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862A -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862A
KR20210054862A KR1020190141055A KR20190141055A KR20210054862A KR 20210054862 A KR20210054862 A KR 20210054862A KR 1020190141055 A KR1020190141055 A KR 1020190141055A KR 20190141055 A KR20190141055 A KR 20190141055A KR 20210054862 A KR20210054862 A KR 20210054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housing
toilet
washing 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은영
Original Assignee
서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은영 filed Critical 서은영
Priority to KR1020190141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4862A/ko
Publication of KR20210054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척수 탱크(2)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외부의 세척수 공급호스(3)가 연결되고 수위에 따라 작동되는 부구(4)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8')를 구비한 좌변기에 세정제를 공급하기 위한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수파이프(7)에 결합되는 오목한 형태로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13), 상기 하우징(13)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세정제 고형분(14)을 수용하는 수용부(15)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분기호스(6)에 연결되어 분기호스를 통해 세척수가 유입되게 연결관(161)이 형성된 캡(16)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캡(16)의 연결관(161)을 통해 유입된 세척수가 세정제 고형분에 접촉되어 세정제가 녹은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세척수 탱크내의 세척수에 과도한 세정제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탱크내의 금속부품과 고무팩킹 등이 세정제의 성분에 의해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와, 세정수가 좌변기에 일정 수위로 미리 공급되는 세척수에만 공급되어 세정제 투입량을 절감할 수 있어 수질환경 오염을 최소화하며, 콤팩트한 구조로 급수관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세정제 교체를 쉽게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A DETERGENT SUPPLY APPARATUS FOR TOILET BOWL}
본 발명은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변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에 세정제가 과도하게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좌변기 부품의 부식 방지 및 세정제 약품의 과도한 소모를 방지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물탱크에 세척수를 저장하고, 변기에 형성된 저수부에 미리 소정 량으로 수용된 세척수에 더하여 물탱크로 부터의 세척수를 흘려보내 오물이 세척수와 함께 쓸려내려가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변기의 저수부 표면에는 오물이 묻어 악취와 세균이 번식되기 때문에, 잦은 청소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변기의 저수부 표면에 오물이 묻지 않도록 세정제를 세척수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세정제 공급은 예를들어, 물탱크의 세척수에 고형 세정제를 단순히 잠겨 있도록 하여 세정제가 세척수에 풀어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변기용 세정제는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와 알콜계 성분과 염료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구성되어 변기의 표면에 오물에 의한 때가 쌓이지 않도록 하는 세정작용과 소독작용을 하고 착색된 변기의 파란 물로서 사용자에게 청결감과 심미감은 느끼게 하고 있다.
그러나, 고형의 세정제가 물탱크의 세척수에 잠겨 있음에 따라 세정제 성분이 과도하게 세척수에 녹아서 물탱크의 금속부품을 부식시키고 고무팩킹을 삭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455430호(등록일자 2011년08월30일)에는, 세정제가 저장되며 변기의 저장수 탱크 내부에 위치하는 세정제 저장통, 양단이 필 밸브와 플러시 밸브 사이의 급수관에 연결되며, 중앙부의 관경(管徑)(wc)이 주변부의 관경(ws)보다 좁으며, 상기 중앙부에 관통 홀을 포함하는 벤츄리관, 상기 세정제 저장통과 상기 관통 홀을 연결하는 세정제 공급관, 및 상기 세정제 공급관의 관경을 조절할 수 있는 관경 조절 나사를 포함하되, 상기 세정제는 상기 급수관에 저장수가 통과하는 경우에 상기 벤츄리관 중앙부에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세정제 저장통으로부터 상기 급수관으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세정제 자동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변기용 세정제 자동공급장치는 벤츄리관의 저장수 입력측에 체크 밸브를 구비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별도의 세정제 저장통을 세척수 탱크내의 협소한 공간에 수용해야 하는데 불편과 세척수 탱크로의 물의 공급시에 계속하여 세정제가 투입되어 세정제의 과도한 투입의 문제에 따른 종래의 역류방지기의 부품, 팩킹 등의 부식 문제가 여전히 있었다. 이와 같은 세척수 탱크내의 역류방지기 부품과 팩킹의 부식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또한 탱크내의 세척수가 역류하여 수압이 높은 다른 가구로 흘러들어가거나 팩킹의 부식의 경우에는 하층의 다른 가구로 세정제가 녹은 세척수가 누수되어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야기되기도 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455430호(등록일자 2011년08월30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변기 세정제 공급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척수 저장 탱크에 설치된 급수부에서 분기된 분기관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가 세정제 수용부로 향하도록 하여 좌변기에 일정 수위로 잔류수 공급을 위한 세척수에만 세정제가 공급되도록 하여 세정제의 과도한 용해를 방지하여 세척수 탱크내의 금속부품과 팩킹 등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세정제 소모를 저감시키도록 개선된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는, 세척수 탱크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외부의 세척수 공급호스가 연결되고 수위에 따라 작동되는 부구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를 구비한 좌변기에 세정제를 공급하기 위한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세정제 공급장치에 의해 세척수 탱크내의 세척수에 과도한 세정제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탱크내의 금속부품과 고무팩킹 등이 세정제의 성분에 의해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와, 세정수가 좌변기에 일정 수위로 미리 공급되는 잔류 세척수에만 공급되어 세정제 투입량을 절감할 수 있어 수질환경 오염을 최소화하며, 콤팩트한 구조로 기존의 급수관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세정제 교체를 쉽게 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세정제 공급장치가 적용되는 좌변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정제 공급장치가 채용된 도 1 좌변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좌변기 급수탱크에 장착된 세정제 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세정제 공급장치의 세정제 공급장치에서 캡이 분리된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캡이 조립된 상태의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실시예에서 좌변기 사용시에 세정제 공급장치에 의한 세정제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세정제 공급장치가 제공된 좌변기 물탱크의 확대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좌변기 급수탱크에서 물을 내릴 때 좌변기 잔류수용으로 공급하는 세척수용 급수관에 세정제 공급장치를 통해 세정제가 공급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용상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세정제 공급장치의 변형예로서 세정제가 녹은 세척수가 좌변기 물탱크로 공급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세정제가 녹은 세척수가 좌변기용 잔류수로 급급됨과 함께 물탱크로 공급되도록 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5에 있어서, 좌변기(1)의 뒤쪽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조립되는 세척를 수용하는 세척수 탱크(2)에는 외부에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호스(3)가 부구(4)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5)에서 분기된 급수용의 분기호스(6)의 단부가 연결되는 잔류 세척수 공급용 급수파이프(7)에 본 발명의 세정제 공급장치(10)가 설치된다.
도면에서 세척수 탱크 하부의 배출공(8)을 개폐하는 밸브(8')가 제공되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밸브(8')가 개방되어 탱크(2) 내의 세척수가 좌변기 내측 상부의 배출유로(9)를 통해 좌변기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유로(9)는 좌변기의 본체 상부 내측에 형성된 다수의 홀(91)들을 통해 본체내로 배출된다.
일반적으로, 좌변기에서 물을 내린 다음에는 부구(4)의 높이가 낮아져 밸브(5)가 개방됨에 따라 세척수 탱크(2)에 채워지며, 이때 일반적으로 좌변기에서는 오물이 직접 좌변기에 접촉되어 묻는 것을 방지하고 악취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분기호스(6)를 통해 분기되어 공급되는 세척수는 급수파이프(7)와 배출공(8)을 통해 좌변기(1)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배출 유로(9)들을 통해 좌변기 내로 공급되어 좌변기에는 일정 수위로 세척수가 보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세정제 공급장치(10)가 상기한 급수파이프(7)에 배치되어 세척수 탱크에 보충되는 세척수와 함께 좌변기내에 보충되는 세척수에 고형분에서 녹은 세정제가 공급됨으로써, 탱크내의 세척수에 세정제가 과도하게 함유되지 않아 탱크내의 금속부품이나 고무팩킹과 같은 부품들의 부식이 방지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세정제 공급장치(10)는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파이프(7)에 결합되는 결합부(11)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12), 상기 지지부(12)의 상부에 형성되고 오목한 형태로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13), 상기 하우징(13)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세정제 고형분(14)을 수용하는 수용부(15)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분기호스(6)에 연결되어 분기호스를 통해 세척수가 유입되게 연결관(161)이 형성된 캡(16)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캡(16)의 연결관(161)을 통해 유입된 세척수가 세정제 고형분에 접촉되어 세정제가 녹은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1)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링 형상으로 되어 급수파이프(7) 위에서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나,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탄성을 갖도록 하고 그 내경이 급수파이프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탄성적으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배출부는 도 3과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의 하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급수파이프(7)에 삽입된 제 1 배출수단으로서의 배출관(131)과, 하우징(13)의 바닥에 형성된 제 2 배출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132)을 선택적으로, 또는 제 1, 2 배출수단들을 함께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세정제 고형분(14)을 수용하는 수용부(15)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서 그 측면과 저면으로 이어지는 복수개의 리브(151)들이 형성되어서, 상기 하우징(13)에 배치될 때, 상기 수용부(15)는 리브들에 의해 하우징의 내측면과 바닥으로 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리브(151)들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면과 저면으로 일체로 이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저면에서 돌출된 복수개의 저면 리브들과 측면 리브들이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 6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호스(6)로 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캡(16)의 연결관(161)을 통해 세정제 고형분(14) 위로 공급된 세척수에 세정제가 녹아 혼합된 상태로 배출수단을 통해 좌변기에 잔류하게 되는 세척수로 공급되거나 또는 세척수 탱크의 세척수에 혼합된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에서, 분기호스(6)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가 세정제 고형분을 수용하는 수용부(15)로 공급되어 세정제가 녹아 혼합된 세척수가 제 1 배출수단으로서의 배출관(131)을 통해 급수파이프(7)로 공급되도록 하여 좌변기 사용후 미리 설정된 수위만큼 잔류되게 좌변기로 세정제를 함유한 세척수가 공급되어 좌변기의 물때 방지 및 악취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다.
변형적으로, 도 9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에서, 분기호스(6)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가 세정제 고형분을 수용하는 수용부(15)로 공급되어 세정제가 녹아 혼합된 세척수가 제 2 배출수단으로서 하우징(13)의 바닥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132)을 통해 좌변기에 통상적으로 마련된 세척수 탱크로 공급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에서, 캡(16)의 연결관(161)을 통해 공급된 세척수가 세정제 고형분을 수용하는 수용부(15)로 공급되어 세정제가 녹아 혼합된 세척수가 제 1 배출수단인 하우징(13)에 형성된 배출관(131)을 통해 급수파이프(7)로 잔류수로서 공급됨과 동시에 제 2 배출수단으로서 하우징(13)의 바닥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132)을 통해 좌변기에 통상적으로 마련된 세척수 탱크로 공급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세정제 공급장치는 좌변기에서 세척수가 오물과 함께 배출된 다음에 분기호스(6)와 급수파이프(7)를 통해 하우징(13)의 수용부재(15)에 수용된 세정제 고형분(14)를 거치면서 세정제가 녹은 세척수가 급수파이프(7)를 통해 좌변기에 미리 잔류되게 공급하거나, 하우징(13)의 바닥에 형성된 배출공(132)들을 통해 세척수 탱크(2)에 채워지도록 하며, 이때 세척수는 수용부(15)의 세정제 고형분을 거쳐 세정제가 녹아서 함유되게 함으로써 세정제가 과도하게 세척수에 용해되지 않은 상태로 좌변기의 세척수 탱크 또는 좌변기에 잔류되게 하여 좌변기내에 오물때가 침적되지 않게 하고 악취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세정제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함께 세척수 탱크내의 밸브의 금속부품과 팩킹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좌변기의 고장 발생 또는 세척수의 누수 발생으로 인한 하층의 가구에 피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좌변기에 세척수에 세정제를 공급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1 : 좌변기 2 : 탱크
3 : 공급호스 4 : 부구
5 : 밸브 6 : 분기호스
7 : 급수파이프 8 : 배출공
8' : 밸브 9 : 배출유로
10 : 세정제 공급장치
11 : 결합부 12 : 지지부
13 : 하우징 14 : 세정제 고형분
15 : 수용부 16 : 캡
131 ; 배출관 132 : 배출공
151 : 리브 161 : 연결관

Claims (4)

  1. 세척수 탱크(2)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외부의 세척수 공급호스(3)가 연결되고 수위에 따라 작동되는 부구(4)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8')를 구비한 좌변기에 세정제를 공급하기 위한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수파이프(7)에 결합되는 오목한 형태로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13), 상기 하우징(13)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세정제 고형분(14)을 수용하는 수용부(15)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분기호스(6)에 연결되어 분기호스를 통해 세척수가 유입되게 연결관(161)이 형성된 캡(16)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캡(16)의 연결관(161)을 통해 유입된 세척수가 세정제 고형분에 접촉되어 세정제가 녹은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하우징(13)의 하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급수파이프(7)에 삽입되어 급수파이프(7)로 세정제가 함유된 세척수를 배출토록 하는 배출관(131)으로 형성된 제 1 배출수단과, 하우징(13)의 바닥에 형성되어 세척수 탱크(2)로 세정제가 녹은 세척수를 배출토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132)들로 형성된 제 2 배출수단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고형분(14)을 수용하는 수용부(15)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서 그 측면과 저면으로 이어지는 복수개의 리브(151)들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3)에 배치될 때, 상기 수용부(15)는 리브들에 의해 하우징의 내측면과 바닥으로 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은 급수파이프(7)에 결합되는 결합부(11)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12)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KR1020190141055A 2019-11-06 2019-11-06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KR20210054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055A KR20210054862A (ko) 2019-11-06 2019-11-06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055A KR20210054862A (ko) 2019-11-06 2019-11-06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862A true KR20210054862A (ko) 2021-05-14

Family

ID=75915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055A KR20210054862A (ko) 2019-11-06 2019-11-06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48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430Y1 (ko) 2009-01-05 2011-09-05 주식회사 중일테크 변기용 세정제 자동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430Y1 (ko) 2009-01-05 2011-09-05 주식회사 중일테크 변기용 세정제 자동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392B1 (en) Automatic cleaning assembly for a toilet bowl
JP7065066B2 (ja) 衛生陶器洗浄システム
US20070289054A1 (en) Toilet bowl cleanser dispenser device
KR200493746Y1 (ko)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CN110914504A (zh) 可变式节水坐便器的污水排出装置
KR102237401B1 (ko)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US6449779B1 (en) Automatic toilet cleaning dispenser assembly
CN108797733B (zh) 供水装置和马桶
JP5597007B2 (ja) 便器装置
KR20210054862A (ko)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KR200409455Y1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관붙이 앵글밸브
KR200383575Y1 (ko) 변기 세정액 공급장치
US20140020164A1 (en) System for Delivering Chemicals to a Toilet Bowl
KR200480074Y1 (ko) 양변기용 세정액 자동 배출장치
KR200208548Y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JP5302850B2 (ja) 便器装置
KR20190001335U (ko) 양변기 청결 기구
US20070006369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cleaning material to a toilet
CN111335426B (zh) 用于安装在马桶水箱中的冲洗阀以及用于清洁马桶的方法
KR200349570Y1 (ko) 좌, 소변기용 세정기
KR200220454Y1 (ko) 수세식 좌변기용 세정제 투입용기
CN212561771U (zh) 带有清洁剂添加装置的马桶冲刷组件及马桶
KR20230144267A (ko) 좌변기용 세정제 자동 공급유닛
CN219118307U (zh) 一种可根据用户需求调节浓度配比的水箱清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