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213Y1 - 트렉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트렉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213Y1
KR200253213Y1 KR2020010022866U KR20010022866U KR200253213Y1 KR 200253213 Y1 KR200253213 Y1 KR 200253213Y1 KR 2020010022866 U KR2020010022866 U KR 2020010022866U KR 20010022866 U KR20010022866 U KR 20010022866U KR 200253213 Y1 KR200253213 Y1 KR 200253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frame
tractor
shaf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8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제
Original Assignee
김길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제 filed Critical 김길제
Priority to KR20200100228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2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213Y1/ko

Links

Landscapes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써레의 각도를 조절 하여 흙을 끌고가는 그레이더작업을 겸할 수 있도록 하고 트랙터의 후진시 장애물과의 충돌로 써레가 파손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는 트랙터용 써레를 제공하려고 트렉터(1)의 후미에 착탈되는 로타베이스(2)의 상부에 선단이 마련되고 유압실린더(3)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프레임(4)과, 이 프레임(4)의 밑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5)과, 중앙써레판(6)과, 상기 중앙써레판(6)의 연결되는 보조써레판(7)으로 된 통상의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한 프레임(4)은 상기 로타베이스(2)에 마련된 고정축(10)와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일측단부에 연장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으로 축공(12a)이 형성된 연장편(12)이 마련된 회동프레임(11)과, 일측부의 양단에 상기 축공(12a)과 축봉(14)에 의해 축결합하는 축공(15)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5)이 착설되는 고정프레임(1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프레임(16)의 일단부와 회동프레임(11)의 일단부에는 장공(17)(18)이 형성된 링크(19)(20)가 형성되어 상기 장공(17)(18)을 통해 상기한 유압실린더(3)의 로드(21)가 축봉(22)에 의해 축결합 된 트랙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렉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On angleregulatiom equient of a tractor hurrow }
본 고안은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써레의 각도를 조절하여 많은 량의 흙을 끌고가는 그레이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트랙터의 후진 충돌시에 써레를 보호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트랙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논 또는 밭 등과 같은 농지를 경작할 때 농지를 고르게 하는 농지작업을 수행하는 써래는 트랙터의 후미에 장착된 써레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고 있다.
종래에는 특허번호 제228261호 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써레날개를 유압실린더로 상승 및 하강시켜 논의 평탄자업을 수행하였다.
도5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트랙터용 써레를 보인 예시도로써 종래의 트랙터용 써레는 트렉터의 후미에 착탈되는 로타베이스(2)의 상부에 선단이 마련되고 유압실린더(3)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프레임(4)과, 이 프레임(4)의 밑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5)의 일측에 마련된 중앙써레판(6)과, 트랙터의 전방으로 회동시킬 있도록 상기 중앙써레판(6)의 양끝에 축결합으로 연결되는 보조써레판(7)이 마련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어 높이가 고정된 유압실린더(3)를 이용하여 써레을 상승하강하여 평탄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트랙터용 써레는 농지의 평탄화 작업만을 수행할 수 있을 뿐 그 외의 농지작업은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트랙터의 후진시 장애물에 의한 써레의 충돌시 써레를 보호할 수 없어 써레가 파손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써레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농지의 평탄화 작업은 물론 다량의 흙을 끌고가는 그레이더작업을 겸할 수 있도록 하여 다 기능을 가지며 트랙터의 후진시 운전 부주의에 의한 장애물과의 충돌시 써레가 파손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도록 된 트랙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트랙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는 트렉터의 후미에 착탈되는 로타베이터의 상부에 선단이 마련되고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밑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된 중앙써레판과, 상기 중앙써레의 양끝에 축결합으로 연결되는 보조써레판으로 된 통상의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한 프레임은 상기 로타베이터에 마련된 고정축와 회동가능하게 축결합 되며 일측단부에 연장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으로 축공이 형성된 연장편이 마련된 회동프레임과, 일측부의 양단에 상기 축공과 축봉에 의해 축결합하는 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이 착설되는 고정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단부와 회동프레임의 일단부에는 장공이 형성된 링크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장공들을 통해 상기한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축봉에 의해 축결합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는 트랙터용 써레의 높이조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트렉터를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일부 절결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절결 상태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 사용상태 예시도
도 5는 종래의 트랙터용 써레를 보인 일부 예시도
*도면중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랙터 2 : 로타베이터 3 : 유압실린더
4 : 프레임 5 : 지지프레임 6 : 중앙써레판
7 : 보조써레판 10 : 고정축 11 : 회동프레임
12 : 연장편 12a : 축공 14 : 축봉
15 : 축공 16 : 고정프레임 17,18 : 장공
19,20 : 링크 21 : 로드 22 : 축봉 이다.
본 실시예의 트랙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는 도1 내지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트렉터(1)의 후미에 착탈되는 로타베이스(2)의 상부에 선단이 마련되고 유압실린더(3)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프레임(4)과, 이 프레임(4)의 밑면에 결합되고 지지프레임(5)의 일측에 마련된 중앙써레판(6)과, 상기 트랙터(1)의 전방으로 회동시킬 있도록 상기 중앙써레판(6)의 양끝에 축결합으로 연결되는 보조써레판(7)이 마련되는 통상의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한 프레임(4)은 상기 로타베이스(2)에 마련된 고정축(10)와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일측단부에 연장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으로 축공(12a)이 형성된 연장편(12)이 마련된 회동프레임(11)과, 일측부의 양단에 상기 축공(12a)과 축봉(14)에 의해 축결합하는 축공(15)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5)이 착설되는 고정프레임(16)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16)의 일단부와 회동프레임(11)의 일단부에는 장공(17)(18)이 형성된 링크(19)(2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장공(17)(18)들을 통해 상기한 유압실린더(3)의 로드(21)가 축봉(22)에 의해 축결합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트랙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는 도3 및 도4에서와 같이 적용되며 상기한 고정프레임(16)을 축봉(12a)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키고 고정을 하면 된다.
이와 같이 고정프레임(12)의 각도를 조절하면 도4에서와 같이 각도가 크게되는데 이것은 그레이더와 같이 다량의 흙을 끌고다닐 수 있는 적합한 형태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써레의 각도 조절이 완료되면 유압실린더(3)를 이용하여 써레를 농지면에 밀착시키고 트랙터(1)를 운행하여 농지를 그레이더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그래이더 작업이 완료되면 고정프레임(12)을 원래의 위치로 회동시켜 써레의 각도를 원위치시킨 후 고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된 트랙터용 써레는 트랙터의 후진시 운전미숙으로 인한 후방의 장애물이 써레에 충돌시 써레가 장공을 통해 전방으로 밀려 충격을 흡수하여 써레의 파손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트랙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는 써레의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농지의 평탄화 작업은 물론 다량의 흙을 끌고가는 그레이더작업을 겸할 수 있도록 하여 다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트랙터의 후진시 운전 부주의에 의한 장애물과의 충돌시 써레가 파손되지 않고 보호할 수 있다.

Claims (1)

  1. 통상의 트렉터(1)의 후미에 착탈되는 로타베이스(2)의 상부에 선단이 마련되고 유압실린더(3)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프레임(4)과, 이 프레임(4)의 밑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5)의 일측에 마련된 중앙써레판(6)과, 상기 트랙터(1)의 전방으로 회동시킬 있도록 상기 중앙써레판(6)의 양끝에 축결합으로 연결되는 보조써레판(7)이 마련되는 통상의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한 프레임(4)은 상기 로타베이스(2)에 마련된 고정축(10)와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일측단부에 연장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으로 축공(12a)이 형성된 연장편(12)이 마련된 회동프레임(11)과, 일측부의 양단에 상기 축공(12a)과 축봉(14)에 의해 축결합하는 축공(15)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5)이 착설되는 고정프레임(1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프레임(16)의 일단부와 회동프레임(11)의 일단부에는 장공(17)(18)이 형성된 링크(19)(2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장공(17)(18)들을 통해 상기한 유압실린더(3)의 로드(21)가 축봉(22)에 의해 축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
KR2020010022866U 2001-07-27 2001-07-27 트렉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 KR200253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866U KR200253213Y1 (ko) 2001-07-27 2001-07-27 트렉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866U KR200253213Y1 (ko) 2001-07-27 2001-07-27 트렉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213Y1 true KR200253213Y1 (ko) 2001-11-22

Family

ID=7310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866U KR200253213Y1 (ko) 2001-07-27 2001-07-27 트렉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213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458A (ko) * 2003-02-13 2004-08-18 (주)광산엠.티.시 써레
KR20160012770A (ko) 2014-07-25 2016-02-03 김경수 써레용 안전장치
KR20190016847A (ko) 2017-08-09 2019-02-19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20190016848A (ko) 2017-08-09 2019-02-19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102076355B1 (ko) 2018-09-20 2020-02-11 김문수 트랙터용 써레
KR20200076375A (ko) 2018-12-19 2020-06-29 김경수 트랙터용 써레
KR20210143585A (ko) 2020-05-20 2021-11-29 김문수 트랙터용 써레
KR20230105511A (ko) 2022-01-04 2023-07-11 김계수 써레용 완충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458A (ko) * 2003-02-13 2004-08-18 (주)광산엠.티.시 써레
KR20160012770A (ko) 2014-07-25 2016-02-03 김경수 써레용 안전장치
KR20190016847A (ko) 2017-08-09 2019-02-19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20190016848A (ko) 2017-08-09 2019-02-19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102076355B1 (ko) 2018-09-20 2020-02-11 김문수 트랙터용 써레
KR20200076375A (ko) 2018-12-19 2020-06-29 김경수 트랙터용 써레
KR20210143585A (ko) 2020-05-20 2021-11-29 김문수 트랙터용 써레
KR102369365B1 (ko) 2020-05-20 2022-03-03 김문수 트랙터용 써레
KR20230105511A (ko) 2022-01-04 2023-07-11 김계수 써레용 완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9686A (en) Deep tillage winged sweep
KR200253213Y1 (ko) 트렉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
US6564879B2 (en) Locking device for a guard of soil-working machine
JP3692017B2 (ja) 畦塗り機
JP4171294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JP5801082B2 (ja) 耕耘作業機
JP4905765B2 (ja) 砕土装置
JP3704278B2 (ja) 農作業機
KR200239952Y1 (ko) 트랙터의 로터리
JP5266003B2 (ja) 農作業機
JP3605001B2 (ja) 畦塗り機
CA1054426A (en) Trip mechanism
KR100779581B1 (ko) 트랙터용 써래장치
KR102366878B1 (ko) 트랙터 부착형 복토 정지기
KR20190127340A (ko)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KR200199115Y1 (ko) 배토판을 갖는 트랙터용 갓돌림 배토기
KR200223379Y1 (ko) 승용관리기용 쟁기
KR200214865Y1 (ko) 트랙터용 로터리써레
JP2007006776A (ja) ロータリ耕耘装置のカバー装置
JPH0522002Y2 (ko)
KR200253183Y1 (ko) 트랙터 로터리용 써레
JP4057506B2 (ja) 部分深耕機
KR200302984Y1 (ko) 농기계용 쟁기 조립체
JP3436964B2 (ja) ボトムプラウ
KR200167899Y1 (ko)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