저장부(S1)로부터 청정액(3)을 공급받는 임시저장부(S2)를 형성하며, 세척수가 예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지면 임시저장부(S2)내의 청정제를 세척수탱크로 방출하는 배출수단(300)으로 이루어진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
KR2019980022784U 1998-11-18 1998-11-18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KR2002085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784U KR200208548Y1 (ko) 1998-11-18 1998-11-18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784U KR200208548Y1 (ko) 1998-11-18 1998-11-18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141U KR19990008141U (ko) 1999-02-25
KR200208548Y1 true KR200208548Y1 (ko) 2001-01-15

Family

ID=6950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784U KR200208548Y1 (ko) 1998-11-18 1998-11-18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5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138B1 (ko) 2013-06-19 2015-01-05 김현수 플로트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자동공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369B1 (ko) * 2020-06-26 2022-11-28 주식회사 위캔하이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
CN112796387A (zh) * 2021-02-10 2021-05-14 李恒祥 一种马桶自动清洁机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138B1 (ko) 2013-06-19 2015-01-05 김현수 플로트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자동공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141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5066B2 (ja) 衛生陶器洗浄システム
US7073209B1 (en) Passive sanitizing-tablet dispensing device
KR102068142B1 (ko) 좌변기용 버블공급장치
CZ305459B6 (cs) Vydávací zařízení pro vydávání tekutých účinných látek do splachovací kapaliny uvnitř toaletní mísy
US4534071A (en) Automatic dispenser for disinfectant and bowl cleaning fluid
CN107859128A (zh) 一种可实现马桶自洁的装置
JP3104910U (ja) 溶液排出器
KR200208548Y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RU2388873C2 (ru)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уалета
KR102237401B1 (ko)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KR100328861B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KR100401021B1 (ko) 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
KR200267756Y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CN219118307U (zh) 一种可根据用户需求调节浓度配比的水箱清洁结构
KR200267749Y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JPH0738279U (ja) 水洗トイレ用芳香洗浄剤供給装置
DE69104355D1 (de) Dosiervorrichtung für einen Toiletten-Wasserkasten.
CN212984089U (zh) 一种向便器加注功能液的机构及便器
KR200349570Y1 (ko) 좌, 소변기용 세정기
US5946739A (en) Mixing chamber for use in a toilet sanitizing system
RU2343248C2 (ru)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ой текучей среды в смывную жидкость в туалетном бачке
KR200180395Y1 (ko) 변기 저수조용 청정제 용기
KR20210054862A (ko)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JPH0634457Y2 (ja) 芳香洗浄液滴下装置
JP2876631B2 (ja) 水洗便器用薬剤注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