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096Y1 - 방적장치 - Google Patents

방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096Y1
KR200161096Y1 KR2019940021729U KR19940021729U KR200161096Y1 KR 200161096 Y1 KR200161096 Y1 KR 200161096Y1 KR 2019940021729 U KR2019940021729 U KR 2019940021729U KR 19940021729 U KR19940021729 U KR 19940021729U KR 200161096 Y1 KR200161096 Y1 KR 200161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pindle
air
inlet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1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097U (ko
Inventor
모리시게키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준이치
무라타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준이치, 무라타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준이치
Priority to KR2019940021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096Y1/ko
Publication of KR9600080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0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0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4Devices for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6Spindl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가이드부재의 주위로부터 단섬유를 공급하고 선회기류에 의해 가연하는 방적장치에 있어서 방출사의 연수를 자유자재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드래프트장치를 나온 섬유뭉치에 선회기류를 작용시키는 노즐(3)을 보유하는 동시에 노즐개구부의 하류측에 그 노즐개구부의 하류측가장자리에 접하는 가상원(原)을 시단으로해서 하류측에 작은 각도로 확개하는 테이퍼형상의 내주면(2a)을 보유하는 노즐블록(2)과 정지하는 중공스핀들(6)과 그 입구로 선단을 향하게하여 돌출하는 가이드부재(5)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방적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방적장치, 드래프트장치 및 송출로울러의 관계를 가리키는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방적장치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방적장치의 요부의 종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방적장치의 요부의 종단면도.
제5도는 방출속도와 방출사의 연수, 강력의 관계를 가리키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노즐블록 3 : 노즐
5 : 가이드부재 6 : 스핀들
6a : 스핀들입구
본 고안은 드래프트장치에 의해 드래프트된 무연(無撚)의 단(短)섬유뭉치에 선회기류를 작용시켜서 가연(加然)하므로써 방적사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제4도에 표시하는 방적장치를 제안하여 출원하고 있다. 그 방적장치는 드래프트장치를 나온 섬유묶음에 선회기류를 작용시키는 노즐(3)을 보유하는 노즐블록(2')과 섬유뭉치통로(7)를 보유하는 스핀들(6)과 그 입구(6a)로 선단을 향하게하여 돌출하는 가이드부재(5)로 구성되고 선회기류에 의해 무연(無撚)의 단섬유묵음을 가연(加撚)해서 방적사를 제조하는 것이다. 또 노즐블록(2')에 있어서의 노즐(3)의 개구부하류측의 내주면(2a')은 노즐(3) 개구부의 하류측가장자리에 접하는 가상원(原)의 지름(d)보다 약간큰지름(D)인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방적장치는 외관, 실특성이 모두 링사(ring yarn)에 가까운 실을 방출할 수 있지만 링방적과 같이 실의 연수를 자유로히 변화시키지 못하는 점에 문제가 있다. 즉, 링방적에 있어서는 정방관사를 장착하는 스핀들의 회전수가 일정할 경우 방출속도를 바꾸므로써 실의 연수를 자유로히 바꿀 수가 있지만 상기한 방적장치에 있어서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방출속도를 변화시켜도 연수는 헌저하게는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직물용실과 같이 연수가 큰 것 그리고 편물용실과 같이 연수가 작은 것을 자유로히 분류해서 방출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고안은 가이드부재의 주위로부터 단섬유를 공급하고 선회기류에 의해 가연하는 방적장치에 있어서 방출실의 연수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방적장치는 드래프트장치로부터 나온 섬유뭉치에 선회기류를 작용시키는 노즐을 보유하는 노즐블록과, 섬유뭉치 통로가 형성되는 입구측의 원추형상부가 노즐블록 내의 노즐개구부 하류측에 존재하는 스핀들을 구비한 방적장치에 있어서, 노즐블록의 스핀들 입구근방은 고속선회기류가 발생하는 중공실로 되어 있고, 그 중공실을 형성하는 노즐블록의 내주면을 노즐개구부의 하류측 가장자리에 접하는 가상원을 시단으로 하여 상기 원추형상부의 각도보다 하류측으로 확개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방적장치에 있어서는 드래프트장치를 나온 섬유뭉치는 노즐로부터 분출하는 공기류의 작용에 의해 장치내로 끌려들어가고 섬유다발의 모든 섬유의 전단은 가이드부재의 주위로부더 실로 형성되어가고 있는 섬유뭉치에 끌려서 스핀들내로 안내된다. 또 섬유의 후단측은 스핀들입구로부터 반전하는 동시에 각 섬유로 분리된다. 후단의 분리한 섬유는 노즐로부터 분출하는 선회기류에 부딪히고 실의 주행에 따라서 실로 형성되어가고 있는 섬유뭉치의 주위에 나선형상으로 감겨서 실연형상의 방적사로 된다.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이 고안의 방적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방적 장치(S)는 드래프트장치(D)의 프런트로울러(Rf)와 송출로울러(de1ivery ro1ler)(Rd)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대체로 드래프트장치에 연속되는 케이싱(1)의 내부에 배치된 노즐(3)을 보유하는 노즐불록(2)과 그 입구부에 위치하고 가이드부재(5)를 보유하는 가이드부재지지체(4)와 입구측이 케이싱(1) 내에 삽입된 회전스핀들(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드래프트장치(D)는 예를들어 프런트로울러(Rf) 에이프런을 보유하는 세컨드로울러(R2), 사이드로울러(R3) 및 백로울러(Rb)로 구성되는 것을 채용한다.
스핀들(6)의 중심에는 섬유뭉치통로(7)가 관통형성되어 있고 입구(6a)의 외경은 충분히 작으며 입구(6a)에 연속되는 부분은 외경이 하류측으로 향하여 증대하는 원추형상부(6b)로 하고 있다.
노즐블록(2)의 스핀들입구(6a) 근방을 피복하는 부분은 중공실(8)로 되어 있고 그 하류측에는 하부케이싱(1a)에 의해 고리형상의 중공실(9)과 그것에 연속되는 접선방향의 공기도피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
중공실(8)을 형성하는 노즐블록(2)의 내주면(2a)은 노즐(3)의 개구부로부터 하류측으로 향하여 아주작은 각도(예를들면 7°)로 확개하는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시단은 노즐(3)의 개구부의 하류측가장자리에 접하는 가상원이다.
또 종래의 방적장치에 있어서는 [종래의 기술설명]에서 설명했듯이 이 부분이 점선으로 표시하듯이 똑바른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부케이싱(1b)의 내부에는 노즐블록(2)과의 사이에 중공의 공기체류장(11)에 연통하여 스핀들(6)의 입구(6a)로부터 약간 떨어진 하류를 향하고 또 중공실(8)에 대하여 접선방향을 향한 4개의 공기분사노즐(3)이 형성되어 있고 공기체류장(11)에는 구멍(12)을 통하여 도면에는 표시되어 있지 앞는 호스가 접속되어 있다. 노즐(3)의 방향은 스핀들(6)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호오스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공기체류장(11)으로 유입한 후 노즐(3)로부터 중공실(8)내로 분출하여서 스핀들입구(6a)의 근방에 고속의 선회기류를 발생시킨다. 이 공기기류는 중공실(8) 내부에서 선회한 다음 중공실(8)내로 천천히 선회하면서 외방으로 확산하여 도피구멍(10) 방향으로 안내되어서 배출된다. 그와 동시에 이 공기류는 프런트로울러의 닙(nip) 점으로부터 케이싱(1)의 중공부내로 유입하는 흡인공기류를 발생시킨다.
가이드부재지지체(4)는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상부에 섬유뭉치 도입구멍(13)을 보유하는 캡형상을 하고 있고 상부중심에는 핀형상의 가이드부재(5)가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부재(5)는 가이드부재지지체(4)의 상부로부터 돌출하고 선단을 자유상태로하여 스핀들(6)의 입구(6a)에 면하게 하고 있다.
스핀들 구동부는 축받이케이싱(14)의 내부에 공기축받이에 의해 지지되고 에어터어빈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다.
공기 축받이는 축받이케이싱(14) 내에 공기체류장(17a)에 연속되고 공기분출구멍(17b)을 보유하는 원통형상의 부시(17)가 끼워져 있고 축받이케이싱(14)에도 공기체류장(17a)에 연통하는 압축공기공급구멍(14c)이 설치된 것이다. 또 부호18은 축받이케이싱(14)의 캡이다.
이 공기축받이에 있어서 압축공기공급구멍(14c)에 접속된 도면표시하지 않는 호오스로부터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그 압축공기는 공기체류장(17a), 공기분출구멍(17b)을 통과하여 스핀들(6)과 부시(17)의 근소한 간극을 통과하여 배출되고 스핀들(6)은 부시(17)에 대하여 비접촉상태가 된다.
에어터어빈은 축받이케이싱(14)내에 접선방향으로 개구하는 압축공기공급구멍(16a)과 공기배출구멍(16b)을 보유하는 원통형상의 부시(16)가 끼워 넣어지고 축받이케이싱(14)에도 압축공기공급구멍(16a) 또는 공기배출구멍(16b)에 연통하는 압축공기공급구멍(14a) 또는 공기배출구멍(14b)이 설치되고 또 압출공기공급구멍(16a)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스핀들(6)의 외주면에 분출공기류를 받는 복수의 반원 형상오목부(6c)가 형성된 것이다.
이 에어터어빈에 있어서 압축공기공급구멍(14a)에 접속된 도면표시하지 않는 호오스로부터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그 압축공기는 압축공기공급구멍(16a)을 통과해서 스핀들(6)의 오목부(6c)에 부딪혀서 스핀들(6)을 회전시킨다. 스핀들(6)을 회전시킨 공기류는 공기배출구멍(16b, 14b)을 통과하여 배출된다.
또 스핀들(6)은 실을 꼬는 보조를 하는 것으로서 이것이 회전하지 않아도 실에 따라서는 제조가능하다. 따라서 스핀들(6)은 반드시 화전하는 것이라야할 필요는 없다.
이와같이 구성된 방적장치에 있어서는 드래프트장치를 나온 섬유뭉치는 노즐(3)로부터 분출하는 공기류의 작용에 의해 장치내로 끌려 들어가고 섬유뭉치의 모든 섬유의 전단은 가이드부재(5)의 주위로부터 실로 형성되어가고 있는 섬유뭉치에 끌려서 회전하는 스핀들(6)내로 안내된다. 또 섬유의 후단측은 노즐(3)로부터 분출하는 공기류의 축방향분력이 작용해서 스핀들입구(6a)로부터 반전하는 동시에 각 섬유로 분리된다. 후단의 분리된 섬유는 노즐(3)로부터 분사하는 선회기류에 부딪히고 실의 주행에 따라서 실로 형성되어가고 있는 섬유뭉치의 주위에 나선형상으로 감겨서 실연형상의 방적사(Y)가 된다.
또 각 방출속도에 있어서의 강력 및 연수는 제5도의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다. 이것에 의하면 본 고안의 방적장치에 있어서는 점선으로 표시하는 종래의 방적장치에 의하는 것과 비교해서 강력이 대폭적으로 크게 되어서 방출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연수(α는 연계수이고 방출속도가 225 내지 275m/min에 대응하는 부분이 실용영역이다)가 현저하게 감소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방출조건은 다음과 같다. 즉 전체적인 드래프트는 138, 프런트로울러(Rf)와 딜리버리로울러(Rd)의 주(周) 속도비와 딜리버리로울러(Rd)와 건취로울러의 주속도비는 0.99, 메인드래프트(프런트로울러(Rf)와 세컨드로울러(R2)의 주속도비)는 35, 노즐(3)의 분출공기압은 4kg/㎠, 스핀들(6)의 회전수는 10만 r.p.m, 방출예정 번수는 Ne 40이다.
본 고안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종래의 이 종류의 방적장치에 비하여 방출사의 강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가있다. 또 실용영역에 있어서의 방출사의 연수를 자유자재하게 제어할 수가 있다. 따라서 직물용실 편물용실 둥을 분류해서 방출할 수가 있다. 또한, 스핀들의 원추형상부와 노즐블록의 노즐개구부 하류측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실이 하류측일수록 좁아지므로, 섬유손실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Claims (1)

  1. 드래프트장치로부터 나온 섬유뭉치에 선회기류를 작용시키는 노즐을 보유하는 노즐블록과, 섬유뭉치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노즐블록 내의 노즐개구부 하류측에 입구측 원추형상부가 존재하는 스핀들과, 선단이 스핀들의 입구로 향하여 돌출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방적장치에 있어서, 노즐블록의 스핀들 입구주변은 고속선회기류가 발생하는 중공실로 되어 있고, 그 중공실을 형성하는 노즐블록의 내주면이, 노즐개구부의 하류측 가장자리에 접하는 가상원을 시단(始端)으로 하여 상기 원추형상부의 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하류측으로 확개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장치.
KR2019940021729U 1994-08-26 1994-08-26 방적장치 KR200161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729U KR200161096Y1 (ko) 1994-08-26 1994-08-26 방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729U KR200161096Y1 (ko) 1994-08-26 1994-08-26 방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097U KR960008097U (ko) 1996-03-15
KR200161096Y1 true KR200161096Y1 (ko) 1999-11-15

Family

ID=1939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1729U KR200161096Y1 (ko) 1994-08-26 1994-08-26 방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0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097U (ko) 199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1959B1 (ko) 방적장치
JPH0674530B2 (ja) 紡績装置
JP4298869B2 (ja) 紡績装置
JPH0748673Y2 (ja) 紡績装置
KR200161096Y1 (ko) 방적장치
CN1093895C (zh) 纺纱装置
JP2553855Y2 (ja) 紡績装置
JPH0641822A (ja) 紡績方法
JP2713089B2 (ja) コアヤーン製造方法
JPH07113166B2 (ja) 紡績装置
JPH0641823A (ja) 紡績方法
JPH0641821A (ja) 紡績方法
JPH0610372U (ja) 紡績装置
JP2517616Y2 (ja) 紡績装置
JPH07126927A (ja) 高速ドラフト装置のフロントボトムローラー
JPH0679752U (ja) 紡績装置
JPH0641824A (ja) 紡績装置
JPH06240521A (ja) 紡績装置
JPH06240520A (ja) 紡績装置
JPH07150423A (ja) 紡績装置
JPH0612484U (ja) 紡績装置
JPH0510479U (ja) 紡績装置
JPH06108322A (ja) 紡績装置
JPH0665816A (ja) 紡績方法
JPH0610371U (ja) 紡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