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418Y1 - 콘덴서 코팅기의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콘덴서 코팅기의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418Y1
KR200142418Y1 KR2019950008065U KR19950008065U KR200142418Y1 KR 200142418 Y1 KR200142418 Y1 KR 200142418Y1 KR 2019950008065 U KR2019950008065 U KR 2019950008065U KR 19950008065 U KR19950008065 U KR 19950008065U KR 200142418 Y1 KR200142418 Y1 KR 2001424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pedestal
bundle
cylind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8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544U (ko
Inventor
이계설
Original Assignee
이계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설 filed Critical 이계설
Priority to KR2019950008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418Y1/ko
Publication of KR9600355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5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4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G4/00 - H01G11/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3Thin- or thick-film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밴드에 의해 여러개가 하나로 묶인 필름 콘덴서의 양단에 코팅처리를 하기 위한 콘덴서 코팅기로의 로딩 또는 언로딩에 적합하도록 한 콘덴서 코팅기의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1)에서 전방측에서 평행하게 뻗은 지지간(5)과, 상기 지지간(5)의 선단에서 가로질러 설치된 주축(8)에 의해 평판(6)과 함께 회동되면서 콘덴서 다발(C)이 재치된 콘덴서 받침대(9)를 경사지거나 수평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작동간(7)과, 상기 작동간(7)이 경사위치에 놓일 경우 상기 콘덴서 받침대(9)를 받치도록 이 작동간(7)의 중간을 가로질러 설치는 크로스빔(10)과, 상기 평판(6)을 통해 상기 주축(8)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간(7)에 수평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콘덴서 받침대(9)를 콘덴서 이동대(18)의 중심으로 밀어서 이 콘덴서 받침대(9)와 콘덴서 이동대(18)가 서로 일치되도록 하는 제2실린더(12)와, 연결대(13)를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에 연결된 상태에서 양측의 스프링(16a)(16b)에 의해 상시 중립위치에 놓이도록 지지되면서 가이드 샤프트(14)에 의해 이 제2실린더(12)의 운동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콘덴서 받침대(9)의 좌우위치를 보정하는 위치조절구(15a)(15b)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콘덴서 코팅기의 로딩장치
본 고안은 콘덴서 코팅기의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밴드에 의해 여러개가 하나로 묶인 필름 콘덴서의 양단에 코팅처리를 하기 위한 콘덴서 코팅기로의 로딩 또는 언로딩에 적합하도록 한 콘덴서 코팅기의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름 콘덴서의 단부에는 단자를 손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콘덴서 코팅기를 이용하여 코팅처리를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콘덴서 코팅기는 로딩시에 작업자가 콘덴서 다발이 올려진 콘덴서 받침대를 손으로 들고 콘덴서 이동대에 올려 놓은 다음 콘트롤 박스를 조작하게 되면, 콘덴서 이동대와 함께 콘덴서 받침대 및 콘덴서 다발이 콘덴서 코팅기의 내부로 로딩된 후 상단부가 코팅처리된 다음에 다시 언로딩되도록 되어 있었다.
또, 코팅되지 않은 나머지 하단부를 코팅처리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언로딩된 상태의 콘덴서 다발의 상하면이 반전되도록 뒤집어서 다시 콘덴서 받침대에 올려놓은 다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조작을 한 번 더 반복하게 되면, 양단의 코팅이 완료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콘덴서 코팅기로 로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므로, 비교적 무거운 중량을 가진 콘덴서 다발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피로가 누적되어 작업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작업자의 손동작에 의존하여 콘덴서 받침대과 콘덴서 이동대의 위치가 어느 정도 일치되도록 하고 있었으나 정밀한 작업이 어려워 코팅제품의 질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덴서 다발을 반전시키는 과정에서 지지하는 부분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팔과 손에 의존할 수 밖에 없어 이 과정에서 콘덴서 다발을 바닥으로 떨어뜨리면서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콘덴서 다발을 콘덴서 코팅기로 로딩할 때 인력이 아닌 다른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콘덴서 받침대의 콘덴서 이동대로의 위치 결정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전시 지지하는 부분을 두어 신속하고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콘덴서 코팅기의 로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의하여 본체에서 전방측에서 평행하게 뻗은 지지간과, 상기 지지간의 선단에서 가로질러 설치된 주축에 의해 평판과 함께 회동되면서 콘덴서 다발이 재치된 콘덴서 받침대를 경사지거나 수평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작동간과, 상기 작동간이 경사위치에 놓일 경우 상기 콘덴서 받침대를 받치도록 이 작동간의 중간을 가로질러 설치는 크로스빔과, 상기 평판을 통해 상기 주축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간에 수평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콘덴서 받침대를 콘덴서 이동대의 중심으로 밀어서 이 콘덴서 받침대와 콘덴서 이동대가 서로 일치되도록 하는 제2실린더와, 연결대를 통해 상기 제2실린더에 연결된 상태에서 양측의 스프링에 의해 상시 중립위치에 놓이도록 지지되면서 가이드 샤프트에 의해 이 제2실린더의 운동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콘덴서 받침대의 좌우위치를 보정하는 위치조절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콘덴서 코팅기의 로딩장치를 보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콘덴서 코팅기의 로딩장치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제3a도는 본 고안에서 콘덴서 다발이 콘덴서 받침대에 올려진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제3b도는 본 고안에서 콘덴서 다발이 콘덴서 코팅기로 로딩되는 것을 보이는 측면도.
제3c도는 본 고안에서 콘덴서 다발이 콘덴서 코팅기로부터 언로딩된 후 수동으로 반전되는 것을 보이는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콘덴서 받침대와 콘덴서 이동대의 결합상태를 보이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2 : 제2실린더
5 : 지지간 13 : 연결대
8 : 주축 16a,16b : 스프링
6 : 평판 14 : 가이드 샤프트
C : 콘덴서 다발 15a,15b : 위치조절구
9 : 콘덴서 받침대 19 : 받침판
7 : 작동간 20 : 회전판
10 : 크로스빔 9a : 격판
18 : 콘덴서 이동대 9b : 링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콘덴서 코팅기의 로딩장치를 보이는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정면에서 제1실린더(3)에 의해 상하로 개폐되는 도어(4)가 이 본체(1)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판(2a)(2b)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되는 통상의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콘덴서 코팅기의 로딩장치를 보이는 분해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콘덴서 받침대와 콘덴서 이동대의 결합상태를 보이는 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에서 전방측에서 평행하게 뻗은 지지간(5)과, 상기 지지간(5)의 선단에서 가로질러 설치된 주축(8)에 의해 평판(6)과 함께 회동되면서 콘덴서 다발(C)이 재치된 콘덴서 받침대(9)를 경사지게 수평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작동간(7)과, 상기 작동간(7)이 경사위치에 놓일 경우 상기 콘덴서 받침대(9)를 받치도록 이 작동간(7)의 중간을 가로질러 설치는 크로스빔(10)과, 상기 평판(6)을 통해 상기 주축(8)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간(7)에 수평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콘덴서 받침대(9)를 콘덴서 이동대(18)의 중심으로 밀어서 이 콘덴서 받침대(9)와 콘덴서 이동대(18)가 서로 일치되도록 하는 제2실린더(12)와, 연결대(13)를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에 연결된 상태에서 양측의 스프링(16a)(16b)에 의해 상시 중립위치에 놓이도록 지지되면서 가이드 샤프트(14)에 의해 이 제2실린더(12)의 운동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콘덴서 받침대(9)의 좌우위치를 보정하는 위치조절구(15a)(15b)로 구성하였다.
상기 지지간(5)의 선단 상측에는 받침판(19)이 설치되는 동시에 일측단 중앙에는 상기 콘덴서 다발(C)을 세워서 수동으로 회전시켜 이 콘덴서 다발(C)을 반전시킬 수 있도록 공회전되는 회전판(20)을 추가로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콘덴서 받침대(9)는 내부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격판(9a)이 설치되고, 이 격판(9a) 저면에는 콘덴서 이동대(18)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링(9b)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1은 콘트롤 박스를 나타낸 것이고, 17은 상기 콘덴서 이동대(18)를 상기 본체(1)의 안팎으로 출입시키기 위한 로딩암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간(7)의 하단부인 주축(8)에 연결된 부분이 전방측을 향해 하향하도록 경사지게 위치된 상태에서 콘덴서 다발(C)을 이 작동간(7)에 올려놓게 되면, 이 콘덴서 다발(C)이 상기 작동간(7)을 가로지르는 크로스빔(10)에 걸린 상태로 유지된다.
위와 같은 상태로부터 콘트롤 박스(12)를 조작하여 구동수단(도시 않됨)에 의해 주축(8)을 도면중 화살표 K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첨부도면 제3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간(7)이 아래쪽으로 회동하는 도중에 콘덴서 받침대(9)가 콘덴서 이동대(18)에 걸리면서 이 위에 올려지게 되고, 작동간(7)은 약간 아래쪽으로 더 하강한 후 정지하게 된다.
이때 콘덴서 받침대(9)의 중심이 콘덴서 이동대(18)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상태로 있게 되는데, 이때 콘트롤 박스(21)를 조작하여 제2실린더(12)에 의해 위치조절구(15a)(15b)를 도면중 화살표 H방향으로 전진시키게 되면, 콘덴서 받침대(9)가 이 위치조절구(15a)(15b)에 의해 밀리면서 콘덴서 이동대(18)의 중심과 일치됨과 동시에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덴서 받침대(9)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링(9b)이 콘덴서 이동대(18)의 상단부 외주에 끼워지면서 옆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이 콘덴서 이동대(18)에 안착된다.
위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위치조절구(15a)(15b)를 상시 중립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스프링(16a)(16b)에 의해 콘덴서 받침대(9)의 좌우방향위치가 약간 어굿난 상태에 있어라도 이 스프링(16a)(16b)의 작용에 의해 중앙의 위치로 보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실린더(3)에 의해 도어(4)를 상승시킨 다음 로딩암(17)에 이해 콘덴서 이동대(18), 콘덴서 받침대(9) 및 콘덴서 다발(C)이 본체(1)의 안으로 로딩시킨 후 다시 도어(4)를 닫게 되면, 콘덴서 다발(C)의 상단부가 코팅된 후 밖으로 언로딩되어 제3c도와 같이 원래의 상태로 작동간(7)이 경사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콘덴서 받침대(9)와 콘덴서 이동대(18)의 분리는 첨부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덴서 받침대(9)가 콘덴서 이동대(18)의 위에 단순히 올려져 있고 링(9b)에 의해 이 콘덴서 이동대(18)의 옆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기 때문에 콘덴서 받침대(9)를 작동간(7)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콘덴서 받침대(9)와 콘덴서 이동대(18)가 서로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작업자가 콘덴서 받칟대(9)는 작동간(7)에 둔 상태로 콘덴서 다발(C)만을 손으로 잡고 들어서 회전판(20)의 위에 세워놓은 다음 180°회전시키게 되면, 회전판(20)의 공회전에 의해 콘덴서 다발(C)이 180°반전되며, 이후 180°반전된 콘덴서 다발(C)을 다시 작동간(7)의 위의 콘덴서 받침대(9)에 올려놓게 되면, 콘덴서 다발(C)의 상단부가 처음과 반대로 하측으로 되어 나머지 단부를 코팅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과정에서 콘덴서 다발(C)과 콘덴서 받침대(9)의 분리는 콘덴서 다발(C)이 콘덴서 받침대(9)의 위에 단순히 올려져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작업자의 인력을 이용하여 콘덴서 다발(C)을 콘덴서 받침대(9)로부터 들어 올리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분리된다.
위와 같은 상태는 제3a도의 상태와 같은 첨음과 같은 상태이므로, 이를 다시 앞의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나머지 단부(처음에는 하단부이었으나 지금은 상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단부가 됨)가 코팅되어 콘덴서 다발(C)의 양단이 코팅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콘덴서 다발을 콘덴서 코팅기로 로딩하거나 언로딩시키는 과정에서 인력이 아닌 동력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누적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제2실린더 및 스프링에 의해 콘덴서 받침대의 전후좌우위치를 콘덴서 이동대와 일치되도록 보정하는 기구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위치결정정밀도를 실현시킬 수 있게 되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콘덴서 다발의 반전시 지지하는 회전판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1)에서 전방측에서 평행하게 뻗은 지지간(5), 상기 지지간(5)의 선단에서 가로질러 설치된 주축(8)에 의해 평판(6)과 함께 회동되면서 콘덴서 다발(C)이 재치된 콘덴서 받침대(9)를 경사지거나 수평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작동간(7); 상기 작동간(7)이 경사위치에 놓일 경우 상기 콘덴서 받침대(9)를 받치도록 이 작동간(7)의 중간을 가로질러 설치는 크로스빔(10); 상기 평판(6)을 통해 상기 주축(8)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간(7)에 수평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콘덴서 받침대(9)를 콘덴서 이동대(18)의 중심으로 밀어서 이 콘덴서 받침대(9)와 콘덴서 이동대(18)가 서로 일치되도록 하는 제2실린더(12); 연결대(13)를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에 연결된 상태에서 양측의 스프링(16a)(16b)에 의해 상시 중립위치에 놓이도록 지지되면서 가이드 샤프트(14)에 의해 이 제2실린더(12)의 운동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콘덴서 받침대(9)의 좌우위치를 보정하는 위치조절구(15a)(15b)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코팅기의 로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간(5)의 선단 상측에는 받침판(19)이 설치되는 동시에 일측단 중앙에는 상기 콘덴서 다발(C)을 세워서 수동으로 회전시켜 이 콘덴서 다발(C)을 반전시킬 수 있도록 공회전되는 회전판(20)을 추가로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코팅기의 로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 받침대(9)는 내부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격판(9a)이 설치되고, 이 격판(9a) 저면에는 콘덴서 이동대(18)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링(9b)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코팅기의 로딩장치.
KR2019950008065U 1995-04-20 1995-04-20 콘덴서 코팅기의 로딩장치 KR2001424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065U KR200142418Y1 (ko) 1995-04-20 1995-04-20 콘덴서 코팅기의 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065U KR200142418Y1 (ko) 1995-04-20 1995-04-20 콘덴서 코팅기의 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544U KR960035544U (ko) 1996-11-21
KR200142418Y1 true KR200142418Y1 (ko) 1999-06-01

Family

ID=1941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8065U KR200142418Y1 (ko) 1995-04-20 1995-04-20 콘덴서 코팅기의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4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544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96923B1 (de) Hubtisch und Transportverfahren
US5431469A (en) Vacuum lift device
US5743705A (en) Industrial robot
EP0263169A1 (en) Robot with workpiece feeder and holder
US4181211A (en) Pallet exchange apparatus for machine tool
KR200142418Y1 (ko) 콘덴서 코팅기의 로딩장치
JPH06126664A (ja) 荷重取扱装置
DE2225044C3 (de) Saugtellerkran mit kippkarer Hubtraverse
CH690962A5 (de) Klimaschrank mit integrierter Handlingvorrichtung.
EP0144346A1 (en) CONVEYING SYSTEM FOR A FOUNDRY.
JPH06114447A (ja) 折曲げ追従装置
JPH0627313Y2 (ja) ワークコンベヤ
JPH07186082A (ja) 箱体の保持装置
KR100289529B1 (ko) 트랜스밋션 로딩장치
JPH0632311Y2 (ja) ロボット用作業台
JPH09286026A (ja) 物品分割回動装置及び開閉式物品回転装置
JP3932167B2 (ja) 塗装マスク装置
CN220863093U (zh) 一种翻转支架用的焊接设备
GB2214532A (en) Cable drum winding apparatus
JPH05262427A (ja) 部品受渡し装置
SU104071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грузки станков
JPS61226243A (ja) 物品移送装置
JPH01127246A (ja) パレット交換装置
JPS587527B2 (ja) コイル結束装置
JP2628420B2 (ja) 産業車両のピッキ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