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335U - 양변기 청결 기구 - Google Patents

양변기 청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335U
KR20190001335U KR2020190001192U KR20190001192U KR20190001335U KR 20190001335 U KR20190001335 U KR 20190001335U KR 2020190001192 U KR2020190001192 U KR 2020190001192U KR 20190001192 U KR20190001192 U KR 20190001192U KR 20190001335 U KR20190001335 U KR 201900013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flush valve
present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택
Original Assignee
유기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택 filed Critical 유기택
Priority to KR2020190001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335U/ko
Publication of KR201900013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33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2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solid substances introduced in the bowl or the supply lin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4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solid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 청결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러쉬 밸브 구조의 변형된 메쉬 형태의 배수구에 설치하여 사용 기간이 제대로 보장되고 변기 사용시 오물이 묻지 않아서 청결이 유지될 수 있는 양변기 청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물탱크로부터 변기로의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플러쉬 밸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플러쉬 밸브 본체는 배수구에 메쉬 형태의 배수망이 구비되고, 상기 메쉬 형태의 배수망에는 공급된 물에 의해 녹아서 변기를 세척하는 변기 세정제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청결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변기 청결 기구{Device for Clean Toilet Bowl}
본 고안은 양변기 청결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쉬 밸브 구조의 변형된 메쉬 형태의 배수구에 설치하여 사용 기간이 제대로 보장되고 변기 사용시 오물이 묻지 않아서 청결이 유지될 수 있는 양변기 청결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변기 세정제 관련한 종래 기술로서 물탱크 내부에 위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탱크를 직접적으로 부식시킬 위험이 적으므로 염소계 표백 성분을 사용하여 세정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물탱크에 투입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변기 세정제가 개발된 바 있다(KR 특허공개 제2016-0100690호).
상기 특허는 배경기술 부분에서 "변기의 물탱크 안에 제품을 넣어 놓으면 세정 성분이 서서히 용출되면서 변기가 세정되도록 하는 In-Tank(인탱크) 형태와 변좌 테두리 부분에 고체나 액체로 된 세정제를 달아두고 물이 내려갈 때마다 세정제가 용해되면서 변기를 세정하는 방식인 Rim-Block(림블럭) 형태"를 소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의 변기 세정제는 물탱크 내 또는 변기 내 물속에 투입시 상시 물과 접촉하여 녹아서 사용 기간이 제대로 보장되지 못하는 반면, 변기 테두리 부분에 고정, 설치시 오물이 묻거나 하여 청결이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변기의 플러쉬 밸브 관련한 종래 기술로서 KR 특허 제1317724호의 배경기술 부분에서 "물탱크로부터 화장실 변기에로의 물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플러쉬 밸브에 대해 오늘날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플래퍼형 플러쉬밸브(flapper type flush valve)라고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플래퍼형 플러쉬 밸브는 상기 트립레버가 플러쉬 사이클(flush cycle; 물을 플러쉬하고 다시 물탱크 내로 물을 채우는 과정을 주기로 하는 것)을 개시시키도록 가변될 때까지 물탱크 출구를 밀봉하는 대구경 스토퍼(stopper)를 지지하는 선회가능한 요크(yoke)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대구경 스토퍼는 충분한 양의 물이 물탱크로부터 배수될 때까지 그 재착좌를 늦추는 공기로 채워진다. 다른 형태의 플러쉬 밸브는 주밀봉체를 탑재하는 전용의 부구를 갖는다. 트립레버가 가압되는 경우, 부구가 상승하고 상기 밀봉체가 탈좌되어 물탱크로부터 화장실 변기로 물이 흐르는 것을 허용한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KR 특허공개 제2016-0100690호 (2016.08.24) KR 특허 제1317724호 (2013.10.07)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레버에 의해 개폐되는 플러쉬 밸브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상시 물과 접촉하지 않아서 사용 기간이 제대로 보장되고 변기 사용시 오물이 묻지 않아서 청결이 유지될 수 있는 양변기 청결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양변기 청결 기구는 물탱크로부터 변기로의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플러쉬 밸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플러쉬 밸브 본체는 배수구에 메쉬 형태의 배수망이 구비되고, 상기 메쉬 형태의 배수망에는 공급된 물에 의해 녹아서 변기를 세척하는 변기 세정제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양변기 청결 기구는 레버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플러쉬 밸브 구조의 변형된 메쉬 형태의 배수구에 설치하여 물과의 상시 접촉을 차단해서 사용 기간이 제대로 보장되고 변기 내에 설치하지 않으므로 변기 사용시 오물이 묻지 않아서 청결이 유지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청결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이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청결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양변기 청결 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양변기의 물탱크로부터 변기로의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플러쉬 밸브(Flush Valve)에 설치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양변기 청결 기구는 플러쉬 밸브 본체(30) 배수구(33)의 메쉬(Mesh) 형태의 배수망(10) 및 변기 세정제(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상기 플러쉬 밸브 본체(30)가 배수구(33)에 메쉬 형태의 배수망(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메쉬 형태의 배수망(10)에는 공급된 물에 의해 녹아서 변기를 세척하는 변기 세정제(20)가 안착된다.
메쉬 형태의 배수망(10)은 플러쉬 밸브 본체(30)의 배수구(33)에 구비되는데,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 등의 방식에 의해 본체(30)와 일체로 제작되거나 별도의 부재로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메쉬 형태의 배수망(10)은 물의 흐름을 정체시키지 않을 정도의 메쉬 크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기 세정제(20)는 상기 메쉬 형태의 배수망(10)에 안착, 저장되며 공급된 물에 의해 녹아서 밸브 본체(30)의 배수구(33)를 통해 물과 함께 배출되어 변기를 세척한다.
상기 변기 세정제(20)는 물의 공급에 따라 일부가 조금씩 녹아서 일정 기간 연속사용이 가능하도록 고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변기 세정제(20)는 세제를 포함하고 있어 변기를 세척함은 물론이고 향기를 함유하고 있어 화장실 내를 악취를 제거하는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양변기 청결 기구의 사용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양변기 사용 후에 레버를 작동시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와 플러쉬 밸브의 개폐 스토퍼(32)를 연결하는 와이어(W)에 의해 개폐 스토퍼(32)가 입수구(31)를 열게 된다.
그리고, 물탱크 내에 저장된 물이 입수구(31)를 통해 유입될 때 자연스럽게 변기 세정제(20)를 녹이게 되어 세정 성분과 함께 메쉬 형태의 배수망(10)과 배수구(33)를 거쳐 변기로 제공된다.
다음으로, 물탱크 내의 물이 일정 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개폐 스토퍼(32)는 자동으로 닫히게 되면서 변기 세정제(20)의 더 이상의 사용을 단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메쉬 형태의 배수망
20...변기 세정제 30...플러쉬 밸브 본체
31...입수구 32...개폐 스토퍼
33...배수구 W...와이어

Claims (1)

  1. 물탱크로부터 변기로의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플러쉬 밸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플러쉬 밸브 본체는 배수구에 메쉬 형태의 배수망이 구비되고,
    상기 메쉬 형태의 배수망에는 공급된 물에 의해 녹아서 변기를 세척하는 변기 세정제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청결 기구.
KR2020190001192U 2019-03-22 2019-03-22 양변기 청결 기구 KR201900013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192U KR20190001335U (ko) 2019-03-22 2019-03-22 양변기 청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192U KR20190001335U (ko) 2019-03-22 2019-03-22 양변기 청결 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716 Division 2017-11-10 2017-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335U true KR20190001335U (ko) 2019-06-05

Family

ID=66810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192U KR20190001335U (ko) 2019-03-22 2019-03-22 양변기 청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33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376A (ko) * 2020-01-23 2021-08-02 한일수지공업주식회사 양변기 세정제 배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724B1 (ko) 2005-11-07 2013-10-15 코울러캄파니 캐니스터 플러쉬밸브
KR20160100690A (ko) 2015-02-16 2016-08-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변기 세정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724B1 (ko) 2005-11-07 2013-10-15 코울러캄파니 캐니스터 플러쉬밸브
KR20160100690A (ko) 2015-02-16 2016-08-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변기 세정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376A (ko) * 2020-01-23 2021-08-02 한일수지공업주식회사 양변기 세정제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24013A (en) Siphonic flush commode
KR200202253Y1 (ko) 절수용 변기
CN105951965A (zh) 马桶
KR20190001335U (ko) 양변기 청결 기구
KR200493746Y1 (ko)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RU2388873C2 (ru)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уалета
US3023427A (en) Device for sterilizing and deodorizing toilet bowls
JPH11256652A (ja) 節水型水洗便器兼用簡易水洗便器
KR102237401B1 (ko)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JP2007314957A (ja) 洋風便器装置
JPH11350578A (ja) 水洗式大便器
JP5130797B2 (ja) 水洗大便器
KR20180010723A (ko) 저수조가 부착된 위생 소변기
KR200491751Y1 (ko) 양변기 청결 기구
WO2019093596A1 (ko) 양변기 청결 기구
JP4600869B2 (ja) 水洗大便器
CN212984089U (zh) 一种向便器加注功能液的机构及便器
JP2011214277A (ja) 水洗大便器
KR102604477B1 (ko) 변기 물내림 장치
JP2020002623A (ja) 便器装置
KR100499329B1 (ko)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
KR20230161848A (ko) 오수배출작동이 개량된 절수양변기
JP7432113B2 (ja) 水洗大便器
JP7154663B1 (ja) 災害対応便器
WO2022201733A1 (ja) 洗浄水供給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