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3850A - 액체 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액체 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3850A
KR20010113850A KR1020017011984A KR20017011984A KR20010113850A KR 20010113850 A KR20010113850 A KR 20010113850A KR 1020017011984 A KR1020017011984 A KR 1020017011984A KR 20017011984 A KR20017011984 A KR 20017011984A KR 20010113850 A KR20010113850 A KR 20010113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ressure region
injection
control
low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1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7525B1 (ko
Inventor
뤼거요하네스-외르크
마테스파트릭크
스톡크라인볼프강
슐츠우도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113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5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41/2096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for controlling piezoelectric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a cyclic delivery of specific time/pressure or time/quantity relationship
    • F02M45/02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a cyclic delivery of specific time/pressure or time/quantity relationship with each cyclic delivery being separated into two or more parts
    • F02M45/04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a cyclic delivery of specific time/pressure or time/quantity relationship with each cyclic delivery being separated into two or more parts with a small initial part, e.g. initial part for partial load and initial and main part for full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7/00Fuel-injection apparatus operated cyclically with fuel-injection valves actuated by fluid pressure
    • F02M47/02Fuel-injection apparatus operated cyclically with fuel-injection valves actuated by fluid pressure of accumulator-injector type, i.e. having fuel pressure of accumulator tending to open, and fuel pressure in other chamber tending to close, injection valves and having means for periodically releasing that closing pressure
    • F02M47/027Electrically actuated valves draining the chamber to release the clos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14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 F02M63/0015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electrical, e.g. using solenoid
    • F02M63/0026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electrical, e.g. using solenoid using piezoelectric or magnetostrictive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piezoelectric means
    • F16K31/007Piezo-electric st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2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 F02D2041/2051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using voltag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4Diagnosis of the fuel system
    • F02D2041/225Leakage de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6Fuel or fuel supply system parameters
    • F02D2200/0602Fuel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40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F02D41/402Multiple inj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70Linkage between actuator and actuated element, e.g. between piezoelectric actuator and needle valve or pump plunger
    • F02M2200/703Linkage between actuator and actuated element, e.g. between piezoelectric actuator and needle valve or pump plunger hydraulic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몸체(7)의 보어(13) 내에서 밸브 부재(3)를 축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작동시키는 압전 유닛(4)이 제공된 액체 제어 밸브(1)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밸브 부재(3)는 압전 유닛(4)과 접하는 조절 피스톤(9)뿐만 아니라 밸브 폐쇄 부재(15)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피스톤(14)으로 구성된다. 이 양 피스톤(9, 14)들 사이에는 유압 변환 부품으로서 기능하는 유압 챔버(16)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밸브 폐쇄 부재(15)는 밸브 시트(18, 19)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협동함으로써 고압 영역(21)과 저압 영역(20)을 분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제어 밸브에는 전기 제어 유닛(12)이 제공되며 이 전기 제어 유닛은 고압 영역(21)의 압력 레벨뿐만 아니라 저압 영역(20), 특히 유압 챔버(16)의 누설 손실과 유압 챔버의 재충진 정도에 따라서 압전 유닛(4)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전압을 결정한다.

Description

액체 제어 밸브{Valve for controlling liquids}
이와 같은 종류의 밸브는 고압 시스템(공통 레일 시스템)을 구비한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장치로서 DE 197 328 02에 기재되어 있다. 이 연료 분사 장치는 압전식 구동 장치에 의한 연속 운동시 밸브 폐쇄 부재의 밀봉면과 협동하는 두 개의 밸브 시트를 포함하는데, 이때 상기 밸브 폐쇄 부재는 최초 폐쇄 위치에서 제 1 밸브 시트 상에 존재하고, 이후 바로 다시 제 2 밸브 시트와의 폐쇄 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밸브 시트들 사이의 중간 위치로 진행한다. 이를 위해서, 압전식 액츄에이터에는 레일 압력에 따른 전압이 인가되며, 이 전압에 의해서 액츄에이터의 길이가 변화하고, 또한 이로 인하여 밸브 폐쇄 부재가 제 2 밸브 시트쪽으로 운동하게 된다. 이후 밸브 폐쇄 부재를 제 1 밸브 시트의 방향으로 다시 전환시키기 위하여 액츄에이터를 해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 폐쇄 부재가 한쪽 밸브 시트로부터 다른쪽 밸브 시트로 진행하는 식으로 움직임으로써 고압 하에 존재하는 밸브 제어 챔버가 신속하게 해제되며, 또한 힘 보상 형태의 연료 분사 장치 내에서 밸브 제어 챔버의 압력 레벨에 따라서 밸브 니들의 개방 및 폐쇄 위치가 결정되고 이로 인하여 연료 분사가제어된다. 이때, 연료 분사는 밸브 폐쇄 부재가 양 밸브 시트들 사이의 중간 위치에 존재하는 동안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압전식 구동 장치의 1회 여기(exciting)를 통하여 2회 연료 분사, 예를 들어 예비 분사 및 주 분사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밸브 부재는 직접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유압 변환 부품을 거쳐서 제어되기 때문에, 유압식 커플러(hydraulic coupler)로서 기능하는 유압 챔버 내의 압력 상승은 밸브 부재의 행정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그렇지만, 상기 밸브 폐쇄 부재가 밸브 시트로부터 이동할 정도로 압전식 액츄에이터에 높은 전압이 인가되면, 유압 챔버 내에 존재하는 연료의 일부가 이 유압 챔버의 누설 틈새를 통하여 누설된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제어 밸브가 고압 영역쪽에 해당하는 제 2 밸브 시트에 놓여 있을 때 심해지는데, 그 이유는 이 상황에서 레일 압력에 의해 특히 저항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저압 영역 혹은 유압식 커플러는, 예를 들어 실제로 15bar 정도의 시스템 압력에 의해서,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 상기 누설 틈새를 통하여 재충진되는데, 이때에도 물론 압전식 액츄에이터가 제어되지 않는 동안에만 재충진된다.
실제로 유사하게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하나의 밸브 시트만으로 구성된 밸브에서는 동일하게 실시되는데, 다시 말하면 밸브 폐쇄 부재는 밸브 시트로부터 들려진 후 다시 되돌아오는 식으로 진행된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모든 밸브에서는 짧은 시간에 걸쳐 연속해서 분사하는 동안 유압식 커플러가 일반적으로 완전히 재충진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분사시 압전식 액츄에이터의 동일한 제어 전압에서, 그리고 이로 이한 동일한 액츄에이터 행정에서 조절되는 밸브 행정이 달라진다. 상기 두 가지 형태의 분사 과정들 사이의 시차가 작을수록 분사 과정들 사이의 재충진 시간은 짧아지며, 액츄에이터가 점점 앞서서 제어될수록 유압식 커플러의 충전 시간도 더욱더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누설량도 커지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분사가 실시될 때 여러 가지 액츄에이터 행정들은 다시 부정확하게 되며, 이때 액츄에이터 행정은 상황에 따라서 이 액츄에이터 행정이 밸브 니들에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작아질 수도 있으며, 결과적으로 액츄에이터 행정은 밸브 니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예를 들어 연료 분사 밸브로서 사용될 때 연료 분사를 실시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액체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밸브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의 일부품인 압전 유닛의 제어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전기 제어 유닛의 특성 그래프와 함께 신호 스트림을 도시한 블록도.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제어 밸브는 조절하고자 하는 밸브 행정이 압전 유닛에 상응하는 변형된 제어 전압에 의하여 모든 분사 과정 동안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로 인하여, 고압 영역의 압력 레벨이 높아질 때에도 짧은 시간 내에 연속 분사가 가능하며, 다시 말하면 예비 분사, 주 분사 및 차후 분사시에 연료 소비와 배기량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모든 분사 과정 동안 행정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저압 영역이나 유압 챔버로도 불리는 유압식 커플러의 여러 가지 충진 레벨이 제어 전압에 의해서 보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고압 영역의 압력 레벨을 고려하여 누설 손실과 재충진에 따라 제어전압을 변형시킬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점에 의해서 안정적인 분사를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저압 영역으로부터의 누설 손실을 계산하기 위하여 전기 제어 유닛에는 선행하는 분사 지속 시간이 출력된다. 선행 분사의 제어 지속 시간은 유압 액체량에 대한 신뢰할만한 값을 나타내며, 이 값은 유압식 커플러의 작동 시간 동안 누설 조절을 통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저압 영역의 재충진을 위한 매우 신뢰할만한 값으로서는 선행하는 분사 과정이 종료하는 시기와 다음 분사 과정이 시작하는 시기의 시차가 전기 제어 유닛에 출력되도록 제공되는데,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상기 시차가 재충진 시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재충진 시간과 작동 시간으로부터 다음 분사 과정 전에 커플러의 재충진 정도가 결정된다.
도면과 청구항을 통하여 본 발명의 다른 장점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제어 밸브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도시하고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밸브(1)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사용예를 도시한다. 이 연료 분사 밸브(1)는 오늘날 공통 레일 분사기의 형태로 제작되며, 이때 연료 분사는 고압 과정과 관련된 밸브 제어 챔버(2)의 압력 레벨에 의해서 제어된다.
연료 분사 밸브(1)내에서 연료 거동을 이용하여 분사 개시, 분사 지속 시간 및 분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압전식 액츄에이터(4)의 형태로 구성된 압전 유닛에 의해서 조절되는 밸브 부재(3)가 제공되는데, 상기 압전 유닛은 밸브 제어 챔버와 연소실로부터 이격된 밸브 부재(3) 쪽에 배치된다.
상기 압전식 액츄에이터(4)는 공지된 방식에 따라서 복수의 층들로 형성되며 밸브 부재(3)로부터 이격된 쪽에서 혹은 밸브 부재(3)로부터 이격된 쪽에서 밸브 몸체(7)에 지지되는 액츄에이터 레그(6)를 갖는다. 액츄에이터 헤드(5)에는 지지대(8)를 거쳐서 밸브 부재(3)의 조절 피스톤(9)이 지지되며, 따라서 밸브 부재는 이 부재의 직경면에서 단계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압전식 액츄에이터(4)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액츄에이터 레그(6)에는 도 1에서 단지 심볼로 표기한 전기 제어 유닛(12)과 접속되는 접점(10, 11)이 제공되며, 상기 전기 제어 유닛은 압전식 액츄에이터(4)를 제어한다. 상기 압전식 액츄에이터(4)에 의해서 작동 가능한 밸브 부재(3)는 종방향 보어의 형태로 형성된 보어(13) 내에서 축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며 또한 복수 부품들로 구성되는데, 이 복수 부품들로서는 조절 피스톤(9)뿐만 아니라 구형 밸브 폐쇄부재(15)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제공된 작동 피스톤(14)을 들 수 있다. 상기 조절 피스톤(9)과 작동 피스톤(14)은 유압 변환 부품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압전식 액츄에이터(4)의 신축을 밸브 폐쇄 부재(15)로 전달하는 유압 변환 부품은 유압 챔버(15)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유압 챔버(16)는 이 유압 챔버와 경계를 이루는 양 피스톤(9, 14)들 사이에서 공통 보상 공간을 둘러싸며, 상기 피스톤들 중 작동 피스톤(14)은 조절 피스톤(9)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여기서, 큰 직경의 조절 피스톤(9)이 압전식 액츄에이터(4)에 의해서 소정의 구간만큼 운동할 때 유압 챔버(16)는 조절 피스톤(9)과 작동 피스톤(14) 사이에서 작동 피스톤(14)이 피스톤 직경의 변환비만큼 확대된 행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상기 유압 챔버(16)는 연료 분사 밸브(1) 내에서 유압 전달 기능뿐만 아니라 온도 구배나 사용 재료의 상이한 온도 팽창 계수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길이 오차를 보상하거나 실제 설정 효과를 위한 오차 보상 부품으로서도 기능한다. 상기 피스톤(9, 14)들은 유압 챔버(13)의 공간 내로 진입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제어하고자 하는 밸브 폐쇄 부재(15)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도 복귀할 수 있다.
상기 밸브 폐쇄 부재(15)는 밸브 챔버(17)에 형성되며 밸브 부재(3) 혹은 작동 피스톤(14)의 밸브 챔버측 단부에서 밸브 몸체(7)에 형성된 두 개의 밸브 시트(18, 19)들과 협동한다. 여기서, 제 1 및 상부 밸브 시트(18)는 저압 영역(20)을 제한하며, 제 2 및 하부 밸브 시트(19)는 고압 영역(21)에 해당하는 밸브 제어 챔버(2)에 안내된다. 상기 제 2 밸브 시트(19)에는 밸브 제어 챔버가 해제될 때 밸브 폐쇄 부재(15)를 제 1 밸브 시트(18)에 유지하는 스프링(28)이 배치된다.
고압 영역(21)의 밸브 제어 챔버(2)에는 도면에서 추가로 도시하지 않은 운동 가능한 밸브 제어 피스톤이 배치된다. 상기 밸브 제어 피스톤이 밸브 제어 챔버 내에서 축방향으로 운동할 때, 연료 분사 밸브(1)의 분사 노즐은 공지된 방식으로 제어된다. 상기 밸브 제어 챔버(2)에는 보통 분사 노즐을 통하여 연료를 공급하는 분사관이 연결된다. 상기 분사관은 복수의 연료 분사 밸브를 위한 공통 고압 저장 챔버(공통 레일)와 연결된다. 이때, 고압 저장 챔버에는 공지된 방식에 따라서 연료 고압 공급 펌프에 의해 저장 탱크로부터의 고압 연료가 저장된다.
상기 보어(13)의 단부에는 밸브 시스템 압력 챔버(22)가 둘러싸여 있다. 이 밸브 시스템 압력 챔버는 한편으로 밸브 몸체(7)에 의해서, 다른 한편으로 밸브 부재(3)의 조절 피스톤(9)과 밸브 몸체(7)에 연결된 밀봉 부품(23)에 의해서 제한되며, 이 밀봉 부품은 본 발명에서 주름 상자 형태의 멤브레인으로 형성되어, 압전식 액츄에이터(4)가 밸브 시스템 압력 챔버(22)에 포함된 연료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유압 챔버(16)는 압전식 액츄에이터(4)를 제어하거나 작동시키는 동안 재충진되어야 하기 때문에, 고압 영역(21)의 유압 액체를 제거함으로써 저압 영역(20)의 누설량을 보상한다. 이를 위하여, 조절 피스톤(9)을 둘러싸는 틈새(25)에 의해서 유압 챔버(16)와 결합하는 밸브 시스템 압력 챔버(22)와 통하는 충진 장치(24)를 사용함으로써, 틈새(25)에 의해서도 유압 챔버(16)를 충진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충진 장치(24)는 다른 시스템 압력 챔버, 또는 틈새(25)나 작동 피스톤(14)을 둘러싸는 틈새(26)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1)의 작동 방식을 설명한다.
연료 분사 밸브(1)가 폐쇄된 상태에서, 그리고 압전식 액츄에이터(4)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밸브 부재(3)의 밸브 폐쇄 부재(15)는 상부 밸브 시트(18)쪽에 접하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고압 저장 챔버와 연결된 밸브 제어 챔버(2)로부터 저압 영역(20)으로 연료가 흐를 수 없다.
온도에 따라 압전식 액츄에이터(4) 또는 다른 밸브 부품, 예를 들면 밸브 몸체(7)의 길이가 변화할 때에처럼 천천히 작동하는 경우에, 조절 피스톤(9)은 밸브 부재(3)와 연료 밸브(1)의 폐쇄 및 개방 위치에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온도가 상승하면 유압 챔버(16)의 보상 공간으로 진입하고 온도가 하강하면 후퇴한다.
연료 분사 밸브(1)가 분사를 실시하기 위해서, 압전식 액츄에이터(4)가 작동하면서 이 액츄에이터는 축방향으로 급격하게 팽창한다. 조절 피스톤(9)뿐만 아니라 유압 챔버(16)에 의해서 압전식 액츄에이터(4)의 길이 변화가 작동 피스톤(14) 으로 전달되며, 이 때문에 밸브 폐쇄 부재(15)가 제 1 상부 밸브 시트(18)로부터 들려지고 인접한 레일 압력에 대항하여 제 2 하부 밸브 시트(19)에 대항하여 이동한다.
이를 위하여 압전식 액츄에이터(4)에 인가된 전압을 조절할 때, 선행하는 분사 과정(E1)과 재충진 동안 전기 제어 유닛(12)에 의해서 고압 영역(21)의 압력 레벨, 즉 레일 압력뿐만 아니라 유압 챔버(16)로부터 누설되는 저압 영역(20)의 누설 손실을 고려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제어 유닛(12)은 특성군(27)을 가지며, 입력 데이터로서 선행하는 분사(E1)의 제어 지속 시간(T_E1)과 선행 분사(E1)가 종료하는 시점과 다음 분사(E2)가 시작하는 시점 사이의 시차(T_E1E2)가 적용된다. 여기서, 선행하는 분사(E1)의 제어 지속 시간(T_E1) 및 시차(T_E1E2)는 저압 영역(20)으로부터의 누설 손실과 상기 선행 분사 이후 재충진 시간으로 표시한다. 이 입력 데이터에 따라서 제어 전압(ΔU)의 보정값이 출력되며, 이 보정값은, 특히 레일 압력으로 측정되는 제어 전압의 제한값에 가산된다. 이때, 제어 전압의 제어 전압(ΔU)은 저압 영역(20)의 누설 손실과 재충진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연속 분사 과정시 상기 제어 전압이 증가하는 형태로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밸브 부재(3) 및 작동 피스톤(14)의 행정 길이는 재설정 가능하며, 한편으로 분사 과정을 실시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밸브 폐쇄 부재(15)는 항상 제 2 밸브 시트(19)에 지지되도록 보장한다.
압전 유닛의 제어는 전기 제어 유닛(12)이 압전식 액츄에이터(4)의 실제 온도와 관련하여 추가로 제어 전압을 보정할 때 더 정확하다.
물론, 밸브 폐쇄 부재(15)가 이 부재의 중간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밸브(1)가 이중 회로 밸브로서 작동하는 것이 아니고 이 밸브 폐쇄 부재가 제 1 밸브 시트(18)와만 협동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밸브 폐쇄 부재를 높은 속도와 높은 전압으로 제 2 밸브 시트(19)로진행시킴으로써 제 2 밸브 시트(19)로부터 제 1 밸브 시트(18)로 후퇴 운동시켜 분사를 실시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물론,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시트를 갖는 밸브 형태와는 달리 하나의 시트를 구비한 연료 분사 밸브를 고려할 수 있다.

Claims (8)

  1. 밸브 몸체(7)의 보어(13) 내에서 밸브 부재(3)를 축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작동시키는 압전 유닛(4)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 부재(3)는 압전 유닛(4)과 접하는 조절 피스톤(9)뿐만 아니라 밸브 폐쇄 부재(15)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피스톤(14)으로 구성되고, 양 피스톤(9, 14)들 사이에는 유압 변환 부품으로서 기능하는 유압 챔버(16)가 배치되며, 상기 밸브 폐쇄 부재(15)는 밸브 시트(18, 19)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협동함으로써 고압 영역(21)과 저압 영역(20)을 분리하고, 고압 영역(21)의 압력 레벨은 압전 유닛(4)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전압을 조절하는 변수로 설정되는 액체 제어 밸브에 있어서,
    상기 압전 유닛(4)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전압을 저압 영역(20), 특히 유압 챔버(16)의 누설 손실과 저압 영역의 재충진에 따라서 결정하는 전기 제어 유닛(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제어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 영역(20)으로부터의 누설 손실을 계산하기 위하여 선행하는 분사(E1)의 제어 지속 시간(T_E1)을 전기 제어 유닛(12)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제어 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 영역(20)의 재충진을 계산하기 위하여 선행하는 분사(E1)가 종료하는 시점과 다음 분사(E2)가 시작하는 시점 사이의시차(T_E1E2)를 전기 제어 유닛(12)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제어 밸브.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제어 유닛(12)은 특성군(27)을 가지며, 이 제어 유닛에는 특성군을 이용하여 제어 전압을 위한 보정값(ΔU)을 선행하는 분사(E1)의 제어 지속 시간(T_E1)과 선행하는 분사(E1)에 대한 시차(T_E1E2)에 따라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제어 밸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유닛(4)의 온도는 제어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제어 밸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전압은 연속 분사 과정시 저압 영역(20)의 누설 손실과 재충진을 보상하는 형태로 증가하며 밸브 폐쇄 부재(15)의 행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제어 밸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 영역(20)을 재충진하기 위하여 고압 영역(21)과 연결될 수 있는 충진 장치(24)가 제공되며, 이 충진 장치는 작동 피스톤(14)을 둘러싸는 틈새(26)나 조절 피스톤(9)을 둘러싸는 틈새(25)와 연결되는 시스템 압력 챔버(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제어 밸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밸브, 특히 공통 레일 분사기(1)의 구성 부품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제어 밸브.
KR1020017011984A 2000-01-20 2000-11-24 액체 제어 밸브 KR100717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02270.7 2000-01-20
DE10002270A DE10002270C1 (de) 2000-01-20 2000-01-20 Ventil zum Steuern von Flüssigkei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850A true KR20010113850A (ko) 2001-12-28
KR100717525B1 KR100717525B1 (ko) 2007-05-14

Family

ID=762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1984A KR100717525B1 (ko) 2000-01-20 2000-11-24 액체 제어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05544B1 (ko)
EP (1) EP1185787B1 (ko)
KR (1) KR100717525B1 (ko)
DE (2) DE10002270C1 (ko)
WO (1) WO200105369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32022B4 (de) * 2000-07-01 2009-12-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Ansteuerspannung für ein Einspritzentil mit einem piezoelektrischen Aktor
DE10112147A1 (de) * 2001-03-14 2002-09-19 Bosch Gmbh Robert Ventil zum Steuern von Flüssigkeiten
DE10123173A1 (de) * 2001-05-12 2002-11-14 Bosch Gmbh Robert Ventil zum Steuern von Flüssigkeiten
DE10136186A1 (de) * 2001-07-25 2003-02-06 Bosch Gmbh Robert Ventil zum Steuern von Flüssigkeiten
DE10155391A1 (de) * 2001-11-10 2003-05-22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Laden und Entladen eines piezoelektrischen Elementes
US20030168057A1 (en) * 2001-12-14 2003-09-11 Inhale Therapeutic Systems, Inc. Electronically controllable aerosol delivery
DE10162045B4 (de) * 2001-12-17 2005-06-23 Siemens Ag Vorrichtung zum Übersetzen einer Auslenkung eines Aktors, insbesondere für ein Einspritzventil
DE10321999A1 (de) * 2002-07-31 2004-02-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Aktors
DE10239614A1 (de) * 2002-08-29 2004-03-1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stoffeinspritzsystems, Computerprogramm sowie Steuer- und/oder Regelgerät zum Betreiben eines Kraftstoffeinspritzsystems und Brennkraftmaschine
DE10254844A1 (de) 2002-11-25 2004-06-0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ieb eines Einspritzsystems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54985A1 (de) 2002-11-26 2004-06-03 Robert Bosch Gmbh Ventil zum Steuern von Flüssigkeiten mit einem Düsen- und einem Steuermodul
DE10305525B4 (de) * 2003-02-11 2014-04-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daption der Druckwellenkorrektur in einem Hochdruck-Einspritzsystem eines Kraftfahrzeuges im Fahrbetrieb
DE10317654B4 (de) 2003-04-17 2018-05-3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riftkompensierenden Steuerung von Injektoren eines Kraftstoffzumesssystems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323488B4 (de) * 2003-05-23 2011-08-11 Robert Bosch GmbH, 70469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triebspunktabhängigen Steuerung von Injektoren eines Kraftstoffzumesssystems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331241B4 (de) * 2003-07-10 2014-04-3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Injektormengenabgleich (IMA) bei Voreinspritzungen in einem Kraftstoffeinspritz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336639A1 (de) * 2003-08-08 2005-03-0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unktionsdiagnose eines Piezoaktors eines Kraftstoffzumesssystems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343759B4 (de) * 2003-09-22 2015-01-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r Abweichung der tatsächlichen Einspritzmenge von einer berechneten Referenzeinspritzmenge eines Kraftstoffeinspritzsystems
DE102004053418B4 (de) * 2004-03-24 2016-05-0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ruckwellenkompensierenden Steuerung zeitlich aufeinanderfolgender Einspritzungen in einem Einspritz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5036190A1 (de) * 2005-08-02 2007-02-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Einspritzsystems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5036192A1 (de) 2005-08-02 2007-02-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Einspritzsystems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7009565A1 (de) 2007-02-27 2008-08-2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r Kraftstoffzusammensetzung in einem Einspritz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2204216A1 (de) * 2012-03-16 2013-09-19 Robert Bosch Gmbh Baugruppe
DE102013204103A1 (de) * 2013-03-11 2014-09-1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Ansteuern eines Einspritzventils
DE102015220405A1 (de) 2015-10-20 2017-04-2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Kraftstoff-Einspritzsystems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6214266A1 (de) 2016-08-02 2018-02-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Kompensation einer Temperaturabhängigkeit eines hydraulischen Kopplers
CN112170105B (zh) * 2020-09-18 2022-06-10 深圳市轴心压电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压电陶瓷阀驱动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0871A (en) * 1983-12-22 1985-12-24 Marquest Medical Products, Inc. Actuator for control valves and related systems
DE4332119B4 (de) * 1993-09-22 2006-04-20 Robert Bosch Gmbh Kraftstoffeinspritzein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DE19709794A1 (de) * 1997-03-10 1998-09-17 Bosch Gmbh Robert Ventil zum Steuern von Flüssigkeiten
DE19732802A1 (de) * 1997-07-30 1999-02-04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vor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DE19743668A1 (de) 1997-10-02 1999-04-08 Bosch Gmbh Robert Ventil zum Steuern von Flüssigkeiten
DE19746143A1 (de) * 1997-10-18 1999-04-22 Bosch Gmbh Robert Ventil zum Steuern von Flüssigkeiten
DE19813983A1 (de) 1998-03-28 1999-09-30 Bosch Gmbh Robert Ventil zum Steuern von Flüssigkeiten
US5875764A (en) * 1998-05-13 1999-03-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and method for valve control
KR20000046220A (ko) * 1998-12-31 2000-07-25 김영환 가변 에스에프알 어드레스 기능을 갖는 에뮬레이션 마이크로 컨트롤러
DE19946828C1 (de) * 1999-09-30 2001-07-12 Bosch Gmbh Robert Ventil zum Steuern von Flüssigkei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85787B1 (de) 2005-04-27
KR100717525B1 (ko) 2007-05-14
WO2001053693A2 (de) 2001-07-26
DE50010174D1 (de) 2005-06-02
WO2001053693A3 (de) 2001-12-27
DE10002270C1 (de) 2001-06-28
EP1185787A2 (de) 2002-03-13
US6705544B1 (en) 200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13850A (ko) 액체 제어 밸브
US6427968B1 (en) Valve for controlling fluids
US4782807A (en) Unit injec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464202B1 (en) Valve for controlling liquids
KR100806058B1 (ko) 유체 제어 밸브
US6457699B1 (en) Valve for controlling a liquid
KR20010101059A (ko) 유체 제어 밸브
JP2004518906A (ja) 液体を制御する弁
US6719264B2 (en) Valve for controlling fluids
US20040035397A1 (en) Fuel injection device
US6581900B1 (en) Valve for controlling liquids
US6698711B2 (en) Valve for controlling fluids
CZ20011876A3 (cs) Ventil pro řízení kapalin
CZ20014519A3 (cs) Ventil k řízení kapalin
KR20040021636A (ko) 유체 제어 밸브
KR20060041263A (ko) 연료 분사 장치
KR100717527B1 (ko) 내연 기관의 연료 계량 제어 방법 및 장치
US6651950B2 (en) Valve for controlling liquids
KR20020023422A (ko) 분사 시스템 및 분사 시스템 작동 방법
US20030038258A1 (en) Valve for controlling fluids
US20030085371A1 (en) Hydraulically translated valve
JP4437083B2 (ja) 液体を制御する弁
JP2003520326A (ja) 液体を制御する弁
JPH0233871B2 (ko)
JP2005248853A (ja) イン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