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864B1 - 화물차의 적재함의 문짝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의 분실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의 적재함의 문짝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의 분실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864B1
KR100483864B1 KR10-2003-0009690A KR20030009690A KR100483864B1 KR 100483864 B1 KR100483864 B1 KR 100483864B1 KR 20030009690 A KR20030009690 A KR 20030009690A KR 100483864 B1 KR100483864 B1 KR 100483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llar
support
vehicle
loss
loss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4152A (ko
Inventor
김상용
Original Assignee
김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용 filed Critical 김상용
Priority to KR10-2003-0009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864B1/ko
Publication of KR20040074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8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0Spraying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9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by spraying extinguishants directly into the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65Arrangements for hoses, tubes, or reels

Abstract

차량의 고정홈에 삽입된 상태의 제1 위치와,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적재함 문짝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지지기둥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에 고정된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을 연결하는 상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 및 상기 상판에 의해 정의된 안내 통로를 가로질러 고정된 걸림봉을 갖는 지지기둥 고정부, 상기 차량에 고정되어 있고 힌지를 갖는 차체 고정부, 그리고 상기 안내 통로 내에 위치하는 일단부와, 상기 힌지에 결합되어 있는 타단부와, 상기 지지기둥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걸림봉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일단부에 형성된 이동제한수단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화물차의 적재함의 문짝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의 분실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LOSS OF A SIDE GATE SUPPORT POST IN A FREIGHT CAR}
본 발명은 화물차 혹은 트럭의 적재함의 문짝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개로 분할된 적재함 문짝을 갖는 대형 화물차 혹은 트럭 등에서 적재함 문짝과 문짝 사이에서 이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기둥의 분실 혹은 도난 등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 화물차나 트레일러 등의 적재함의 측면 문짝은 적재함의 길이 방향으로 둘 혹은 셋으로 분할되어 화물의 적재 및 취급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전장이 긴 화물차가 단일의 적재함 문짝을 갖는 경우 문짝의 무게가 무거워져 사용자의 힘으로 개폐가 불가능하게 될 수도 있고, 다양한 종류의 화물을 차량에 적재하는 경우에는 적재함을 둘러싸는 문짝의 일부만을 개방하는 것이 효율적인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도 1에는 다중으로 분할된 적재함 문짝을 갖는 종래기술에 따른 화물차의 적재함 문짝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2개의 적재함 문짝(3)은 각각 힌지(4)에 의해 차량의 적재함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재함 문짝(3) 사이에는 문짝 지지기둥(6)이 위치한다. 문짝 지지기둥(6)은 적재함에 형성된 고정홈(5)에 삽입되어 차량에 고정되며, 차량에 고정된 상태에서 양측에 위치한 적재함 문짝(3)을 지지할 수 있다. 적재함 문짝(3)의 지지를 위해 문짝(3)에는 고정봉(8)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기둥(6)에는 고정봉(8)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는 고정부(7)가 돌출 형성된다.
문짝 지지기둥(6)은 고정홈(5)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문짝(3)이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부피가 큰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혹은 적재함 보다 큰 폭을 갖는 화물을 차량에 적재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는 적재함으로부터 제거하여 화물을 싣거나 부릴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된다. 이 경우, 분리된 문짝 지지기둥(6)은 예를 들면, 적재함의 빈 곳 혹은 운전석 등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여 두게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 문짝 및 지지기둥의 구성에의하면, 운전자 등이 적재함으로부터 제거한 지지기둥의 취급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이를 분실할 우려가 크다. 또한, 분실하지 않더라도 예를 들면 화물 밑에 깔려 있는 경우에는 화물 적재를 완료하고 문짝을 닫을 시점에서 지지기둥을 찾지 못해 결국 문짝을 닫지 못하게 되거나, 또한 찾았더라도 무거운 화물 밑에 있어서 빼내기가 힘들어 지는 등의 종종 난감한 문제를 경험하게 된다.
또한, 화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로 장기 주차 등을 하는 경우, 지지기둥이 종종 도난당하는 등의 단점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대형 화물차 혹은 트럭의 다중으로 분할된 적재함 문짝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분실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면서 종래의 적재함 문짝의 구조를 변형하지 않으면서 적용 가능한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및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고정홈에 삽입된 상태의 제1 위치와,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적재함 문짝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지지기둥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에 고정된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을 연결하는 상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 및 상기 상판에 의해 정의된 안내 통로를 가로질러 고정된 걸림봉을 갖는 지지기둥 고정부, 상기 차량에 고정되어 있고 힌지를 갖는 차체 고정부, 그리고 상기 안내 통로 내에 위치하는 일단부와, 상기 힌지에 결합되어 있는 타단부와, 상기 지지기둥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걸림봉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일단부에 형성된 이동제한수단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를 제공하여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동제한수단은 U자 형상구간을 갖는 후크(hook)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U자 형상구간은 상기 상판과 상기 지지기둥의 면 사이의 간격보다 긴 길이를 갖는 직선구간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기둥 및 상기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 측면 외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차량 측면과 접촉할 때,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차량 측면에 부착된 고무 패드를 추가로 갖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 문짝 지지기둥의 분실방지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분실방지장치는 지지기둥 고정부(20), 후크 연결부(30), 차체 고정부(40), 그리고 한 쌍의 고무 패드(102)를 포함한다.
화물차 적재함 문짝 지지기둥(이하 "지지기둥"이라 칭함;10)은 화물차의 적재함에 형성된 고정홈(16)에 그 하단부(14)가 삽입되어 고정된 채로 화물차 적재함 문짝(도시되지 않음)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할 때 혹은 화물을 적재함으로부터 부리는 경우 고정홈(16)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적재함 문짝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기둥(10)의 상측에는 한 쌍의 고정 손잡이(12)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기둥 고정부(20)는 화물차 적재함 문짝 지지기둥(10)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안내 통로가 형성된 중공형 박스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안내 통로에는 후크 연결부(30)의 일단부가 이동 가능한 상태로 연장되어 있다. 후크 연결부(30)의 타단부는 차체 고정부(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도 2에는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차체 고정부(40)는 차량의 측면에 고정되어 진다.
도 3a는 본 발명의 도난방지장치를 구성하는 지지기둥 고정부(20)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고, 도 3b는 그 저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지지기둥 고정부(20)는 지지기둥(10)의 외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판(28b), 상기 한 쌍의 측판(28b)을 연결하는 상판(28a), 상기 한 쌍의 측판(28b)과 상판(28a)에 연결되어 지지기둥 고정부(20)의 후방을 폐쇄하는 후판(28c), 한 쌍의 측판(28b) 사이에 고정된 걸림봉(26)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판(28b)을 지지기둥(10)의 외면에 고정하기 위해 측판(28b)에는 복수의 결합편(22)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편(22)은 결합편(22)을 관통하여 형성된 고정구멍(24)을 구비하고 있고, 고정구멍(24)을 통해서 핀(pin) 혹은 나사 등이 지지기둥(10)에 삽입됨으로써 측판(28b)은 지지기둥(10)에 고정된다.
측판(28b)이 지지기둥(10)의 외면에 고정되면 한 쌍의 측판(28b), 상판(28a), 지지기둥(10)의 외면이 형성하는 공간은 후크 연결부(30)의 일단이 이동할 수 있는 안내 통로를 형성한다. 이 안내 통로를 가로질러 걸림봉(26)이 형성된다.
도 4는 후크 연결부(30)와 차체 고정부(40)의 사시도이다.
후크 연결부(30)는 그 일단부가 힌지(35)에 연결된 굴곡형상부(34)와 굴곡형상부(34)로부터 연장된 U자 형상의 후크(32)로 이루어져 있다. 후크(32)는 지지기둥 고정부(20)의 걸림봉(26)과 접촉하여 걸림봉(26)의 이동, 나아가 지지기둥 고정부(20)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차체 고정부(40)는 차체 고정부(40)를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고정구멍(42a)을 구비하고 있으며, 고정구멍(42a)을 통과하여 차량 측면에 결합되는 핀 혹은 나사에 의해 차량에 고정된다. 차체 고정부(40)의 일단부도 힌지(35)에 연결되어 후크 연결부(30)와 차체 고정부(40)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 5는 지지기둥 고정부(20)와 후크 연결부(30)의 결합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분실방지장치의 제조시,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연결부(30)의 후크(32)가 지지기둥 고정부(20)의 안내통로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기둥 고정부(20)의 걸림봉(26)이 최종적으로 용접에 의해 측판(28b) 사이에 고정되기 때문에, 후크(32)는 걸림봉(26)에 의해 지지기둥 고정부(20)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도시된 상태로부터 안내통로를 따라 후판(28c)을 향해 지지기둥 고정부(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은 가능하다. 후크(32)가 걸림봉(26)으로부터 빠져나와 지지기둥 고정부(20)와 분리되어 버리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U자 형상의 후크(32)의 길이방향 직선구간의 길이(L2)는 지지기둥(10)의 외면과 상판(28a) 사이의 간극(L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후크(32)가 지지기둥 고정부(20)의 안내 통로 내에서 쉽게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고의적으로 후크(32)를 지지기둥 고정부(20)로부터 빼내기 힘들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실방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a는 지지기둥(10)의 하단부(14)가 적재함(100)의 고정홈(16)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지기둥(10)이 고정홈(16)에 완전히 삽입되면, 지지기둥 고정부(20)는 그 후판(28c)이 후크(32)에 거의 접촉할 정도로 후크 연결부(30)에 접근해 있게 된다. 도시된 상태에서는, 지지기둥(10)의 고정 손잡이(12)를 이용하여 적재함의 문짝(도시되지 않음)을 닫힌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상태로부터, 적재함에 대한 화물의 적재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해 적재함 문짝을 개방한 후 지지기둥(10)을 고정홈(16)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 등이 손으로 지지기둥(10)을 상방으로 뽑아올린다.
지지기둥(10)이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지지기둥(10)의 외면에 고정된 지지기둥 고정부(20)도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여 걸림봉(26)은 후크(32)에 접촉하게 되고, 지지기둥 고정부(20) 및 지지기둥(10)은 더 이상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부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16)으로부터 빠져나온 지지기둥(10)을 차체 고정부(40)의 힌지(35)를 중심으로 차량 측면으로 회전시켜 방치하면, 지지기둥(10)은 차체 고정부(40)에 의해 적재함 영역을 떠나 차량 측면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도, 후크(32)는 걸림봉(26)을 그 내측에 유지시켜 지지기둥 고정부(20)가 후크 연결부(30)로부터 빠져나가지 않게 함으로써, 지지기둥 고정부(20)는 후크 연결부(30)를 통해 차체 고정부(40)에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기둥(10)은 차체 고정부(40)를 통해 차량에 연결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지지기둥(10) 및 지지기둥 고정부(20)를 차량의 측면 하부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차량의 측면과 지지기둥(10) 혹은 차량의 측면과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와의 접촉시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차량 측면에 형성된 충격흡수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무 패드(102)를 차량 측면에 부착하여 지지기둥(10)의 회전시 차량과의 충격 혹은 소음을 최소화한다.
도 6c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지지기둥(10)을 적재함의 고정홈(16)에 다시 삽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후크(32)와 걸림봉(26)이 접촉한 상태가 되도록 최대한 지지기둥(10)을 아래로 당긴 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홈(16)과 하단부(14)를 정렬시킨 후 지지기둥(10)을 하방으로 밀어 고정홈(16)에 삽입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적재함 문짝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는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가력으로 구현할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분실방지장치는 종래의 지지기둥 및 적재함 문짝의 구성을 전혀 변형시키지 않고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화물차의 적재함의 측면 문짝 및 문짝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차체 고정부가 차량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의 지지기둥 고정부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지지기둥 고정부의 저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의 결합된 상태의 차체 고정부 및 후크 연결부의 사시도.
도 5는 지지기둥 고정부에 결합된 상태의 후크 연결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6a는 지지기둥이 고정홈에 삽입되어 적재함에 직립 상태로 유지된 상태이고, 도 6b 및 6c는 지지기둥을 고정홈으로부터 이탈시킨 상태 및 그로부터 회전시켜 적재함 외부로 방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문짝 지지기둥
12: 고정 손잡이
16: 고정홈
20: 지지기둥 고정부
22: 결합편
30: 후크 연결부
35: 힌지
40: 차체 고정부
102: 고무 패드

Claims (6)

  1. 차량의 고정홈에 삽입된 상태의 제1 위치와,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적재함 문짝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지지기둥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에 고정된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을 연결하는 상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 및 상기 상판에 의해 정의된 안내 통로를 가로질러 고정된 걸림봉을 갖는 지지기둥 고정부,
    상기 차량에 고정되어 있고 힌지를 갖는 차체 고정부, 그리고
    상기 안내 통로 내에 위치하는 일단부와, 상기 힌지에 결합되어 있는 타단부와, 상기 지지기둥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걸림봉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일단부에 형성된 이동제한수단을 갖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봉은 상기 한 쌍의 측판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수단은 U자 형상구간을 갖는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U자 형상구간은 상기 상판과 상기 지지기둥의 면 사이의 간격보다 긴 길이를 갖는 직선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 및 상기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 측면 외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차량 측면과 접촉할 때,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차량 측면에 부착된 충격흡수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고무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기둥 분실방지장치.
KR10-2003-0009690A 2003-02-17 2003-02-17 화물차의 적재함의 문짝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의 분실방지장치 KR100483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690A KR100483864B1 (ko) 2003-02-17 2003-02-17 화물차의 적재함의 문짝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의 분실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690A KR100483864B1 (ko) 2003-02-17 2003-02-17 화물차의 적재함의 문짝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의 분실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152A KR20040074152A (ko) 2004-08-23
KR100483864B1 true KR100483864B1 (ko) 2005-04-20

Family

ID=3736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690A KR100483864B1 (ko) 2003-02-17 2003-02-17 화물차의 적재함의 문짝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의 분실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8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297B1 (ko) 2014-12-12 2017-04-12 주식회사 제이패션 착용감이 우수하고 봉제를 최소화한 덧버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9364B1 (ko) * 2020-08-27 2021-06-01 주식회사 바다특장 트럭 사이드게이트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152A (ko) 2004-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4437B1 (en) Push-down pop-up tie mechanism
US6550836B2 (en) Vehicle bed modular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5868449A (en) Auxiliary tailboard assembly for drop-down tailgate
US20020021025A1 (en) Extended cab pickup truck with cab load container
US20060145502A1 (en) Tailgate cargo box
KR100483864B1 (ko) 화물차의 적재함의 문짝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의 분실방지장치
US4263853A (en) Rail car end door positioning keeper assembly
US20010024046A1 (en) Utility vehicle
KR101516354B1 (ko) 차량의 적재함 도어 잠금장치
KR10096289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JP4170601B2 (ja) ロック装置
KR200207305Y1 (ko) 사다리가 구비된 트레일러 및 화물트럭의 적재함
KR20060018350A (ko) 보조도어가 구비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KR20190089400A (ko)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
KR100233506B1 (ko) 화물차의 적재함 게이트 록크장치
KR100535518B1 (ko) 승용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고정 장치
KR100445877B1 (ko) 사이드 게이트 이중 잠금장치
KR100528510B1 (ko) 트럭용 테일 게이트의 록킹장치
KR0133779Y1 (ko)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구조
KR100376471B1 (ko) 해치백 차량의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KR200176254Y1 (ko) 트럭 적재함의 게이트 잠금장치
KR100472140B1 (ko) 트럭의 수납형 사다리
KR0167447B1 (ko) 원박스형 자동차의 화물적재장치
KR100331223B1 (ko) 차량용 테일 게이트
KR200181744Y1 (ko) 트렁크 룸 내의 화물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