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786Y1 - 트랙터용배토기승강회전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용배토기승강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786Y1
KR200315786Y1 KR20-2003-0008889U KR20030008889U KR200315786Y1 KR 200315786 Y1 KR200315786 Y1 KR 200315786Y1 KR 20030008889 U KR20030008889 U KR 20030008889U KR 200315786 Y1 KR200315786 Y1 KR 200315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or
horizontal
main frame
rotator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영길
Original Assignee
공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영길 filed Critical 공영길
Priority to KR20-2003-0008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7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7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7Lifting devices; Depth regulation devices;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용배토기승강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랙터의 로타베이터에 체결해 사용하는 배토기의 배토날이 승강회전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의 작업기로 사용되는 배토기는 중량체여서 경작지의 특성에 따라 이랑과 골에 따라 설치폭을 조절하거나 배토기의 갯수를 가감하거나 하는 과정에서 트레일링보드(8)로 부터 꺼내 들어올린후 이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이 많았고, 경작지에서의 배토작업 전후 트랙터에 부착한체 경작지간의 이동간에도 이를 수동이나 또는 복잡한 유압실린더의 조작이 수행되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트랙터를 주행하면서도, 메인프레임승하강용유압실린더(21)와 수평대회동유압실린더(22)를 적절이 조작하여,로타베이터(200)에 장착된 트레일링보드(8)의 높낮이를 동시에 조정함과 동시에 배토기 (100)의 배토날(15)이 로타베이타칼날축(7)에 근접되게 승하강 회전되는 트랙터용배토기승강회전장치로서 비교적 저단가에 의하여 기존의 로타베이터에 간단히 장착할수 있어 경제성이 있으며, 트랙터 운행중에도 조작이 가능하여 다른 기기에 비하여, 작업성을 휠씬 향상될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트랙터용배토기승강회전장치{a lift up turn system of a tractor for soil share machine}
본 고안은 트랙터용배토기승강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랙터의 로타베이터에 체결해 사용하는 배토기의 배토날이 승강회전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트랙터에 체결하는 로타베이터(200)는 트랙터에 결합체결하는 지지수단인 톱마스트(2)를 로타베이터커버(26) 중앙상단에 설치하고, 로타베이터커버(26)의 상측 중앙에는 트랙터로부터 회전동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기어박스(1)를 설치하되, 기어박스(1)의 동력은 동력전달축파이프브라켓(4)에 의해 고정지지된 동력전달축파이프(3)을 통하여 상기 로타베이터커버(26)의 일측면에 부착된 체인케이스커버(5)를 통해 연결되어 로타베이터(200)의 하부에 설치된 로타베이터칼날축(7)을 회전시켜 경작지의 흙을 쇄토하는 작업기로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로타베이터칼날축(7)의 후방안전과 흙튀김 방지와 표면을 고르는 작용을 위하여, 로타베이터커버(26)의 후사면체에는 트레일링보드(8)을 설치해 사용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작지의 흙을 로타베이터로 쇄토함과 동시에 일정한 폭으로 골을 내면서 두둑을 형성하는 또다른 작업기가 배토기(100)인데, 상기와 같은 배토기의 통상적인 설치는 로타베이터(200)의 로타베이터커버(26)의 지지대로부터 후방에 설치된 트레일링보드(8)의 안쪽에 형성된 로타베이터칼날축(7)에 근접하여 배토날 (15)이 지면과 수평을 이룬체 골을 내면서 두둑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트랙터의 작업기로 사용되는 배토기는 중량체여서 경작지의 특성에 따라 이랑과 골에 따라 설치폭을 조절하거나 배토기의 갯수를 가감하거나 하는 과정에서 트레일링보드(8)로 부터 꺼내 들어올린후 이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이 많았고, 경작지에서의 배토작업 전후 트랙터에 부착한체 경작지간의 이동간에도 이를 수동이나 또는 복잡한 유압실린더의 조작이 수행되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 2001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6401호에 핵심기술의 요약으로는 '배토기의 배토날을 메인프레임에 회동승강가능하게 장착하도록 함에 있어서, 배토날의 연결대를 관통하여 연결대를 고정하는 고정핀이 결합되며, 이 고정핀은상기 브라켓이나 연결대 또는 배토날에 비해 강도가 약하게 구성되어, 배토날이 돌등에 걸리면 상기 고정핀이 전단되어, 배토날이 회동상승되므로써 배토날이나 연결대 또는 브라켓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된 것이 특징'임을 알수 있다.
또, 상기의 선원기술과 대동소이한 선원기술로 2002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5833호에서도 '트랙터에 연결되는 프레임의 양측하부에 고정구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조립하고 상기 고정구의 상부에 고장핀을 볼트너트로 고정하여 프레임에 고정시키며,고정구의 하부에 지지관을 축볼트및 강도가 약한 안전볼트로 연결하고 지지관의 하부에 배토날을 지지하는 배토틀을 축볼트로 연결하며, 상기 지지관에 배토날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판을 볼트너트로 결합하고 양측 배토날의 상부에 두둑을 평탄하게 다듬는 경사좌판을 볼트너트체결로 탈착가능하게 한것'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술에 있어서, 배토기는 작업중 배토날에 무리한 부하가 걸려 배토날이 손상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대에 고정한 고정핀 또는 안전볼트가 부러지도록 하거나 고정핀을 뽑아 배토날을 상방으로 회동승강할수 있도록 하였거나,경사좌판등을 배토기의 상방에 부착하여 경작지를 평탄하고자 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배토기들의 장착은 트랙터의 로타베이터로부터 연결된 메인프레임의 전후길이가 짧지 않아 작업반경이 크며, 배토날을 회동승강시키기 위해서는 트랙터를 멈추고 수작업에 의한 조작이라는 점에 비효율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상기에 앞서의 선원기술로 1997년 국내 실용신안출원 제2394호 '로타리의 작업기 회전장치'의 기술요약으로는 로타리본체 후단에 설치되는 뒷문짝(trailing board)이라든가, 뒷문짝이 제거된 상태에서 배토기등과 같은 작업기를 경운축의 경운날과 닿지 않을 정도로 근접된 위치에 뒷문짝 또는 작업기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수행할수 있도록한 로타리작업기회전장치로써,그 부가기술로 뒷문짝에 연결되어진 승강바와 회전체를 유압작동기로 작동시켜 로터리작업을 수행하면서,뒷문짝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수행할수 있게'함을 목적으로 한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뒷문짝이 제거된 상태에서 배토기등과 같은 작업기를 경운축의 경운날과 닿지 않을 정도로 근접된 위치에 배토기를 회전시킬수는 있으나, 만일 뒷문짝이 부착된 상태에서는 로타리본체 상단의 브라켓트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유압작동기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배토기의 배토날이 회동된다면, 뒷문짝에 걸려 배토날이 경운축에 근접하게 설치될수 없는 구조임을 도 2내지 도 3을 통해 알수 있다.
청구범위 3항이나 도4에 도시된바와 같이, 뒷문짝을 장착한 상태에서 뒷문짝의 높낮이를 조절할수 있도록한, 소기의 목적은 달성할수 있으나, 뒷문짝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로타리본체 상단의 지지브라켓트에 설치한 회전축에 설치된 배토기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작동할수 있는 동작이 동시에 만족될수 없었다.
상기 기술은 뒷문짝이 없는 상태에서 배토기를 회동시켜야 하거나, 또는 배토기를 떼어놓고 뒷문짝의 높낮이만을 동작할수 있도록 된 구조로서 사전준비작업에 많은 불편이 예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트랙터의 로타베이터(200)에 통상 뒷문짝으로 불리우는 트레일링보드(8)를 장착한체, 로타베이타칼날축(7)에 배토기(100)의 배터날이 근접되게 승강회전되도록한 트랙터용배토기승강회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트랙터를 주행하면서도, 로타베이터(200)에 장착된 트레일링보드(8)의 높낮이를 동시에 조정함과 동시에 배토기(100)의 배토날(15)이 로타베이타칼날축(7)에 근접되게 승강회전되도록한 트랙터용배토기승강회전장치를 제공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배토날의 조정과 탈부착을 간편하게 하면서도 국내의 트랙터장착용배토기에 있어서, 최소길이의 메인프레임(9)에 배토날연결대 (14)를 장착한 배토기(100)가 장착 작동되게하여 최소의 작업반경을 갖도록 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토기의 골조상태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배토기의 배토날이 리프트업(lift up)된 상태의 참고 측면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배토기의 배토날이 풋다운(put down)된 상태의 참고 측면도.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배토기의 배토날이 트레일링보드 아랫단으로 진입직후의 참고 측면도.
도 3d는 본 고안에 따른 배토기의 배토날이 트레일링보드 아랫단에 완전진입해 작업중인 상태의 참고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토기의 배토날이 메인프레임과 수평을 이룬지를 파악하는 배토기수평검침부의 주요부 발췌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배토기 200:로타베이터
1:기어박스 2:톱마스트(top mast)
3:동력전달축파이프 4:동력전달축파이프브라켓
5:체인케이스커버 6:로타베이터지지대
7:로타베이터칼날축 8:트레일링보드(trailing board)
8':로타베이터커버 9:메인프레임
10:수평대 11:수평대브라켓
12:부싱메탈 13:배토날연결대브라켓
14:배토날연결대 15:배토날
16:중간수평대 17:메인프레임브라켓
18:너클핀(knuckle pin) 19:톱링그(top link)
20:유압실린더체결브라켓 21:메인프레임승하강용유압실린더
22:수평대회동유압실린더 23:수평대검침파이프받침대
24:배토기수평대검침파이프 25:배토기수평검침승강로드
26:배토기수평검침승강로드받침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 구성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알아보면,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사용상태 사시도로서,본 고안에 실시되는 로타베이터(200)는 트랙터에 결합체결하는 지지수단인 톱마스트(2)를 로타베이터커버(26) 중앙상단에 설치하고, 로타베이터커버(26)의 상측 중앙에는 트랙터로부터 회전동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기어박스(1)를 설치하되, 기어박스(1)의 동력은 동력전달축파이프브라켓(4)에 의해 고정지지된 동력전달축파이프(3)을 통하여 상기 로타베이터커버(26)의 일측면에 부착된 체인케이스커버(5)를 통해 연결되어 로타베이터(200)의 하부에 설치된 로타베이터칼날축(7)을 회전시켜 경작지의 흙을 쇄토하는 작업기로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로타베이터칼날축(7)의 후방안전과 흙튀김 방지와 표면을 고르는 작용을 위하여, 로타베이터커버(26)의 후사면체에는 트레일링보드(8)을 설치해 사용한다.
상기와 도1과 같이 로타베이터(200)에 장착되는 본 고안에 따른 배토기(200)는 도 2의 본 고안에 따른 배토기의 골조상태 사시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로타베이터(200)의 톱마스트(2)의 상단에 유압실린더 체결부인 톱링크(19)를 용접설치해 메인프레임승하강용유압실린더(21)의 몸통부를 회전가능하게 체결하는 한편,로타베이터커버(8')의 양단상측에 용접시킨 메인프레임브라켓(17)에는 트레일링보드(8) 단길이의 메인프레임(9)의 일단부를 너클핀(knuckle pin;18)으로 회전되게 고정하되,메인프레임의 중간내측단에 가로질러 중간수평대(16)를 용접하고 그 상단중앙에 용접한 유압실린더체결브라켓(20)의 상측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승하강용유압실린더 (21)의 하단부 실린더로드부를 하측에는 수평대회동유압실린더(22)의 몸통부를 회전가능하게 너클핀(18)체결하고, 상기 트레일링보드(8) 가로 폭길이의 수평대(10)의 중간에 끼워 용접한 수평대브라켓(11)의 상측에는 상기 수평대회동유압실린더 (22)의 실린더로드부가 회전가능하게 너클핀(18)체결하되, 메인프레임(9) 각 선단부에는 부싱메탈(12)를 케이싱에 고정수단을 갖고, 부싱메탈(12) 내부에는 수평대브라켓(11)을 중심으로 양편의 수평대(10)에 고정한후 부싱메탈(12) 외방의 양 수평대(10)에는 소망하는 배토날(15) 간격으로 조정하도록 삽입해 볼트와 같은 잠금수단(도시도지 않았음)으로 배토날연결대브라켓(13)을 고정하여, 그 하부에는 배토날(15)을 장착한 배토날연결대(14)를 조립하는 것이다.
상기의 메인프레임(9)의 수평에 의하여 배토날(15)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지를 점검하는 수단으로,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로타베이터(200)의 로타베이터커버(8')상에 적정 수직높이로 고정설치한 수평검침파이프받침대(23)의 상단에는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핀에 배토기수평검침파이프(24)를 용접하고, 상기 배토기수평검침파이프(24)내부에 삽입한 배토기수평검침승강로드(25)의 단부는 중간수평대(16)의 일단 상부에 낮게 고정한 배토기수평검침승강로드받침대(26)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핀에 용접조립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대(10)와 중간수평대(16)간에 장착되는 1조의 수평대회동유압실린더(22)는 배토기(100)의 폭이 2,000m이내의 사양이나, 그 이상의 대형 배토기에는 상기 수평대회동유압실린더(22)좌우편에 각각 1조식 추가로 설치함도 본 고안에 따라 용이하게 설계변경할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것으로 별도의 구성이나상세한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일실시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알아보면,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배토기(100)의 배토날(15)이 리프트업(lift up)된 상태의 참고 측면도로써, 이는 로타베이터(200)에 배토기(100)를 장착한체 트랙터를 가지고 경작지간에 주행하거나, 이동하는 경우나 배토날(16)의 간격을 조정하거나 탈부착할때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수 있도록 배토날(15)이 트레일링보드(8)의 외부로 빠져나온체 승강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상기와 상태로부터 배토날(15)을 하강시켜 트레일링보드(8)내로 유입시키는 동작으로는 배토기(100)의 배토날(15)이 풋다운(put down)된 상태의 참고 측면도인 도 3b에 도시된바와 같이, 중간수평대(16)중간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체결브라켓 (20)의 하측에 체결된 수평대회동유압실린더(22)의 실린더로드부가 최대로 수축되면서 수평대브라켓(11)의 상단이 유압실린더체결브라켓(20)쪽으로 당겨지게 되면,메인프레임(9) 양선단부의 부싱메탈(12)에 삽입된 수평대(10)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수평대(10) 양편에 체결된 배토날연결대브라켓(13)에 수직하방으로 볼트 체결된 배토날연결대(14)에 장착된 배토날(15)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배토날(15)의 날끌이 수평대(10)의 직하방선에 이르게 된다.
다음으로 수평대(10)를 풋다운(put down)시키는 동작으로는 로타베이터(200)의 톱마스트(2)상에 용접된 톱링크(19)상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메인프레임승하강용유압실린더(21)의 몸체부로부터, 중간수평대(16)상의 유압실린더체결브라켓 (2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핀조립된 유압실린더로드부가 이완되면, 로타베이터커버(8')상에 용접된 메인프레임브라켓(17)에 회전가능하게 너클핀(18)핀조립부를 회전축으로 메인프레임(9)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위로 치켜올려진 메인프레임(9)이 하방으로 풋다운(put down)되면서, 로타베이터(200)의 후방부에 설치된 트레일일링보드(8)의 바닥단 이하로 배토날(15)이 위치되는 것이다.
다음 동작으로는 도 3c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도3b의 동작으로부터 메인프레임승하강용유압실린더(21)로부터 유압실린더로드부가 더욱 이완되면서, 배토날 (15)이 트레일링보드(8) 끝단 아래로 하강한 상태에서, 수평대회동유압실린더(22)의 유압실린더부를 약간 이완되면서,트레일링보드(8)의 끝단에 배토날(15)상단면에 접촉된 상태임을 나타낸다.
최종 배토작업을 위한 상태로 메인프레임(9)이 지면과 거의 수평을 이룬상태로는 도 3d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토기(100)의 배토날(15)이 트레일링보드(8) 아랫단에 완전진입해 작업중인 상태의 참고 측면도와 같은 상태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 3c의 트레일링보드(8)의 끝단에 배토날(15)상단면에 접촉된 상태에서,메인프레임승하강유압실린더(21)의 실린더로드를 약간 수축시키거나, 수평대회동유압실린더(22)의 실린더로드를 약간 이완시켜 배토날(15)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조작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토날(15)이 지면과 수평을 이룬지를 트랙터조정석에서 운전자가 일일이 주시할수 없으므로, 마련된 수단으로는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토기의 배토날이 메인프레임과 수평을 이룬지를 파악하는 배토기수평검침부의 주요부 발췌 사시도에 도시된바와 같이,메인프레임(9)의 수평에 의하여 배토날(15)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지를 점검하는 수단으로,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로타베이터(200)의 로타베이터커버(8')상에 적정 수직높이로 고정설치한 수평검침파이프받침대(23)상에 조립된 배토기수평검침파이프(24)에 삽입된 배토기수평검침승강로드(25)가 상기 배토기수평검침파이프(24)의 끝단보다 튀어나온 상태이면, 메인프레임(9)이 로타베이터(200)의 메인프레임브라켓(17)을 회전축으로 위로 상승된 상태이며,배토기수평검침승강로드(25)가 상기 배토기수평검침파이프(24)의 내로 들어간 상태는 메인프레임(9)이 로타베이터(200)의 메인프레임브라켓(17)을 회전축을 기점으로 아래로 쳐진 상태임을 운전자가 직감하도록 한것으로 트랙터운전석으로부터 운전자가 내려오지 않고서도, 로타베이터(200)와 배토기(100)와의 수평상태를 조절할수 있도록 하였다.
도 3d와 같이 로타베이터(200)와 배토기(100)와의 수평상태로부터 다시 도3a와 같이 배토기(100)의 배토날(15)이 리프트업(lift up)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상기 동작과 역동작으로 메인프레임승하강용유압실린더(21)와 수평대회동유압실린더(22)를 조작하도록 한 것으로 이의동작 설명은 반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 작동되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배토기승강회전장치는 트랙터의 로타베이터(200)에 통상 뒷문짝으로 불리우는 트레일링보드(8)를 장착한체, 로타베이타칼날축(7)에 배토기(100)의 배터날이 근접되게 승강회전되도록한 트랙터용배토기승강회전장치로는 국내 유일하며, 트랙터를 주행하면서도, 메인프레임승하강용유압실린더(21)와 수평대회동유압실린더(22)를 적절이 조작하여,로타베이터(200)에 장착된 트레일링보드(8)의 높낮이를 동시에 조정함과 동시에 배토기 (100)의 배토날(15)이 로타베이타칼날축(7)에 근접되게 승하강 회전되는 트랙터용배토기승강회전장치로서 비교적 저단가에 의하여 기존의 로타베이터에 간단히 장착할수 있어 경제성이 있으며, 트랙터 운행중에도 조작이 가능하여 다른 기기에 비하여, 작업성을 휠씬 향상될수 있었다.
또한, 배토날의 폭조정과 탈부착도 간편함은 물론 최소길이의 메인프레임(9)에 배토날연결대(14)를 장착한 배토기(100)를 장착 작동되게하여 최소의 작업반경을 갖는다는 이점이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통상의 로타베이터(200)의 톱마스트(2)의 상단에 유압실린더 체결부인 톱링크(19)를 용접설치해 메인프레임승하강용유압실린더(21)의 몸통부를 회전가능하게 체결하는 한편,로타베이터커버(8')의 양단상측에 용접시킨 메인프레임브라켓(17)에는 트레일링보드(8) 단길이의 메인프레임(9)의 일단부를 너클핀(knuckle pin;18)으로 회전되게 고정하되, 메인프레임의 중간내측단에 가로질러 중간수평대(16)를 용접하고 그 상단중앙에 용접한 유압실린더체결브라켓(20)의 상측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승하강용유압실린더(21)의 하단부 실린더로드부를 하측에는 수평대회동유압실린더(22)의 몸통부를 회전가능하게 너클핀(18)체결하고, 상기 트레일링보드(8) 가로 폭길이의 수평대(10)의 중간에 끼워 용접한 수평대브라켓(11)의 상측에는 상기 수평대회동유압실린더(22)의 실린더로드부가 회전가능하게 너클핀(18)체결하되, 메인프레임(9) 각 선단부에는 부싱메탈(12)를 케이싱에 고정수단을 갖고, 부싱메탈(12) 내부에는 수평대브라켓(11)을 중심으로 양편의 수평대(10)에 고정한후 부싱메탈 (12) 외방의 양 수평대(10)에는 소망하는 배토날(15) 간격으로 조정하도록 삽입해 볼트와 같은 잠금수단(도시도지 않았음)으로 배토날연결대브라켓(13)을 고정하여, 그 하부에는 배토날(15)을 장착한 배토날연결대(14)를 조립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배토기승강회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메인프레임(9)의 수평에 의하여 배토날(15)이 지면과 수평을이루는지를 점검하는 수단으로, 로타베이터(200)의 로타베이터커버(8')상에 적정 수직높이로 고정설치한 수평검침파이프받침대(23)의 상단에는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핀에 배토기수평검침파이프(24)를 용접하고, 상기 배토기수평검침파이프(24)내부에 삽입한 배토기수평검침승강로드(25)의 단부는 중간수평대(16)의 일단 상부에 낮게 고정한 배토기수평검침승강로드받침대(26)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핀에 용접조립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배토기승강회전장치.
KR20-2003-0008889U 2003-03-25 2003-03-25 트랙터용배토기승강회전장치 KR200315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889U KR200315786Y1 (ko) 2003-03-25 2003-03-25 트랙터용배토기승강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889U KR200315786Y1 (ko) 2003-03-25 2003-03-25 트랙터용배토기승강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786Y1 true KR200315786Y1 (ko) 2003-06-11

Family

ID=49408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889U KR200315786Y1 (ko) 2003-03-25 2003-03-25 트랙터용배토기승강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7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121A (ko) 2018-01-03 2019-07-11 고우판 개량된 로터베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121A (ko) 2018-01-03 2019-07-11 고우판 개량된 로터베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15786Y1 (ko) 트랙터용배토기승강회전장치
US7010874B2 (en) Mounting frame unit for attaching working implements to a tractor body
CN101715660B (zh) 一种多功能作业机
US2140712A (en) Direct connect implement
KR200214870Y1 (ko) 트랙터용 절첩식 보조 써레
KR0134792B1 (ko) 트랙터용 굴삭기의 고정부재
KR102201039B1 (ko) 트랙터에 분할 결합되는 착탈식 그레이더
KR200199115Y1 (ko) 배토판을 갖는 트랙터용 갓돌림 배토기
CN2387699Y (zh) 一种新型耕整机
JPH0441771Y2 (ko)
JPS6325924Y2 (ko)
CN219329972U (zh) 一种集成有平田机构的水田埋茬起浆机
KR200364264Y1 (ko) 콩탈곡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0167899Y1 (ko)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JPS6322809Y2 (ko)
JPH0132498Y2 (ko)
JPH0132497Y2 (ko)
JPS635443Y2 (ko)
JPS5936974Y2 (ja) 農用トラクタ−のトップリンクヒンジ
KR100311752B1 (ko)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JPS5921606Y2 (ja) 走行作業車用ポンプ装置
KR880002817Y1 (ko) 경운기 부착 승용로타리 작업기
JPH0441778Y2 (ko)
KR200237357Y1 (ko) 트랙터용 써레
KR200155530Y1 (ko) 로터리의 작업기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