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246Y1 - 도어 댐퍼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댐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246Y1
KR200146246Y1 KR2019950042712U KR19950042712U KR200146246Y1 KR 200146246 Y1 KR200146246 Y1 KR 200146246Y1 KR 2019950042712 U KR2019950042712 U KR 2019950042712U KR 19950042712 U KR19950042712 U KR 19950042712U KR 200146246 Y1 KR200146246 Y1 KR 200146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elasticity
elastic member
closing lev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2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8538U (ko
Inventor
원종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50042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246Y1/ko
Publication of KR9700485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85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2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1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resilient memb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댐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댐퍼 장치는 가격이 비교적 고가이며, 댐퍼 기구가 개폐 레버의 강한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는 있으나 토션 스프링의 탄성 범위에 따라 개폐 속도가 일정하지 않은 결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격이 저렴한 부품의 기구적 설계로 일정한 개폐 토오크를 유지할 수 있는 댐퍼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개폐 레버(13)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1탄성 부재(12)에 대응하여 상기 제1탄성 부재(12)보다 작은 탄성을 가지고 개폐 레버(13)가 닫히는 방향으로 반력의 탄성을 제공하는 제2탄성 부재(20)를 구비하여 제1탄성 부재(12)의 탄성을 상쇄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댐퍼 장치
제1도는 종래 댐퍼장치의 일례를 예시한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작동상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넷 11 : 제1고정축
12 : 제1탄성부재 13 : 개폐레버
20 : 제2탄성부재
본 고안은 도어 댐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에 형성되는 댐퍼장치는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개폐되는 도어에 의하여 발생되는 강한 충격과 소음을 방지하여 제품에 신뢰성을 주고 고급화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댐퍼장치가 설치되는 일례로 종래 복합 영상기기 등에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를 수납하기 위한 도어에 형성되는 댐퍼장치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폐레버(1)가 캐비넷(2)에 형성된 고정축(3)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고정축(3)에 함께 끼워진 토션스프링(4)의 한쪽단부는 개폐레버(1)에 지지되는 한편 다른 한쪽의 단부는 캐비넷(2)에 지지되어 개폐레버(1)의 회전이 가능하게 하면서, 개폐레버(1)에는 고정축(3)에 끼워지는 보스(5)를 중심으로 섹터기어(6)를 형성하고, 캐비넷(2)에는 공지의 댐퍼기구(7)를 고정하되 댐퍼기구(7)의 댐퍼기어가 섹터기어(6)에 치합되게 하므로써 토션스프링(4)의 탄성으로 회전하는 개폐레버(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댐퍼장치는 댐퍼기구(7)의 사용으로 가격이 비교적 고가일 뿐만 아니라 댐퍼기구(7)의 토오크가 균일하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즉 댐퍼기구(7)가 개폐레버(1)의 강한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는 있으나 토션스프링(4)의 탄성범위에 따라 개폐속도가 일정하지 않은 결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격이 저렴한 부품의 기구적 설계로 일정한 개폐 토오크를 유지할 수 있느 댐퍼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개폐레버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제1탄성부재 보다 작은 탄성을 가지고 개폐레버가 닫히는 방향으로 반력의 탄성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제1탄성부재에 의하여 개폐레버가 급속하게 열리는 것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복합영상기기에서 비디오테이프카세트가 수납되는 도어가 설치되는 개폐부재가 캐비넷 한쪽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넷(10)에는 공지의 구조와 같이 제1고정축(11)이 형성되어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1탄성부재(12)와 함께 개폐래버(13)가 끼워져 있게 된다.
캐비넷(10)의 아래쪽에는 또한 종래의 구조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제2고정축(14)에 끼워져 개폐레버(13)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레버(15)가 토션스프링(16)의 탄성을 받아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놓여지는 이젝트레버(17)의 단부가 고정레버(15)의 하단부에 접촉되어 있다.
본 고안은 특징으로 캐비넷(10)에는 종래의 구조에서 볼 수 있는 댐퍼기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개폐레버(13)에는 섹터기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제1탄성부재(12)는 한쪽단부(18)가 캐비넷(10)에 지지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19)는 개폐레버(13)에 지지되어 개폐레버(13)가 열리는 방향, 즉 제1고정축(11)을 중심으로 개폐레버(13)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을 가하고 있다.
이러한 제1탄성부재(13)에 부가하여 제1고정축(11)에는 제1탄성부재(12)의 탄성보다 작은 탄성을 가지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2탄성부재(20)가 설치되어 있다.
제2탄성부재(20)의 한쪽단부(21)는 캐비넷(10)에 지지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22)는 개폐레버(13)에 지지되어 개폐레버(13)가 닫히는 방향, 즉 제1탄성부재(12)의 탄성방향에 대응하여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개폐레버(13)를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고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가 작용하는 상태를 제3도 및 제4도에서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어가 열려서 개폐레버(13)가 제3도와 같은 상태에 있을 때에 제1탄성부재(12)의 탄성보다 작은 탄성을 가진 제2탄성부재(20)는 제1탄성부재(12)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개폐레버(13)에 의하여오므라 들어서 탄성이 축적되는 상태에 있게 되며, 이러한 상태가 개폐레버(13)가 급속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닫혀진 도어가 열리는 위치로부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의 상태에서 도어가 닫히는 시계방향으로 개폐레버(13)가 회전하여 고정레버(15)가 개폐레버(13)를 고정하게 되는데, 제1탄성부재(12)는 개폐레버(1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탄성을 축적하는 상태에 있게 되고 제2탄성부재(20)는 축적되어 있는 탄성으로 개폐레버(1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작용시키게 되므로써 개폐레버(1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저항하는 제1탄성부재(12)의 탄성을 상쇄시켜서 개폐레버(13)가 원활하고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개폐레버(13)가 고정레버(15)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젝트레버(17)를 누르면 고정레버(15)의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개폐레버(13)는 제1탄성부재(12)의 탄성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어를 열게되는데, 개폐레버(13)가 회전함에 따라 제2탄성부재(20)가 오므라들면서 서서히 탄성을 축적하며 제1탄성부재(12)의 탄성에 대응하게 되어 개폐레버(13)가 서서히 열리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제1탄성부재의 탄성에 대응하는 반력이 작용하는 제2탄성부재를 사용하므로써 간단하고 저렴한 부품으로 개폐레버가 열리고 닫히는 작동이 부드럽게 진행되므로 개폐에 따르는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캐비넷(10)에 형성된 제1고정축(11)에 회동 가능하게 개폐레버(13)가 끼워지며, 상기 제1고정축(11)을 중심으로 토션스프링으로된 제1탄성부재(12)의 한쪽단부(18)는 캐비넷(10)에 지지시키고 다른단부(19)는 개폐레버(13)에 지지시켜 개폐레버(13)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구성된 도어개방 장치에 있어서,상기 제1고정축(11)을 중심으로 한쪽단부(21)는 캐비넷(10)에 지지되고 다른 단부(22)는 개폐레버(13)에 지지되어 개폐레버(13)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되 제1탄성부재(12)보다 적은 탄성력을 갖는 토션스프링으로된 제2탄성부재(2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댐퍼 장치.
KR2019950042712U 1995-12-13 1995-12-13 도어 댐퍼 장치 KR200146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2712U KR200146246Y1 (ko) 1995-12-13 1995-12-13 도어 댐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2712U KR200146246Y1 (ko) 1995-12-13 1995-12-13 도어 댐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538U KR970048538U (ko) 1997-07-31
KR200146246Y1 true KR200146246Y1 (ko) 1999-06-15

Family

ID=1943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2712U KR200146246Y1 (ko) 1995-12-13 1995-12-13 도어 댐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2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538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7872A (en) Tilt hinge
US5887930A (en) Device for damping the movement of a movably supported structural part, in particular of a flap in an automotive vehicle of the like
US4828236A (en) Damper device for a door having dual-direction operating biasing spring means
US4470220A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swingably mounted lid
JP2009187059A5 (ko)
KR200146246Y1 (ko) 도어 댐퍼 장치
EP1355029A2 (en) Damper
JP3507203B2 (ja) 閉扉保持装置
JPH10140926A (ja) ダンパー機構
JP2948128B2 (ja) 電子機器の扉開閉機構
KR970008629B1 (ko) 카세트 홀더의 댐핑장치
KR0109508Y1 (ko) 카세트 플레이어용 도어의 댐퍼기어 장치
KR0135663B1 (ko) 카세트 하우징 댐핑장치
JP4449208B2 (ja) 蓋体の開放機構
KR0121486Y1 (ko) 도어댐퍼장치
KR960008935Y1 (ko) 티브이씨알의 전면도어 개폐장치
KR950003068Y1 (ko) 전자기기 도어의 댐퍼장치
KR20050025715A (ko) 차량용 콘솔박스의 커버 잠금장치
JPS606958Y2 (ja) テープレコーダーの蓋体開閉装置
JPH021884Y2 (ko)
JP3414550B2 (ja) 蓋体の支持構造
JPS595961B2 (ja) レコ−ドプレ−ヤのダストカバ−
JP2823027B2 (ja) ドア解放機構
JPH07103274A (ja) ダンパを備えたカセット・ホルダのオープン装置
JP2838018B2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