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307Y1 - 청정반송용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청정반송용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307Y1
KR200177307Y1 KR2019970027309U KR19970027309U KR200177307Y1 KR 200177307 Y1 KR200177307 Y1 KR 200177307Y1 KR 2019970027309 U KR2019970027309 U KR 2019970027309U KR 19970027309 U KR19970027309 U KR 19970027309U KR 200177307 Y1 KR200177307 Y1 KR 200177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ing belt
lifting frame
driving motor
frame
t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992U (ko
Inventor
정상신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70027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307Y1/ko
Publication of KR199900139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9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3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청정반송용 승강장치는 길이방향의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며 차단막을 겸하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타이밍벨트와 연결되는 타이밍벨트풀리와, 상기 일측 타이밍벨트에 고정한 균형추와, 상기 타측 타이밍벨브에 설치한 반송부와,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면에 설치하여 승강프레임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도록 한 송풍팬으로 구성되어, 로울러 및 강선을 제거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차단막 역할을 하는 넓은 폭의 타이밍벨트를 사용하여 두 개의 좁은 타이밍 벨트로 분할된 구조보다 더 큰 허용장력을 가지게 할수 있으므로 같은 크기의 구조로 더 무거운 하중의 반송부를 구성할 수 있고, 구조의 단순화에 따라 분진의 발생가능성도 더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청정반송용 승강장치
본 고안은 청정반송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균형추를 유지하기 위한 로울러 및 강선을 제거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차단막 역할을 하는 넓은 폭의 타이밍벨트를 사용하여 두 개의 좁은 타이밍 벨트로 분할된 구조보다 더 큰 허용장력을 가지게 할수 있으므로 같은 크기의 구조로 더 무거운 하중의 반송부를 구성할 수 있고, 구조의 단순화에 따라 분진의 발생가능성도 더 줄일 수 있도록 한 청정반송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청정반송용 승강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있는 승강프레임(10)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부에 설치한 구동모터(1)와, 상기 구동모터(1)의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2)와, 상기 타이밍벨트와 연결된 하부 타이밍벨트풀리(3)와, 상기 하부 타이밍벨트풀리(3)와 타이밍벨트(2)로 연결된 상부 타이밍벨트풀리(4)와, 상기 승강프레임(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로울러(5)와, 상기 로울러(5)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감겨져 있는 강선(6)과, 상기 강선(6)의 일측에 매달린 균형추(7)와, 상기 강선(6)의 타측에 고정 설치된 반송부(11)와, 상기 승강프레임(10)의 전면에 설치된 차단막(9)과, 상기 승강프레임(10)의 하면에 장치내부에서 발생된 먼지나 분진가루 등을 밖으로 배출하도록 한 송풍팬(8)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장치는 장치 하부에 장착된 구동용 모터(1)의 동력이 타이밍 벨트로(2) 연결되어 타이밍벨트풀리(3)(4) 및 반송부(11)로 전달되어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로울러(5) 및 강선(6), 균형추(7)의 역할은 타이밍벨트(2)에 걸리는 반송부(11) 중량의 대부분을 담당하여 타이밍 벨트(2) 및 모터(1)는 동작시의 하중만을 담당하여 처짐 및 진동의 원인인 과부하를 없앤다. 차단막(9)은 내부의 구동부의 마찰에 의해 발생한 미세한 분진이 장치의 외부로 나오지 못하도록 차단을 하고, 하부의 송풍팬(8)은 장치내부의 압력을 작게하여 공기의 흐름이 장치의 밖에서 안으로만 흘러 내부에서 발생한 분진과 장치의 외부에 있을지 모르는 미세 분진들은 팬(8)을 통해 장치의 하부 또는 안내된 배출관을 따라 빠져나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균형추(7)를 유지해 주기 위한 로울러(5) 및 강선(6), 베어링 등의 부품이 타이밍 벨트 풀리(3)(4)와 함께 미세분진의 발생원이고, 상부의 회전 및 마찰 부위가 두 개의 타이밍벨트풀리(3)(4)와 한 개의 로울러부(5) 그리고, 차단막(9) 등으로 구성되어 다소 구조가 복잡하며, 타이밍벨트(2)가 좌우로 한 개씩 분리되어 있어 동력전달시 한쪽의 풀리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동력이 고르게 전달되지 못하여 진동을 유발할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균형추를 유지하기 위한 로울러 및 강선을 제거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차단막 역할을 하는 넓은 폭의 타이밍벨트를 사용하여 두 개의 좁은 타이밍 벨트로 분할된 구조보다 더 큰 허용장력을 가지게 할수 있으므로 같은 크기의 구조로 더 무거운 하중의 반송부를 구성할 수 있고, 구조의 단순화에 따라 분진의 발생가능성도 더 줄일 수 있도록 한 청정반송용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청정반송용 승강장치의 내부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청정반송용 승강장치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청정반송용 승강장치를 보인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청정반송용 승강장치의 내부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청정반송용 승강장치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청정반송용 승강장치를 보인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승강프레임 21 ; 구동모터
22 ; 타이밍벨트 23 ; 타이밍벨트풀리
24 ; 균형추 25 ; 반송부
26 ; 송풍팬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길이방향의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며 차단막을 겸하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타이밍벨트와 연결되는 타이밍벨트풀리와, 상기 일측 타이밍벨트에 고정한 균형추와, 상기 타측 타이밍벨브에 설치한 반송부와,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면에 설치하여 승강프레임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도록 한 송풍팬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청정반송용 승강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청정반송용 승강장치의 내부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청정반송용 승강장치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청정반송용 승강장치를 보인 저면도를 각각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청정반송용 승강장치는 길이방향의 승강프레임(20)과, 상기 승강프레임(20)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1)와, 상기 구동모터(21)의 동력을 전달하며 차단막을 겸하는 타이밍벨트(22)와, 상기 승강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타이밍벨트(22)와 연결되는 타이밍벨트풀리(23)와, 상기 일측 타이밍벨트에 고정한 균형추(24)와, 상기 타측 타이밍벨브에 설치한 반송부(25)와, 상기 승강프레임(20)의 하면에 설치하여 승강프레임 내부의 공기를 소정의 위치로 배출하도록 한 송풍팬(26)으로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8은 엘엠(LM)가이드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장치는 장치 하부에 장착된 구동용 모터(21)의 동력이 타이밍 벨트풀리(23)로 직접 연결되어 타이밍 벨트(22)를 구동하여 반송부(25)가 상하로 동작을 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때 균형추(24)의 역할은 반송부(25)의 무게를 반대 방향에서 보상해 줌으로써 구동용 모터(21)는 동작시의 가속에 필요한 하중만을 담당하여 모터(21)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해 준다. 타이밍벨트(22)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시에 종래 장치의 미세분진 차단막의 기능을 겸하여 강선 및 로울러를 제거하여 장치를 보다 간단하게 한다.
하부의 송풍팬(26)은 장치내부의 압력을 작게하여 공기의 흐름이 장치의 밖에서 안으로만 흘러 내부에서 발생한 분진과 장치의 외부에 있을지 모르는 미세분진들은 팬(26)을 통해 장치의 하부 또는 안내된 배출관을 따라 빠져 나가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제한된 크기내에서 행정거리를 늘리기 위해 균형추를 사용하지 않고, 그냥 타이밍 벨트만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의 용량을 두 배로 하고, 정지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기능을 모터에 추가해야 하므로 경제성을 고려해 보아야 하나, 적용되는 기술분야를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청정반송용 승강장치는 길이방향의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며 차단막을 겸하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타이밍벨트와 연결되는 타이밍벨트풀리와, 상기 일측 타이밍벨트에 고정한 균형추와, 상기 타측 타이밍벨브에 설치한 반송부와,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면에 설치하여 승강프레임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도록 한 송풍팬으로 구성되어, 로울러 및 강선을 제거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차단막 역할을 하는 넓은 폭의 타이밍벨트를 사용하여 두 개의 좁은 타이밍 벨트로 분할된 구조보다 더 큰 허용장력을 가지게 할수 있으므로 같은 크기의 구조로 더 무거운 하중의 반송부를 구성할 수 있고, 구조의 단순화에 따라 분진의 발생가능성도 더 줄일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길이방향의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며 차단막을 겸하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타이밍벨트와 연결되는 타이밍벨트풀리와, 상기 일측 타이밍벨트에 고정한 균형추와, 상기 타측 타이밍벨브에 설치한 반송부와,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면에 설치하여 승강프레임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도록 한 송풍팬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반송용 승강장치.
KR2019970027309U 1997-09-30 1997-09-30 청정반송용 승강장치 KR200177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309U KR200177307Y1 (ko) 1997-09-30 1997-09-30 청정반송용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309U KR200177307Y1 (ko) 1997-09-30 1997-09-30 청정반송용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992U KR19990013992U (ko) 1999-04-26
KR200177307Y1 true KR200177307Y1 (ko) 2000-04-15

Family

ID=1951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309U KR200177307Y1 (ko) 1997-09-30 1997-09-30 청정반송용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3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059A (ko) * 2016-11-30 2018-06-08 세메스 주식회사 오토 텐셔너 및 이를 포함하는 타워 리프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059A (ko) * 2016-11-30 2018-06-08 세메스 주식회사 오토 텐셔너 및 이를 포함하는 타워 리프트
KR102616683B1 (ko) * 2016-11-30 2023-12-21 세메스 주식회사 오토 텐셔너 및 이를 포함하는 타워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992U (ko) 199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23210A (en) Traction elevator
ATE138892T1 (de) Seilaufhängungsvorrichtung
CA2310866A1 (en) Non-personnel lifting device
RU2117618C1 (ru) Конвейерная ленточная система
WO1997041052A1 (en) Vertical belt conveyor system
KR200177307Y1 (ko) 청정반송용 승강장치
KR20080020437A (ko) 자동창고
JP2017197295A (ja) 搬送システム
EP3643646A1 (en) Lifting device and sorting device
JP4966850B2 (ja) 輸送機、輸送機に関するコンベアのコンベアモジュールを取り外す方法、および輸送機に関するコンベアの組み立て方法
JP2006327733A (ja) 無動力降下搬送装置
KR100226474B1 (ko) 청정 승강장치
ES2148391T3 (es) Ascensor con una cabina conducida en mochila en un bastidor.
JPH01181617A (ja) 昇降機との移載装置
JP2005022863A (ja) 駐車場における昇降装置
KR200259585Y1 (ko) 디버터
JPH11180506A (ja) クリーンロボット
JPH04354792A (ja) 天井走行車
JPH06183663A (ja) クリーンルーム用昇降機
KR100257307B1 (ko) 이동보도의 핸드레일 구동장치
JPH09255260A (ja) クリーンルーム用昇降装置
JPS59114214A (ja) 仕分装置
KR100682087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손상방지장치
KR0123717B1 (ko) 리프터 장치
KR20000024748A (ko)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의 리프트 승강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