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872Y1 -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49872Y1 KR200149872Y1 KR2019960048717U KR19960048717U KR200149872Y1 KR 200149872 Y1 KR200149872 Y1 KR 200149872Y1 KR 2019960048717 U KR2019960048717 U KR 2019960048717U KR 19960048717 U KR19960048717 U KR 19960048717U KR 200149872 Y1 KR200149872 Y1 KR 20014987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in
- torsion bar
- bar spring
- fluid
- rub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 B62D33/0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characterised by the device for locking the cab in the tilted or in the driving position
- B62D33/071—Locking devices for cabins in driving position; Shock and vibration absorbing devic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04—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 B62D33/0608—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pneumatic or hydraulic suspen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측 새시 프레임에 고정한 한 쌍의 힌지를 가로 지르도록 설치된 토션 바 스프링과, 상기 토션 바 스프링에 일단이 고정되어 캐빈을 지지하는 한 쌍의 캐빈 브래키트를 포함하는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션 바 스프링을 힌지의 중간부에 설치함과 아울러 별도의 제2캐빈 브래키트를 채용하여 이를 힌지의 상단부에 방진용 유체 봉입 러버의 개재하에 설치하여 토션 바 스프링의 센터와 방진용 유체 봉입 러버의 센터 위치를 다르게 하고, 상기 제1캐빈 브래키트와 캐빈과의 접촉부에 볼 베어링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는, 토션 바 스프링의 센터와 방진용 러버의 센터를 분리함과 아울러 유체 봉입 러버를 사용함으로써 캐빈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 및/또는 흡수할 수 있다. 즉 제진 성능의 향상을 기할 수 있어,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물차량은 캐빈 틸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동 흡수성이 뛰어난 유체 봉인 러버를 이용하여 차량 주행시의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차량에 있어서는 승용차의 본네트에 해당하는 구조로써 캐빈을 소정의 각도로 틸트시켜 엔진 룸을 개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캐빈을 틸트시키는 원동력으로는 통상, 토션 바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의 전형적인 한 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는 양측 새시 프레임(1)(1')에 고정된 한 쌍의 힌지(2)(2')에 토션 바 스프링(3)이 설치되어 있고, 이 토션 바 스프링(2)의 양측에 결합된 캐빈 브래키트(4)(4')에는 캐빈(5)이 지지되어 캐빈(5)을 소정 각도로 틸트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힌지(2)(2')의 내부에는 캐빈(5)으로부터 토션 바 스프링(3)을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제거하기 위한 방진용 러버(6)가 개재되어 있으며, 이 러버(6)를 토션 바 스프링(3)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캐빈 틸트장치는, 캐빈으로부터 토션 바 스프링을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을 토션 바 스프링의 양측에 있는 방진용 러버가 흡수하여 제거하는 제진 구조를 갖추고 있으나, 토션 바 스프링과 방진용 러버가 동축상에 설치됨과 아울러 비교적 딱딱한 러버를 방진용 러버로 이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제진을 이룰 수 없어, 진동으로 인한 승차감 저하를 야기시키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토션 바 스프링과 방진용 러버의 센터를 분리함과 아울러 방진용 러버로써 진동 흡수성이 뛰어난 유체 봉입 러버를 채용함으로써 캐빈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는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캐빈 틸트 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새시 프레임 10 : 힌지
11 : 토션 바 스프링 12 : 캐빈
13 : 제1캐빈 브래키트 14 : 제2캐빈 프래키트
15 : 방진용 유체 봉입 러버 17 : 볼 베어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목적은, 양측 새시 프레임에 고정된 한 쌍의 힌지를 가로 지르도록 설치된 토션 바 스프링과, 상기 토션 바 스프링에 일단이 고정되어 캐빈을 지지하는 한 쌍의 캐빈 브래키트를 포함하는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션 바 스프링을 힌지의 중간부에 설치함과 아울러 별도의 제2캐빈 브래키트를 채용하여 이를 힌지를 상단부에 방진용 유체 봉입 러버의 개재하에 설치하여 토션 바 스프링의 센터와 방진용 유체 봉입 러버의 센터 위치를 다르게 하고, 상기 제1캐빈 브래키트와 캐빈과의 접촉부에 볼 베어링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는, 토션 바 스프링의 센터와 방진용 러버의 센터를 분리함과 아울러 유체 봉입러버를 사용함으로써 캐빈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 및/또는 흡수할 수 있다. 즉 제진 성능이 향상을 기할 수 있어,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첨부한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는 양측 새시 프레임(1:도시예에서는 일측만 보이고 있으나, 이하에서는 양측에 구성된 것을 전제하여 설명한다)에 힌지(10)가 각각 고정되어 있고, 이 힌지(10)의 중간부에 토션 바 스프링(1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토션 바 스프링(11)에는 캐빈(12)을 지지하는 캐빈 브래키트(13)가 양측에 고정되어, 캐빈을 틸트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10)의 상단부에는 별도의 제2캐빈 브래키트(14)가 방진용 유체 봉입 러버(15)의 개재하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캐빈 브래키트(14)는 캐빈(12)에 볼트(16)로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은 토션 바 스프링(11)의 센터와 방진용 유체 봉입 러버(15)의 센터 위치를 서로 달리하여 캐빈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의 전달 경로를 차단 내지는 축소시킴으로써 제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은 방진용 러버로써 진동 흡수 성능이 우수한 유체 봉입 러버(15)를 채용함으로써 제진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토션 바 스프링(11)의 센터와 방진용 유체 봉입 러버(15)의 센터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야기되는 문제, 즉 캐빈 브래키트(13)와 캐빈(12)과의 미끌림 현상을, 캐빈 브래키트(13)와 캐빈(12)과의 접촉부에 볼 베어링(17)를 설치하여 해결하고 있다.
상기 볼 베어링(17)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빈 브래키트(13)의 홈부(13a)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는, 종래와 같이 토션 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캐빈을 소정 각도로 틸트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에는 캐빈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 및 흡수하지 못함으로써 승차감의 저하를 불러 일으키고 있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방진용 러버로써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함과 동시에 토션 바 스프링의 센터와 방진용 러버의 센터 위치를 달리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캐빈을 진동을 차단 및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는, 토션 바 스프링의 센터와 방진용 러버의 센터를 분리함과 아울러 유체 봉입 러버를 사용함으로써 캐빈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 및/또는 흡수할 수 있다. 즉 제진 성능의 향상을 기할 수 있어,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에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 양측 새시 프레임에 고정된 한 쌍의 힌지를 가로 지르도록 설치된 토션 바 스프링과, 상기 토션 바 스프링에 일단이 고정되어 캐빈을 지지하는 한 쌍의 캐빈 브래키트를 포함하는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션 바 스프링을 힌지의 중간부에 설치함과 아울러 별도의 제2캐빈 브래키트를 채용하여 이를 힌지의 상단부에 방진용 유체 봉입 러버의 개재하에 설치하여 토션 바 스프링의 센터와 방진용 유체 봉입 러버의 센터 위치를 다르게 하고, 상기 제1캐빈 브래키트와 캐빈과의 접촉부에 볼 베어링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48717U KR200149872Y1 (ko) | 1996-12-13 | 1996-12-13 |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48717U KR200149872Y1 (ko) | 1996-12-13 | 1996-12-13 |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35731U KR19980035731U (ko) | 1998-09-15 |
KR200149872Y1 true KR200149872Y1 (ko) | 1999-06-15 |
Family
ID=1947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48717U KR200149872Y1 (ko) | 1996-12-13 | 1996-12-13 |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49872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9467B1 (ko) | 2013-06-12 | 2014-11-07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캡 틸팅장치 |
CN112660252B (zh) * | 2020-12-29 | 2022-10-04 | 安徽安凯华夏汽车配件制造有限公司 | 钢板拼焊式机动车驾驶室翻转机构总成 |
-
1996
- 1996-12-13 KR KR2019960048717U patent/KR20014987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35731U (ko) | 1998-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S6363404B2 (ko) | ||
KR200149872Y1 (ko) | 유체 봉입 러버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캐빈 틸트장치 | |
KR100410846B1 (ko) |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구 | |
KR0179479B1 (ko) | 자동차용 엔진의 방진장치 | |
KR0121031Y1 (ko) | 자동차 엔진 장착구 | |
JP3251358B2 (ja) | 産業車両におけるシートの防振支持構造 | |
KR100188539B1 (ko) | 자동차용 미션 충격완충댐퍼 | |
KR100381231B1 (ko) |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 |
KR980008633A (ko) | 일체형 더스트커버를 가진 차량용 쇽업소버의 스트럿마운팅 | |
KR0126057Y1 (ko) |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마운팅 | |
KR200231000Y1 (ko) | 차량의 마운팅 구조 | |
KR200161611Y1 (ko) |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 |
KR200143121Y1 (ko) | 유압식 엔진 마운팅장치 | |
KR20050025377A (ko) | 자동차용 바디와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 | |
KR100245216B1 (ko) | 자동차 에어콘디셔너의 콤프레서 진동방지장치 | |
KR19980083086A (ko) |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시스템 | |
KR20050053879A (ko) |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 | |
JPH07257208A (ja) | プロペラシャフト配設構造 | |
KR100578567B1 (ko) |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 | |
KR200143931Y1 (ko) | 스톱퍼 내장형 엔진마운트 | |
KR20020004148A (ko) |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 | |
KR20050095946A (ko) | 차량용 토션 바의 방진구조 | |
KR19980040174A (ko) |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암 부시 | |
KR19980022029A (ko) | 선루프 모터의 진동 흡수구조 | |
KR19980055412A (ko) | 상용차의 캐빈 마운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20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