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447B1 - 원박스형 자동차의 화물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원박스형 자동차의 화물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447B1
KR0167447B1 KR1019950027187A KR19950027187A KR0167447B1 KR 0167447 B1 KR0167447 B1 KR 0167447B1 KR 1019950027187 A KR1019950027187 A KR 1019950027187A KR 19950027187 A KR19950027187 A KR 19950027187A KR 0167447 B1 KR0167447 B1 KR 0167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box
cargo
load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333A (ko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101995002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7447B1/ko
Publication of KR970010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4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원박스 자동차의 적재함(53)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작업자가 적재함(53)에 화물을 안착시킨 후 다시 이를 순차 적재하기 위해 적재함(53) 내측으로 이동시킴은 작업이 중복됨으로써 화물 승, 하차 작업이 어렵게 됨을 개선하기 위하여, 적재함(53) 바닥(52)에 화물 적재 및 하차시 슬라이딩되어 적재함(53)의 외부로 화물을 인출하게 되는 인출 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원박스 자동차에서의 화물 적재 작업이 단순화된다.

Description

원박스형 자동차의 화물 적재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원박스형 자동차의 화물 적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조립 일측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 로울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4도는 일반적인 원박스형 자동차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일 2 : 로울로
3 : 슬라이드 4 : 탄성재
5 : 수평부 6 : 굽힘부
7 : 상부레일 8 : 브라켓
9 : 스토퍼 10 : 손잡이
11 : 스프링 12 : 관통공
13 : 결합공 14 : 고정부재
15 : 키
본 발명은 원박스형 자동차에 관하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박스형 자동차에서 적재함에 화물을 싣기 내리는 것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원박스형 자동차의 화물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사용목적에 따라 승용차와 화물차로 구분됨과 아울러 사용연료에 따라 가솔린 자동차와 디젤 자동차로 구분되어 진다.
또한 상기한 화물차는 1톤 미만인 승합차와 그 이상인 대형 화물차로 구분되는 바, 상기한 승합차에는 화물 또는 사람을 태우기 위해 차량의 후면이 밀폐되어 있는 원박스 자동차가 많이 사용된다.
즉, 상기한 원박스 자동차는 사람을 승차시킬 경우에는 후면에 시트를 설치하게 되고, 화물을 실을 경우 빈 공간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원박스 자동차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이 설치된 캡(50)과, 상기한 캡(50)이 안착되어 있고 길게 연장형성된 프레임(51)과, 상기한 프레임(51)에 안착되어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바닥(52)이 형성되어 있는 적재함(53)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적재함(53)의 후면에는 화물을 싣고 내릴 수 있도록 도어(54)가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54)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잠금장치(미도시)가 설치도어 있게 된다.
상기한 원박스 자동차에 화물을 싣고 위해서는 상기한 잠금장치를 개방시킨 후 도어(54)를 열고 적재함(53)에 작업자가 들어가서 화물을 내측부터 적재하게 된다.
즉, 지상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적재함(53)에 화물을 안착시킴과 아울러 상기한 화물을 적재함에 순차 적재하기 위해 적재함(53) 내측으로 화물을 이동시켜 재차 적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원박스 자동차의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작업자가 적재함에 화물을 안착시킨 후 다시 이를 순차 적재하기 위해 적재함 내측으로 이동시킴은 작업이 중복됨으로써 화물 승,하차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번의 화물 승,하차 작업으로 화물 적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구성된 원바스형 자동차의 화물 적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재함 바닥에 화물 적재 및 하차시 슬라이딩되어 적재함의 외부로 화물을 인출하게 되는 인출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원박스형 자동차의 화물 적재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조립 일측면도로서, 적재함(53) 바닥(52)에 화물 적재 및 하차시 슬라이딩되어 적재함의 외부로 화물을 인출하게 되는 인출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한 인출수단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인출수단이 화물을 적재함(53)의 내,외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적재함(53) 내부에 들어가지 않아도 화물의 적재 및 하차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인출 수단은 적재함 바닥(52)에 대향 설치된 한조의 레일(1)과 상기한 레일(1)에 안착됨과 아울러 이를 타고 구름 운동하게 되는 로울러(2)가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더(3)와, 상기한 슬라이더(3)의 전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더(3) 인출을 용이하게 하는 그립수단과, 상기한 레일(1)과 슬라이더(3)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결합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슬라이더(3)의 내측면에는 슬라이더(3)와 적재함(53)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재(4)가 부착되어 있고, 주행중 슬라이더(3)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고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결합수단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의 양단에 형성된 수평부(5)와, 상기한 수평부(5)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양단에 굽힘부(6)가 형성됨과 아울러 로울러(2)가 설치되는 상부레일(7)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그립 수단은 슬라이더(3)의 전면에 고정된 브라켓(8)과, 상기한 브라켓(8)을 관통함과 아울러 내측단에 스토퍼(9)가 형성된 손잡이(10)와, 상기한 손잡이(10)와 브라켓(8)의 내측면사이에 개재된 스프링(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수단은 슬라이더(3)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공(12)과, 상기한 슬라이더(3)가 적재함(53) 내측에 밀착되었을 때 관통공(12)과 일치되는 위치인 적재함 바닥(52)에 부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공(13)이 형성된 고정부재(14)와, 상기한 관통공(12)과 고정부재(14)를 결합시켜 슬라이더(3)를 고정시키게 되는 키(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적재함(53)에 화물을 싣기 위해 도어(54)를 열게 되면 슬라이더(3)의 손잡이(10)가 전면에 위치되어 있는바, 상기한 손잡이(10)를 잡고 당겨서 슬라이더(3)를 인출하게 된다.
즉, 레일(1)과 로울러(2) 그리고 상부레일(7)로 결합된 슬라이더(3)를 잡아 당겨 적재함(53) 외부로 인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손잡이(10)를 잡고 당길 때 상기한 손잡이(10)는 스프링(11)을 압축하면서 소정의 탄성을 갖게 됨으로써 당길 때 손에 부담을 감소시키게 된다.
슬라이더(3)가 적재함(53)의 외부로 인출되면 작업자가 슬라이더(3) 상면에 화물을 순차 적재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화물의 중량이 슬라이더(3)에 인가되어도 레일(1)과 상부레일(7)에 의해 슬라이더(3)의 위치가 제한됨으로서 슬라이더(3)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더(3)에 화물을 순차 적재 완료하게 되면 작업자가 슬라이더(3)를 밀어 적재함(53) 내부에 슬라이더(3)를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탄성재(4)가 적재함(53)에 접촉됨으로써 슬라이더(3)의 정지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슬라이더(3)가 적재함(53) 내부로 인입되면 주행중 슬라이더(3)가 유동하지 않도록 키(15)를 슬라이더(3)의 관통공(12)에 삽입시킴과 아울러 상기한 키(15)가 고정부재(14)에 삽입되어 슬라이더(3)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한 고정부재(14)는 다단 절곡되어 상단면을 슬라이더(3) 전면부와 연결되고 중앙부위는 손잡이내의 스토퍼(9)와 지지하고 저면은 손잡이(10)의 하단부 브라켓(9)위면에 접촉연결되어 슬라이더(3)의 유동을 방지한다.
즉, 종래와 같이 적재함(53)에 화물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이를 다시 순차 적재하지 않고 슬라이더(3)의 인출 후 즉시 순차 적재함으로서 적재 작업의 중복을 제거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것이다.
물론, 적재 상태의 화물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3)를 적재함(53) 외부로 인출한 후 슬라이더(3)에서 취출하면 되는 것이다.
물론, 적재 상태의 화물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3)를 적재함(53) 외부로 인출한 후 슬라이더(3)에서 취출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원박스 자동차의 적재함에 수평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를 설치함으로써 화물을 적재하는 작업이 매우 단순하게 되어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화물을 적재함의 슬라이더로 적재하거나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바닥에 연결된 슬라이더(3) 저면 좌우측 양단에 사각으로 형성된 상부레일(7)를 전.후방으로 길게 연결하고, 상기 상부레일(7)의 내부 공간부에 로울러(2)를 연결하고 상부레일(7)의 하단부를 외부와 통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로 절개하여 좌우측 양측에 굽힘부(6)를 형성시키고, 상기 굽힘부(6)의 상면에 안착되어 슬라이더(3)가 적재함의 전.후방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상단부의 좌우측 끝단부가 외측으로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부(5)를 형성하며 중앙에는 요홈이 형성된 레일(1)을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더(3) 전면에 긴밀하게 연결되는 손잡이(10)는 상하 양 끝단부를 타측으로 절곡시킨 브라켓(8)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8) 내측에 스프링(11)이 끼워져 슬라이더(3) 전면을 지지하는 스토퍼(9)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박스 자동차용 화물 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주행중 슬라이더(3)와 손잡이(10)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고정수단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박스 자동차용 화물 적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고정수단은 상기 슬라이드 전면에 손잡이와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다단 절곡하여 슬라이드 전면을 상단부에 긴밀하게 연결하고 하단부는 손잡이의 브라켓 하단부 위면에 접촉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더(3)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손잡이와 고정부재에 형성된 결합공을 차례로 체결하여 결합하는 키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박스 자동차용 화물 적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적재함 바닥의 전면에 슬라이드 후방면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드 후방측에 탄성부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박스 자동차용 화물 적재 장치.
KR1019950027187A 1995-08-29 1995-08-29 원박스형 자동차의 화물적재장치 KR0167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7187A KR0167447B1 (ko) 1995-08-29 1995-08-29 원박스형 자동차의 화물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7187A KR0167447B1 (ko) 1995-08-29 1995-08-29 원박스형 자동차의 화물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333A KR970010333A (ko) 1997-03-27
KR0167447B1 true KR0167447B1 (ko) 1999-01-15

Family

ID=19424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7187A KR0167447B1 (ko) 1995-08-29 1995-08-29 원박스형 자동차의 화물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74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841B1 (ko) * 2020-05-08 2020-11-10 주식회사 신성씨앤피 세라믹 임팩트 바, 이를 포함하는 세라믹 임팩트 바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333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6361A (en) Roll-over protection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US4941702A (en) Underseat expansion bed vehicle for transporting long load material
CN100436204C (zh) 车座的滑动装置
US6095731A (en) Wheel fixing apparatus, pallet/truck and wheel fixing method, automatic wheel fixing apparatus and mode interchange
JP3772919B2 (ja) 自動車の荷物積載面上の物体を非滑り輸送するための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車
KR0167447B1 (ko) 원박스형 자동차의 화물적재장치
KR102339846B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프론트도어 상부지지장치
JP3294970B2 (ja) 車両用荷崩れ防止装置
KR100372678B1 (ko) 자동차의 트렁크내 화물고정용 네트 고정장치
US4688490A (en) Rail car door bottom guide rail having tire-actuated, depressible sections
CN110884579A (zh) 物流货车
KR0133908Y1 (ko) 버스용 적재함 도어구조
KR19980082750A (ko) 트렁크실의 슬라이딩패널
JPH0820284A (ja) 車輌トランク用仕切り
KR102132724B1 (ko) 자동차의 프론트도어 슬라이딩장치
JPH0346330B2 (ko)
KR100483864B1 (ko) 화물차의 적재함의 문짝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의 분실방지장치
KR100350898B1 (ko) 화물자동차의 적재함높이 증설장치
DE102009007451A1 (de) Betätigungsgriff an einem Ladeboden für ein Fahrzeug
KR0114598Y1 (ko)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
KR100472140B1 (ko) 트럭의 수납형 사다리
KR100376471B1 (ko) 해치백 차량의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KR20240062743A (ko) 자동차 도어 이탈 방지장치
KR0185899B1 (ko) 도난 방지 구조를 갖는 자동차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200206941Y1 (ko) 트렁크패널 리프팅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