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899Y1 -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899Y1
KR200167899Y1 KR2019990015858U KR19990015858U KR200167899Y1 KR 200167899 Y1 KR200167899 Y1 KR 200167899Y1 KR 2019990015858 U KR2019990015858 U KR 2019990015858U KR 19990015858 U KR19990015858 U KR 19990015858U KR 200167899 Y1 KR200167899 Y1 KR 2001678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m equipment
tractor
connection
lock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희민
Original Assignee
송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희민 filed Critical 송희민
Priority to KR20199900158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8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8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랙터의 뒤쪽에 구비되어 있는 3점 연결브라켓트 중의 아래쪽에 나란하게 배치된 하부 연결브라켓트에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봉과 농기구에 직접 설치되는 연결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기구는 농기구에 직접 부착되는 설치부와 이 설치부에 지지되어 상기 연결봉이 걸려지는 연결부 및 이 연결부에 걸려진 연결봉이 빠져나가지 않게 록크시키는 록크부로 구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설치부는 설치브라켓트를 통하여 농기구에 직접 용접되거나 고정보울트 등으로 체결되고, 상기 연결부와 설치부는 농기구의 사용목적에 따라 서로 직접 고정 연결시키거나 회전축을 통하여 서로 회전할 수 있게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치는 트랙터 후단의 연결브라켓트에 연결봉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농기구에 후진시키면서 후단브라켓트를 들어올리면 연결봉이 농기구의 연결기구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부에 결려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록크부를 록크 작동시키면 연결봉이 연결기구에 체결되어지게 되므로 간단하게 트랙터에 농기구를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농기구의 특성에 따라 상기 연결부와 설치부를 서로 상대 회전할 수 있게 하므로써 트랙터가 지면의 형태에 따라 기울어져도 농기구는 기울어지지 않게 하여 농경지의 평탄작업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할 수가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An apparatus for connecting a farm implements to a tractor}
본 고안은 트랙터에 농기구를 연결시키는데 사용하는 농기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기구를 트랙터에 간단하고 손쉽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에는 그 전면과 후면에 농기구를 연결시켜 다양한 농경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트랙터의 후면에 농기구를 연결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는 트랙터의 동력을 인출하여 농기구에 전달하므로써 농기구를 동력화 할 수가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트랙터에서 발생되는 유압을 사용할 수가 있어 농기구를 큰 힘으로 작동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효과 때문에 트랙터의 사용이 점점 더 증가되어 가고 있다. 그런데 트랙터에 농기구를 연결시키는 구조는 전통적으로 3점 연결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3점 연결구조를 사용하여 트랙터에 농기구를 연결시키는데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면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으로 트랙터에 농기구를 연결시키는 구조는, 트랙터의 후면에 구비되어 있는 상부의 제 1 연결브라켓트(101)와 하부의 양쪽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 2, 3 연결브라켓트(102, 103)에 정확하게 농기구의 위치를 맞추어 결합시켜야 하였으므로, 그 위치를 맞추는데 상당한 애로사항이 있었다.
예컨대, 농경지의 흙을 잘게 부수어 평탄 작업하는데 사용하는 로우터(104)와 같은 농기구를 트랙터에 연결시킬 때, 이 로우터(104)에 구비되어 있는 해당 브라켓트(105, 106, 107)의 결합구멍을 트랙터의 후면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제 1, 2, 3 연결브라켓트(101, 102, 103)의 결합구멍에 정확하게 맞추어야만 결합구멍에 보울트 등을 삽입시켜 결합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위쪽에 있는 제 1 연결브라켓트(101)와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제 2, 3 연결브라켓트(102, 103)의 연결구멍(108, 109)을 로우터(104)의 브라켓트(106, 107)에 형성된 연결구멍(110, 111)과 정확하게 ??추기가 상당히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트랙터의 연결브라켓트(101, 102, 103)에 농기구의 브라켓트(105, 106, 107)를 맞출 때 수평이 정확하게 맞지 않는 경우에는 농기구의 한쪽을 들어올리거나 낮추어야 하는 경우가 있는 바, 이러한 경우에는 여러사람이 달라붙어 무거운 농기구를 들어야 하므로, 트랙터에 농기구를 설치할 때 힘센 장정이 여러명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는 농촌 인구가 줄어들면서 점점 고령화되어 가는 추세에 역행하는 현상이고, 농경작업에 필요한 사람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트랙터의 본래 목적에 배치되는 문제점이기도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트랙터에 농기구를 연결시킬 때 발생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트랙터에 농기구를 연결시킬 때 트랙터 운전자 혼자서 간단하게 농기구를 연결시킬 수가 있게 한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트랙터에 연결된 농기구가 트랙터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게 하므로써, 농기구의 작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치는, 트랙터의 뒤쪽에 구비되어 있는 3점 연결브라켓트 중의 아래쪽에 나란하게 배치된 하부 연결브라켓트에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봉과 농기구에 직접 설치되는 연결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기구는 농기구에 직접 부착되는 설치부와 이 설치부에 지지되어 상기 연결봉이 걸려지는 연결부 및 이 연결부에 걸려진 연결봉이 빠져나가지 않게 록크시키는 록크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는 설치브라켓트를 통하여 농기구에 직접 용접되거나 고정보울트 등으로 체결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와 설치부는 농기구의 사용목적에 따라 서로 직접 고정 연결시키거나 회전축을 통하여 서로 회전할 수 있게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치는 트랙터 후단의 연결브라켓트에 연결봉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농기구에 후진시키면서 후단브라켓트를 들어올리면 연결봉이 농기구의 연결기구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부에 결려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록크부를 록크 작동시키면 연결봉이 연결기구에 체결되어지게 되므로 간단하게 트랙터에 농기구를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농기구의 특성에 따라 상기 연결부와 설치부를 회전축을 통해 서로 상대회전할 수 있게 하므로써, 트랙터에 연결된 농기구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트랙터가 지면의 형태에 따라 기울어져도 농기구는 기울어지지 않게 하여 농경지의 평탄작업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할 수가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 연결장치가 설치된 트랙터와 농기구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연결기구의 제 1 실시예를 농기구에서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트랙터에 설치된 연결봉이 농기구에 설치된 제 1 실시예의 연결기구의 연결부에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도 4 는 도면 3 의 상태에서 연결기구의 연결부에 삽입된 연결봉이 록크부에 의해 빠져 나오지 않게 록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연결기구의 연결부가 농기구에 직접 설치된 설치부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연결기구의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기구의 제 2 실시예가 농기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기구의 제 3 실시예가 농기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은 종래의 일반적인 트랙터와 농기구의 연결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트랙터와 농기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브라켓트 2 - 연결브??켓트
3 - 연결브라켓트 4 - 연결브라켓트
5 - 농기구 6 - 연결기구
7 - 설치부 8 - 연결부
9 - 록크부 10 - 돌출브라켓트
11 - 보조브라켓트 12 - 설치홈
13 - 고정보울트 14 - 환형홈
15 - 개구부 16 - 록크케이스
17 - 절결홈 18 - 록크링
19 - 지지봉 20 - 손잡이
21 - 연결대 22 - 지지대
23 - 회전축 24 - 고정보울트
25 - 탄력스프링 26 - 지지브라켓트
27 - 지지봉 28 - 받침판
29 - 볼포인트 나사봉 30 - 상단브라켓트
31 - 설치플레이트 32 - U자형홈
33 - 결합대 34 - 록크핀
35 - 핀홀 36 - 연결브라켓트
37 - 회전축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랙터의 뒤쪽에 구비되어 있는 3점 연결브라켓트(1, 2, 3)중의 아래쪽에 나란하게 배치된 하부 연결브라켓트(2, 3)에 가로질러 삽입설치된 연결봉(4)과 농기구(5)에 설치되는 연결기구(6)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기구(6)는 농기구에 직접 부착되는 설치부(7)와 이 설치부(7)에 지지되어 있으면서 상기 연결봉(4)이 걸려지는 연결부(8) 및 이 연결부(8)에 걸려진 연결봉(4)이 빠져나가지 않게 록크시키는 록크부(9)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설치부(7)는 농기구(5)에 직접 용접되거나 고정보울트 등으로 체결 설치시킬 수가 있고, 상기 연결부(8)와 설치부(7)는 농기구(5)의 사용목적에 따라 서로 직접 고정 연결시키거나 회전축을 통하여 서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시킨 구조를 선택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농기구(5)는 밭에서 일구어진 흙덩이를 잘게 부수는데 사용하는 로우터(rotor)를 그 일예로 들어 설명하는 바, 상기 연결기구(6)의 설치부(7)는 농기구의 종류와 기능에 따라 그 구조를 달리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의 로우터와 같은 농기구에 적용시킬 수 있는 연결기구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에서부터 도면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기구(6)의 설치부(7)는 트랙터의 하단 연결브라켓트(2, 3)와 연결시키도록 기본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양쪽 2 개의 돌출브라켓트(10)에 각각결합되는 2 개의 보조브라켓트(11)와 이 2 개의 보조브라켓트(11)를 연결시키는 2 개의 평형한 설치봉(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설치봉(12)의 양단에 보조브라켓트(11)가 각각 하나씩 끼워져 용접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브라켓트(11)는 고정보울트(13)에 의해 돌출브라켓트(10)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브라켓트(11)를 통하여 설치부(7)를 농기구(5)의 돌출브라켓트(10)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이 설치부(7)와 상기 연결부(8)가 결합되어 구성하는 연결기구(6)를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니트화할 수가 있게 되는데, 이렇게 연결기구(6)를 유니트화 시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기존의 농기구에 설치할 때 농기구를 공장으로 운반하여 오지 않고, 단지 본 고안의 장치만을 가져가 보울트(12) 등만을 사용하여 결합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그 설치를 간단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8)는 내부에 소정 깊이의 환형홈(14)이 형성되고, 이 환형홈(14)의 내부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외부까지 U자형으로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시키는 개구부(15)를 구비한 2 개의 록크케이스(16)와, 이 록크케이스(16)의 환형홈(14)속에 회전할 수 있게 삽입설치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중심부에서부터 원주면까지 U자형으로 일부가 절결되어 상기 록크케이스(16)의 개구부(15)와 일치하도록 형성된 절결홈(17)을 갖춘 록크링(18) 및, 상기 2 개의 록크케이스(16)가 그 양단에 각각 하나씩 고정부착되는 지지봉(19)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봉(19)은 설치부(7)을 구성하는 2 개의 평형한 설치봉(12)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데, 이 콕크케이스(16)가 부착되어 있는 상기 지지봉(19)의 양쪽 선단은 예컨대 보조브라켓트(11)와 같은 부품등은 어떤 부품에도 연결 또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봉(19)의 길이와 이 지지봉(19)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양쪽 록크케이스(16)의 양단 간격(L)은 트랙터의 하단 연결브라켓트(2, 3)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봉(4)과 동일한 길이(l)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록크부(9)는 상기 록크링(18)의 절결홈(17)이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면, 록크링(18)의 절결홈(17)과 록크케이스(16)의 개구부(15)가 서로 일치하게 되므로, 상기 록크링(18)과 록크케이스(16)의 아래쪽이 도면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개방된 아래쪽의 록크링(18)의 절결홈(17)과 록크케이스(16)의 개구부(15)를 통하여 트랙터에 설치된 연결봉(4)을 상기 록크케이스(16)와 도면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크링(18)에 끼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봉(4)이 록크링(18)과 록크케이스(16)속에 끼워진 후, 상기 록크링(18)을 록크케이스(16)의 내부에서 180。 회전시키면, 록크링(18)의 절결되지 않은 부분이 연결봉(4)을 록크시켜 아래쪽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한다.
즉, 도면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19)의 양단에 설치된 록크링(18)과 록크케이스(16)의 절결부(17)과 개구부(15)가 아래쪽으로 서로 일치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이 절결부(17)과 개구부(15)를 통하여 연결봉(4)을 끼운 후, 상기 록크링(18)의 절결부(17)가 위쪽으로 향하도록 이 록크링(18)을 회전시키면 연결봉(4)이 아래쪽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록크되는 것이다.
따라서, 트랙터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봉(4)의 양쪽 선단에 록크케이스(16)와 록크링(18)이 물려져 트랙터가 농기구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기구(6)와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지지봉(19)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양쪽 록크케이스(16)의 록크링(18)이 손잡이(20)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바, 따라서 이 하나의 손잡이(20)를 아래쪽으로 회전시키면 양쪽의 록크링(18)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도면 4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록크상태를 만들어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8)의 지지봉(19)은 연결대(21)를 통하여 설치부(7)의 설치봉(12)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22)에 회전축(23)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바, 따라서 상기 연결부(8)는 이 회전축(23)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설치부(7)에 대하여 좌우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8)의 지지봉(19)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대(21)와 설치부(7)의 설치봉(12)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22)는 지지봉(19)과 설치봉(12)을 통해 각각 이동 가능할 수 있게 되어 있는데, 이렇게 연결대(21)와 지지대(22)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하므로써 상기 설치부(7)에 대한 연결부(8)의 회전중심을 정확하게 맞추어 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농기구의 좌우폭에 대한 연결부(8)의 중심을 맞추어준 후, 상기 연결대(20)와 지지대(21)를 각각의 설치봉(12)과 지지봉(19)에 대해 고정보울트(24)를 사용하여 그 위치를 고정시켜 주면 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부(7)는 보조브라켓트(11)를 통하여 농기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부(8)를 설치부(7)에 대해 좌우로 이동시키면 결국 상기 연결부(8)가 농기구에 대해 좌우로 이동하면서 그 좌우의 중심을 맞추어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좌우 중심의 이동 작동은 아주 중요한 작동요소중의 하나인 바, 즉 농기구의 크기에 따라 상기 연결부(8)의 중심을 정확하게 맞추어 주어야 농기구와 트랙터가 정확하게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된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도 원만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19)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록크케이스(16)의 위쪽에는 탄력스프링(25)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데, 이 스프링(25)은 예컨대 보조브라켓트(11)에서 뻗어 나온 지지브라켓트(26)에 지지되어, 상기 록크케이스(16)가 탄력스프링(25)에 의해 탄력 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대(20)가 지지대(21)에 대해 회전축(22)을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연결대(20)에 연결봉(4)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트랙터가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연결대(20)가 설치되어 있는 연결부(8)가 설치부(7)가 부착되어 있는 농기구에 도면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트랙터와 농기구가 서로 상대 회동할 수 있게 하는 동작은 농기구의 종류에 따라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바, 예컨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로우터를 트랙터에 연결하여 작업을 할 때, 본 고안의 내용과 달리 만약 트랙터와 농기구가 서로 상대회전하지 않게 연결되어 있다면, 농경지의 지면이 일부 고르지 않은 곳에서 트랙터가 순간적으로 한쪽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로우터가 트랙터와 함께 기울어지면서 이 로우터의 블레이드(b)가 농경지를 한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파게 되고, 이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로우터가 더욱더 경사지게 되어 결국에는 로우터의 한쪽 농경지를 깊게 파는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트랙터와 연결되는 연결부(8)가 농기구에 연결되는 설치부(6)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트랙터가 일부 고르지 않은 농경지에서 일순간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되어도, 농기구는 상기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수평을 유지하게 되므로 로우터의 블레이드(b)가 농경지를 경사지게 파거나 경사진 구덩이를 파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농경지의 지면이 순간적으로 고르지 않아 농기구와 트랙터가 서로 상대 회전하여 각도가 어긋난 상태에서 로우터가 다시 고른 지면으로 오게 되면, 로우터가 빠른 동작으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야 하는 바, 이때에 상기 록크케이스(16)와 보조브라켓트(11)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탄력스프링(25)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부(8)가 빠른 속도로 복귀하게 됨과 더불어,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탄력스프링(25)의 탄력에 의해 연결부(8)가 즉각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농기구에 따라서는 상기 연결부(8)를 설치부(7)에 대해 회전하지 않는 구조로 할 수가 있는 바, 이 경우 상기의 실시예와는 달리 트랙터의 연결봉(4)이 결합되는 록크케이스(16)를 설치부(7)의 설치봉(12)에 직접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회전축(23)도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는, 우선 본 고안에 따른 연결기구(6)를 농기구(5)에 고정보울트(13)등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고정시키고, 트랙터에는 연결봉(4)을 설치한 상태에서, 트랙터를 농기구쪽으로 후진시켜 상기 연결봉(4)이 연결기구(6)의 록크케이스(16)아래에 오게 한 상태에서, 트랙터의 운전실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레버를 작동시켜 트랙터의 후단에 설치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연결브라켓트(2, 3)를 들어올려, 이 연결브라켓트(2, 3)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봉(4)이 록크케이스(16)의 개구부(15)와 록크링(18)의 절결부(17)에 삽입되게 한다.
상기 연결봉(4)이 록크케이스(16)와 록크링(18)에 완전하게 삽입되고 나면, 위쪽으로 들려져 있는 손잡이(20)를 아래로 내려 록크링(18)을 180。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봉(4)이 연결기구(6)에 연결되게 된다.
그 다음, 트랙터의 후단 위쪽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브라켓트(1)를 농기구(5)의 상단브라켓트(32)에 연결시키면, 농기구(5)와 트랙터의 연결이 완료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연결장치를 사용하므로써, 트랙터에 농기구를 연결시키는 기존의 3점 연결구조를 트랙터의 상단 연결브라켓트(1)와 농기구(5)의 상단브라켓트(32)를 연결시키는 지점과, 상기 연결봉(4)이 농기구(5)의 연결부(8)와 연결되는 지점의 2점 연결구조로 할 수가 있고, 또한 트랙터의 연결브라켓트와 농기구의 브라켓트에 형성된 구멍을 맞추기 위해 무거운 농기구를 들어올리거나 좌우방향을 이동시키는 등의 힘든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 간편하게 트랙터에 농기구를 연결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농기구의 크기와 무게중심에 따라 연결기구(6)의 중심점을 가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대(21)와 지지대(22)를 좌우로 이동시키므로써 간단하게 농기구(5)의 무게중심을 가변 시켜 줄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평탄하지 않은 농경지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농기구가 트랙터에 대해 좌우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농기구가 이상작동을 일으키지 않고 농경지의 굴토 및 평탄 작업등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기구(6)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 1에서부터 도면 5 까지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6)에서는 연결대(21)와 지지대(22)를 서로 상대 회동전할 수 있게 연결시키는 회전축(23)이 연결대(21)와 지지대(22)의 아래쪽에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지만, 농기구의 형태와 구조에 따라 이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축(23)을 연결대(21)와 지지대(22)의 위쪽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제 2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0)의 구조로 직선형 및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곡선형등을 할 수가 있는 바, 이의 구조는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정도의 범위이내에서 변형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8)를 설치부(7)에 대해 탄력 지지해 주는 탄력스프링(25)의 설치 구조도 간단하게 변형시킬 수가 있는 바, 즉 도면 6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8)의 연결대(21) 양쪽에 지지봉(27)을 설치하고, 이 지지봉(27)에 탄력스프링(25)의 상단을 걸고 이 스프링(25)의 하단이 상기 설치부(7)의 설치봉(12) 아래에 고정된 받침판(28)에 지지되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탄력스프링(25)이 지지봉(27)과 받침판(28)사이에 설치되어 연결부(8)를 설치부(7)에 대해 탄력 지지하는 구조로 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부터 제 3 실시예에 이르기까지의 연결기구(6)는 농기구(5)에 기본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돌출브라켓트(10)의 수직 각도에 따라 이에 맞추어 세팅되어지는 바, 따라서 농기구의 종류와 제작회사에 따라 거의 대부분 농기구의 트랙터 연결용 돌출브라케트(10)의 각도가 다르게 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본 고안에 따라 유니트화된 연결기구(6)를 모든 제조회사의 농기구에 범용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설치각도 조절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의 연결기구에 대한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기구(6)의 보조브라켓트(11)를 농기구(5)의 돌출브라켓트(12)에 체결시킬 때, 각각 상단 한곳에만 고정보울트(13)를 체결하여 연결기구(6)의 하단부가 양쪽의 고정보울트(13)를 중심으로 하여 적당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는 여유를 주게 한 다음, 상기 보조브라켓트(11)의 상단에 예컨대 볼포인트 나사봉(29)의 한쪽 선단을 고정시켜 두고, 이 나사봉(29)의 다른 한쪽 선단을 농기구(5)의 브라켓트(30)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볼포인트 나사봉(29)은 회전수에 따라 나사의 체결길이를 조절할 수가 있고, 헤드부에 구비된 볼을 통하여 좌우의 적당한 각도도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볼포인트 나사봉(29)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니트화된 연결기구(6)를 농기구(5)에 장착시킬 때 좌우측의 나사봉(29) 길이를 적당한 각도로 조절하므로써 연결면의 세로 및 가로방향의 각도를 정확하게 맞추어 줄 수가 있는 것이다.
즉, 세로방향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좌우측의 나사봉(29)을 동일한 길이로 감거나 풀어주어 상기 보조플레이트(11)가 고정보울트(13)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각도로 회동하면서 세로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게 하고, 가로방향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좌우측의 나사봉(29)중의 어느 한쪽을 적게 또는 많이 감아 조절 하므로써 연결기구(6)가 가로방향으로 미세한 거리를 이동하면서 세팅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한 바에서 본 고안의 연결기구를 기존의 농기구에 간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보조브라켓트(11)를 사용하였으나, 새로운 농기구를 제작하면서 본 고안의 연결기구(6)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 보조 브라켓트(11)를 생략하고 연결기구(6)의 설치봉(12)을 직접 농기구(5)의 돌출브라켓트(10)에 설치하여 구성시킬 수도 있다.
도면 7 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기구의 제 3 실시에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6)의 설치부(7)는 설치플레이트(31)를 통하여 농기구에 직접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8)는 아래쪽으로 향한 U자형홈(32)을 갖추면서 길다란 바아형태로 이루어진 결합대(33)와 이 결합대(33)의 윗쪽에 설치된 탄력스프링(25)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대(33)의 양쪽 선단에 록크핀(34)이 설치되어 있고, 트랙터의 하단 연결브라켓트(2, 3)에 핀홀(35)이 각각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연결기구(6)가 설치된 농기구와 트랙터를 연결시키면, 트랙터의 연결봉(4)이 상기 결합대(33)에 결합되게 때문에 그 결합동작이 더욱 간단해 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결합대(33)에 트랙터의 연결봉(4)이 삽입된 후에 상기 록크핀(34)을 트랙터의 연결브라켓트(2, 3)에 각각 설치한 핀홀(35)에 밀어 끼우면 단단한 결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설치플레이트(31)와 결합대(33)를 연결시키는 연결브라켓트(36)에 회전축(37)을 설치하여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결합대(33)가 설치플레이트(31)에 대해 회동하게 할 수가 있고, 이와 달리 상기 결합대(33)를 설치플레이트(31)에 직접 용접하여 고정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선택은 농기구의 작동과 기능에 따라 취사선택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농기구(5)에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결기구(6)를 설치하고, 트랙터의 하단 연결브라켓트(4)에는 연결봉(4)을 설치 하므로써, 상기 연결봉(4)과 연결기구(6)를 통해 농기구와 트랙터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연결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농기구를 설치하기 위해 장정 여러 명이 동원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게 된다.
또한, 농기구가 트랙터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가 있으므로, 노면이 불규칙한 농경지에서 작업을 할 때 트랙터는 한쪽으로 기울어지지만 이 트랙터에 연결된 농기구는 수평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하여, 농기구가 정상적인 농경지 정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9)

  1. 트랙터의 뒤쪽에 구비되어 있는 3점 연결브라켓트(1, 2, 3)중의 아래쪽에 나란하게 배치된 하부 연결브라켓트(2, 3)에 가로질러 삽입설치된 연결봉(4)과 농기구(5)에 설치되는 연결기구(6)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기구(6)는 농기구에 직접 부착되는 설치부(7)와 이 설치부(7)에 지지되어 있으면서 상기 연결봉(4)이 걸려지는 연결부(8) 및 이 연결부(8)에 걸려진 연결봉(4)이 빠져나가지 않게 록크시키는 록크부(9)로 구성된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7)가 트랙터에 연결시키기 위해 농기구에 기본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양쪽 2 개의 돌출브라켓트(10)에 각각결합되는 2 개의 보조브라켓트(11)와 이 2 개의 보조브라켓트(11)를 연결시키는 2 개의 평형한 설치봉(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설치봉(12)의 양단에 보조브라켓트(11)가 각각 하나씩 끼워져 용접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브라켓트(11)는 고정보울트(13)에 의해 상기 농기구의 돌출브라켓트(10)에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6)의 보조브라켓트(11)와 농기구(5)의 상단 브라켓트(30)사이에 연결기구(6)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세팅위치를 제어해 주기 위는 연결기구(6)의 위치제어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6)의 위치제어수단이 볼포인트 나사봉(2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7)의 설치봉(12)이 농기구(5)의 돌출연결브라켓트(11)에 직접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8)가 중심부에 소정 깊이의 환형홈(14)이 형성되고 이 환형홈(14)의 내부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외부까지 U자형으로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시키는 개구부(15)를 구비한 2 개의 록크케이스(16)와, 이 록크케이스(16)의 환형홈(14)속에 회전할 수 있게 삽입 설치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중심부에서부터 원주면까지 U자형으로 일부가 절결되어 상기 록크케이스(16)의 개구부(15)와 일치하도록 형성된 절결홈(17)을 갖춘 록크링(18) 및, 상기 2 개의 록크케이스(16)가 그 양단에 각각 하나씩 고정 부착되는 지지봉(19)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8)가 중심부에 소정 깊이의 환형홈(14)이 형성되고 이 환형홈(14)의 내부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외부까지 U자형으로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시키는 개구부(15)를 구비한 2 개의 록크케이스(16)와, 이 록크케이스(16)의 환형홈(14)속에 회전할 수 있게 삽입설치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중심부에서부터 원주면까지 U자형으로 일부가 절결되어 상기 록크케이스(16)의 개구부(15)와 일치하도록 형성된 절결홈(17)을 갖춘 록크링(18)로 이루어지고, 상기 록크케이스(16)가 설치부(7)에 직접 고정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7)가 농기구에 직접 용접설치되는 설치플레이트(27)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8)가 아래쪽으로 향한 U자형홈(28)을 갖추면서 길다란 바아형태로 이루어진 결합대(29)와 이 결합대(29)의 윗쪽에 설치된 탄력스프링(2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9. 제 2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8)와 설치부(7)가 회전축(23, 33)을 통해 서로 상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KR2019990015858U 1999-08-04 1999-08-04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KR2001678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858U KR200167899Y1 (ko) 1999-08-04 1999-08-04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858U KR200167899Y1 (ko) 1999-08-04 1999-08-04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899Y1 true KR200167899Y1 (ko) 2000-02-15

Family

ID=1958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858U KR200167899Y1 (ko) 1999-08-04 1999-08-04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8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61825A (zh) * 2023-11-08 2024-02-20 安徽农业大学 一种微耕机主动防侧翻控制方法及微耕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61825A (zh) * 2023-11-08 2024-02-20 安徽农业大学 一种微耕机主动防侧翻控制方法及微耕机
CN117561825B (zh) * 2023-11-08 2024-05-07 安徽农业大学 一种微耕机主动防侧翻控制方法及微耕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7899Y1 (ko)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CA2148013C (en) A control assembly for a brush cutting machine
KR100311752B1 (ko)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JPS6336702A (ja) 農作業機連結装置
KR100448278B1 (ko) 굴삭기용 제초기
KR101056401B1 (ko) 트랙터용 쟁기장치
KR200253213Y1 (ko) 트렉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
JP2881082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の耕深調節連動リアカバー
CN210868638U (zh) 一种旋耕机
JP3535883B2 (ja) 作業機連結装置
CN207054035U (zh) 一种快速挂接机构
CN220140081U (zh) 一种深耕粉碎松土机用翻转升降装置
JPS5814804Y2 (ja) ノウヨウトラクタ−ニオケル コウシンヒヨウジソウチ
JPH0132497Y2 (ko)
JPH0132805Y2 (ko)
KR200335650Y1 (ko) 굴삭기용 제초기
JP2821820B2 (ja) ロータリー耕耘装置
CA1095313A (en) Soil cultivating implements
KR200297090Y1 (ko) 트랙터용 농기계의 연결대 구조
KR200315786Y1 (ko) 트랙터용배토기승강회전장치
CN105874937A (zh) 一种锁销式新型旋耕开沟多功能机
JPH06892Y2 (ja) 農作業機における整地装置
JP3492968B2 (ja) 耕深制御装置
JPS5830405Y2 (ja) 耕深自動制御装置を装備した湿田用ロ−タリトラクタ−
JPH05120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