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690A -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690A
KR20160069690A KR1020140175583A KR20140175583A KR20160069690A KR 20160069690 A KR20160069690 A KR 20160069690A KR 1020140175583 A KR1020140175583 A KR 1020140175583A KR 20140175583 A KR20140175583 A KR 20140175583A KR 20160069690 A KR20160069690 A KR 20160069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agent
detergent
water
agent contain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5007B1 (ko
Inventor
박대율
Original Assignee
박대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율 filed Critical 박대율
Priority to KR1020140175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00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03D1/35Flushing valves having buoyancy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변기의 저수조에 담긴 물이 유입, 배출될 때 물의 부력에 의해 상하 운동을 하며 세정제가 용해된 물이 좌변기 내의 저수조에 흘러나오는 양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는 좌변기 내에 물이 유입, 배출됨에 따라 부력의 발생, 소멸로 좌변기 내에서 상하운동을 하는 원구형 부이; 원구형 부이의 하부 중심부에 연결되고 부이와 함께 상하운동을 하는 중심축; 중심축의 하단이 중심부에 연결되고 부이 및 중심축와 함께 상하 운동을 하며 세정제가 용해된 물을 좌변기의 저수조 내로 배출시키거나 차단하는 마개작용을 하는 원형 마개판; 중심축의 상하운동 시 안내면 역할을 하기 위해 중심부에 관통 구멍이 있는 가이드 커버; 가이드 커버와 이격 되고 원형 마개판이 하부에서 상하운동을 함에 따라 열리고 닫히는 마개작용을 하기 위해 중심부에 원형 마개판의 직경 보다 작은 관통 구멍이 있는 세정제 용기 커버; 가이드 커버와 세정제 용기 커버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며 세정제가 용해된 물이 좌변기의 저수조 내로 확산 배출되는 작용을 하기 위해 그물망 구조로 된 원기둥 지지대; 및 세정제가 투입되며 세정제 용기 커버와 접하고 원형 마개판의 상하 운동 공간이 되는 세정제 용기를 포함하는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omitted}
본 발명은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변기의 저수조에 담긴 물이 유입, 배출될 때 물의 부력에 의해 상하 운동을 하며 세정제가 용해된 물이 좌변기 내의 저수조에 흘러나오는 양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좌변기의 고체 세정제는 좌변기의 세척 및 세균의 번식 방지를 위해. 용기에 담겨져 좌변기 내의 저수조에 침전된 상태에서 물에 용해되어 희석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의 세정제는 세정제가 담겨져 있는 시간에 비례하여 농도가 결정되므로 장시간 좌변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농도가 진하며, 좌변기를 한번 사용 후 빠른 시간 내에 재사용할 경우 세정제가 물에 충분히 용해되지 않아 농도가 묽게 되어 충분한 세정 효과를 나타낼 수 없다. 즉, 이런 상태의 세정제는 농도가 조절되지 않아 세정제의 낭비를 초래하고, 세정제가 물에 용해되는 비율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악취 및 세균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세정제 본래의 기능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세정제 용기가 좌변기 내의 저수조의 물 투입구를 막아 역류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며, 저수조에 찌꺼기가 많이 남아 좌변기의 청결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0-1418216(2014.07.10.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좌변기의 저수조에 저장된 물로 부력 작용에 의한 상하운동을 하며 열리고 닫히는 작용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세정제의 농도 조절과 함께 고체 세정제의 낭비를 방지하고, 세척, 악취제거 및 세균의 번식 방지 등, 세정제가 본래의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하는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는 좌변기 내에 물이 유입, 배출됨에 따라 부력의 발생, 소멸로 좌변기 내에서 상하운동을 하는 원구형 부이;와 원구형 부이의 하부 중심부에 연결되고 부이와 함께 상하운동을 하는 중심축;과 중심축의 하단이 중심부에 연결되고 부이 및 중심축과 함께 상하 운동을 하며 세정제가 용해된 물을 좌변기의 저수조 내로 배출시키거나 차단하는 마개작용을 하는 원형 마개판;과 중심축의 상하운동 시 안내면 역할을 하기 위해 중심부에 관통 구멍이 있는 가이드 커버;와 가이드 커버와 이격 되고 원형 마개판이 하부에서 상하운동을 함에 따라 열리고 닫히는 마개작용을 하기 위해 중심부에 원형 마개판의 직경 보다 작은 관통 구멍이 있는 세정제 용기 커버;와 가이드 커버와 세정제 용기 커버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며 세정제가 용해된 물이 좌변기의 저수조 내로 확산 배출되는 작용을 하기 위해 그물망 구조로 된 원기둥 지지대; 및 세정제가 투입되며, 세정제 용기 커버와 체결되고, 원형 마개판이 세정제 용기 커버와 세정제 사이에서 상하 운동을 하는 공간이 되는 세정제 용기를 포함한다.
또한, 세정제 용기와 세정제 용기 커버의 체결 및 분리를 위해 세정제 용기의 상부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 골; 세정제 용기 커버의 하부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 산; 세정제 용기 커버 하부 외면에 형성된 나사 산의 상부 외주에는 세정제 용기와 체결시 세정제가 용해된 물이 세정제 용기 밖으로 세어 나오지 못하도록 수밀 유지를 위 끼워진 고무링; 및 세정제 용기 내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세정제 용기를 좌변기 내부 바닥에 가라앉게 하고, 수중에서의 흔들림 방지를 위한 무게 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형 마개판의 윗면에는 원주 테두리 가장자리를 따라 홈이 형성되고 그 홈에는 세정제 용기 커버와 열리고, 닫히는 작동을 할 때 탈착을 용이하게 하고, 기밀상태 유지를 위해 부착되는 고무링; 및 원형 마개판의 밑면 중앙부에는 세정제와 밀착 방지를 위해 부착된 소형 고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변기의 저수조에 담긴 물이 유입, 배출될 때 물의 부력에 의해 상하 운동을 하는 원구형 부이와 중심축 및 원형 마개판이 세정제 용기 커버와 열리고 닫히는 작용을 하여 세정제가 용해된 물이 좌변기 내의 저수조에 흘러나오는 양을 조절함으로써 좌변기의 세척 및 세균 번식 방지 효과를 장시간 기대할 있으며, 세정제 소모량을 줄여 세정제 구입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작동에는 동력이 요구되지 않고, 설치 및 사용이 간단하고, 찌꺼기 배출을 줄여 좌변기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세정제의 호환이 가능하므로 대부분의 좌변기에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의 조립도,
도 2는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의 분해도,
도 3은 세정제 용기가 분리된 상태의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의 상태도,
도 4은 세정제 용기 및 원형 마개판의 밑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의 조립도이고, 도 2는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3은 세정제 용기가 분리된 상태의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의 상태이며, 도 4은 세정제 용기 및 원형 마개판의 밑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는 도1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원구형 부이(10), 중심축(20), 원형 마개판(30), 가이드 커버(40), 세정제 용기 커버(50), 그물망 구조로 된 원기둥 지지대(60), 세정제 용기(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원구형 부이(10)는 좌변기 저수조 내에 물이 유입, 배출됨에 따라 부력의 발생, 소멸로 상하운동을 하며 본 발명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한다.
중심축(20)은 원구형 부이의 하부 중심부에 연결되고 원구형 부이(10)와 함께 상하운동을 하며, 원구형 부이(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원형 마개판(30)은 중심축(20)의 하단이 원형 마개판(30)의 중심부에 연결되고 세정제 용기 커버(50)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부이(10) 및 중심축(20)와 함께 부력에 의한 상하 운동을 하여 세정제 용기 커버(50)의 아래 면과 접촉 또는 분리됨으로써 세정제가 용해된 물을 좌변기의 저수조 내로 배출시키거나 차단하는 마개작용을 한다.
가이드 커버(40)는 중심축(20)의 상하운동 시 안내면 역할을 하기 위해 중심부에 중심축(20)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관통 구멍이 있다.
세정제 용기 커버(50)는 가이드 커버(40)와 이격 되고 원형 마개판(30)이 하부에서 상하운동을 함에 따라 열리고 닫히는 작용을 하기 위해 중심부에 원형 마개판(30)의 직경 보다 작은 관통 구멍이 있다. 이 관통 구멍은 원형 마개판(30)이 상승운동을 하여 세정제 용기의 아래 면과 접촉될 때 원형 마개판(30)이 세정제 용기 커버(50)의 관통 구멍을 덮어서 막히게 된다.
그물망 구조로 된 원기둥 지지대(60)는 가이드 커버(40)와 세정제 용기 커버(50)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며 세정제가 용해된 물이 좌변기의 저수조 내로 확산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
세정제 용기(70)는 세정제가 투입되며 세정제 용기 커버와 체결되고 원형 마개판이 투입된 세정제 위쪽에서 상하 운동을 하는 공간이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좌변기 내의 저수조에 물이 유입되면 원구형 부이(10)에 부력이 작용하여 중심축(20) 및 원형 마개판(30)과 함께 상승운동을 하여, 세정제 용기 커버(50)와 세정제 용기 커버(50)의 아래에서 상승운동을 하는 원형 마개판(30)이 접촉하여 닫히게 되어 세정제 용기(70) 내에서 세정제가 용해된 물이 좌변기 내의 저수조로 흘러 나오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좌변기 내의 저수조의 물이 배출되면 원구형 부이(10)에 작용하는 부력이 소멸하여 원형 마개판(30)이 세정제 용기 커버(50)의 아래로 분리되면서 열리는 작용을 한다. 이때 세정제 용기(70)와 원형 마개판(30)에 의해 갖혀있던 세정제가 용해된 물이 좌변기 내의 저수조로 흘러나오게 된다.
따라서, 좌변기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 동안은 즉, 원구형 부이(10)에 부력이 작용하는 동안은 세정제 용기(10) 내에서 세정제가 용해된 물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좌변기 내의 저수조로 흘러나오지 못하는 상태가 되고, 좌변기를 사용할 경우 저수조 내의 물이 배출되어 원구형 부이(10)에 작용하는 부력이 소멸하는 시간 동안 세정제가 용해된 물이 좌변기의 저수조로 흘러나옴으로써 세정제가 용해된 물의 배출량과 저수조 내의 세정제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제 용기(70)와 세정제 용기 커버(50)의 체결 및 분리를 위해 세정제 용기(70)의 상부 내면에 나사 골이 형성되고, 세정제 용기 커버의 하부 외면에 나사 산이 형성되어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세정제 용기 커버(50) 하부 외면에 형성된 나사 산의 상부 외주에는 세정제 용기(70)와 체결시 세정제가 용해된 물이 세정제 용기(70) 밖으로 세어 나오지 못하도록 수밀 유지를 위해 고무링(100)이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세정제 용기(70) 내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세정제 용기(70)를 좌변기 저수조 내부 바닥에 가라앉게 하고, 수중에서의 흔들림 방지를 위한 무게 추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원형 마개판(30)의 윗면에는 원주 테두리 가장자리를 따라 홈이 형성되고 그 홈에는 세정제 용기 커버(50)와 열리고, 닫히는 작동을 할 때 탈착을 용이하게 하고, 수밀 상태 유지를 위해 고무링(200)이 부착될 수 있으며, 원형 마개판(30)의 밑면 중앙부에는 세정제와 밀착 방지를 위해 소형 고무링(300)이 부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원구형 부이 20 - 중심축
30 - 원형 마개판 40 - 가이드 커버
50 - 세정제 용기 커버 60 - 그물망 구조로 된 원기둥 지지대
70 - 세정제 용기 100 - 세정제 용기 커버의 고무링
200 - 원형 마개판 윗면의 고무링 300 - 원형 마개판 밑면의 고무링

Claims (3)

  1. 좌변기 내에 물이 유입, 배출됨에 따라 부력의 발생, 소멸로 좌변기 내에서 상하운동을 하는 원구형 부이;
    원구형 부이의 하부 중심부에 연결되고 부이와 함께 상하운동을 하는 중심축;
    중심축의 하단이 중심부에 연결되고 부이 및 중심축과 함께 상하 운동을 하며 세정제가 용해된 물을 좌변기의 저수조 내로 배출시키거나 차단하는 마개작용을 하는 원형 마개판;
    중심축의 상하운동 시 안내면 역할을 하기 위해 중심부에 관통 구멍이 있는 가이드 커버;
    가이드 커버와 이격 되고 원형 마개판이 하부에서 상하운동을 함에 따라 열리고 닫히는 마개작용을 하기 위해 중심부에 원형 마개판의 직경 보다 작은 관통 구멍이 있는 세정제 용기 커버;
    가이드 커버와 세정제 용기 커버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며 세정제가 용해된 물이 좌변기의 저수조 내로 확산 배출되는 작용을 하기 위해 그물망 구조로 된 원기둥 지지대; 및
    세정제가 투입되며 세정제 용기 커버와 체결되고 원형 마개판이 세정제 용기 커버와 세정제 사이에서 상하 운동을 하는 공간이 되는 세정제 용기
    를 포함하는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세정제 용기와 세정제 용기 커버의 체결 및 분리를 위해 세정제 용기의 상부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 골;
    세정제 용기 커버의 하부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 산;
    세정제 용기 커버 하부 외면에 형성된 나사 산의 상부 외주에는 세정제 용기와 체결시 세정제가 용해된 물이 세정제 용기 밖으로 세어 나오지 못하도록 수밀 유지를 위해 끼워진 고무링; 및
    세정제 용기 내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세정제 용기를 좌변기 내부 바닥에 가라 앉게 하고, 수중에서의 흔들림 방지를 위한 무게 추
    를 포함하는,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원형 마개판의 윗면에는 원주 테두리 가장자리를 따라 홈이 형성되고 그 홈에는 세정제 용기 커버와 열리고, 닫히는 작동을 할 때 탈착을 용이하게 하고, 수밀 상태 유지를 위해 부착되는 고무링; 및
    원형 마개판의 밑면 중앙부에는 세정제와 밀착 방지를 위해 부착된 소형 고무링
    을 포함하는,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
KR1020140175583A 2014-12-09 2014-12-09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 KR101665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583A KR101665007B1 (ko) 2014-12-09 2014-12-09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583A KR101665007B1 (ko) 2014-12-09 2014-12-09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690A true KR20160069690A (ko) 2016-06-17
KR101665007B1 KR101665007B1 (ko) 2016-10-11

Family

ID=5634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583A KR101665007B1 (ko) 2014-12-09 2014-12-09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0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735A (ko) * 2000-08-31 2002-03-07 장운용 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
KR200267749Y1 (ko) * 2001-10-24 2002-03-13 강한식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KR20100007400A (ko) * 2008-07-14 2010-01-22 염영수 변기 세정액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735A (ko) * 2000-08-31 2002-03-07 장운용 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
KR200267749Y1 (ko) * 2001-10-24 2002-03-13 강한식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KR20100007400A (ko) * 2008-07-14 2010-01-22 염영수 변기 세정액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007B1 (ko)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0030A (ko) 자동세척 세탁기
KR20170019381A (ko) 위생도기 세정 시스템
CN104452918B (zh) 清洗水水量调整装置、清洗水水箱装置及冲水大便器
CN108315967B (zh) 一种洗涤剂和/或柔顺剂投放盒及洗衣机
KR20120001179A (ko) 수처리용 카트리지 유닛
KR101665007B1 (ko) 좌변기 세정제 조절밸브 장치
US10196804B2 (en) Solution supply
JP2024019197A (ja) 浴室
JP5500479B2 (ja) 浮遊物除去装置及び濾過循環システム
JP2017066636A (ja) 衛生洗浄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便器装置
JP2010236276A (ja) 水洗大便器
CN201747941U (zh) 方便水龙头
CN205975925U (zh) 新型洁净地漏
CN212001430U (zh) 一种易清洁弹跳下水器及卫浴组件
CN113167063B (zh) 自动马桶清洁装置
KR101518264B1 (ko) 부력을 이용한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KR101282271B1 (ko) 보올부의 보충수 공급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보충수 공급호스 고정장치
CN106996128B (zh) 冲水大便器装置
JP2017166131A (ja) 排水栓装置
JP2011063143A (ja) 車両用小便器又は手洗器内への汚水噴き上げ防止装置
JP6474020B2 (ja) 移動式大便器
KR200491751Y1 (ko) 양변기 청결 기구
RU2627320C1 (ru) ДОЗАТОР ДЛЯ БАЧКА УНИТАЗА (варианты)
KR200313341Y1 (ko) 자동유출 변기세정액 장치
JP7029659B2 (ja) 浴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