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866Y1 -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866Y1
KR200147866Y1 KR2019970019704U KR19970019704U KR200147866Y1 KR 200147866 Y1 KR200147866 Y1 KR 200147866Y1 KR 2019970019704 U KR2019970019704 U KR 2019970019704U KR 19970019704 U KR19970019704 U KR 19970019704U KR 200147866 Y1 KR200147866 Y1 KR 200147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knob
discharge port
blade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258U (ko
Inventor
임관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9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866Y1/ko
Publication of KR199900062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2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8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으로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에어토출구에 관한 것으로서, 수개의 배출공(30)이 형성된 블레이드(32), (34), (36), (38)와, 일측이 상기 제 1블레이드(32)에서 돌출구성되며, 타측에 블레이드(32), (34), (36), (38)를 순차적으로 밀착고정시키는 신축성을 갖는 연결축(40)이 고정된 노브(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어토출구(VENTILATION NOZZLE ON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에어토출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으로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에어토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일정한 공간의 요구에 알맞는 온도, 습도, 청결도등을 최적으로 조절하는 장치로, 여름철에 냉방기능을 주로 담당하는 냉방장치와, 겨울철에 난방기능을 주로 담당하는 난방장치로 분류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는 이러한 냉·난방기능 이외에도, 습도조절기능과 공기를 여과시켜 청정하게 하는 여과기능을 함께 수행하여 언제나 깨꿋하고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한다.
또한, 차실내의 공기는 승차원의 호흡등에 의해 오염되므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도입하여 차실내의 공기와 바꾸어 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차실내로 외기를 도입하는 환기장치(ventilator)에는 자연환기방식과 강제환기방식이 있다. 자연환기방식은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생기는 풍압을 이용하여 차실내로 외기를 끌어들이는 방식을 말하며, 강제환기방식은 블로어(blower)를 구동시켜 강제적으로 외기를 도입하는 것을 말한다.
제1도는 종래기술에 에어토출구가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제1도를 설명하면, 인스투루먼트패널(2)의 양측과 센터부분에는 차가운 공기 및 더운 공기가 배출되는 에어토출구(15)가 구비되며, 이 에어토출구(15)에는 노브(4)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되는 수직블레이드(6) 및 다이얼(8)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수평블레이드(10)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노브(4) 및 다이얼(8)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면, 토출되는 차가운 공기 및 더운 공기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노브(4)를 좌우로 이동시키면, 노브(4)의 이동방향에 따라 수직블레이드(6)가 이동됨으로 토출되는 차가운 공기 및 더운 공기의 방향을 좌우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이얼(8)을 상하로 회전시키면, 다이얼(8)의 회전방향에 따라 수평블레이드(10)가 이동됨으로 토출되는 차가운 공기 및 더운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토출구를 이용하여 토출되는 차가운 공기 및 더운 공기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에어토출구는 한번에 운전자가 원하는 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운전자의 하체부위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경우, 노브를 이용하여 수직 블레이드를 좌측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다이얼을 회전시켜 수평블레이드를 하부로 회동시켜야 함으로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환시키기가 불편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으로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에어토출구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종래기술에 에어토출구가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토출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토출구가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토출구가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배출공 32 : 제 1블레이드
34 : 제 2블레이드 36 : 제 3블레이드
38 : 제 4블레이드 40 : 연결축
42 : 노브 50 : 에어 토출구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블레이드와, 일측이 상기 제 1블헤이드에서 돌출구성되며, 타측에 블레이드를 순차적으로 밀착고정시키는 신축성을 갖는 연결축이 고정된 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용 에어토출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토출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토출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토출구가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토출구가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제2도 내지 제4도를 설명하면, 수개의 배출공(30)이 형성된 제 1블레이드(32), 제 2블레이드(34), 제 3블레이드(36), 제 4블레이드(38)가 구비되고, 이 블레이드(32), (34), (36), (38)는 신축성을 갖는 연결축(40)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밀착고정된다. 연결축(40)의 일측에는 블레이드(32), (34), (36), (38)를 선택적으로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로브(42)가 고정된다. 이 로브(42)는 제 1블레이드(32)의 일측으로 돌출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토출구가 상하좌우로 이동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운전자가 원하는 부분으로 차가운 공기 및 더운 공기의 방향은 조절할 경우, 제 1블레이드(32)에서 돌출구성된 노브(42)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면 운전자가 원하는 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노브(42)를 좌우로 이동시키면, 노브(42)의 이동방향에 따라 연결축(40)에 의하여 밀착고정된 블레이드(32), (34), (36), (38)가 좌우로 순차적으로 이동됨으로 차가운 공기 및 더운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이 좌우로 변환된다. 이때, 노브(42)의 일측에 고정된 연결축(40)은 노브(42)의 이동방향으로 변형된다. 노브(42)를 상하로 이동시키면, 노브(42)의 이동방향에 따라 연결축(40)에 의하여 밀착고정된 블레이드(32), (34), (36), (38)가 상하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므로 차가운 공기 및 더운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이 상하로 변환된다. 이때, 노브(42)의 일측에 고정된 연결축(40)은 노브(42)의 이동방향으로 변형된다. 또한, 운전자의 하체부위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경우, 노브(42)를 하부로 경사지게 이동시키면, 노브(42)의 일측에 고정된 연결축(40)이 노브(42)의 이동방향으로 변형되고, 이에 따라 연결축(40)에 고정된 블레이드(32), (34), (36), (38)가 노브(42)의 이동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인스투루먼트패널의 양측과 센터부분에 노브(42)의 이동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수개의 블레이드(32), (34), (36), (38)를 갖는 에어토출구(50)가 구비되어 있음으로 운전자가 원하는 부분으로 차가운 공기 및 더운 공기의 방향을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운전자의 하체부위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경우, 노브를 이용하여 수직블레이드를 좌측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다이얼을 회전시켜 수평블레이드를 하부로 회동시켜야함으로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환시키기가 불편하였지만, 본 고안은 노브(42)의 이동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수개의 블레이드(32), (34), (36), (38)를 갖는 에어토출구(50)가 인스투루먼트패널의 양측과 센터부분에 구비되어 있음으로 운전자가 원하는 부분으로 공기의 방향을 한 번의 조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토출구는 노브의 이동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수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에어토출구를 구비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차가운 공기 및 더운 공기가 승객룸으로 배출하는 에어토출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수개의 배출공(30)이 형성된 블레이드(32), (34), (36), (38)와, 일측이 상기 제 1블레이드(32)에서 돌출구성되며, 타측에 블레이드(32), (34), (36), (38)를 순차적으로 밀착고정시키는 신축성을 갖는 연결축(40)이 고정된 노브(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KR2019970019704U 1997-07-25 1997-07-25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KR2001478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704U KR200147866Y1 (ko) 1997-07-25 1997-07-25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704U KR200147866Y1 (ko) 1997-07-25 1997-07-25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258U KR19990006258U (ko) 1999-02-18
KR200147866Y1 true KR200147866Y1 (ko) 1999-06-15

Family

ID=1950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704U KR200147866Y1 (ko) 1997-07-25 1997-07-25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8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258U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69577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147866Y1 (ko)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JP2004189059A (ja) 車両用空調装置の空調ユニット
JPS6229411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0223559B1 (ko) 공기 조화시스템의 에어 노즐
JPH0218242B2 (ko)
KR200162478Y1 (ko) 자동차용 에어 벤트 그릴
KR19990040137A (ko)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KR0185117B1 (ko) 차량용 벤틸레이션 시스템
KR100443996B1 (ko) 차량용 벤틸레이터
KR19980022839U (ko) 자동차용 에어 토출장치
KR100401742B1 (ko) 차량의 가변형 댐퍼구조
JPH0712827Y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30023325A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구조
KR0134511B1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Air conditioner for a car)
JPS6255216A (ja) 空気調和装置
JPH074734A (ja) 床下空調システム
JPH1058940A (ja) 空調装置
KR0134039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흡입구조
JP2004314748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9990034549A (ko) 자동차의 송풍구
KR20020002581A (ko) 자동차용 에어컨시스템의 블로워팬
KR20050087503A (ko) 차량 공조장치용 공기토출장치
KR19980046425U (ko) 통풍구용 회전식 노즐장치
KR19980012590U (ko) 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의 블로워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