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309A - 소변기용 탈취구 - Google Patents

소변기용 탈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6309A
KR20070046309A KR1020050102848A KR20050102848A KR20070046309A KR 20070046309 A KR20070046309 A KR 20070046309A KR 1020050102848 A KR1020050102848 A KR 1020050102848A KR 20050102848 A KR20050102848 A KR 20050102848A KR 20070046309 A KR20070046309 A KR 20070046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portion
urinal
port
deodo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선
윤일선
Original Assignee
김중선
윤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선, 윤일선 filed Critical 김중선
Priority to KR1020050102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6309A/ko
Publication of KR20070046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기용 탈취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시에 소변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서리가 둥글고 중앙으로 갈수록 높게 융기된 삼각형 판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중앙 상부에 속이 빈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상부를 덮는 위로 볼록한 형상의 수납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몸체부측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는 외주면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납부측 배수홀이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수납 커버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같은 동심원 형상으로 복수개의 커버측 배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변기, 탈취구, 배수

Description

소변기용 탈취구{A deodorant means for urinal}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취구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탈취구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구의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5는 종래기술에 따른 탈취구의 단면도이다.
도6은 종래기술에 따른 탈취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탈취구 12: 몸체부
14: 몸체부측 배수홀 16: 수납부
18: 수납부측 배수홀 20: 탈취제
100: 소변기용 탈취구 110: 수납 커버
112: 커버측 힌지 114: 커버측 배수홀
116: 잠금부 120: 수납부
122: 수납부측 힌지 124: 수납부측 배수홀
126: 잠금턱 130: 몸체부
132: 몸체부측 배수홀 134: 바닥부
136: 바닥부 배수홀 138: 막형성용 분할대
140: 마찰편 142: 걸림 요부
144: 마찰면 150: 마찰 커버
152: 삽입홀
본 발명은 소변기용 탈취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시에 소변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탈취구에 관한 것이다.
소변기는 벽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남성용 변기의 일종이다.
소변기는 양변기와 마찬가지로, 사용 전 및/또는 후에 물을 흘려보내 청결을 유지하는 변기의 일종이다. 그러나, 소변기의 사용 중에 변기 주변에 묻게 되는 오염물은, 세정을 위한 물의 흐름으로 해결할 수 없다. 특히 소변기의 특성상 악취가 발생할 여지가 많기 때문에, 악취를 제거할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도5 및 도6에 도시된 소변기용 탈취구가 제안되었다.
도5는 종래기술에 따른 탈취구의 단면도이고, 도6은 종래기술에 따른 탈취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탈취구(10)는 판 형상의 몸체부(12)와, 몸체부(12)의 하부에 원기둥 형상의 수납부(16)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수납부(16) 의 내부에는 탈취제(20)가 수납되어 있다. 몸체부(12)에는 몸체부(12)를 관통하는 몸체부측 배수홀(14)이 복수개 형성되고, 수납부(16)의 상부에는 수납부(16)를 관통하는 수납부측 배수홀(18)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탈취구(10)는 수납부(16)가 소변기의 배수구에 삽입하여 위치시키거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기의 하부 표면에 몸체부(12)가 위치되도록 설치한다. 탈취제(20)에는 탈취 성분뿐만 아니라, 세정 성분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탈취구(10)는 제1단계, 사용자가 소변기를 사용한 후에, 물을 내린다.
제2단계, 세정을 위한 물이 탈취구(10)의 수납부(16)에 수납된 탈취제(20)를 미량 용해시킨다.
제3단계, 용해된 탈취제(20)의 탈취 성분과 세정 성분이 물과 함께 몸체부측 배수홀(14)과 수납부측 배수홀(18)을 통과하여 소변기의 배수구로 빠져나간다. 이에 의해, 소변기 주위의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소변기를 청결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탈취구(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상존한다.
첫째, 몸체부(12)가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세정을 위한 물이 소변기로 다량 유입되는 경우 부력에 의해 부유하게 되어 소정 위치에서 벗어난다.
둘째, 몸체부(12)가 부력에 의해 부유하게 되면 세정을 위한 물이 탈취제(20)에 거의 닿지 않아, 세정 및 탈취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셋째, 몸체부(12)와 수납부(16)가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세정을 위한 물이 떨어지거나, 사용자가 소변기를 사용하는 중에 탈취구(10)로 떨어진 물 등이 튀게 되어 소변기 주변이 더러워진다.
넷째, 수납부(16)가 탈취제(20)를 수납한 뒤에 밀봉되기 때문에, 탈취제(20)가 모두 소모되면, 탈취구(10)의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도, 전체를 버려야 하기 때문에 자원소모 및 유지 비용이 증가한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세정을 위한 물이 떨어지거나 소변기의 사용 중에 소변기 주위로 소변 등이 튀지 않는 탈취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사용 중 부력에 의해 부유되거나 위치를 이탈하지 않는 탈취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탈취제의 교체가 가능하여 경제적인 탈취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소변기용 탈취구는, 외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높게 융기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중앙 상부에 속이 빈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상부를 덮는 위로 볼록한 형상의 수납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복수개의 몸체부측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는 액체 낙하에 따른 외력 작용시에 탈취구의 위치가 변위되지 않도록 마찰부재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마찰 부재 또는 탈취구 자체는 소변에 침식되지 않도록 향균 실리콘으로 형성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는 사용 중에 탈취구가 부유하지 않도록 배수홀이 방사상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배수홀은 표면 장력에 의해 배수홀에 막을 형성시켜 액체 튀김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막형성용 분할대에 의해 두 부분 이상으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에는 수납부 측면에서의 액체 튀김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납부측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커버에는 수납커버 표면의 액체 튀김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지름을 같은 동심원 형상으로 복수개의 커버측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 커버의 일측에 잠금부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잠금부에 대응하는 잠금턱이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 커버는 상기 수납부에 대해 회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된 수납부의 내부 공간에 수납되는 탈취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된 탈취구는 표면이 향균 실리콘으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용 탈취구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취구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탈취구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탈취구의 측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탈취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용 탈취구(100, 이하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간략히 '탈취구'라 한다)는 몸체부(130), 수납부(120) 및 수납 커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수납부(120)에는 탈취제(150)가 수납된다.
탈취구(100)는 표면에 향균 실리콘으로 코팅 처리하여, 향균 작용 및 부식을 방지한다.
몸체부(130)는 중앙으로 갈수록 위로 볼록하게 융기된 모서리가 둥근 삼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몸체부(130)가 전체적으로 중앙부로부터 모리부에 이르기까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소변, 물 등의 액체가 중앙에서부터 아래 부분으로 자연스럽게 흐르며, 분사력 등에 의한 액체의 외부로의 튀김 현상도 감소하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몸체부(130)에는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몸체부측 배수홀(132)이 형성되고, 몸체부(130)의 세 모서리에는 세 모서리들을 각각 감싸는 향균 실리콘으로 형성된 마찰 커버(150)가 삽입홈(152)에 모서리들을 삽입하여 결합되거나, 바닥에 마찰면(144)이 형성되고 중단에 걸림 요(凹)부(142)가 형성된 향균 실리콘으로 제조되는 마찰편(140)이 배수홀(132) 사이에 걸림 요부(142)를 끼움결합 된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몸체부(130)의 각 모서리들을 마찰 커버(150)로 감싸는지, 마찰편(140)을 결합하는지의 차이만 있을 뿐, 나머지 부분에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마찰커버(150), 마찰편(140) 등의 마찰 부재를 탈취구로부터 탁찰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초기 단계부터 고정형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몸체부(130)는 삼각형에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몸체부측 배수홀(132)은 막형성용 분할대(138)에 의해 두 부분 또는 세 부분으로 분할된다.
이와 같이 몸체부측 배수홀(132)이 분할되면, 탈취구(100)로 떨어진 세정을 위한 물 등이 표면 장력에 의해 배수홀(132)에 막을 형성하게 되어, 물 등의 튀김 현상이 크게 감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몸체부(130)가 중앙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융기된 형상을 갖는 것에 의해, 부력이 분산되어 세정을 위한 물이나 사용 중에 부유하지 않고 원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마찰편(140)이 결합되어 세정을 위한 물 등의 낙하에 따른 충격에 의해 탈취구(100)가 변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납부(120)는 몸체부(130)의 중앙 상부에 소정의 지름을 갖는 속이 빈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납부(120)의 외주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납부측 배수홀(124)이 형성된다.
또한, 수납부(120)의 외주 일측면에는 후술되는 수납 커버(110)의 잠금부(116)에 대응하는 잠금턱(126)이 형성된다. 배수홀(124)은 배수 작용 뿐만 아니라, 물의 표면장력에 따른 막형성을 통해 물의 튀는 현상을 절감시킨다.
수납 커버(110)는 수납부(120)의 상부를 덮는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납 커버(110)의 일측에는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 잠금부(116)가 형성되고, 수납부(120)의 잠금턱(126)에 걸림 결합되어 수납 커버(110)가 의도하지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수납 커버(110)와 수납부(120)는 각각, 수납 커버측 힌지(112)와 수납부측 힌지(122)가 형성되어, 수납 커버(110)가 수납부(120)에 대해 소정 각도(예를 들면 120??) 회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납부(120)와 수납 커버(110)가 회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에 의해, 수납부(120)에 수납되는 탈취제(150)가 모두 소모된 경우에 탈취제(150)만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커버(110)가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측 배수홀(114)에 표면장력에 따른 물의 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세정을 위한 물 등이 수납 커버(110)로 낙하하는 경우에도 물이 튀지 않게 되어, 소변기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탈취구(100)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제1단계, 잠금부(116)와 잠금턱(126)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수납 커버(110)를 수납부(120)로부터 회절시킨다.
제2단계, 수납부(120)에 탈취제(150)를 수납시키고, 잠금부(116)와 잠금턱(126)을 사용하여 수납 커버(110)를 수납부(120)에 고정시킨다. 종래 기술에 따른 탈취구는 탈취제만의 교환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탈취구가 세정을 위한 물 등에 의해 부유하기 때문에, 탈취제가 물에 녹는 양이 적다. 따라서 용해 속도가 빠른 탈취제를 사용해야 하는데, 탈취제의 교환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탈취구의 전체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탈취구(100)는 탈취제(150)의 교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탈취제(150)의 선택에 따른 부담이 없다.
제3단계, 마찰편(140)의 걸림 요부(142)를 사용하여, 몸체부(130)의 몸체부측 배수홀(132)에 끼움 결합한다.
제4단계, 마찰편(140)의 마찰면(144)이 소변기의 바닥에 닿도록 탈취구(100)를 위치시킨다.
제5단계, 사용자가 소변기를 사용하기 전에, 소변기에 세정을 위한 물이 공급되도록 조작한다. 소변기의 바닥을 향하여 물이 공급되면서, 일부는 탈취구(100)로 낙하하게 되는데, 수납 커버(110)와 몸체부(130)가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 수납 커버측 배수홀(114)과 몸체부측 배수홀(132)이 형성된 것에 의해, 물이 소변기의 주변으로 튀지 않게 되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탈취구(100)가 물에 뜨지 않기 때문에, 탈취구(100)가 소변기의 바닥에서 변위되지 않고 수납부(120)에 수납된 탈취제(150)가 물에 의해 적정량 용해될 수 있다.
제6단계, 사용자가 소변기를 사용한다. 이때에도, 탈취구(100)로 떨어지는 소변이 위로 볼록한 수납 커버(110)와 몸체부(130)의 형상 및 배수홀들(114,124,132)에 의해 소변기 주위로 튀지 않게 된다.
제7단계, 사용자가 소변기에 세정을 위한 물이 공급되도록 소변기를 조작한다. 이때에도 전술된 제5단계에서와 동일한 작용이 일어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 커버와 몸체부가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변, 물 등의 액체가 중앙에서부터 아래 부분으로 자연스럽게 흐 르며, 분사력 등에 의한 액체의 외부로의 튀김 현상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는 배수홀이 방사상 형태로 형성되되 막형성용 분할대에 의해 길이 방향의 배수홀이 두 부분 이상으로 분할되어 사용 중에 탈취구가 부유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배수홀은 표면 장력에 의해 배수홀에 막을 형성시켜 액체 튀김 현상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찰부재를 통해 탈취구가 위치되어 물이 떨어지는 충격 등에 따른 탈취구의 변위를 방지하여 탈취구가 항상 최적의 상태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마찰 부재는 향균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소변 등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침식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수납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납부측 배수홀이 형성되어, 수납부 측면에서의 액체 튀김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납커버에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같은 동심원 형상으로 복수개의 커버측 배수홀이 형성되어, 수납커버 표면에서 액체 튀김 현상을 감소되게 된다.
또한, 수납 커버는 수납부에 대해 회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되며, 잠금부와 잠금턱에 의해 걸림 결합되어 수납 커버가 의도하지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탈취구의 표면이 향균 처리된 실리콘으로 코팅되는 것에 의해, 탈취구의 표면에 박테리아나 세균 등의 증식에 따른 수명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에 수납되는 탈취제의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비용이 저렴한 탈취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외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높게 융기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중앙 상부에 속이 빈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상부를 덮는 위로 볼록한 형상의 수납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복수개의 몸체부측 배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탈취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액체 낙하에 따른 외력 작용시에 탈취구의 위치가 변위되지 않도록 마찰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탈취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부재 또는 탈취구 자체는 소변에 침식되지 않도록 향균 실리콘으로 형성되거나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탈취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사용 중에 탈취구가 부유하지 않도록 배수홀이 방사상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배수홀은 표면 장력에 의해 배수홀에 막을 형성시켜 액체 튀김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막형성용 분할대에 의해 두 부분 이상으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탈취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는 수납부 측면에서의 액체 튀김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납부측 배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탈취구.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커버에는 수납커버 표면의 액체 튀김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지름을 같은 동심원 형상으로 복수개의 커버측 배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탈취구.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커버의 일측에 잠금부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잠금부에 대응하는 잠금턱이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 커버는 상기 수납부에 대해 회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탈취구.
KR1020050102848A 2005-10-31 2005-10-31 소변기용 탈취구 KR20070046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848A KR20070046309A (ko) 2005-10-31 2005-10-31 소변기용 탈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848A KR20070046309A (ko) 2005-10-31 2005-10-31 소변기용 탈취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807U Division KR200406587Y1 (ko) 2005-10-31 2005-10-31 소변기용 탈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309A true KR20070046309A (ko) 2007-05-03

Family

ID=3827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848A KR20070046309A (ko) 2005-10-31 2005-10-31 소변기용 탈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63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3055A (en) * 2009-08-28 2011-03-02 Mcalpine & Co Ltd Urinal apparatus
CN105002972B (zh) * 2014-07-21 2016-08-31 奉化市飞天人精密模具设计有限公司 一种厕所小便池防溅垫及其使用方法
CN108060711A (zh) * 2016-11-07 2018-05-22 周光辉 一种小便器除臭过滤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3055A (en) * 2009-08-28 2011-03-02 Mcalpine & Co Ltd Urinal apparatus
GB2473055B (en) * 2009-08-28 2015-05-13 Mcalpine & Co Ltd An apparatus for masking and/or deodorising a urinal odour
CN105002972B (zh) * 2014-07-21 2016-08-31 奉化市飞天人精密模具设计有限公司 一种厕所小便池防溅垫及其使用方法
CN108060711A (zh) * 2016-11-07 2018-05-22 周光辉 一种小便器除臭过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6587Y1 (ko) 소변기용 탈취구
JP2006283501A (ja) 薬剤供給具
WO2006116429A2 (en) Flush valve cleaner dispenser system
KR200356141Y1 (ko) 화장실용 액체 세제 투여기
KR20070046309A (ko) 소변기용 탈취구
JP6528107B2 (ja) 洗濯機防水パンのトラップ配管構造
JP2015063808A (ja) 洗浄水量調整装置、この洗浄水量調整装置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この洗浄水タンク装置を備えた水洗大便器
JP2014045891A (ja) 無水小便器システム
US10196804B2 (en) Solution supply
JP2012188866A (ja) 小便器用排水トラップ及びこれを備えた小便器
JP2019218760A (ja) 洗浄水タンク装置
KR102237401B1 (ko)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KR101299660B1 (ko) 소변기용 배수 트랩
EP1386040B1 (en) Down-stroke dispenser
JP2013096187A (ja) 補給水供給装置、この補給水供給装置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この洗浄水タンク装置が適用された水洗大便器
ATE331850T1 (de) Abgabevorrichtung für farbige flüssigkeit in ein toilettenbecken
US20070006369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cleaning material to a toilet
PL205249B1 (pl) Adapter dozowniczy spłuczki toaletowej
JP6019279B2 (ja) 排水トラップ
JP3684230B2 (ja) 排水フロート構造
KR200491751Y1 (ko) 양변기 청결 기구
JP2009052198A (ja) 薬剤保持器
KR102300750B1 (ko) 용액 공급 장치
JP3659047B2 (ja) 洗浄水タンク
EP1591592A1 (en) Liquid cleaner dispenser for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