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0137A -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0137A
KR19990040137A KR1019970060456A KR19970060456A KR19990040137A KR 19990040137 A KR19990040137 A KR 19990040137A KR 1019970060456 A KR1019970060456 A KR 1019970060456A KR 19970060456 A KR19970060456 A KR 19970060456A KR 19990040137 A KR19990040137 A KR 19990040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port
air discharge
receiving groove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욱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60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0137A/ko
Publication of KR19990040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137A/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토출구를 통하여 승객룸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나 이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에어토출구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에 에어덕트와 연통된 수용홈(32)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32)의 각모서리 부분에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결합공(34)이 형성된 인스트루먼트패널(30)과, 일측에 노브(36)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되는 수직블레이드(38) 및 다이얼(4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수평블레이드(42)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에 상기 수용홈(32)의 각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공(34)에 삽입고정되는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결합돌기(46)가 돌출구성되며, 상단 일측에 제 1체결홈(48) 및 제 2체결홈(5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에어토출구(44)와, 상기 에어토출구(44)의 체결홈(48),(50)에 착탈가능하게 삽입고정되어 승객룸으로 토출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 물질을 제거하는 제 1에어필터(52) 및 제 2에어필터(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VENTILATION NOZZLE O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토출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토출구를 통하여 승객룸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나 이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에어토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일정한 공간의 요구에 알맞는 온도, 습도, 청결도 등을 최적으로 조절하는 장치로, 여름철에 냉방기능을 주로 담당하는 냉방장치와, 겨울철에 난방기능을 주로 담당하는 난방장치로 분류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는 이러한 냉·난방기능 이외에도, 습도조절기능과 공기를 여과시켜 청정하게 하는 여과기능을 함께 수행하여 언제나 깨끗하고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한다.
또한, 차실내의 공기는 승차원의 호흡 등에 의해 오염되므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도입하여 차실내의 공기와 바꾸어 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차실내로 외기를 도입하는 환기장치(ventilator)에는 자연환기방식과 강제환기방식이 있다. 자연환기방식은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생기는 풍압을 이용하여 차실내로 외기를 끌어들이는 방식을 말하며, 강제환기방식은 블로어(blower)를 구동시켜 강제적으로 외기를 도입하는 것을 말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에어토출구가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설명하면, 인스트루먼트패널(2)의 양측과 센터부분에는 차가운 공기 및 더운 공기가 배출되는 에어토출구(15)가 구비되며, 이 에어토출구(15)에는 노브(4)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되는 수직블레이드(6) 및 다이얼(8)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수평블레이드(10)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노브(4) 및 다이얼(8)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면, 토출되는 차가운 공기 및 더운 공기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노브(4)를 좌우로 이동시키면, 노브(4)의 이동방향에 따라 수직블레이드(6)가 이동됨으로 토출되는 차가운 공기 및 더운 공기의 방향을 좌우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이얼(8)을 상하로 회전시키면, 다이얼(8)의 회전방향에 따라 수평블레이드(10)가 이동됨으로 토출되는 차가운 공기 및 더운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토출구를 이용하여 토출되는 차가운 공기 및 더운 공기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경우 승객룸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나 이 물질을 제거할 수 없음으로 승객룸의 공기가 먼지나 이 물질에 의하여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승객룸의 공기가 오염된 상태에서 장시간 운전할 경우 오염된 공기에 의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기관지에 이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에어토출구를 통하여 승객룸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나 이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에어토출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에어토출구가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토출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토출구가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장착되는 상태 를 보인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토출구가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인스트루먼트패널 32 : 수용홈
34 : 결합공 36 : 노브
38 : 수직블레이드 40 : 다이얼
42 : 수평블레이드 44 : 에어토출구
46 : 결합돌기 48 : 제 1체결홈
50 : 제 2체결홈 52 : 제 1에어필터
54 : 제 2에어필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측에 에어덕트와 연통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의 각모서리 부분에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결합공이 형성된 인스트루먼트패널과, 일측에 노브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되는 수직블레이드 및 다이얼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수평블레이드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에 상기 수용홈의 각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고정되는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결합돌기가 돌출구성되며, 상단 일측에 제 1체결홈 및 제 2체결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에어토출구와, 상기 에어토출구의 체결홈에 착탈가능하게 삽입고정되어 승객룸으로 토출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 물질을 제거하는 제 1에어필터 및 제 2에어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토출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공의 출입구가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에어필터는 저밀도로, 제 2에어필터는 고밀도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토출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토출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토출구가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토출구가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설명하면, 인스트루먼트패널(30)의 양측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홈(32)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32)은 에어덕트(AIR DUCT)와 연통된다. 수용홈(32)의 각모서리 부분에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결합공(34)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34)의 출입구는 내경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측에 노브(36)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되는 수직블레이드(38) 및 다이얼(4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수평블레이드(42)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에어토출구(44)가 구비되고, 이 에어토출구(44)의 타측에는 수용홈(32)의 각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공(34)에 삽입고정되는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결합돌기(46)가 돌출구성된다. 결합돌기(46)는 에어토출구(44)의 타측 각모서리부분에 돌출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에어토출구(44)의 상단 일측에는 제 1체결홈(48) 및 제 2체결홈(50)이 형성된다. 에어토출구(44)의 체결홈(48),(50)에 착탈가능하게 삽입고정되어 승객룸으로 토출되는 공기에 함유된 먼지나 이 물질을 제거하는 제 1에어필터(52) 및 제 2에어필터(54)가 구비된다. 제 1에어필터(52)는 저밀도로, 제 2에어필터(54)는 고밀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토출구가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장착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에어필터(52),(54)를 에어토출구(44)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체결홈(48),(50)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에어필터(52),(54)를 가압하여 에어필터(52),(54)를 에어토출구(44)의 체결홈(48),(50)에 고정시킨다. 이때, 제 1에어필터(52)가 제 1체결홈(48)에 제 2에어필터(54)가 제 2체결홈(50)에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에어필터(52),(54)가 에어토출구(44)의 체결홈(48),(50)에 삽입고정되면, 에어토출구(44)의 타측을 인스트루먼트패널(30)에 형성된 수용홈(32)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에어토출구(44)가 수용홈(32)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에어토출구(44)를 이동시킨다. 에어토출구(44)가 수용홈(32)으로 이동됨에 따라 에어토출구(44)의 타측에 돌출구성된 결합돌기(46)가 수용홈(32)의 각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공(34)에 삽입고정된다. 결합공(34)에 결합돌기(46)가 삽입고정됨에 따라 에어토출구(44)가 인스트루먼트패널(30)에 밀착고정된다.
에어토출구(44)에 에어필터(52),(54)가 장착되어 있음으로 승객룸으로 토출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 물질이나 먼지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에어덕트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저밀도의 제 1에어필터(52) 및 고밀도의 제 2에어필터(54)를 통하여 승객룸으로 토출됨에 따라 승객룸으로 토출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 물질이나 먼지등이 제거되는 것이다. 또한, 에어필터(52),(54)가 에어토출구(44)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음으로 먼지 및 이 물질에 의하여 오염된 에어필터(52),(54)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토출구는 승객룸으로 토출되는 공기에 함유된 먼지나 이 물질을 제거하는 에어필터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음으로 승객룸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이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더운 공기 및 차가운 공기를 승객룸으로 토출하는 에어토출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측에 에어덕트와 연통된 수용홈(32)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32)의 각모서리 부분에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결합공(34)이 형성된 인스트루먼트패널(30)과,
    일측에 노브(36)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되는 수직블레이드(38) 및 다이얼(4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수평블레이드(42)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에 상기 수용홈(32)의 각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공(34)에 삽입고정되는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결합돌기(46)가 돌출구성되며, 상단 일측에 제 1체결홈(48) 및 제 2체결홈(5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에어토출구(44)와,
    상기 에어토출구(44)의 체결홈(48),(50)에 착탈가능하게 삽입고정되어 승객룸으로 토출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 물질을 제거하는 제 1에어필터(52) 및 제 2에어필터(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34)의 출입구가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에어필터(52)는 저밀도로, 제 2에어필터(54)는 고밀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KR1019970060456A 1997-11-17 1997-11-17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KR19990040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456A KR19990040137A (ko) 1997-11-17 1997-11-17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456A KR19990040137A (ko) 1997-11-17 1997-11-17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137A true KR19990040137A (ko) 1999-06-05

Family

ID=6609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456A KR19990040137A (ko) 1997-11-17 1997-11-17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01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287B1 (ko) * 2011-06-17 2013-11-05 한석창 화물차용 백라이트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287B1 (ko) * 2011-06-17 2013-11-05 한석창 화물차용 백라이트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8009B1 (en) Return air apparatus with down draft diverter
US6780097B2 (en) Two piece vehicle roof structure having an integrated HVAC system
CA2209429A1 (en) Vehicle cab ventilating system
JPH10264639A (ja) 空調装置
KR10144555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103570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空調ユニット
KR19990040137A (ko)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KR200147866Y1 (ko) 자동차용 에어토출구
KR100234801B1 (ko) 자동차의 환기장치
KR200430865Y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필터 구조
KR100212913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정화장치
KR100336399B1 (ko) 자동차의실내공기정화용필터어셈블리
KR100401742B1 (ko) 차량의 가변형 댐퍼구조
JP4102641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223559B1 (ko) 공기 조화시스템의 에어 노즐
KR101817748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0201697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S62137222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インテ−クユニツト
KR900004976B1 (ko) 자동차용 실내환기장치
JP200412281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160024Y1 (ko) 루프장착형 벤틸레이터
KR19980038986A (ko) 에어컨 미 장착차량용 에어 필터가 구비된 환기장치
JPS5911916A (ja) 自動車用空気清浄器
KR200162466Y1 (ko) 에어콘작동초기의 오염공기 배출장치
KR20030048559A (ko)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