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039B1 -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흡입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흡입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039B1
KR0134039B1 KR1019950026468A KR19950026468A KR0134039B1 KR 0134039 B1 KR0134039 B1 KR 0134039B1 KR 1019950026468 A KR1019950026468 A KR 1019950026468A KR 19950026468 A KR19950026468 A KR 19950026468A KR 0134039 B1 KR0134039 B1 KR 0134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blower unit
air
inner cylind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6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188A (ko
Inventor
장문석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1019950026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039B1/ko
Publication of KR970010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0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어 유니트 흡입구 주변의 협소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흡입공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블로어 유니트의 흡입구조를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로 이루어진 원통형으로 구성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흡입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블로어 유니트(10)와 송풍팬(12) 및 블로어 케이스(14)로 이루어진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12) 상부에 외통(20) 및 상기 외통(20)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내통(22)을 설치하고, 상기 외통(20) 및 내통(22)의 측면에는 서로 연통되도록 다수개의 구멍(24)을 형성시키고 외통(20) 및 내통(20)의 상부에는 외통(20)과 내통(22)의 구멍(24)이 연통될 때는 차단되고 외통(20)과 내통(22)의 구멍(24)이 엇갈려 차단될 때는 개방되도록 천공부(26)(26)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로어 유니트의 협소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흡입구조를 제공하여 자동차의 공조장치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흡입공기의 부하로 인한 소음도 감소시킬 수 있어 차량의 쾌적한 거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흡입구조
제1도는 자동차의 실내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자동차의 공조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종래의 자동차의 블로어 유니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블로어 유니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환기구2 : 외기도입, 흡기구
3 : 내기순환 흡입구4 : 환기구
5 : 디프로스터7 : 히터
8 : 증발기9 : 배출구
10 : 블로어 모터11 : 변환도어
12 : 송풍팬14 : 블로어 케이스
16 : 흡입구18 : 배출구
20 : 외통22 : 내통
24 : 구멍26 : 천공부
28 : 핀
본 발명은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흡입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로어 유니트 흡입구 주변의 협소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흡입공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블로어 유니트의 흡입구조를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로 이루어진 원통형으로 구성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흡입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장치는 차내의 공기가 승차원의 호흡 등에 의해 오염되므로 차창외의 신선한 공기(외기)를 끌어들여 차실내의 공기가 바꾸어 줄 수 있도록 하여 창을 닫고 있어도 외기를 실내로 도입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하며, 자연환기방식과 강제 환기방식이 있으나 최근에는 블로어 유니트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외기를 도입하는 강제환기방식을 주로 채용하는 추세에 있다.
예시도면 제1도는 자동차 실내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자동차의 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풍압에 의해 자동차의 전면부에는 정압이 걸리게 되고 차량의 후면부에는 부압이 걸리게 되므로 차량의 전면부를 통해 외기를 끌어들이는 흡입구(16)를 설치하고 차실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8)를 차량의 후면부에 설치하여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특히 차실내에 도입된 공기는 온풍은 아래쪽으로 냉풍은 윗쪽으로 또 창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토출구로부터 윈드실드 글래스를 따라 흐르도록 환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예시 도면 제2도는 자동차 공조장치의 구성도로서, 외기도입 내기순환 변환식의 일예를 보인 것이다.
블로어 유니트의 흡입구에는 변환기구(1)가 설치되어 대쉬패널의 프레쉬 버튼을 선택하면 외기도입 흡입구(2)가 개방되고 내기순환 흡입구(3)는 차단되어 신선한 공기가 흡입되며, 내기순환 버튼을 선택하면 반대로 내기순환 흡입구(3)가 개방되고 외기도입 흡입구(2)는 차단되어 차실내의 공기가 다시 재순환될 수 있도록 조작된다.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환기장치만을 가동시켰을 때에는 대쉬패널의 환기구(4)를 통해 차실내에 도입되어 환기시킴과 더불어 흡입공기의 일부를 윈드실드 글래스 또는 사이드 글래스로 불어내도록 하는 디프로스터(5)에 유입되어 윈드실드 글래스 또는 사이드 글래스의 흐림이나 서리방지 등을 하게 된다.
또한 난방장치를 가동시켰을 때에는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난방장치의 히터(7)를 거치면서 따뜻해진 공기가 대쉬패널의 환기구(4)가 디프로스터(5)에 공급되며, 냉방장치를 가동시켰을 때에는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냉방장치의 증발기(8)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의 열을 빼앗겨 차가워진 공기가 차실내로 공급되게 한다.
예시도면 제3도는 종래의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를 분해한 사시도로서, 블로어 유니트(10)와 송풍팬(12)이 설치되고 흡입구 배출구(9)가 형성된 블로어 케이스(14)가 송풍팬(12)을 감싸고 있으며, 흡입구는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는 외기도입 흡입구 2와 차실내의 공기를 재순환할 수 있도록 흡입하는 내기순환 흡입구(3)가 형성되며, 외기 도입 흡입구(2)와 내기순환 흡입구(3)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는 변환도어(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종래의 외기도입 흡입구(2)와 내기순환 흡입구(3)의 개폐를 조작하는 변환도어(11)가 도어식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특히 내기순환 버튼을 선택한 경우에 블로어 유니트 내기순환 흡입구(3)주변의 공간이 협소하고 흡입구의 개구 단면적이 주변 공기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을 정도로 넓지 않아 공기를 흡입할 때 내기 순환 흡입구(3)에 부하가 걸려 흡입공기량이 감소되거나 효율이 저하되며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블로어 유니트 흡입구 주변의 협소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으로 흡입공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블로어 유니트의 흡입구조를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로 이루어진 원통형으로 구성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흡입구조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블로어 모터(10)와 송풍팬(12) 및 블로어 케이스(14)로 이루어진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12) 상부에 외통(20) 및 상기 외통(20)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내통(22)을 설치하고, 상기 외통(20) 및 내통(22)의 측면에는 서로 연통되도록 다수개의 구멍(24)을 형성시키고 외통(20) 및 내통(22)의 상부에는 외통(20)과 내통(22)의 구멍(24)이 연통될 때는 차단되고 외통(20)과 내통(22)의 구멍(24)이 엇갈려 차단될 때에는 개방되도록 천공구(26)(26)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예시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블로어 유니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송풍팬(12) 상부에는 원기둥형상의 외통(20) 내부에 밀착되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내통(22)이 삽입되며, 외통(20)과 내통(22)이 서로 회전될 수 있도록 외통(20)과 내통(22)의 중심부에 핀(28)으로 고정되어 있다.
외통(20)과 내통(22)의 측면둘레에는 동일한 크기의 구멍(24)이 천공되어 있어 외통(20)과 내통(22)의 회전시키면서 외통(20)의 구멍(24)과 내통(22)의 구멍(24)이 서로 연통되거나 서로 엇갈려 완전히 차단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외통(20)과 내통(20)의 상부에도 다수개의 천공부(26)가 형성되어 있는데 외통(20)과 내통(22)의 측면부에 형성된 구멍(24)이 서로 연통될 때에는 외통(20)의 천공부(26)와 내통(22)의 천공부(26)가 서로 엇갈려 상부가 차단되도록 하고, 측면부에 형성된 구멍(24)이 서로 엇갈려 차단될 때에는 외통(20)의 천공부(26)와 내통(22)의 천공부(26)가 서로 연통되어 상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의 흡입구조가 원통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외기도입 흡입구는 외통(20)와 내통(22)의 상부에 형성된 천공부(26)이고 내기순환 흡입구는 외통(20)의 내통(22)의 측면부의 구멍(24)으로서, 운전자가 외기도입을 선택하면 외통(20)과 내통(22)의 상부에 형성된 천공부(26)가 서로 일치되고 측면부에 형성된 구멍(24)은 외통(20)과 내통(22)이 서로 엇갈려 차단되어 천공부(26)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또한, 운전자가 내기순환 도입을 선택하면 외통(20)과 내통(22)의 측면부에 형성된 구멍(24)이 서로 일치되고 상부에 형성된 천공부(26)는 서로 엇갈려 차단되어 측면부에 형성된 구멍(24)을 통해 차실내의 공기를 재순환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내기순환 도입을 선택시에 내기순환 흡입구의 개구단면적이 외통(20)과 내통(22)의 측면 둘레에 거쳐 넓게 형성되어 블로우 유닛트의 협소한 공간내에서도 내기순환 흡입구의 개구단면적을 최대한 넓게 확보할 수 있어 내구순환 흡입구의 개구단면적이 협소하여 내기순환 흡입구에서 흡입공기의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여 흡입공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로우유닛트의 협소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흡입구조를 제공하여 자동차의 공조장치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흡입공기의 부하로 인한 소음도 감소시킬 수 있어 차량의 쾌적한 거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Claims (1)

  1. 블로어모터(10)와 송풍팬(12) 및 블로어 케이스(14)로 이루어진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12) 상부에 외통(20) 및 상기 외통(20)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내통(22)을 설치하고, 상기 외통(20) 및 내통(22)의 측면에는 서로 연통되도록 다수개의 구멍(24)을 형성시키고 외통(20) 및 내통(22)의 상부에는 외통(20)과 내통(22)의 구멍(24)이 연통될 때에는 차단되고 외통(20)과 내통(22)의 구멍(24)이 엇갈려 차단될 때는 개방되도록 천공부(26)(26)가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흡입구조.
KR1019950026468A 1995-08-24 1995-08-24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흡입구조 KR0134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468A KR0134039B1 (ko) 1995-08-24 1995-08-24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흡입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468A KR0134039B1 (ko) 1995-08-24 1995-08-24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흡입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188A KR970010188A (ko) 1997-03-27
KR0134039B1 true KR0134039B1 (ko) 1998-04-28

Family

ID=19424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6468A KR0134039B1 (ko) 1995-08-24 1995-08-24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흡입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0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188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5078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0134039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흡입구조
JPS6123457Y2 (ko)
KR100761163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H11105528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391286B1 (ko) 자동차의 환기장치
JPS6317107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100482508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연동형 에어익스트랙터 그릴장치
KR101572569B1 (ko)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KR100759425B1 (ko)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
KR100323087B1 (ko) 차실 내의 복사열 배출 장치
KR20230090687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035520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127930Y2 (ko)
KR200248239Y1 (ko) 자동차의 환기장치
JP2523659Y2 (ja) 車輛用空気調節装置
KR100366187B1 (ko) 차량용 공조덕트구조
KR19980035601U (ko) 자동차용 실내환기장치
KR0132382Y1 (ko) 버스의 공조장치
JPH1058940A (ja) 空調装置
JPS6374715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0601833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970006856Y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흡입도어부
KR100976827B1 (ko) 차량용 송풍 유니트
JPS60139519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