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598Y1 -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598Y1
KR0114598Y1 KR92014184U KR920014184U KR0114598Y1 KR 0114598 Y1 KR0114598 Y1 KR 0114598Y1 KR 92014184 U KR92014184 U KR 92014184U KR 920014184 U KR920014184 U KR 920014184U KR 0114598 Y1 KR0114598 Y1 KR 0114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glass
glass
bracket
vert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4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232U (ko
Inventor
손병락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92014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598Y1/ko
Publication of KR9400032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2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5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글래스의 실내측으로 글래스 밀림방지용 브라켓을 설치하여서 도어글래스의 좌우이동이 상기 브라켓에 의해서 제한 받도록 함으로써 도어글래스와 도어외측패널 사이로 여타의 도구등이 삽입될 수 없도록 한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
제1도는 종래 자동차 도어의 요부확대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글래스 밀림방지 브라켓이 설치된 자동차 도어의 요부확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측패널 11 : 내측패널
12 : 도어트림 13 : 웨더스트립 외측벨트
14 : 웨더스트립 내측벨트 15 : 도어글래스
16,16' : 상.하단 수직부 17 : 수평부
18 : 브라켓 19 : 패드
20 : 선단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글래스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좌우도어의 글래스가 승강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도어에 부착 설치되어 있고, 이를 도어의 글래스는 운전자등이 차량에 탑승한 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승강핸들에 접속되어져 있으며, 탑승자는 자동차가 운행중 또는 정지중에 도어의 개폐없이 이 핸들을 돌려가며 도어글래스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에는 자동차 도어의 외측패널(10)과, 내측패널(11)을 감싸듯이 설치된 도어트림(12)상에 웨더스트립 외측벨트(13)와 웨더스트립 내측벨트(14)가 각각 설치되어져서, 도어글래스(15)가 웨더스트립 내.외측벨트(14,13) 사이에 밀접 설치되고, 상기 도어글래스(15)는 글래스 그립(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되어 도어글래스 리프터(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므로써 탑승자가 도어핸들을 구도시킴에 따라 도어글래스(15)가 승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웨더스트립 내.외측벨트(14,13)는 도어글래스(15)의 양표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도어글래스(15)의 원활한 승강작용과 완벽한 밀봉역할을 위해서 각 웨더스트립 내.외측벨트(14,13)는 도어글래스(15)를 사이에 두고 각각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자동차를 주차시킬 때 운전자는 도어의 개폐여부, 도어글래스의 개폐정도 등과 같이 도난방지를 위한 안전점검을 하게 되며 이를 위해서 도어를 닫은 후에 록크로드노브(LOCK ROD KNOB)를 누룬 다거나 도어글래스 핸들을 돌려서 도어글래스를 완전히 승강시키는 것과 같이 점검을 마친 후 자동차를 주차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도어의 내.외측패널(11,10)은 도어글래스의 상하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여기에 설치되는 웨더스트립 내.외측벨트(14,13)은 단순히 도어의 틈새막이 역할이나 눈, 비,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방지역활을 위한 것이므로 도어글래스는 상기한 간격만큼 좌우유동이 가능하며, 따라서 도어글래스를 외부에서 가압하면(도면의우측에서 좌측으로)도어글래스와 도어외측패널 사이에는 더욱 넓은 간격이 형성되고 이곳으로 철사나 바(BAR)와 같은 기타 도구를 삽입 조작하여 자동차의 록킹(LOCKING)를 해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도어글래스의 실내측으로 글래스 밀림방지용 브라켓을 설치하여서 도어글래스의 좌우이동이 상기 브라켓에 의해서 제한 받도록 함으로써 도어글래스와 도어외측패널 사이로 여타의 도구등이 삽입될 수 없도로 한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의 외측패널(10)과 내측패널(11) 사이에 도어글래스(15)가 설치 이동되며, 외측패널(10)의 상부와, 내측패널(11)의 외부로 설치된 도어트림(13) 상부에는 웨더스트립 내.외측벨트(14,13)가 각각 부착되어서 상기 도어글래스(15)의 양면에 접속되어지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측패널(11)의 상단에는 상,하단수직부(16,16')와 수평부(17)로 절곡 성형된 브라켓(18)의 상단수직부(16)가 부착 고정되고, 상기 하단수직부916')에는 패드(19)가 부착되어서 상기 도어글래스(15)와 접촉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며,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글래스 밀림방지용 브라켓이 설치된 도어의 요부확대 측단면도로서, 도어글래스(15)의 안쪽으로(자동차의 실내쪽으로) 도어글래스(15)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브라켓(18)이 설치되어지되, 이 브라켓(18)은 상단수직부(16)와 하단수직부(16')가 수평부917)로서 일체로 연결되도록 두차례의 절곡을 통하여 성형되는 한편, 상단수직부(16)는 도어내측패널(11)의 상부선단(20)에 부착 설치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하단수직부(16')는 도어글래스(15)방향으로 형성된 수평부(17)에 연결된 채로 상기 도어글래스(15)와 평해을 이루는 상태를 갖추면서 설치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하단수직부(16')에는 러버(RUBBER)재질로 된 패드(19)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도어글래스(15)의 상하이동시 마찰접촉으로 인한 도어글래스(1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도어글래스915)는 승강이동시에 안쪽으로(도면의 좌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도어글래스(15)와 하단수직부(16')의 패드(19) 접촉면 사이에는 도어글래스(15)의 좌우이동 여유를 주기 위한 간격(L)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위와같은 도어글래스 밀림방지용 브라켓(18)이 도어의 내측에 설치될 경우, 탑승자가 도어해들을 돌려 도어글래스(15)를 하강시켰을 때는 도어글래스(15)와 패드(19)의 접촉면간의 간격(L)이 최대치를 유지하게 되며, 도어글래스(15)를 승강시켰을 때에는 상기 간격(L)이 점차 감소되면서 마침내 도어글래스(15)가 승강 작동을 완료하면 패드(19)의 접촉면과 도어글래스(15)의 실내쪽 표면은 밀착된 상태로 되어지고, 따라서 도어글래스(15)는 좌,우방향으로서의 이동이 제한을 받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동차 도어의 록킹(LOCKING)장치 해제를 목적으로 도어글래스(15)를 실내쪽으로 가압하여 밀면 도어글래스(15)는 상기 브라켓(18)에 의해 밀림이 저지되기 때문에 도어글래스(15)와 도어외측패널(10) 사이로의 여타의 도구도 삽입할 수 없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글래스의 실내측으로 도어글래스 밀림방지용 브라켓을 설치함으로써, 도어글래스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 도어의 도어글래스 수납부 바로 아래쪽에 상단과 하단의 수직부(16)(16')와 중간의 수평부(17)로 이루어지도록 절곡 성형된 브라켓(18)을 설치하되, 상단 수직부(16)을 통해 도어내측패널(11)의 상단에 지지되면서 하단 수직부(16')를 이용하여 도어글래스(15)의 안쪽을 받쳐줄 수 있도록 설치하여 도어글래스(15)가 안쪽으로 밀리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
KR92014184U 1992-07-30 1992-07-30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 KR0114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4184U KR0114598Y1 (ko) 1992-07-30 1992-07-30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4184U KR0114598Y1 (ko) 1992-07-30 1992-07-30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232U KR940003232U (ko) 1994-02-18
KR0114598Y1 true KR0114598Y1 (ko) 1998-04-21

Family

ID=1933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4184U KR0114598Y1 (ko) 1992-07-30 1992-07-30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5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232U (ko) 199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261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 window of a side door of a motor vehicle
US780646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inted windows
KR0114598Y1 (ko)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
US4664440A (en) Roof door structure for vehicles
KR200177928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 글라스의 홀더 구조
JPS5835537Y2 (ja) 自動車に使用するフレ−ム付きドア
KR100465964B1 (ko) 자동차 도어와 루프 및 윈도우의 자동개폐장치
JPH0546493Y2 (ko)
US20220410673A1 (en) Vehicle side structure
KR0167447B1 (ko) 원박스형 자동차의 화물적재장치
JP2603761Y2 (ja) 自動車用ドアの排水構造
KR0167990B1 (ko) 자동차용 경광등 장착구조
KR200158289Y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지지구조
KR200154256Y1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
KR0132908Y1 (ko) 자동차 도어 웨더 스트립의 실리콘 코팅 장치
KR200161990Y1 (ko) 승합차량의 사이드 스텝
KR0136881Y1 (ko) 버스의 러기지 도어
JPH039455Y2 (ko)
JPS6212761Y2 (ko)
JPH0244564Y2 (ko)
JP3539444B2 (ja) サンルーフ装置
JPS64326Y2 (ko)
KR200142559Y1 (ko) 자동차의 후드 힌지
KR200151113Y1 (ko) 콘솔박스를 이용한 자동차의 재떨이
JPH078765Y2 (ja) 車両用ド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