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790Y1 - 차량의 유동방지용 시트벨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유동방지용 시트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790Y1
KR200142790Y1 KR2019960059582U KR19960059582U KR200142790Y1 KR 200142790 Y1 KR200142790 Y1 KR 200142790Y1 KR 2019960059582 U KR2019960059582 U KR 2019960059582U KR 19960059582 U KR19960059582 U KR 19960059582U KR 200142790 Y1 KR200142790 Y1 KR 200142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eat
vehicle
buckle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9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6429U (ko
Inventor
박두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9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790Y1/ko
Publication of KR199800464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4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7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유동방지용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10)에는 탑승자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시트벨트가 구비되는바, 상기 시트벨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필라부(11) 하단에 구비된 고정구(17)와 텅 어세이(13) 및 버클(16)과의 결합부 사이에 연결된 벨트(14)가 탑승자의 골반부위를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차량의 시트에 탑승한 탑승자가 비교적 신체가 작은 여성이나 어린이인 경우 상기 벨트의 길이가 길어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여 차량의 안전사고에 대한 안전성을 부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시트벨트에서 버클(16)이 구비되게 되는 시트(10)의 측부에 프레임(21)과, 상기 프레임(21) 상단에 장착되되, 가이드 홈(25)과 요홈(26)을 갖는 어드저스터(22)와, 상기 어드저스터(22)의 상단에 가이드 풀리 캡(24)을 갖는 가이드 풀리(23)와, 상기 가이드 풀리(23)의 일측에 훅(27)이 장착되어 이루어진 케리어(20)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필라부 하단의 고정구와 텅 어세이 및 버클의 결합부 사이에 연결되되, 탑승자의 골반부위를 지지하는 벨트의 길이를 조절가능하도록하여 비교적 신체가 작은 여성이나 어린이등이 시트에 탑승한 경우 보다 기밀성 있게 골반부위를 지지함으로써, 만일에 있을지 모를 차량의 안전사고에 대하여 보다 높은 안전성을 부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유동방지용 시트벨트
본 고안은 차량의 유동방지용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프론트 시트에 체형이 비교적 작은 여성운전자나 어린이등이 탑승하였을 경우에 상기 탑승자들의 골반부위를 보다 확실하게 고정지지하여 안전성을 높이도록 한 차량의 유동방지용 시트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의 시트(10)에는 탑승자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시트벨트가 구비되는바, 상기 시트벨트는 필라부(11)의 하단에 벨트(14)를 감는 리트랙터(12)와, 상기 리트랙터(12)에서 풀려져 나온 벨트(14)를 연결지지하도록 상기 필라부(11)의 상측에 구비되는 고리형상의 연결구(15)와, 다시 상기 연결구(15)를 지난 벨트(14)가 고정지지되도록 하는 고정구(17)가 상기 필라부(11)의 하단 소정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15)와 고정구(17) 사이의 벨트(14)상에는 상기 필라(11)의 반대측 시트 측부에 구비된 버클(16)과 상호 결합,해제되는 텅 어세이(13)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시트(10)에 탑승한 탑승자가 상기 차량의 주행시 시트벨트를 착용코자 하는 경우 텅 어세이(13)를 벨트(14)와 함께 잡아당기면 상기 벨트(14)가 리트랙터(12)에서 풀려져 나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텅 어세이(13)를 버클(16)에 결합시키면 상기 벨트(14)가 연결구(15)와 텅 어세이(13) 및 버클(16)의 결합부 사이에 대각선을 이루어 탑승자의 어깨 및 가슴부위를 지탱시켜주게 되고 고정구(17)와 텅 어세이(13) 및 버클(16)의 결합부 사이의 벨트(14)가 상기 탑승자의 골반부위를 지지하여주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시트벨트가 성인의 체형에 맞도록 구비된 차량의 시트에 적용됨으로 인해 상기 시트에 체형이 작은 여성이나 어린이등이 탑승한 경우에 필라부의 하단에 고정장착된 고정구와 텅 어세이 및 버클의 결합부 사이에 연결된 벨트가 상기 여성이나 어린이 등의 골반부위를 제대로 고정지지하지 못하여 만일에 있을지 모를 차량의 충돌사고에 대하여 안전성을 부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 시트에 비교적 체형이 작은 여성이나 어린이등이 탑승한 경우 상기 탑승자들의 신체를 보다 확실하게 고정지지하도록하여 만일에 있을지 모를 안전사고에 대해 안전성을 부여하도록 하는 차량의 유동방지용 시트벨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시트에 적용되는 시트벨트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유동방지용 시트벨트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시트, 11:필라, 12:리트랙터, 14:벨트, 20:케리어, 21:프레임, 22:어드저스터, 23:가이드 풀리, 24:가이드 풀리 캡, 25:가이드 홈, 26:요홈, 27:훅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 시트벨트의 텅 어세이와 상호 결합,해제되는 버클이 구비되는 시트의 측부에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되, 센터측에 종방향의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에 소정개의 요홈을 갖는 어드저스터와, 상기 어드저스터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에 형성된 요홈에 걸려 단계적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풀리 캡을 갖는 가이드 풀리와, 상기 가이드 풀리의 일측에 벨트를 걸도록 하는 훅으로 이루어진 케리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케리어를 버클이 구비되는 차량의 시트 측부에 장착하게 되면 상기 시트에 체형이 작은 여성이나 어린이등이 탑승한후 텅 어세이를 벨트와 함께 잡아당겨 상기 텅 어세이와 버클을 결합시키고 상기 탑승자의 골반부위를 지지하도록 필라부 하단의 고정구와 텅 어세이 및 버클의 결합부 사이에 이어진 벨트를 상기 케리어의 가이드 풀리 일측에 구비된 훅에 회전시켜 감고 상기 케리어의 가이드 풀리를 상단에 위치한 가이드 풀리 캡을 눌러 어드저스터의 가이드 홈 양측에 구비된 요홈상을 상기 가이드 홈을 타고 단계적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필라부 하단의 고정구와 텅 어세이 및 버클과의 결합부 사이에 이어진 벨트가 탑승자의 골반부위를 기밀성있게 지지하여주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의 시트(10)에는 상기 시트(10)에 탑승한 탑승자의 신체를 지지시키도록 하는 시트벨트가 구비되는바, 상기 시트벨트는 필라부의 하단에 벨트(14)를 감는 리트랙터(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리트랙터(12)에서 풀려져 나온 벨트(14)는 상기 필라부(11) 상단에 구비된 고리형상의 연결구(15)를 통해 다시 상기 벨트(14)를 고정지지하도록 상기 필라부(11)의 하단부에 구비된 고정구(17)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15)와 고정구(17) 사이의 벨트(14)상에는 텅 어세이(1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15) 및 고정구(17)가 구비된 필라부(11)의 반대측 시트(10)의 측부에는 버클(1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버클(16)이 구비되어 있는 시트(10)의 측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각단면을 갖는 프레임(21)이 고정되게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프레임(21)의 상단부에는 센터측에 가이드 홈(25)과, 상기 가이드 홈(25)의 양측으로 소정개수의 요홈(26)을 갖는 어드저스터(2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드저스터(22)의 가이드 홈(25)을 통해 이동하되, 상기 가이드 홈(25)의 양측에 구비된 소정개수의 요홈(26)에 걸려 단계적으로 이동하도록 상단에 가이드 풀리 캡(24)을 갖는 가이드 풀리(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풀리(23)의 일측에는 훅(27)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케리어(20)가 장착된 시트(10)에 비교적 신체가 작은 여성이나 어린이등이 탑승하게 되는 경우 필라부(11) 상하단의 연결구(15)와 고정구(17) 사이에 이어진 벨트(14)상에 구비된 텅 어세이(13)를 상기 벨트(14)와 함께 잡아당기면 상기 필라부(11) 하단에 구비된 리트랙터(12)에서 벨트(14)가 풀려져 나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텅 어세이(13)를 상기 필라부(11) 반대측 시트의 측부에 구비된 버클(16)과 상호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필라부(11)의 상단에 구비된 연결구(15)와 텅 어세이(13) 및 버클(16)의 결합부 사이의 벨트(14)가 대각을 이루어 탑승자의 어깨 및 가슴부위를 지지하여주게 된다.
또한, 상기 필라부(11) 하단의 고정구(17)와 텅 어세이(13) 및 버클(16)과의 결합부에 이어진 벨트(14)는 탑승자의 아랫배와 골반부위를 지지하여 주게 된다.
이때, 상기 탑승자의 골반부위를 지지하도록 고정구(17)와, 텅 어세이(13) 및 버클(16)과의 결합부 사이에 이어진 벨트(14)를 상기 시트의 측부에 형성된 케리어(20)에서 가이드 풀리(23)의 일측에 구비된 훅(27)에 감게 되면 상기 벨트(14)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며 이때 상기 가이드 풀리(23)를 상기 가이드 풀리(23)의 상단에 위치한 가이드 풀리 캡(24)을 눌러 어드저스터(22)의 가이드 홈(25) 양측에 구비된 요홈(26)에서 해제시키고 상기 어드저스터(22)의 가이드 홈(25)을 따라 시트(10)의 후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구(17)와 텅 어세이(13) 및 버클(16)과의 결합부 사이에 연결된 벨트(14)가 기밀성을 유지하여 상기 시트(10)에 탑승한 탑승자의 골반부위를 보다 확실하게 지지하여 주게 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차량의 시트에 탑승한 탑승자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시트벨트에 있어서, 버클이 구비되게 되는 시트의 측부에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되, 센터측에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에 소정개수의 요홈을 갖는 어드저스터와, 상기 어드저스터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되, 상단부에 가이드 풀리 캡을 갖는 가이드 풀리와, 상기 가이드 풀리 일측에 훅이 장착되어 이루어진 케리어를 차량의 시트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시트에 비교적 신체가 작은 여성이나 어린이등이 탑승한 경우 상기 탑승자들의 골반부위를 지지하도록 고정구와 텅 어세이 및 버클과의 결합부 사이에 연결된 벨트를 상기 케리어의 훅에 걸어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여성이나 어린이등 신체가 작은 탑승자의 골반부위를 보다 기밀성 있게 지지하여 줌으로써, 만일에 있을지 모를 차량의 안전사고에 대하여 안전성을 부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시트벨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트벨트의 텅 어세이(13)와 상호 결합,해제되는 버클(16)이 구비되는 시트(10)의 측부에 프레임(21)과, 상기 프레임(21)의 상단에 장착되되, 센터측에 종방향의 가이드 홈(25)과, 상기 가이드 홈(25)의 양측에 소정개의 요홈(26)을 갖는 어드저스터(22)와, 상기 어드저스터(22)의 가이드 홈(25)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가이드 홈(25)의 양측에 형성된 요홈(26)에 걸려 단계적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풀리 캡(24)을 갖는 가이드 풀리(23)와, 상기 가이드 풀리(23)의 일측에 벨트(14)를 걸도록 하는 훅(27)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동방지용 시트벨트.
KR2019960059582U 1996-12-28 1996-12-28 차량의 유동방지용 시트벨트 KR200142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582U KR200142790Y1 (ko) 1996-12-28 1996-12-28 차량의 유동방지용 시트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582U KR200142790Y1 (ko) 1996-12-28 1996-12-28 차량의 유동방지용 시트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429U KR19980046429U (ko) 1998-09-25
KR200142790Y1 true KR200142790Y1 (ko) 1999-06-01

Family

ID=19484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9582U KR200142790Y1 (ko) 1996-12-28 1996-12-28 차량의 유동방지용 시트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7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429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89163A1 (en) Three-point/four-point seat belt with symmettric belt configuration
US9480308B2 (en) Buckle-tongue arrangement for four point seat belt system
JP2993923B2 (ja) 安全ベルトを備えた自動車用座席
GB2287645A (en) Dual vehicle seat with belt attachment beam
KR200142790Y1 (ko) 차량의 유동방지용 시트벨트
KR0153632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텅 플레이트
CN209987889U (zh) 后排座椅安全带束缚系统及汽车
KR100285806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가이드
KR100371708B1 (ko) 3점식 시트벨트의 텅 고정장치
KR0120175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버클 보강장치
KR200148853Y1 (ko) 자동차 리어시트 벨트 가변 장치
KR100206434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JPH09240425A (ja) 自動車用3点式安全ベルト装置
KR19980040719U (ko) 자동차 시트 벨트 가이드
KR100205758B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JPS5915726Y2 (ja) 三点式シ−トベルト装置
KR20014342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착용구조
KR0115298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가이드풀리의 위치조정구조
KR200141662Y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유격조정구조
JPH0438242A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
KR0123273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0157772B1 (ko) 어린이용 시트벨트
KR0113360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
JP2504529Y2 (ja) 車両用座席
KR19980041196U (ko) 안전벨트의 높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