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369B1 -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 - Google Patents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369B1
KR102471369B1 KR1020200078592A KR20200078592A KR102471369B1 KR 102471369 B1 KR102471369 B1 KR 102471369B1 KR 1020200078592 A KR1020200078592 A KR 1020200078592A KR 20200078592 A KR20200078592 A KR 20200078592A KR 102471369 B1 KR102471369 B1 KR 102471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electrolyzer
electrolyte
water
electrolyz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678A (ko
Inventor
구교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캔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캔하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캔하이
Priority to KR1020200078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369B1/ko
Priority to PCT/KR2021/006964 priority patent/WO2021261799A1/ko
Priority to JP2022552344A priority patent/JP7430941B2/ja
Publication of KR20220000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Inversing polar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65Special power supply, e.g. solar energy or batt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

Landscapes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변기 사용이 감지되면 전해질을 변기물 탱크에 공급하여 전기분해기를 통해 강한 살균력 및 세정력을 가지는 전해수를 빠르게 생성하고, 상기 전기분해기의 전극 극성을 주기적으로 교차시켜 전극의 수명과 전기분해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상기 전기분해기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전해수 생성을 위한 구조물을 거치형으로 구성하여 변기물 탱크에 간편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ELECTROLYZED WATER GENERATOR FOR BATHROOM AND CONFIGU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변기 사용이 감지되면 전해질을 변기물 탱크에 공급하여 전기분해기를 통해 강한 살균력 및 세정력을 가지는 전해수를 빠르게 생성하고, 상기 전기분해기의 전극 극성을 주기적으로 교차시켜 전극의 수명과 전기분해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상기 전기분해기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전해수 생성을 위한 구조물을 거치형으로 구성하여 변기물 탱크에 간편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는 대소변 겸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람이 깔고 앉는 변기시트, 변기시트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변기시트를 덮는 변기커버, 용변 이후 변기를 세정하기 위한 변기물이 저장되어 있는 변기물 탱크 등으로 구성되어, 사람이 변기시트에 앉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며, 용변을 끝내면 변기커버를 닫아 사용한다.
이때 상기 변기를 세정하기 위한 변기물은 통상적으로 소독되지 않은 일반 수돗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변기물 탱크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수많은 세균이 서식하고 있으며, 변기의 각 구성 부분은 용변이나 습기로 인해 각종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다. 특히, 용변 후 변기물을 사용할 때마다 퍼지는 각종 병원성 세균들은 욕실이나 화장실을 심각하게 오염시킨다.
또한 가정의 욕실이나 화장실, 또는 공공장소의 화장실에 설치되는 변기는 여러 사람이 이용하게 되면서 각종 병원균에 노출되기 쉬우며, 이에 따라 피부염, 위장염, 식중독 등과 같은 각종 질환을 전이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세균에 의한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변기를 주기적으로 세정하여 청결하게 유지하여야 하며, 각종 세균이 번식하는 변기물을 살균 처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더욱이 변기물이 오랫동안 한 곳에 고여 있을 경우 변기물에 박테리아가 번식하여 물 그 자체가 오염될 수도 있기 때문에 변기물의 주기적인 환수도 청결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현재, 상기 변기의 악취방지, 세척, 살균 등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가용성 고체형태로 된 세정제를 변기물 탱크의 내부에 담아두어 세정제를 물에 용해시킨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기물 탱크의 물을 변기로 배출할 때 용해된 일정량의 세정액과 함께 자연적으로 변기로 배출하여 변기에 잔존해 있는 세균이나 침전물을 세척 및 살균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세정제를 이용하는 방법은 변기의 사용빈도에 따라 물에 희석되는 세정제의 용해량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변기 내부로 투입되는 세정액의 양이 일정하지 않으며, 변기를 장시간 사용되지 않는 경우 세정제가 필요 이상으로 포화 상태까지 용해되어 세정제의 사용기간이 단축되는 것은 물론, 농도가 짙은 세정액이 한꺼번에 배수되는 경우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변기의 사용빈도가 높은 경우 세정제가 충분히 물에 용해되지 않은 상황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변기의 세척 및 살균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세정제는 용변 후 물을 내림과 동시에 변기물이 통과하는 노즐이나 배관을 통해서 일정량이 분출되는 것으로, 상기 변기물 탱크에 저장되는 변기물을 직접적으로 살균하는 것이 아니라 변기물이 내려지면서 접촉되는 부분만을 살균하기 때문에 변기물을 완벽하게 세정하는 데에는 그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세정제는 세균에 대한 살균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화학물질로 합성되어 제조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인체에 노출될 경우에는 화상, 염증, 실명 등과 같은 심각한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고, 심한 악취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일정기간마다 교체해주어야 하는 불편함과 이로 인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변기 사용이 감지되면 변기물 탱크로 액상의 전해질을 공급하여 전기분해기의 구동효율을 높임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변기물을 전해수로 신속하게 변환할 수 있으며, 강한 살균력과 세정력을 가지는 전해수의 사용을 통해 별도의 세정제를 사용할 필요없이 변기와 연결 배관을 친환경적으로 살균하고 세정할 수 있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분해기의 전극 극성을 주기적으로 교차시킴에 따라 전극의 수명과 전기분해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상기 전기분해기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변기물 탱크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거치형으로 구성된 구조물을 통해 변기물 탱크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공개특허 제2017-0083207호(2017.07.18.)는 변기살균세척용 전해수생성기에 관한 것으로, 일반 가정 등에 설치된 변기물탱크에 수돗물에 전해질을 첨가하지 않고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살균력이 강한 전해수를 변기내면으로 흘러내려 변기를 편리하게 살균세척 할 수 있으며, 특히, 누구나 휴대하고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변기물탱크에 간단 용이하게 설치하여 별도의 준비 작업이 필요없이 전기분해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전해수를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살균세척수로 사용된 전해수가 하수구로 흘러내려 하수구내면도 살균세척 되고 전해수생성의 편리성과 실용성을 갖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변기물탱크에 담긴 수돗물을 수 십초 동안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살균력이 강한 전해수를 변기내면에 흘러내리게 하여 흘러내리는 전해수에 접촉되는 순간 콜레라균 등을 99.98%이상 살균할 수 있는 변기살균세척용 전해수 생성기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변기물탱크에 담긴 수돗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전해수를 변기내면에 흘러내리게 하여 살균하는 점에서 본 발명과 일부 유사점이 있지만, 본 발명은 사용자의 변기 사용이 감지되면 변기물 탱크로 액상의 전해질을 공급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변기물을 전해수로 신속하게 변환할 수 있고, 전기분해기의 전극 극성을 주기적으로 교차시켜 전극의 수명과 전기분해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상기 전기분해기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변기물 탱크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거치형으로 구성된 구조물을 통해 변기물 탱크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기 선행기술과 본 발명은 구성상 차이점이 분명하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1-0007902호(2001.02.05.)는 청결 화장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장실내의 공기정화 및 변(便) 냄새 제거를 위하여 코로나 방전에 의한 플라즈마(plasma) 발생부와 전기집진부로 구성된 공기정화집진장치와 세척수와 산포기로 구성된 공기 세척장치와 그리고 변기 내의 부착 잔류 변을 분해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수 중에도 강산화성 물질(oxidants)을 생성시키는 전해수 발생장치를 변기에 각각 부설 적용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화장실 내의 공기뿐 만 아니라 변 냄새도 제거함은 물론 변기 내에 부착하는 잔류변 오물들까지도 근원적으로 분해 제거하여 청결한 상태의 화장실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공기정화시스템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전해수 발생장치를 변기에 각각 부설 적용한 점에서 본 발명과 일부 유사점이 있지만, 본 발명은 사용자의 변기 사용이 감지되면 변기물 탱크로 액상의 전해질을 공급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변기물을 전해수로 신속하게 변환할 수 있고, 전기분해기의 전극 극성을 주기적으로 교차시켜 전극의 수명과 전기분해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상기 전기분해기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변기물 탱크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거치형으로 구성된 구조물을 통해 변기물 탱크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구성상 차이점이 분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전기분해기를 변기물 탱크 내부에 설치하여 변기물을 전해수로 변환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세정제를 사용할 필요없이 변기물이 사용될 때 변기와 연결 배관을 친환경적으로 살균하고 세정할 수 있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변기물 탱크 외측에 설치된 본체에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변기 사용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변기물을 전해수로 변환할 수 있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변기 사용이 감지되면 변기물 탱크로 액상의 전해질을 공급하여 전기분해기의 구동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변기물을 강한 살균력과 세정력을 가지는 전해수로 신속하게 변환할 수 있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변기 사용이 감지되면 소금, 구연산, 칼륨, 묽은 염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액상의 전해질을 변기물 탱크로 공급함으로써, 수돗물, 정수기물, 지하수 등 변기물로 사용되는 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전해수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변기물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분해기의 전극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교차시킴으로써, 전극의 수명을 늘리고 전기분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변기물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분해기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가진 변기물 탱크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전기분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을 위한 구조물을 거치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변기물 탱크에 간편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IoT 기술을 사용하여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PC 등의 사용자 단말이나, AI 스피커 등의 스마트홈 디바이스를 활용한 스마트홈 네트워크 제어를 통해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동작상태 확인, 동작설정 변경, 자동 물내림 제어, 응급상황에서의 구호기관 연결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는, 본체; 사용자의 변기 사용에 따라 전기분해를 수행하여 변기물을 전해수로 변환하는 전기분해기;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전기분해기 사이를 연결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거치대를 통해서 상기 전기분해기에 액상의 전해질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전기분해기에서 상기 전해질로 인한 변기물의 전해수 변환을 촉진하여 살균 및 세정효과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부몸체; 상기 전해질이 담긴 전해질 물통; 사용자의 변기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 상기 전해질을 상기 전기분해기로 공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해질 공급모터; 및 상기 인체감지부에서 감지한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의 변기 사용이 감지되면 상기 전기분해기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전해질 공급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해질을 전해질 공급호스를 통해 상기 전기분해기로 공급하여 전기분해를 촉진하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해질은, 소금, 구연산, 칼륨, 염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전해질 물통에 액상으로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해질 물통은, 상기 전해질과 물이 투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상부몸체와 결합할 때 상기 전해질 공급호스가 삽입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자석은, 상기 상부몸체에 구비된 자석의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몸체에 구비된 자석과 결합되거나 탈착됨으로써, 상기 상부몸체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가 스마트폰, 태블릿 및 노트PC를 포함한 사용자 단말이나, AI 스피커를 포함한 스마트홈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동작상태 확인, 동작설정 변경, 자동 물내림 제어, 응급상황에서의 구호기관 연결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는, 일측에 상기 전기분해기가 결합되고, 상기 거치대 일측에 결합된 지지대의 내측 공간부를 승강하여 상기 전기분해기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부는, 표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레일을 통해 상기 지지대의 내측 공간부를 승강하면서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분해기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의 극성은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양극과 음극이 교차되어,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원물로 인하여 전기분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된 제어모듈에서 상기 전기분해기로 전원공급을 위한 전선과, 상기 본체에서 상기 전기분해기로 상기 전해질을 공급하기 위한 이동통로인 전해질 공급호스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 및 전해질 공급호스는,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결합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내측 공간부를 승강하는 높이 조절부의 내부 공간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전기분해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는, 배수 마개; 및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배수 마개와 연결된 연결고리를 감아올려 변기물을 배출하도록 하는 물내림 제어용 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변기의 사용시간을 체크하여 사전에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사용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스마트홈 디바이스로부터 변기물 내림 명령이 수신되면, 자동 물내림을 위한 전원을 상기 물내림 제어용 모터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 구성방법은,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변기물 탱크에 거치되는 거치대를 형성하는 단계; 변기물을 전해수로 변환하는 전기분해기를 형성하는 단계; 전해질이 담긴 전해질 물통, 사용자의 변기 사용을 감지하는 인체감지부, 사용자의 변기 사용이 감지되면 상기 전기분해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상기 전해질을 상기 전기분해기로 공급하는 전해질 공급모터 및 전해질 공급호스를 상기 본체에 구비하는 단계; 상기 본체를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전기분해기를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거치대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에서 상기 전기분해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및 상기 전해질 물통에서 상기 전기분해기로 전해질을 공급하기 위한 전해질 공급호스를 상기 전기분해기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 구성방법은,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결합되는 지지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높이 조절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지지대를 결합하고,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상기 지지대의 내측 공간부를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높이 조절부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높이 조절부의 일측에 상기 전기분해기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 및 전해질 공급호스는, 상기 거치대, 지지대 및 높이 조절부의 각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전기분해기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높이 조절부가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구비된 내측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지지대의 내측 공간부에 삽입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전기분해기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양측 표면에 상기 가이드홈이 결합되는 슬라이드 레일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 구동방법은, 화장실용 전해수기에서, 변기가 사용되면 제어모듈을 통해 전기분해기로 전원공급을 제어함과 동시에, 전해질 공급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본체에 구비된 전해질을 전해질 공급호스를 통해 상기 전기분해기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에서, 상기 전기분해기를 통해 전기분해를 수행하여, 변기물 탱크에 담긴 변기물을 전해수로 변환하되, 상기 전해질 공급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해질을 통해 전기분해를 촉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분해기는, 상기 변기물 탱크에 거치되는 거치대 일측에 결합된 지지대의 내측 공간부를 승강하는 높이 조절부를 통해 승강됨으로써, 상기 변기물 탱크 내부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전기분해기에 구비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극의 극성은,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양극과 음극이 교차됨으로써,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원물로 인하여 전기분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변기 사용이 감지되면 변기물 탱크로 액상의 전해질을 공급하여 전기분해기의 구동효율을 높임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변기물을 전해수로 신속하게 변환할 수 있으며, 강한 살균력과 세정력을 가지는 전해수의 사용을 통해 별도의 세정제를 사용할 필요없이 변기와 연결 배관을 친환경적으로 살균하고 세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분해기의 전극 극성을 주기적으로 교차시킴에 따라 전극의 수명과 전기분해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상기 전기분해기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전해수 생성을 위한 구조물을 거치형으로 구성하여 변기물 탱크에 간편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본인이 소지한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동작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본체와 전해질 물통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를 변기물 탱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전기분해기의 높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에서의 자동 물내림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사용자 단말이나 스마트홈 디바이스를 통해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동작상태 확인, 동작설정 변경 및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 구성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는 인체감지부(113)를 통해 사용자의 변기 사용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결과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면 변기물 탱크에 담긴 변기물을 전기분해기(150)를 통해 전해수로 변환하며, 전기분해를 수행할 때 전해질 물통(112)에 담긴 전해질을 상기 전기분해기(150)로 공급하여 전기분해의 효율을 높임으로써, 강한 살균력과 세정력을 갖는 전해수를 신속하게 발생시킨다.
즉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는 변기물 탱크의 외측에 구비되는 본체(110)에 상기 인체감지부(113)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변기 사용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기 전기분해기(150)를 통해 변기물을 전기분해하여 전해수로 변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는 사용자의 변기 사용이 감지되면, 전기분해를 시작함과 동시에, 소금, 구연산, 염산, 칼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전해질을 변기물에 공급하여, 수돗물, 정수기물, 지하수 등 변기물로 사용되는 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전기가 보다 잘 흐르도록 하여 전기분해를 촉진시킴으로써, 변기물을 전해수로 빠르게 변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는 사용자가 별도의 세정제를 사용할 필요없이, 변기물이 사용될 때 변기와 연결 배관을 친환경적으로 살균하고 세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는 변기물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전기분해기(150)의 전극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교차시킴으로써, 전극의 수명을 늘리고 전기분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전기분해기(150)에 포함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극의 극성을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교차시킴으로써, 전기분해 과정에서 음극에 달라붙는 양이온으로 인해 발생하는 흰가루와 같은 환원물에 의한 전기분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는 높이 조절부(140)를 통해 상기 전기분해기(15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가진 변기물 탱크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는 전해수 생성을 위한 구조물을 거치형으로 구성(즉 역U자형의 거치대(120))함으로써, 변기물 탱크의 상부 측면에 간편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거치대(120)를 기준으로 본체(110)는 변기물 탱크의 외측에 구비하도록 하고, 지지대(130), 높이 조절부(140) 및 전기분해기(150)는 변기물 탱크의 내측에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도 6 참조) 이때 상기 거치대(120)의 형태는 역U자형 이외에, ㄷ자 형태 및 다른 고정형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변기물 탱크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는 도 4의 전원공급단자(119)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구비된 배터리를 사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는 사용자가 본인이 소지한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PC 등의 사용자 단말이나, AI 스피커 등의 스마트홈 디바이스를 활용한 스마트홈 네트워크 제어를 통해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동작상태 확인, 동작설정 변경, 자동 물내림 제어, 응급상황에서의 구호기관 연결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10 참조)
한편,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는 본체(110), 거치대(120), 지지대(130), 높이 조절부(140), 전기분해기(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전원상태나 사용상태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각종 동작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원격의 사용자 단말(300)에서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거나 동작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변기물 탱크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거치대(120)의 일측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변기물 탱크의 일측에 설치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변기물 탱크의 뚜껑이나 변기 주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본체(1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상부몸체(111)와 전해질 물통(112)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몸체(111)에는 인체감지부(113), 전해질 공급모터(114), 전해질 공급호스(115), 제어모듈(116), 버튼부(117), 표시부(118) 및 전원공급단자(119)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몸체(111)의 하면에는 자석(11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전해질 물통(112)과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전해질 물통(112)의 상면에 구비된 자석(112b)과 결합되거나 탈착함으로써, 상기 전해질 물통(112)과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이다.(도 5 참조)
상기 전해질 물통(112)은 상기 상부몸체(111)의 하부에 자석 탈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며, 내부에 전해질이 담겨져 있다.
이때 상기 전해질 물통(112)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112a),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112b), 뚜껑(113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구부(112a)는 상기 전해질 물통(112)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해질과 물이 내부로 투입되고, 상기 상부몸체(111)와 결합할 때 상기 전해질 공급호스(115)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자석(112b)은 상기 개구부(112a) 주변의 상기 상부몸체(111)의 하면에 구비된 자석(111a)의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상부몸체(111)에 구비된 자석(111a)과 결합되거나 탈착됨으로써, 상기 상부몸체(111)에 결합되거나 분리된다.(도 6 참조)
상기 뚜껑(113c)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12a)를 밀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전해질 물통(112)에 전해질과 물(대략 250ml)을 채운 후, 상기 전해질을 물에 녹이는 시간(예: 5분)동안 전해질이나 물이 상기 개구부(112a)를 통해 외부로 흐르거나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뚜껑(113c)을 닫아두는 것이다.
상기 전해질은 소금, 구연산, 칼륨, 염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고형의 분말로 구성되며,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를 사용할 때 상기 전해질 물통(112)에 투입된 후, 물로 녹여 액상 형태로 사용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전해질 물통(112)을 상기 상부몸체(111)로부터 분리한 후, 정해진 양의 전해질을 상기 전해질 물통(112)에 넣고, 수돗물이나 정수기물을 채워 소정시간동안 녹인 다음, 상기 상부몸체(111)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인체감지부(113)는 적외선을 방출하여 사람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PIR(Pyroelectric Infrared Sensor) 센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111)의 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변기 사용 여부를 감지하며, 감지결과를 상기 상부몸체(111) 내부에 구비된 제어모듈(116)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인체감지부(113)는 상기 상부몸체(111)에 구비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화장실 내부의 소정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체감지부(113)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상부몸체(111)에 구비된 제어모듈(116)로 감지 결과를 전송하여야 한다.
상기 전해질 공급모터(114)는 상기 전해질 물통(112)에 담긴 전해질을 상기 전기분해기(150)로 공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전해질 공급호스(115)는 상기 전해질 물통(112)에서 상기 상부몸체(111)를 거쳐 상기 전기분해기(150)로 전해질을 공급하기 위한 이동통로로서, 상기 전해질 공급모터(114)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전해질 물통(112)에 담긴 전해질을 상기 전기분해기(150)로 공급한다.
상기 제어모듈(116)은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상부몸체(1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16)은 상기 인체감지부(113)에서 감지한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의 변기 사용이 감지되면 상기 전기분해기(150)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전해질 공급모터(114)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해질 물통(112)에 담긴 전해질을 상기 전해질 공급호스(115)를 통해 상기 전기분해기(150)로 공급하여 전기분해를 촉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116)은 상기 전기분해기(150)로 전해질을 공급할 때 사전에 정해진 양만큼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해질 물통(112)에 담긴 액상의 전해질 양을 센서(미도시)를 통해 수시로 체크하여 부족한 경우 이를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제때에 전해질을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16)은 사용자의 상기 버튼부(117)의 조작에 따른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며,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동작상태여부를 상기 표시부(118)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16)은 사용자가 스마트폰, 태블릿 및 노트PC를 포함한 사용자 단말이나, AI 스피커를 포함한 스마트홈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동작상태 확인, 동작설정 변경, 자동 물내림 제어, 응급상황에서의 구호기관 연결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16)은 사용자가 IoT 기술 및 스마트홈 네트워크 제어를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AI 스피커 등의 스마트홈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기분해기(150)의 동작시간, 전해질 공급시간, 전해질 공급량을 포함한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동작설정 변경, 자동 물내림 제어, 응급상황에서의 구호기관 연결 등의 제어를 지원하는 것이다.
상기 버튼부(117)는 상기 상부몸체(111)의 전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전원 온오프를 수행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버튼부(117)는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전원 온오프 기능 이외에, 상기 전기분해기(150)의 동작시간, 전해질 공급시간 및 공급량과 관련한 데이터 입력을 추가로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8)는 LED, LCD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18)는 상기 전기분해기(150)의 현재 구동상태 및 설정상태와 관련한 표시를 추가로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단자(119)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111)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111)와 전해질 물통(112)은 자석을 이용한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자력이 약화되거나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111)와 전해질 물통(112)이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몸체(111)와 전해질 물통(112)이 결합되는 부분에 고정부재(미도시)를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자력 약화나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몸체(111)와 전해질 물통(112)의 외측에 클립을 구성하여, 결합시 클립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상부몸체(111)와 전해질 물통(112) 상호간을 자석 착탈과 함께 고정시키거나, 또는 상기 상부몸체(111)와 전해질 물통(112)의 결합부분 내측에 홈과 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결합시 홈과 돌기가 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몸체(111)와 전해질 물통(112) 상호간을 자석 착탈과 함께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거치대(120)는 상기 본체(110)와 상기 전기분해기(15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역U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변기물 탱크의 상부 및 측면에 거치된다. 즉 상기 거치대(120)는 상기 변기물 탱크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본체(110)와 상기 변기물 탱크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대(130), 높이 조절부(140) 및 전기분해기(150)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치대(120)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모듈(116)에서 상기 전기분해기(150)로 전원공급을 위한 전선(미도시)과, 상기 전해질 물통(112)에서 상기 상부몸체(111)를 거쳐 상기 전기분해기(150)로 전해질을 공급하기 위한 전해질 공급호스(115)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선 및 전해질 공급호스(115)는 상기 거치대(120)의 일측에 결합된 지지대(130), 및 상기 지지대(130)의 내측 공간부를 승강하는 높이 조절부(140)의 내부 공간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전기분해기(150)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전해질은 상기 거치대(120), 지지대(130) 및 높이 조절부(140)에 각각 매립된 파이프(미도시)를 통해 상기 전기분해기(150)로 공급될 수 있으며, 전선도 상기 파이프를 통해 상기 전기분해기(15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30)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된 내측 공간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일측에는 상기 거치대(120)가 결합되며, 상기 내측 공간부에는 상기 높이 조절부(140)가 결합된다.
상기 높이 조절부(140)는 하부 일측에 상기 전기분해기(150)가 결합되며, 상기 거치대(120)의 일측에 결합된 상기 지지대(130)의 내측 공간부를 승강하여 상기 전기분해기(15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도 7 참조)
이때 상기 높이 조절부(140)는 표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레일(141)을 통해 상기 지지대의 내측 공간부를 승강하면서 상기 전기분해기(150)의 높이를 조절한다. 즉 상기 지지대(130)의 내측 공간부에는 상기 높이 조절부(140)가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레일(141)을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높이 조절부(140)가 상기 지지대(130)의 내측 공간부를 승강하면서 상기 전기분해기(15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기분해기(150)는 상기 높이 조절부(140)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변기물 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변기 사용 감지에 따라 전기분해를 수행하여 변기물을 전해수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전기분해기(150)는 상기 인체감지부(113)를 통한 사용자의 변기 사용 감지를 토대로 상기 제어모듈(11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분해를 수행함으로써, 변기물을 전해수로 변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기분해기(150)는 상기 전해질 공급호스(115)를 통해 상기 전해질 탱크(112)에 담긴 전해질을 공급받아 전기분해를 촉진함으로써, 변기물을 전해수로 신속하게 변환할 수 있다.(도 8 참조)
즉 상기 전해질은 상기 전기분해기(150)를 통해 변기물을 전기분해하는 과정에서 100% 가깝게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빠르게 분리하여 전류가 잘 흐르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전기분해기(150)가 동작할 때 상기 전해질로 인해서 전기분해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기분해기(15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의 극성은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양극과 음극을 교차시킴으로써,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원물이 음극에 들러붙어 전기분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기분해기(150)는 변기물의 전기분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변기물 탱크의 하부면에 가깝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본체와 전해질 물통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는 상기 상부몸체(111)와 상기 전해질 물통(112)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해질 물통(112)에 고형의 전해질과 물을 넣어 액상의 전해질을 만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전해질 물통(112)을 파지한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여 상기 상부몸체(111)의 하면에 구비된 자석(111a)과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전해질 물통(112)의 상면에 구비된 자석(112b) 간의 자력을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상부몸체(111)와 상기 전해질 물통(112)을 분리한다.
또한 상기 전해질 물통(112)에 고형의 전해질과 물을 넣어 액상의 전해질을 만든 이후, 사용자는 상기 전해질 물통(112)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전해질 물통(112)의 상면에 구비된 자석(112b)과 상기 상부몸체(111)의 하면에 구비된 자석(111a) 간을 일치시킴으로써, 상기 상부몸체(111)와 상기 전해질 물통(112)을 결합한다.
이때 자력이 약화되거나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111)와 전해질 물통(112)이 분리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몸체(111)와 전해질 물통(112)이 결합되는 부분에 고정부재(미도시)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를 변기물 탱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는 역U자형으로 형성된 상기 거치대(120)를 중심으로 상기 변기물 탱크(200)의 외측에 상기 본체(110)가 위치하며, 상기 변기물 탱크(200)의 내부에 상기 거치대(120), 지지대(130), 높이 조절부(140) 및 전기분해기(150)가 위치한다.
이때 상기 높이 조절부(140)는 상기 변기물 탱크(200)의 바닥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을 수행하면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해질이 상기 변기물 탱크(200)의 하부에 가라앉기 때문에 상기 전해질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전기분해기의 높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 조절부(140)는 상기 지지대(130)의 내측 공간부를 승강하면서 상기 전기분해기(15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기물 탱크(200)의 깊이가 깊지 않아 상기 전기분해기(150)가 상기 변기물 탱크(200)의 내측 하부면에 위치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도 7의 (a)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높이 조절부(140)를 축소한 상태 그대로 설치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변기물 탱크(200)의 깊이가 깊어 상기 전기분해기(150)가 상기 변기물 탱크(200)의 내측 하부면에 위치하지 못하고 중간이나 상측에 위치할 경우에는, 도 7의 (b)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높이 조절부(140)를 상기 지지대(130)로부터 신장시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높이 조절부(140)는 표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레일(141)과 상기 지지대(130)의 내측 공간부에 형성된 가이드홈(미도시)이 맞물려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분해기(150)는 상기 본체(110)의 제어모듈(116)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전기분해를 수행하여 상기 변기물 탱크(200)에 담긴 변기물을 전해수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전기분해기(150)는 상기 전해질 탱크(112)에 담긴 전해질을 공급받아 전기분해를 촉진함으로써, 변기물을 전해수로 변환할 때 시간을 빠르게 단축할 수 있다. 즉 상기 전해질을 통해 전류가 더 잘 흐르고, 이에 따라 상기 전기분해기(150)에서 수행하는 전기분해를 통해 변기물이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빠르게 분리되어 전해수가 빠르게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기분해 과정에서 상기 전기분해기(150)를 구성하는 각 전극 중 음극에 환원물이 들러붙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전기분해 성능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기분해기(150)에 포함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극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교차시킴으로써, 전기분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에서의 자동 물내림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는 자동 물내림 기능을 추가로 제공한다.
즉 변기물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으면, 좌변기에 고여진 물로 인해 물때나 곰팡이가 발생하여 좌변기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는 변기가 장시간 사용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소정 시간의 경과를 체크하여 자동으로 변기물을 내리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이나 스마트홈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변기물을 내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어모듈(116)에서는 변기의 사용시간을 체크하여 사전에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사용되지 않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 또는 스마트홈 디바이스로부터 변기물 내림 명령이 수신되면, 자동 물내림을 위한 전원을 물내림 제어용 모터(160)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물내림 제어용 모터(160)에 연결되는 전원선은 상기 제어모듈(116)과 상기 전기분해기(150) 사이를 연결한 전원선에서 분기한 것이다.
상기 물내림 제어용 모터(160)는 상기 제어모듈(116)의 제어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구동되어 배수 마개(170)와 연결된 연결고리를 서서히 감아 올리고, 이에 따라 상기 배수 마개(170)가 오픈되어 상기 변기물 탱크(200)에 담긴 변기물을 변기로 배출한다.
또한 상기 변기물 탱크(200)에 담긴 상기 변기물의 배출이 마무리되면, 상기 배수 마개(170)는 닫히고, 상기 물내림 제어용 모터(160)에 의해 감아진 연결고리는 원위치된다. 이에 따라 변기를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사용자 단말이나 스마트홈 디바이스를 통해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동작상태 확인, 동작설정 변경 및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인이 소지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 PC 등의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고, 동작설정 변경이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는 WiFi, LTE, 5G 등의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300)과 통신 접속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IoT 기술을 이용하여 변기물 탱크(200)에 거치된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동작을 원격에서 확인하고,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한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동작상태 확인, 동작설정 변경 및 제어 이외에,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I 스피커 등의 스마트홈 디바이스를 활용한 스마트홈 네트워크 제어를 통해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고, 동작설정 변경이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I 스피커를 이용해서 '변기 청소해'라는 음성명령을 수행하면,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에서 자동 물내림을 통해 변기를 청소하거나, '응급상황이 발생했으니, 소방서에 신고해줘'라는 음성명령을 수행하면, 기 등록된 소방서나 경찰서에 연락을 수행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 구성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구성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 구성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부몸체(111)와 전해질 물통(112)을 포함하는 본체(110)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S101), 변기물 탱크(200)의 상부 일측에 거치되는 거치대(120)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2).
이때 상기 S101 단계에서 상기 전해질 물통(112)을 형성할 때, 상기 전해질과 물이 내부에 투입되고, 상기 상부몸체(111)와 결합할 때 상기 전해질 공급호스(115)가 삽입되는 개구부(112a)를 상부에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12a) 주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112b)을 추가로 구비하여야 한다. 상기 자석(112b)은 상기 전해질 물통(112)을 상기 상부본체(111)의 하부에 결합할 때, 상기 상부몸체(111)의 하면에 구비된 자석(111a)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어서, 상기 거치대(1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지지대(130)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고(S103), 상기 지지대(130)의 하부에 결합되는 높이 조절부(140)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며(S104), 상기 변기물 탱크(200) 내의 변기물을 전해수로 변환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분해기(150)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5).
이때 상기 S103 단계를 통해 상기 지지대(130)를 형성할 때, 상기 높이 조절부(140)가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미도시)이 구비된 내측 공간부를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S104 단계를 통해 상기 높이 조절부(140)를 형성할 때, 상기 지지대(120)의 내측 공간부에 삽입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전기분해기(15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양측 표면에 상기 가이드홈이 결합되는 슬라이드 레일(141)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후, 사용자의 변기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113), 제어모듈(116)의 제어를 토대로 전해질을 상기 전기분해기(150)로 공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해질 공급모터(114), 상기 전해질을 상기 전기분해기(150)로 공급하기 위한 이동통로인 전해질 공급호스(115), 상기 인체감지부(113)를 통한 사용자의 변기 사용 감지를 토대로 상기 전기분해기(15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16),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전원 온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버튼부(117),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8),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에서 사용하는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119)를 상기 S101 단계에서 형성한 상기 본체(110)의 상부몸체(111)에 설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6).
상기 S106 단계에서 구성한 상기 본체(110)의 상부몸체(111) 하부에 상기 전해질 물통(112)을 결합한 후, 상기 본체(110)를 상기 S012 단계에서 형성한 상기 거치대(120)의 일측에 결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7).
이어서, 상기 거치대(120)의 다른 일측에 상기 S103 단계에서 형성한 상기 지지대(130)를 결합하고, 상기 지지대(130)의 하부에 상기 S104 단계에서 형성한 상기 높이 조절부(140)를 결합하는 단계를 수행하여(S108), 상기 높이 조절부(140)가 상기 지지대(130)의 내측 공간부를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S105 단계에서 형성한 상기 전기분해기(150)를 상기 높이 조절부(140)의 하부 일측에 결합하는 단계를 수행하며(S109), 상기 거치대(120), 지지대(130) 및 높이 조절부(140)의 각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116)에서 상기 전기분해기(15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및 상기 전해질 물통(112)에서 상기 전기분해기(150)로 전해질을 공급하기 위한 전해질 공급호스(115)를 연결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S110),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설치를 마무리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동작과정을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를 변기물 탱크(200)에 설치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전해질 물통(112)을 손으로 파지한 후 하부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상부몸체(111)에서 분리한 후, 상기 전해질 물통(112)의 개구부(112a)를 통해 고형의 전해질과 물을 투입하여 소정시간동안 상기 고형의 전해질을 물에 녹인 다음, 상기 전해질 물통(112)을 상기 상부몸체(111)에 결합한다.
이어서, 상기 변기물 탱크(200)에 거치대(120)를 중심으로 외부에는 본체(110)가 위치하고, 내부에는 지지대(130), 높이 조절부(140) 및 전기분해기(150)가 위치하도록 거치한 후, 상기 높이 조절부(140)를 통해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전기분해기(150)가 상기 변기물 탱크(200)의 바닥면에 닿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전기분해기(150)는 상기 변기물 탱크(200)에 거치되는 상기 거치대(120) 일측에 결합된 상기 지지대(130)의 내측 공간부를 승강함으로써, 상기 변기물 탱크(200)의 내부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를 상기 변기물 탱크(200)에 설치한 상태에서, 본체(110)에 구비된 제어모듈(116)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해 버튼부(117)를 조작하는지를 판단하고(S201), 상기 버튼부(117)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전원을 온 시킨다.
상기 S201 단계를 통해 사용자의 상기 버튼부(117) 조작에 따라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전원이 켜진 이후, 상기 제어모듈(116)은 상기 상부몸체(111)의 일측에 구비된 인체감지부(113)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변기 사용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202).
상기 S202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의 변기 사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모듈(116)은 전기분해기(115)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수행하고(S203), 이와 동시에 전해질 공급모터(114)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해질 물통(112)에 담긴 전해질을 전해질 공급호스(115)를 통해 상기 전기분해기(150)로 공급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4).
그러면, 상기 전기분해기(150)는 상기 제어모듈(116)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전기분해를 수행하여, 상기 변기물 탱크(200)에 담긴 변기물을 전해수로 변환하되, 상기 전해질 공급호스(115)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해질을 통해 전기분해를 촉진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205).
또한 상기 제어모듈(116)은 사용자가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해 상기 버튼부(117)를 조작하는지를 판단하여(S206),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의 오프 조작이 이루어질 때까지 사용자의 변기 사용에 따라 전기분해를 통해 변기물을 전해수로 변환하는 상기 S202 단계 내지 S205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는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원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전기분해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분해기(150)에 구비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극의 극성은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양극과 음극을 교차시킨다.
또한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100)는 상기 전해질 물통(112)에 담긴 전해질의 잔여량을 센서(미도시)를 통해 수시로 체크하여 부족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고형의 전해질과 물을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사용자의 변기 사용이 감지되면 변기물 탱크로 액상의 전해질을 공급하여 전기분해기의 구동효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변기물을 전해수로 신속하게 변환할 수 있으며, 강한 살균력과 세정력을 가지는 전해수의 사용을 통해 별도의 세정제를 사용할 필요없이 변기와 연결 배관을 친환경적으로 살균하고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분해기의 전극 극성을 주기적으로 교차시킴에 따라 전극의 수명과 전기분해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상기 전기분해기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전해수 생성을 위한 구조물을 거치형으로 구성하여 변기물 탱크에 간편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본인이 소지한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동작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화장실용 전해수기 110 : 본체
111 : 상부몸체 111a : 자석
112 : 전해질 물통 112a : 개구부
112b : 자석 112c : 뚜껑
113 : 인체감지부 114 : 전해질 공급모터
115 : 전해질 공급호스 116 : 제어모듈
117 : 버튼부 118 : 표시부
119 : 전원공급단자 120 : 거치대
130 : 지지대 140 : 높이 조절부
141 : 슬라이드 레일 150 : 전기분해기
160 : 물내림 제어용 모터 170 : 배수 마개
200 : 변기물 탱크 300 : 사용자 단말

Claims (13)

  1.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에 결합되는 전해질 물통을 포함하는 본체;
    사용자의 변기 사용에 따라 전기분해를 수행하여 변기물을 전해수로 변환하는 전기분해기;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전기분해기 사이를 연결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전해질 물통은, 상기 전해질과 물이 투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상부몸체와 결합할 때 전해질 공급호스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와 상호간을 착탈하거나, 상기 착탈과 함께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해질 공급호스를 통해 상기 전해질 물통에 담긴 전해질을 상기 거치대를 거쳐 상기 전기분해기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전기분해기에서 상기 전해질로 인한 변기물의 전해수 변환을 촉진하여 살균 및 세정효과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변기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
    상기 전해질을 상기 전기분해기로 공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해질 공급모터; 및
    상기 인체감지부에서 감지한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의 변기 사용이 감지되면 상기 전기분해기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전해질 공급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해질을 상기 전해질 공급호스를 통해 상기 전기분해기로 공급하여 전기분해를 촉진하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소금, 구연산, 칼륨, 염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전해질 물통에 액상 형태로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가 스마트폰, 태블릿 및 노트PC를 포함한 사용자 단말이나, AI 스피커를 포함한 스마트홈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의 동작상태 확인, 동작설정 변경, 자동 물내림 제어, 응급상황에서의 구호기관 연결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는,
    일측에 상기 전기분해기가 결합되고,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결합된 지지대의 내측 공간부를 승강하면서 상기 전기분해기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부는,
    표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레일을 통해 상기 지지대의 내측 공간부를 승강하면서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기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극의 극성은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양극과 음극이 교차되어,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원물로 인하여 전기분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된 제어모듈에서 상기 전기분해기로 전원공급을 위한 전선과, 상기 본체에서 상기 전기분해기로 상기 전해질을 공급하기 위한 이동통로인 상기 전해질 공급호스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 및 전해질 공급호스는,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결합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내측 공간부를 승강하는 높이 조절부의 내부 공간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전기분해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는,
    배수 마개; 및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수 마개와 연결된 연결고리를 감아올려 변기물을 배출하도록 하는 물내림 제어용 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변기의 사용시간을 체크하여 사전에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사용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스마트홈 디바이스로부터 변기물 내림 명령이 수신되면, 자동 물내림을 위한 전원을 상기 물내림 제어용 모터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10.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에 결합되는 전해질 물통을 포함하는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변기물 탱크에 거치되는 거치대를 형성하는 단계;
    변기물을 전해수로 변환하는 전기분해기를 형성하는 단계;
    사용자의 변기 사용을 감지하는 인체감지부, 사용자의 변기 사용이 감지되면 상기 전기분해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전해질을 상기 전기분해기로 공급하는 전해질 공급모터 및 전해질 공급호스를 상기 본체에 구비하는 단계;
    상기 본체를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전기분해기를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거치대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에서 상기 전기분해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및 상기 전해질 물통에서 상기 전기분해기로 전해질을 공급하기 위한 전해질 공급호스를 상기 전기분해기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해질 물통은, 상기 전해질과 물이 투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상부몸체와 결합할 때 전해질 공급호스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와 상호간을 착탈하거나, 상기 착탈과 함께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해질 공급호스를 통해 상기 전해질 물통에 담긴 전해질을 상기 거치대를 거쳐 상기 전기분해기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전기분해기에서 상기 전해질로 인한 변기물의 전해수 변환을 촉진하여 살균 및 세정효과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구성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 구성방법은,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결합되는 지지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높이 조절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지지대를 결합하고,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상기 지지대의 내측 공간부를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높이 조절부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높이 조절부의 일측에 상기 전기분해기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 및 전해질 공급호스는, 상기 거치대, 지지대 및 높이 조절부의 내부 공간을 거쳐 상기 전기분해기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구성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높이 조절부가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구비된 내측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지지대의 내측 공간부에 삽입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전기분해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양측 표면에 상기 가이드홈이 결합되는 슬라이드 레일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구성방법.
  13. 화장실용 전해수기에서, 변기가 사용되면 제어모듈을 통해 전기분해기로 전원공급을 제어함과 동시에, 전해질 공급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본체의 전해질 물통에 구비된 전해질을 전해질 공급호스를 통해 상기 전기분해기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장실용 전해수기에서, 상기 전기분해기를 통해 전기분해를 수행하여, 변기물 탱크에 담긴 변기물을 전해수로 변환하되, 상기 전해질 공급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해질을 통해 전기분해를 촉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해질 물통은, 상기 전해질과 물이 투입되는 부분으로서, 상부몸체와 결합할 때 전해질 공급호스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와 상호간을 착탈하거나, 상기 착탈과 함께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기분해기는, 상기 변기물 탱크에 거치되는 거치대 일측에 결합된 지지대의 내측 공간부를 승강하는 높이 조절부를 통해 승강됨으로써, 상기 변기물 탱크 내부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전기분해기에 구비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극의 극성은,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양극과 음극이 교차됨으로써,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원물로 인하여 전기분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전해질 공급호스를 통해 상기 전해질 물통에 담긴 전해질을 상기 거치대를 거쳐 상기 전기분해기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전기분해기에서 상기 전해질로 인한 변기물의 전해수 변환을 촉진하여 살균 및 세정효과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전해수기 구동방법.
KR1020200078592A 2020-06-26 2020-06-26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 KR102471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592A KR102471369B1 (ko) 2020-06-26 2020-06-26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
PCT/KR2021/006964 WO2021261799A1 (ko) 2020-06-26 2021-06-03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
JP2022552344A JP7430941B2 (ja) 2020-06-26 2021-06-03 トイレ用電解水生成器、並びにその構成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592A KR102471369B1 (ko) 2020-06-26 2020-06-26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78A KR20220000678A (ko) 2022-01-04
KR102471369B1 true KR102471369B1 (ko) 2022-11-28

Family

ID=79281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592A KR102471369B1 (ko) 2020-06-26 2020-06-26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430941B2 (ko)
KR (1) KR102471369B1 (ko)
WO (1) WO2021261799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548Y1 (ko) * 1998-11-18 2001-01-15 강한식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KR20110134584A (ko) * 2010-06-09 2011-12-15 이인종 수도수를 이용한 복합 살균수 제조 장치
KR101776029B1 (ko) * 2015-08-06 2017-09-07 구교필 변기물 살균장치 및 그 방법
KR101915717B1 (ko) * 2016-05-18 2019-01-07 (주)미라클인 전해기능을 갖는 순환펌프가 구비된 변기
KR102057948B1 (ko) * 2018-05-14 2019-12-20 백승일 자동 물내림 장치
JP2020007806A (ja) * 2018-07-10 2020-01-16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イレ清浄化装置、トイレの清浄化ユニット、およびトイ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61799A1 (ko) 2021-12-30
JP2023529049A (ja) 2023-07-07
JP7430941B2 (ja) 2024-02-14
KR20220000678A (ko)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3169B (zh) 坐便器用水消毒装置及其方法
CN100529279C (zh) 生活用水分级使用的节水方法及其自动控制分级用水的装置
WO1996006237A1 (en) Toilet stool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CN102979154B (zh) 马桶的自动消毒装置
CN203716234U (zh) 一种废水循环利用系统
JP2010121276A (ja) 小便器システム
KR102471369B1 (ko) 화장실용 전해수기 및 그 구성방법
JP2007332537A (ja) トイレ装置
CN203200831U (zh) 浴柜式家庭节水装置
KR102433024B1 (ko)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CN111074990A (zh) 一种自压式出水式小便器
KR20100060411A (ko) 손 소독기능을 갖춘 소변기
JP6836898B2 (ja) 微細気泡含有水生成装置
JP2006207328A (ja) 洗浄水生成装置
CN105297867B (zh) 小便器装置及小便器组件
KR102284684B1 (ko) 변기물 살균장치 및 그 구성방법
CN210086399U (zh) 一种具有厕所用水系统的移动厕所
KR101358562B1 (ko)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남성 인식 소변기 세척장치
CN217651926U (zh) 一种适用于马桶冲水的电解消毒系统
CN215607860U (zh) 一种马桶用一体式紫外线杀菌灯
KR200445937Y1 (ko) 소변기의 세정제 자동공급장치
KR102521636B1 (ko) 양변기용 전해위생수 및 비데용 수소수 제조 및 공급장치
JP4305130B2 (ja) 家庭用配管設備
WO2017023007A1 (ko) 변기물 살균장치 및 그 방법
CN102518183B (zh) 家用中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