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928Y1 -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 글라스의 홀더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 글라스의 홀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928Y1
KR200177928Y1 KR2019970032357U KR19970032357U KR200177928Y1 KR 200177928 Y1 KR200177928 Y1 KR 200177928Y1 KR 2019970032357 U KR2019970032357 U KR 2019970032357U KR 19970032357 U KR19970032357 U KR 19970032357U KR 200177928 Y1 KR200177928 Y1 KR 2001779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holder
door glass
sea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9045U (ko
Inventor
윤기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23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928Y1/ko
Publication of KR199900190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0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9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 글라스의 홀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빗물이나 먼지 등이 도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러를 구비하고 그 내, 외측 스테빌라이져 어셈블리가 글라스의 양측으로 구비되어 있는 도어에 있어서, 도어 글라스(10)의 유리공(11)에 체결부재(20)와 완충용 실러(30) 및 너트(40)로 홀더(50)를 고정하되, 상기 홀더(50)는 이너스테빌라이져에 고정된 누름용 부재(51)를 외측으로부터 압력을 가하기 위해 단부에 경사면(52)과 누름부(53)를 돌출 되도록 구비한 압착부(54) 및 이 압착부(54)를 도어 글라스로부터 소정의 간격(L)을 유지토록 하는 스페이서(55)를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그 일측면에 체결공(56a)을 형성한 접착면(56)으로 구성되어 글라스가 불확실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고 주행중 발생하게 되는 윈드 노이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 글라스의 홀더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 글라스의 홀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 글라스의 일측에 위치하는 도어 이너레일에 고정되어 있는 스테빌라이져에 도어 내측으로부터 외부로 도어 글라스를 미는 작용을 하는 홀더를 구비하여 글라스가 불확실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로 인한 윈드 노이즈의 발생과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도어 글라스가 사이드 도어의 상부에 구비되어있어 주행중 지나 쳐가는 주위환경(풍경)을 차내의 시트에 앉아서 감상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장시간 도어를 닫아 놓을 상태로 주행을 계속하게 되면 차내의 공기는 엔진의 열과 탑승자 및 운전자의 호흡 등으로 혼탁해지는 상태로 되고 이로 인한 졸음과 호흡기에 질환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원인으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차내의 공기를 외기의 신선한 공기와 교환을 해 주어야 하기 위해 상, 하부로 개폐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고정하고 있는 사이드 도어는 프레스로 가공한 얇은 판의 도어패널이 내, 외측으로 구비하여 용접으로 고정한 것으로 그 일측에 도어를 차체에 설치하기 위한 도어 힌지와 도어가 어느 한도 이상 열리지 않도록 하는 도어 잭이 중심차체의 필러부분과 도어 중간에 리벳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빗물과 먼지 등이 차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고무재로 제작된 웨더 스트립이 도어의 외측 패널의 내측으로 구비되어 있다.
한편, 차량의 도난 등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 로크 장치를 도어의 일측에 구비하고 글라스를 상하부로 이동시키는 글라스 이송부를 도어의 내측으로 구비한다.
상기 도어 로크 장치는 스트라이켜와 서로 물려서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록킹 부분과 아웃 사이드 핸들과 인사이드 핸들을 연결하는 로크 개방에 관계된 핸들개방부와 실린더의 푸시버튼에 연결하는 로크장치를 구성하는 노브 그리고, 랭크로 구비되어 있으며 도어를 닥으면 로크 랫칫 부분이 스트라이커부분과 접촉되면서 로크 래칫부가 회전하여 잠기는 상태로 된다.
상기 글라스 이송부는 도어 레귤레이터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창틀이 있는 형식과 창틀이 없는 형식으로 구분되며, 창틀이 있는 형식은 내외측의 패널사이에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과 창틀사이를 글라스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창틀이 없는 형식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글라스(100)의 하부로 고무 시이트(110)를 사이에 둔 유리 브래킷(120)이 도어 윈드 가이드 사이(120)를 오르내리도록 만들어 져 있으며 창틀이 있는 형식에 비해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의 외측 패널의 상부로는 빗물이나 먼지 등이 도어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러(140)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내측 하부로는 도어 글라스(100)가 외측으로 이동(도어 글라스의 상하 작동시 실러로부터 좌우로 이동하는 간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외측 스테빌라이져 어셈블리(15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외측 스테빌라이져 어셈브리(150)가 구비된 내측 저면으로(도어 트림쪽)도어 글라스(100)가 차내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측 스테빌라이져 어셈블리(160)가 구비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한편, 도어 레귤레이터는 도어 글라스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기구로 도어 레귤레이터에 핸들에 의하여 부채 모양의 기어를 돌려서 작동시키는 수동식과 직류 직권 전동기에 의해 창문 유리를 올리고 내리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어는 주행중 도어 트림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핸들이나 스위치 등을 작동시키게 됨과 동시에 기어나 모터의 회전으로 유리 브래킷(120)이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도어 윈드 가이드(130)를 따라 상부나 하부로 이동하게 되어 도어 글라스(100)를 닫거나 개방하게 되어 외기를 교환하거나 겨울철 내기가 바깥쪽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도어 글라스(100)가 상부로 이동시 양 측에 구비되어 있는 스테빌라이져(150)(160)에 의해 글라스(100)가 일측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도어 글라스가 모터의 작동으로 상부로 거의 다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이 글라스의 자중으로 인해 원 중심축(도어 글라스의 중심선과 웨더 스트립의 중심선이 만나는 곳)이 변화하게 되는 원인으로 주행중 진동으로 그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우천시 실러와 도어 글라스 사이에 갭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빗물이나 먼지 등이 도어내측을 경유하여 차내로 스며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 글라스의 일측에 미는 작용을 하는 홀더를 구비하여 글라스가 불확실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윈드 노이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사이트 도어 글라스의 홀더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글라스의 홀더가 장착된 상태시의 개략적인 예시도,
도 2 본 도 1 의 A부 분해 사시 예시도,
도 3 은 도 1 의 A-A선 단면 예시도,
도 4 는 종래 고안의 도어 글라스 홀더가 장착된 상태시의 종단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도어 글라스 11;유리공
20;체결부재 30;완충용 실러
40;너트 50;홀더
51;누름용 부재 52;경사면
53;누름부 54;압착부
55;스페이서 56;접착면
56a;체결공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 글라스의 유리공에 체결부재와 완충용 실러 및 너트로 홀더를 고정하되, 상기 홀더는 이너스테빌라이져에 고정된 누름용 부재를 외측으로부터 압력을 가하기 위해 단부에 경사면과 누름부를 돌출 되도록 구비한 압착부 및 이 압착부를 도어 글라스로 부터 소정의 간격을 유지토록 하는 스페이서를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그 일측면에 체결공을 형성한 접착면으로 구비되어 도어 글라스가 불확실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동차용 사이드 도어 글라스의 홀더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음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글라스의 홀더가 장착된 상태시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며, 도 2 본 도 1 의 A부 분해 사시 예시도이고, 도 3 은 도 1 의 A-A선 단면 예시도이다.
주행시 빗물이나 먼지 등이 도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기 위해 실러를 구비하고 그 내, 외측 스테빌라이져 어셈블리가 글라스의 양측으로 구비되어 있는 도어에 있어서, 도어 글라스(10)에 유리공(11)을 형성하고 체결부재(20)를 사용하여 홀더(50)를 고정하되, 체결부재(20)와 너트(40)사이에 완충용 실러(30)를 삽입하여 도어 글라스(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상기 홀더(50)는 글라스의 하단에 고정시켜 완전 오픈 시켰을 때 도어가 내측으로 밀리게 되는 것을 이너스테빌라이져에 고정된 누름용 부재(51)를 밀어 방지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 외측으로부터 압력을 가하기 위해 단부에 경사면(52)과 누름부(53)를 돌출 되도록 일체형으로 구비한 압착부(54)를 형성한다.
그리고, 압착부(54)가 도어 글라스로부터 소정의 간격(L)이 유지되도록 하는 스페이서(55)를 압착부(54)의 단부에 일체형으로 구비하되, 그 일측면(도어 글라스와 접촉하는 면)의 접착면(56)에 체결공(56a)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주행중 차내의 공기를 정화(환기)시키기 위해 도어(실내)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스위치를 ON시킴과 동시에 도어 패널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가 회전을 하게 되면서 도어 글라스(10)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부의 근처로 이동된 도어 글라스(10)는 그 하단부에 체결부재(20)로 고정되어 있는 홀더(50)의 단부 즉, 압착부(54)의 경사면(52)이 누름용 부재(51)를 도어 글래스(10)쪽으로 밀게 되면서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홀더(50)를 고정하는 부위에 삽입되어 있는 실러(30)는 체결력의 저하(나사의 풀림)와 과조임시 발생하게 되는 글라스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 내측으로부터 외부로 도어 글라스를 미는 작용을 하는 홀더를 구비하여 글라스가 불확실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고 윈드 노이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

  1. 빗물이나 먼지 등이 도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러를 구비하고 그 내,외측 스테빌라이져 어셈블리가 글라스의 양측으로 구비되어 있는 도어에 있어서, 도어 글라스(10)의 유리공(11)에 체결부재(20)와 완충용 실러(30) 및 너트(40)로 홀더(50)를 고정하되, 상기 홀더(50)는 이너스테빌라이져에 고정된 누름용 부재(미도시)를 외측으로부터 압력을 가하기 위해 단부에 경사면(52)과 누름부(53)가 돌출 되도록 구비한 압착부(54) 및 이 압착부(54)를 도어 글라스로부터 소정의 간격(L)을 유지토록 하는 스페이서(55)를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그 일측면에 체결공(56a)을 형성한 접착면(5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 글라스의 홀더 구조.
KR2019970032357U 1997-11-15 1997-11-15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 글라스의 홀더 구조 KR2001779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357U KR200177928Y1 (ko) 1997-11-15 1997-11-15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 글라스의 홀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357U KR200177928Y1 (ko) 1997-11-15 1997-11-15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 글라스의 홀더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045U KR19990019045U (ko) 1999-06-05
KR200177928Y1 true KR200177928Y1 (ko) 2000-04-15

Family

ID=19514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357U KR200177928Y1 (ko) 1997-11-15 1997-11-15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 글라스의 홀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92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913B1 (ko) * 2001-09-19 2004-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트림 밀폐구조
KR100774337B1 (ko) * 2006-10-19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스테빌라이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045U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7928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 글라스의 홀더 구조
US20100024306A1 (en) Cross arm module for vehicle door
KR100394953B1 (ko)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그립
KR0130280Y1 (ko) 자동차용 보조 도어글래스
KR0114598Y1 (ko)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
JPH0678039U (ja) 可動屋根パネル駆動装置の取付構造
JPH0329209Y2 (ko)
JPS64326Y2 (ko)
KR0132908Y1 (ko) 자동차 도어 웨더 스트립의 실리콘 코팅 장치
JPH0237618Y2 (ko)
KR0173413B1 (ko) 자동차 도어의 실링구조
JPH045366Y2 (ko)
KR100230923B1 (ko)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글래스지지대의 구조
JPH02220924A (ja) 着脱式自動車用換気口
KR0173665B1 (ko) 도어 프레임과 웨더스트립의 취부 구조
JPS5943128Y2 (ja) サンル−フ
JP2575927Y2 (ja) 自動車のドアウエストシ−ル構造
KR0140313Y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 및 도어 이너판넬의 웨더스트립 결합구조
JP2557629Y2 (ja) サッシュレスドア構造
JPH0423068Y2 (ko)
KR100196281B1 (ko)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의 스태빌라이저 구조
KR0135175Y1 (ko) 자동차 도어 프레임 하단 채널부의 몰딩구조
KR200157284Y1 (ko) 자동차 도어용 웨더스트립
KR19980038995A (ko) 3-도어 차량의 쿼터 글래스용 레귤레이터
JP3539444B2 (ja) サンルー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