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8195A - 판형상전지팩 및 휴대무선단말 - Google Patents

판형상전지팩 및 휴대무선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8195A
KR20010108195A KR1020017010084A KR20017010084A KR20010108195A KR 20010108195 A KR20010108195 A KR 20010108195A KR 1020017010084 A KR1020017010084 A KR 1020017010084A KR 20017010084 A KR20017010084 A KR 20017010084A KR 20010108195 A KR20010108195 A KR 20010108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aped battery
electrode terminal
laminated film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2743B1 (ko
Inventor
하나후사기요시
이시다히로이치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10108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판형상 전지팩은 적층막으로 이루어지는 포장형상으로 형성된 피복부재(22)에 의해 봉지된 발전요소(21), 발전요소에 접속되고 대략 중앙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는 정극단자(24a, 26, 39) 및 부극단자(23a, 23c, 25, 35), 외장부재(10, 50, 80)을 구비한다. 외장부재는 정극단자 또는 부극단자를 지지하는 볼록부형상의 지지부재(15, 17, 55, 85) 또는 피복부재의 봉지부(22d)를 받아들이는 오목부(72, 76, 83)을 구비한다. 또한, 판형상 전지팩은 외장부재를 도전성으로 하고, 피복부재를 둘러싸고, 정극단자 또는 부극단자 중의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조 또는 전열부재와 접속하는 온도검출기를 구비한 구조를 취한다.

Description

판형상 전지팩 및 휴대무선단말{FLAT BATTERY PACK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근래, 휴대전화기 또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무선단말 등의 보급에 따라 그들에 사용되는 판형상전지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30은 종래의 판형상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판형상전지(300)이 휴대무선단말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판형상전지(300)은 지지판(320)상에 탑재된다. 판형상전지(300)은 적층막(302), 전지코어(311), 정극단자(312) 및 부극단자(313)에 의해 구성된다. 적층막(302)는 전지코어(311)을 덮는다. 전지코어(311)은 정극단자(312) 및 부극단자(3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지코어(311)은 소정의 적층체를 몇겹이나 감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적층체는 정극단자(312)에 접속된 박판, 부극단자(313)에 접속된 박판 및 이들 사이에 개재하는 분리기를 포함하고, 박판 사이에 전해질이 충전되어 있다.
정극단자(312)의 일부와 부극단자(313)의 일부를 덮도록 적층막(302)가 마련되어 있다. 적층막(302)의 단부끼리가 각각 압착되는 것에 의해 전극봉지부(302f)와 봉지부(302d) 및 (302e)가 형성되어 있다. 적층막(302)는 수지층, 알루미늄박 및 수지층의 3층구조로 되어 있다.
전극봉지부(302f)에서는 정극단자(312) 및 부극단자(313)이 적층막(302) 사이에 끼워져 봉지되어 있다. 전극봉지부(302f)는 한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봉지부(302d)는 전극봉지부(302f)가 연장하는 방향과 대략 직교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봉지부(302d)는 전지코어(311)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봉지부(302d)는 지지판(320)과 접촉하고 있다. 봉지부(302e)는 전극봉지부(302f)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전극봉지부(302f)와 봉지부(302d) 및 (302e)에 의해 전지코어(311)내의 전해질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적층막(302)에 의해 덮어져 있지 않은 정극단자(312) 및 부극단자(313)의 부분은 휴대전화기 또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1은 도 30중의 ⅩⅩⅩⅠ-ⅩⅩⅩⅠ선을 따라 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판형상전지(300)은 지지판(320)상에 탑재되어 있다. 지지판(320)과 판형상전지(300)은 도 30에 도시한 봉지부(302d)에 의해 접촉하고 있다. 봉지부(302d)는 도 31에 도시한 단면에서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도 31에서는 판형상전지(300)은 지지판(320)에서 부상한 것처럼 나타난다.적층막(302)는 수지층(302a) 및 (302c)와 알루미늄박(302b) 에 의해 구성된다. 전극봉지부(302f)로부터는 정극단자(312)가 돌출되어 있다. 판형상전지(300)에서 휴대전화기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정극단자(312)에 접촉용 핀이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정극단자(312)에는 화살표(330)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부터 힘이 가해진다.
도 32는 도 30중의 ⅩⅩⅩII-ⅩⅩⅩII선을 따라 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판형상전지(300)은 지지판(320)상에 탑재된다. 적층막(302)는 전지코어(311)을 둘러싼다. 판형상전지(300)의 봉지부(302d)가 지지판(320)과 직접 접촉하고 있다. 봉지부(302d)에서는 상하에 적층막(302)가 2개 중첩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는 적층막(302)가 두껍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이 봉지부(302d)만이 지지판(320)에 접하고, 다른 부분은 지지판(320)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지지판(320)에서 판형상전지(311)의 정상면까지의 높이는 H1(=0. 5∼6. 0㎜)이다.
근래, 휴대전화기의 소형화, 경량화로 인해, 휴대전화기에 사용되는 판형상전지도 소형화, 경량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정극단자(312) 및 부극단자(313)을 구성하는 재료도 경량인 알루미늄합금으로 되고, 또한 그 얇기도 극히 얇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극단자(312)에 화살표(330)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정극단자(312)가 구부러진다. 일단, 정극단자(312)가 구부러지면, 정극단자(312)와 접촉용 핀 등의 다른단자를 접속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접촉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막(302)와 지지판(320)이 봉지부(302d)에서만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적층막(302)의 위치 결정이 불안정하게 됨과 동시에, 판형상전지(300)의 크기(두께)가 크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전극단자를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어 접촉불량이 생기지 않는 판형상전지 및 휴대무선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복부재를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형화가 가능한 판형상전지와 휴대무선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판형상전지 및 휴대무선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전화기 또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무선단말에 사용되는 판형상전지와 그 판형상전지를 사용한 휴대무선단말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1개의 국면에 따른 판형상전지는 정극단자 및 부극단자, 피복부재 및 지지부재를 구비한다. 정극단자 및 부극단자는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요소에 접속되고, 발전요소의 대략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연장한다. 피복부재는 발전요소를 봉지하고 포장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재는 발전요소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정극단자 또는 부극단자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에서는 정극단자 또는 부극단자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정극단자 또는 부극단자가 확실하게 위치 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정극단자 또는 부극단자에 접촉용 핀으로부터 힘이 가해지더라도 정극단자 또는 부극단자가 구부러지지 않는다. 그 결과, 접촉용 핀과의 접촉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신뢰성이 높은 판형상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지지부재는 온도검출기를 포함한다. 판형상전지는 발전요소에서 온도검출기로 열을 전달하기 위해 피복부재와 온도검출기를 접속하는 전열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 온도검출기가 지지부재를 겸하기 때문에, 부품을 증가시키지 않고 지지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지지부재는 외장부재의 표면에 외장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외장부재가 지지부재를 겸하게 되어 부품을 증가시키지 않고 지지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판형상전지는 피복부재를 둘러싸는 도전성의 외장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 외장부재가 도전성이기 때문에 외장부재가 발전요소를 전자기적으로 차폐한다. 그 결과, 휴대무선단말내를 흐르는 고주파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어 신뢰성이 더욱 높은 판형상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외장부재는 정극단자 및 부극단자 중의 어느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외장부재의 전위가 정극단자의 전위 또는 부극단자의 전위와 동일하게 되어 일정하게 된다. 그 결과, 외장부재의 전자기적인 차폐효과가 더욱 향상하고, 또 신뢰성이 높은 판형상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개의 국면에 따른 휴대무선단말은 상술한 판형상전지를 사용한다. 이 경우, 정극단자 또는 부극단자가 확실하게 위치 결정되어 있는 판형상전지가 사용되므로, 판형상전지와 회로기판의 접촉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신뢰성이 높은 휴대무선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판형상전지는 피복부재와 외장부재를 구비한다. 피복부재는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요소를 봉지한다. 피복부재의 하나의 부분과 다른 부분은 중첩되어 봉지부를 형성하고 있고, 피복부재는 포장형상이다. 외장부재는 봉지부를 받아 들이기 위한 오목부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에서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봉지부가 오목부에 끼워 맞춰진다. 그 때문에, 오목부에 의해 피복부재가 확실하게 위치 결정된다. 또, 봉지부를 오목부에 끼워 맞추기 때문에 봉지부가 오목부에 끼워 맞춰지지 않는 판형상전지에 비해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외장부재는 도전성을 갖고 또한 피복부재를 둘러싼다. 이 경우, 외장부재가 도전성을 갖고 또한 피복부재를 둘러싸므로, 외장부재가 발전요소를 전자기적으로 차폐한다. 그 결과, 발전요소가 휴대무선단말의 회로기판을 흐르는 고주파를 변조하지 않아 판형상전지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외장부재는 정극단자 및 부극단자 중의 어느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외장부재의 전위가 정극단자 및 부극단자 중의 어느 한쪽과 동일하게 되고 일정하게 된다. 그 때문에, 상술한 전자기적인 차폐효과가 더욱 향상하여 판형상전지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극단자 및 부극단자는 발전요소의 대략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연장한다. 판형상전지는 외측으로 연장한 정극단자 또는 부극단자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 정극단자 또는 부극단자가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정극단자 및 부극단자가 확실하게 위치 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정극단자 또는 부극단자에 접촉용 핀으로부터 힘이 가해지더라도 정극단자 또는 부극단자가 구부러지지 않는다. 그 결과, 정극단자 또는 부극단자와 다른 단자의 전기적인 접촉을 확실하게 취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판형상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휴대무선단말은 상술한 판형상전지를 사용한다. 이 경우, 피복부재가 오목부에 의해 확실하게 위치 결정되고 또한 소형화된 판형상전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고 또한 소형화된 휴대무선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부분단면을 포함한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a 중의 II-II선을 따라 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8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9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10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11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12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부분단면을 포함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중의 XIV-XIV선을 따라 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13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14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15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16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17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18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19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20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21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22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23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24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단면도,
도 27a는 본 발명의 실시예25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부분단면을 포함한 사시도,
도 27b는 본 발명의 실시예25에 따른 판형상전지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8은 도 27a중의 XXVⅢ-XXVⅢ선을 따라 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도 27a중의 ⅩⅩIⅩ-ⅩⅩIⅩ선을 따라 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종래의 판형상전지의 사시도,
도 31은 도 30중의 ⅩⅩⅩI-ⅩⅩⅩI선을 따라 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2는 도 30중의 XXXⅡ-XXXⅡ선을 따라 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판형상전지(1a)는 케이스(10)을 갖는다. 케이스(10)은 6평면에 의해 구성되는 직방체형상이다. 케이스(10)은 두께가 0. 3∼1. 2㎜의 수지에 의해 구성된다. 직방체의 가장 넓은 면에는 케이스창(13)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창(13)은 종×횡이 0. 5㎜× 2. 5㎜의 대략 장방형상이다. 케이스창(13)으로부터는 판형상전지(1a)를 구성하는 적층막(22)가 보이고 있다. 케이스(10)의 바닥부에는 지지부재로서의 볼록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5)상에는 프린트기판(31)이 탑재되어 있다. 볼록부(15)는 케이스(10)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0)과 별도의 부재로 볼록부(15)를 형성해도 좋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판형상전지(1a)는 발전요소로서의 전지코어(21), 피복부재로서의 적층막(22), 정극단자(24a) 및 (39), 부극단자(23a) 및 (35)와 외장부재로서의 케이스(10)을 갖는다.
케이스(10)이 전지코어(21)과 적층막(22)를 둘러싼다. 또한, 도 1에서는 케이스(10)의 내부가 보이도록 투시도적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케이스(10) 내부의 적층막(22)는 케이스(10)의 케이스창(13)에서 보일 뿐이다.
케이스(10)내에는 전지코어(21)이 위치 결정되어 있다. 전지코어(21)은 소정의 적층체를 여러번 감아 형성되어 있다. 적층체는 제1 박판(집전체 알루미늄박)과 제2 박판(집전체 동박)과 이들 사이에 개재된 분리기에 의해 구성된다. 집전체 알루미늄박은 정극단자(24a)에 접속된다. 집전체동박은 부극단자(2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때문에, 전지코어(21)은 정극단자(24a) 및 부극단자(2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집전체 알루미늄박에는 리튬을 함유하는 금속산화물(정극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다. 집전체 동박에는 리튬을 함유하는 유기물(부극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다.
정극단자(24a) 및 부극단자(23a)는 각각 알루미늄박에 의해 구성된다. 그 두께는 0. 2㎜∼0. 5㎜이고, 치수는 종×횡이 7㎜×4㎜이다.
정극단자(24a) 및 부극단자(23a)는 프린트기판(31)을 개재시켜 볼록부(1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프린트기판(31)에는 판형상전지에서 휴대전화기로 공급하는 전류량이 커지면, 이 전류를 감소시키는 회로가 조립되어 있다.
프린트기판(31)상에는 정극단자(39) 및 부극단자(35)가 탑재되어 있다. 이정극단자(39)는 정극단자(24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또한 프린트기판(31)을 개재시켜 볼록부(15)에 지지되어 있다. 부극단자(35)는 부극단자(23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또한 프린트기판(31)을 개재시켜 볼록부(15)에 지지되어 있다. 정극단자(39) 및 부극단자(35)상에 케이스창(13)이 위치한다.
적층막(22)에는 봉지부(22d) 및 (22e)와 전극봉지부(22f)가 형성되어 있다. 봉지부(22d)는 전지코어(21)상에 위치하고, 1개의 적층막(22)의 양단을 중첩해서 압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적층막(22)의 압착방법으로서 여러가지의 방법이 고려되지만, 예를 들면 적층막(22)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법 또는 적층막(22)를 열로 녹여서 접착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봉지부(22e)는 판형상전지(1a)의 후단에 형성된다. 봉지부(22e)는 상하에 위치하는 적층막(22)를 서로 압착해서 형성된다. 봉지부(22e)는 봉지부(22d)가 연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전극봉지부(22f)는 2개의 적층막(22)로 정극단자(24a) 및 부극단자(23a)를 봉지한다. 전극봉지부(22f)는 봉지부(22e)가 연장하는 방향과 거의 평행하고, 또한 봉지부(22d)가 연장하는 방향과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한다. 전극봉지부(22f)에 봉지되는 정극단자(24a) 및 부극단자(23a)는 전지코어(21)의 대략 중앙부에서 봉지부(22d)가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다.
봉지부(22d) 및 (22e)와 전극봉지부(22f)에 의해 적층막(22)는 전지코어(21)을 봉지한다. 또, 봉지부(22e) 및 (22f)와 전극봉지부(22d)에 의해 적층막(22)는 포장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적층막(22)를 둘러싸도록 케이스(10)이 위치한다. 적층막(22)는 정극단자(24a) 및 부극단자(23a)의 일부분을 덮고, 다른 부분을 노출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판형상전지(1a)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형상인 케이스(10)을 갖는다. 케이스(10)은 상부케이스(11)과 하부케이스(12)에 의해 구성된다. 상부케이스(11)과 하부케이스(12)는 서로 접속되어 있다. 하부케이스(12)에는 프린트기판(31)을 개재시켜서 부극단자(23a) 및 (35)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서의 볼록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5)는 하부케이스(12)와 일체로 되어 형성되어 있고, 그 재질은 하부케이스(12)와 마찬가지의 것이다. 하부케이스(12)는 상부케이스(11)을 지지한다. 상부케이스(11)에는 휴대전화기 등의 접촉핀을 끼워 넣기 위한 케이스창(13)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내에는 전지코어(21), 적층막(22), 부극단자(23a) 및 (35), 프린트기판(31) 및 단자대(34)가 마련되어 있다. 적층막(22)는 고분자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수지층(22a) 및 (22c)와 그 수지층(22a) 및 (22c) 사이에 배치된 알루미늄박(22b)에 의해 구성된다. 적층막(2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3층구조 뿐만 아니라 또 수지층을 추가해서 4층이상의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수지층(22a)를 제거해서 2층구조로 하는 것도 고려된다.
판형상전지(1a)의 후단에서는 적층막(22)끼리가 서로 압착되어 봉지부(22e)가 형성되어 있다.
판형상전지(1a)의 전단에서는 적층막(22)가 서로 압착되어 부극단자(23a)와 도 1에 도시한 정극단자(24a)를 봉지하도록 전극봉지부(22f)가 형성되어 있다.봉지부(22e) 및 전극봉지부(22f)는 지면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봉지부(22f)의 근방에는 볼록부(15)에 프린트기판(31)이 탑재되어 있다. 프린트기판(31)내에는 부극단자(23a)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32) 및 부극단자(35)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33)이 형성되어 있다. 부극단자(23a)는 판형상전지(1a)의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도록 연장하고, 그의 선단부가 프린트기판(31)상의 배선(32)와 접촉하고 있다. 또, 프린트기판(31)상에는 단자대(34)가 탑재되어 있다. 단자대(34)의 표면에는 금속제의 부극단자(3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부극단자(35)는 배선(3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33)은 배선(3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때문에, 부극단자(35)는 부극단자(23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1a)에서는 부극단자(23a) 및 (35)와 정극단자(24a) 및 (39)는 프린트기판(31)을 거쳐서 볼록부(15)에 지지되어 확실하게 위치 결정된다. 그 때문에, 부극단자(35) 및 정극단자(39)와 전기적인 접촉을 취하기 위해 접촉용 핀을 거쳐서 부극단자(35) 및 정극단자(39)에 힘을 가해도 부극단자(35)와 정극단자(39)의 위치가 변경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부극단자(35) 및 정극단자(39)와 접촉용 핀 사이의 접촉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신뢰성이 높은 판형상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판형상전지(1b)에서는 볼록부(17)과 부극단자(23b)의 구조가 도 2에 도시한 판형상전지(1a)와 다르다.볼록부(17)의 높이는 도 2에 도시한 볼록부(15)보다 높다. 부극단자(23b)는 배선(32)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상부로 들어 올려진 구조로 되어 있다. 부극단자(23b)와 볼록부(17)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적층막(22)를 볼록부(17)과 부극단자(23b) 사이로 연장시켜도 좋다.
프린트기판(31), 배선(32) 및 (33), 단자대(34) 및 부극단자(35)의 구조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볼록부(17)이 도 2에 도시한 볼록부(15)에 비해 높으므로, 부극단자(35)와 케이스창(13) 사이의 거리가 도 2에 도시한 케이스창(13)과 부극단자(35)의 거리에 비해 작아진다. 또, 도 3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지면의 뒤쪽에는 부극단자(23b)와 마찬가지의 형상의 정극단자가 위치하고 있다. 이 정극단자는 프린트기판(31)과 접촉하고, 그의 선단에는 단자대와 정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1b)에서는 우선, 실시예1에서 설명한 판형상전지(1a)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창(13)과 부극단자(35)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므로, 더욱 확실하게 휴대전화기와 부극단자(35)의 전기적인 접촉을 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판형상전지(1c)에서는 볼록부(15)상의 구조가 도 2에 도시한 실시예1에 따른 판형상전지(1a)와 다르다. 볼록부(15)상에는 프린트기판(27)이 탑재되어 있다. 또, 볼록부(15)상에 적층막(22)의 일부분이 탑재되어 있다. 프린트기판(27)상에는 부극단자(23a) 및(25)가 탑재되어 있다. 부극단자(25)상에 케이스창(13)이 위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1c)에서는 또 도 2에서 설명한 판형상전지(1a)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또, 단자대(34)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판형상전지(1d)에서는 하부케이스(12)상에 전열부재로서의 금속판(41)이 마련되어 있다. 금속판(41)과 접촉하도록 온도검출기(42)가 마련되어 있다. 또, 금속판(41)은 적층막(22)의 수지층(22a)와 접촉한다. 그 밖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한 판형상전지는 도 2에 도시한 판형상전지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판형상전지(1d)가 사용되면, 전지코어(21)로부터는 열이 발생한다. 이 열이 적층막(22) 및 금속판(41)을 거쳐서 온도검출기(42)로 전달된다. 전지코어(21)의 온도가 높아지면, 이 열이 온도검출기(42)로 전달된다. 그렇게 되면, 온도검출기(42)에서 프린트기판(31)로 신호가 보내진다. 이 신호에 의해, 프린트기판(31)내는 배선(32)와 배선(33) 사이의 전류를 차단한다. 이것에 의해, 전지코어(21)에서 휴대전화기 등으로의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어 전지코어(21)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1d)에서는 우선, 실시예1에서 설명한 판형상전지(1a)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또한, 온도검출기(42)가 부극단자(23a) 및 (35)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의 역활을 하기 때문에 특별히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지지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판형상전지(1e)에서는 전극봉지부(22f)상에 PTC(45)(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가 마련되어 있다. 이 PTC(45)는 배선(46)에 의해 부극단자(23a)에 접속되어 있다. PTC(45)는 온도검출센서로서 작용하여 전지코어(21)의 온도가 소정값 이상으로 되면, 부극단자(23a)에서 휴대전화기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1e)에서는 우선, 실시예1에서 설명한 판형상전지(1a)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또, PTC(45)를 구비하기 때문에, 전지코어(21)이 고온으로 되면 전류를 차단하기 때문에 안전성도 높게 된다.
[실시예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판형상전지(1f)에서는 케이스(50)을 구성하는 상부케이스(51) 및 하부케이스(52)가 알루미늄합금제인 점에서, 실시예1에 설명한 판형상전지(1a)와 다르다. 또, 하부케이스(52)에는 알루미늄합금제의 볼록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55)는 하부케이스(52)와 일체로 되어 형성되어 있다. 전지코어(21)과 상부케이스(51) 및 하부케이스(52) 사이의 절연성은 적층막(22)에 의해서 유지되고 있다. 또, 부극단자(23a) 및 (53)과 상부케이스(51) 및 하부케이스(52) 사이의 절연성은 프린트기판(31)에 의해서 유지되고 있다. 부극단자(35)상에는 케이스창(53)이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창(53)은 케이스창(13)과 마찬가지의 형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1f)에서는 우선 실시예1에서 설명한 판형상전지(1a)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또, 케이스(50)을 구성하는 상부케이스(51) 및 하부케이스(52)가 모두 도전성이기 때문에, 케이스(50)이 전지코어(21)을 전자기적으로 차폐한다. 그 결과, 이 판형상전지(1f)가 휴대전화기의 회로기판 등에 근접해서 설치되어도 회로기판을 흐르는 고주파를 변조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더욱 신뢰성이 높은 판형상전지로 된다.
[실시예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판형상전지(1g)에서는 프린트기판(31)에 볼록부(55)와 부극단자(23a)의 양쪽에 접촉하는 배선(32a)가 설치되는 점에서, 배선(32)가 볼록부(55)와 접촉하고 있지 않는 도 7에 도시한 실시예6에 따른 판형상전지(1f)와 다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형상전지(1g)에서는 케이스(50)을 구성하는 상부케이스(51) 및 하부케이스(52)의 전위가 부극단자(23a)의 전위와 동일하고, 대략 일정하다.
이와 같은 판형상전지(1g)에서는 우선 도 7에서 설명한 실시예6의 판형상전지(1f)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51) 및 하부케이스(52)의 전위가 부극단자(23a)의 전위와 동일하게 되고, 일정하게 된다. 그 결과, 상부케이스(51) 및 하부케이스(52)가 휴대무선기의 회로기판과 용량결합을 하고 있는 경우에도 상부케이스(51) 및 하부케이스(52)의 전위가 일정하기 때문에 회로기판의 전위에 변동을 주는 일이 없다. 그 결과, 회로기판내를 흐르는 고주파를 변조하는 일이 없어 더욱 신뢰성이 높은 판형상전지로 된다.
[실시예8]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8에 따른 판형상전지(1h)에서는 볼록부(55)상의 구조가 도 7에 도시한 판형상전지(1f)와 다르다. 볼록부(55)상에는 프린트기판(27)이 탑재되어 있다. 프린트기판(27)상에「L」자형상의 부극단자(23c)가 마련되어 있다. 부극단자(23)은 전지코어(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부극단자(23c)상에는 접촉용 핀과 접촉하기 위한 부극단자(25)가 마련되어 있다. 부극단자(23c)는 용접부(28)에 의해 상부케이스(51)과 접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부케이스(51) 및 하부케이스(52)의 전위와 부극단자(23c)의 전위는 동일하게 되어 상부케이스(51) 및 하부케이스(52)의 전위가 대략 일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1h)에서는 우선 실시예7에서 설명한 판형상전지(1g)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또한, 단자대(34)를 마련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저하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9]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9에 따른 판형상전지(1i)에서는 지지판(58)상에 적층막(22)로 덮인 전지코어(21)이 탑재되어 있다. 전지코어(21)로부터는 부극단자(23a)가 연장하고 있다. 지지판(58)상에는 지지수단으로서의 프린트기판(27)을 개재시켜서 부극단자(23a)가 마련되어 있다. 정극단자(25)와 정극단자(23a)는 스폿용접에 의해 직접 접속되어 있다. 휴대전화기 등의 접촉용 핀이 정극단자(25)에 접촉하여 판형상전지(1i)에서 휴대전화기로 전력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1i)에 있어서도 실시예1에서 설명한 판형상전지(1a)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실시예10]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0에 따른 판형상전지(1j)에서는 전지코어(21)이 적층막(22)로 둘러싸여 있다. 적층막(22)는 상술한 실시예1부터 9의 것과 동일한 재질이지만 형상이 다르다. 즉, 한쪽의 적층막(22)는 대략 똑바로 연장하고, 다른쪽의 적층막(22)가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절곡되어 있다. 이 오목부에 전지코어(21)이 끼워 맞춰져 있다. 전지코어(21)에는 부극단자(23d)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부극단자(21d)는 전지코어(21)의 하단부로부터 연장하고 그의 선단이 구부려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지면의 뒤쪽에는 부극단자(23d)와 마찬가지 형상의 정극단자가 마련되어 있다. 정극단자도 전지코어(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적층막(22)를 덮도록 케이스(60)이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60)은 플라스틱제이고, 상부케이스(61)과 하부케이스(62)에 의해 구성된다. 상부케이스(61)과 하부케이스(62)는 서로 접속되어 있다. 상부케이스(61)에는 케이스창(63)이 마련되어 있다. 부극단자(23d)의 선단부는 지지수단으로서의 프린트기판(27)상에 탑재되어 있다. 부극단자(23d)상에는 또 부극단자(25)가 마련되어 있다. 부극단자(25)는 휴대전화기의 접속용 핀과 접촉하는 것이고, 금속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1j)에서도 실시예1에서 설명한 판형상전지(1a)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실시예11]
도 12를 참조하면, 휴대무선단말로서의 휴대전화기(100)은 전화기케이스(101), 이면케이스(102), 휴대전화의 회로기판으로서의 본체기판(103) 및 판형상전지(1a)를 구비한다.
전화기케이스(101) 및 이면케이스(102)에 본체기판(103)이 부착되어 있다. 이면케이스(102)에는 판형상전지(1a)가 부착되어 있다. 판형상전지(1a)와 본체기판(103)은 접촉용 핀(109)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체기판(103)에는 무선기용의 집적회로가 부착되어 있다. 이 집적회로에는 판형상전지(1a)에서 전력이 공급된다. 판형상전지(1a)는 도 2에 도시한 판형상전지(1a)와 마찬가지의 구조이다.
또, 도 12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지면의 뒤쪽에는 판형상전지(1a)의 정극단자 및 그 정극단자와 접촉하는 접촉용 핀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전화기(100)에서는 부극단자(35)가 프린트기판(31)을 거쳐서 볼록부(15)에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극단자(35)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부극단자(35)의 위치가 변화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부극단자(35)가 확실하게 위치 결정되어, 접촉용 핀(109)와의 접촉을 확실히 취할 수 있다. 그 결과, 접촉불량 등이 생기지 않아 신뢰성이 높은 휴대전화기로 된다.
[실시예12]
도 13을 참조하면, 판형상전지(2a)는 외장부재로서의 케이스(71),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요소로서의 전지코어(21) 및 피복부재로서의 적층막(22)를 구비한다. 케이스(71)은 적층막(22)의 하부에서 중앙부를 덮지만 적층막(22)의 상부는 덮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적층막(22)의 상반부는 케이스(71)에서 노출되어 있다.
적층막(22)에는 도 1의 전극봉지부(22f) 및 봉지부(22e)와 마찬가지의 전극봉지부(22f) 및 봉지부(22e)가 형성되어 있다. 판형상전지(2a)의 하측에는 적층막(22)의 양단이 압착되어 봉지부(22d)가 형성되어 있다. 봉지부(22d)는 전지코어(21)의 하면을 따르도록 연장하고 있다. 또, 봉지부(22d)는 전극봉지부(22f) 및 봉지부(22e)가 연장하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봉지부(22d)를 받아 들이기 위한 홈(도 13에서는 도시생략)이 케이스(71)에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71)은 알루미늄합금에 의해 구성된다. 케이스(71)은 큰 개구를 갖는 직방체형상이고, 그 개구에 적층막(22)와 전지코어(21)이 끼워 맞춰져 있다. 전지코어(21)은 실시예1의 도 1에 도시한 전지코어(21)과 마찬가지의 것이다. 전지코어(21)에는 봉지부(22d)가 연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정극단자(24a) 및 부극단자(23a)가 접속되어 있다. 정극단자(24a)상에는 금속제의 정극단자(26)이 고정되어 있다. 정극단자(26)은 휴대전화기의 접촉용핀과의 전기적인 접촉을 취하기 위한 부재이다. 부극단자(23a)상에는 금속제의 부극단자(25)가 고정되어 있다. 부극단자(25)는 휴대전화기의 접촉용핀과의 전기적인 접촉을 취하기 위한 부재이다.
정극단자(26) 및 부극단자(25)는 케이스(71)에 의해 덮여져 있지 않기 때문에, 휴대전화기의 접촉용핀이 이 정극단자(26) 및 부극단자(25)와 접촉하여 용이하게 전력을 얻을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판형상전지(2a)에서는 케이스(71)에는 적층막(22)에 의해 덮인 전지코어(21)이 탑재되어 있다. 케이스(71)에는 오목부로서의 홈(72)가 형성되어 있다. 전지코어(21)의 폭은 케이스(17)의 폭보다 작다. 전지코어(21)의 상반부는 케이스(71)에 의해 덮어져 있지 않다. 적층막이 서로 중첩된 봉지부(22d)는 케이스(71)의 홈(72)에 들어가 있다. 그 때문에, 이 홈(72)에 의해 적층막(22)와 케이스(71)이 접하고, 홈(7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도 케이스(71)의 내표면(71b)와 적층막(22)가 접촉하고 있다.
내표면(71b)는 홈(72)가 형성되는 부분 이외에서는 거의 곡률을 갖지 않은 평탄면이다. 내표면(71b)와 홈(72) 사이에서는 적층막(22)와 케이스(71)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있다. 케이스(71)의 상기 표면(71a)도 거의 곡률을 갖지 않은 평탄면이고, 내표면(71b)와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2a)에서는 봉지부(22d)가 홈(72)에 끼워 넣어져 있다. 그 때문에, 봉지부(22d)가 홈(72)에 접하고 봉지부(22d)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부분이 케이스(71)의 내표면(71b)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적층막(22)의 대부분의 면이 케이스(71)과 접촉하게 되어 적층막(22) 및 전지코어(21)이 케이스(71)에 의해 확실하게 위치결정된다. 또한, 홈(72)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상대적으로 적층막(22)의 두께가 두꺼운 봉지부(22d)가 오목부로서의 홈(72)에 끼워 넣어지므로 케이스(71)의 내표면(71b)에서 적층막(22)의 정상면까지의 높이 H2(=0. 2∼5. 7㎜)이 종래의 것에 비해 작아진다. 그 결과, 판형상전지(2a)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13]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3에 따른 판형상전지(2b)에서는케이스(71)의 내표면(71b)와 적층막(22) 사이에 양면테이프(74)가 마련되어 있다. 양면테이프(74)는 유기물에 의해 구성되고, 적층막(22)를 케이스(71)의 내표면(71b)에 대해 고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적층막(22)의 봉지부(72d)는 홈(72)에 끼워 넣어져 홈(72)의 표면과 접촉하고 있다.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판형상전지(2b)는 판형상전지(2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2b)에서는 우선 실시예(12)에 따른 판형상전지(2a)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또한, 적층막(22)와 외장부재로서의 케이스(71) 사이에 양면테이프(74)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더욱 강고하게 적층막(22)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14]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4에 따른 판형상전지(2c)에서는 홈(72)와 봉지부(22d) 사이에 양면테이프(74)가 마련되어 있다. 적층막(22)와 케이스(71)의 내표면(71b)는 접촉하고 있다. 양면테이프(74)는 홈(72)의 가장 깊은 부분에 마련되어 적층막(22)를 케이스(71)에 고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밖의 구성에 관해서는 판형상전지(2c)는 판형상전지(2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2c)에서 우선 실시예12에서 설명한 판형상전지(2a)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또한, 홈(72)내에 양면테이프(74)를 마련하기 때문에, 도 15에 도시한 판형상전지(2c)보다 외표면(71a)에서 적층막(22)의 정상면까지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더욱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15]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5에 따른 판형상전지(2d)는 전지코어(21), 적층막(22), 외장부재로서의 상부케이스(77) 및 하부케이스(75)를 구비한다. 적층막(22)는 전지코어(21)을 둘러싼다. 전지코어(21)과 적층막(22)를 상부케이스(77) 및 하부케이스(75)가 둘러싼다.
적층막(22)는 도 14에 도시한 적층막(22)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갖고, 양단부가 압착되어 봉지부(22d)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케이스(77)은 알루미늄합금에 의해 구성된다. 상부케이스(77)의 외표면(77a) 및 내표면(77b)는 곡률을 갖지 않는 거의 평탄한 면이다. 내표면(77b)는 적층막(22)와 직접 접촉하고 있고, 전지코어(21)에서 발생한 열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하부케이스(75)는 큰 개구부를 갖고, 이 개구부에 상부케이스(77)이 끼워 넣어져 있다. 상부케이스(77)과 하부케이스(75)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적층막(22)와 전지코어(21)이 위치 결정되어 있다. 하부케이스(75)의내표면(75b)에는 홈(76)이 형성되어 있다. 홈(76)은 지면의 앞쪽에서 뒤쪽방향을 향해 일직선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표면(75b)는 홈(76)이 형성되는 부분 이외에서는 곡률을 갖지 않는 평탄한 면으로 되어 있다. 내표면(75b)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표면(75a)는 곡률을 갖지 않는 대략 평탄한 면이다.
적층막(22)를 고정시키기 위한 양면테이프(74)가 내표면(75b)에 마련되어 있다. 양면테이프(74)는 홈(76)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양면테이프(74)는 지면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연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홈(76)의 양측에 양면테이프(74)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판형상전지(2d)를 휴대전화기에 장착할 때에는 하부케이스(75)를 휴대전화기의 본체로 향하게 하고, 상부케이스(77)을 휴대전화기의 덮개측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부케이스(75)를 휴대전화의 덮개측으로 향하게 하고, 상부케이스(77)을 휴대전화기의 본체로 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2d)에서는 우선 실시예12에 따른 판형상전지(2a)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또, 상부케이스(77)과 하부케이스(75)가 전지코어(21)을 덮고 있기 때문에, 상부케이스(77) 및 하부케이스(75)가 전지코어(21)을 전자기적으로 차폐한다. 그 결과, 전지코어(22)가 휴대전화기의 회로기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더욱 신뢰성이 높은 판형상전지로 된다. 또한, 적층막(22)가 양면테이프(74)에 의해 고정되므로, 적층막(22)가 강고하게 위치 결정된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실시예16]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6에 따른 판형상전지(2e)는 상부케이스(77)에 적층막(22)를 고정시키기 위한 양면테이프(74)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부케이스(77)의 내표면(77b)는 적층막(22)와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고, 내표면(77b)는 양면테이프(74)를 거쳐서 적층막(22)와 접촉하고 있다. 하부케이스(75)의 내표면(75b)는 적층막(22)와 직접 접촉하고 있다. 하부케이스(75)에 마련된 홈(76)도 적층막(22)의 봉지부(22d)와 직접 접촉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8에 도시한 판형상전지(2e)는 도 17에 도시한 판형상전지(2d)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2e)에서는 도 17에서 설명한 판형상전지(2d)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실시예17]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7에 따른 판형상전지(2f)에서는 하부케이스(75)의 홈(76)내에 적층막(22)를 고정시키기 위한 양면테이프(74)가 마련되어 있다. 적층막(22)의 봉지부(22d)는 홈(76)에 끼뭐 맞춰지고, 양면테이프(74)에 의해 하부케이스(75)에 고정된다. 하부케이스(75)의 홈(76) 이외에서는 내표면(75b)가 적층막(22)와 직접 접촉하고 있다. 상부케이스(77)의 내표면(77b)도 적층막(22)와 직접 접촉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 에 대해서는 도 19에 도시한 판형상전지(2f)는 도 17에 도시한 판형상전지(2 d)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2f)에서는 도 17에서 설명한 판형상전지(2d)와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또, 하부케이스(75)의 내표면(75b)와 적층막(22)가 직접 접촉하고 상부케이스(77)의 내표면(77b)와 적층막(22)가 직접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18]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8에 따른 판형상전지(2g)에서는 상부케이스(77)에 홈(76)이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하부케이스(75)에 홈(76)이 마련되어 있는 도 17∼도 19에 도시한 판형상전지(2d)∼(2f)와 다르다. 상부케이스(77)의 내표면(77b)에는 양면테이프(74)가 부착되어 있다.
양면테이프(74)는 상부케이스(77) 및 적층막(22)와 접촉하여 상부케이스(77)에 적층막(22)를 고정시킨다. 홈(76)은 봉지부(22d)를 구성하는 적층막(22)와 직접 접촉하고 있다. 하부케이스(75)의 내표면(75b)는 적층막(22)와 직접 접촉하고 있다. 상부케이스(77)이 휴대전화기의 본체측에 위치하고, 하부케이스(75)가 휴대전화기의 덮개측에 위치해도 좋다. 또 이것과는 반대로, 상부케이스(77)이 휴대전화기의 덮개측에 위치하고, 하부케이스(75)가 휴대전화기의 본체측에 위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2g)에 있어서는 실시예15에 따른 도 17에서 설명한 판형상전지(2d)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실시예19]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9에 따른 판형상전지(2h)에서는 하부케이스(75)의 내표면(75b)에 양면테이프(74)가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도 20에 도시한 판형상전지(2g)와 다르다. 하부케이스(75)의 내표면(75b)는 직접 적층막(22)와 접촉하고 있지 않고, 양면테이프(74)를 개재시켜서 적층막(22)와 접촉하고 있다. 상부케이스(77)의 내표면(77b)는 적층막(22)와 직접접촉하고 있다. 또, 홈(76)도 적층막(22)와 직접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2h)에서는 도 20에서 설명한 판형상전지(2g)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실시예20]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0에 따른 판형상전지(2i)에서는 상부케이스(77)의 홈(76)내에 양면테이프(74)가 마련되어 있다. 양면테이프(74)는 봉지부(22d)를 구성하는 적층막(22)를 상부케이스(77)에 대해 고정시킨다. 홈(76)의 표면은 직접 적층막(22)와 접촉하고 있지 않고, 양면테이프(74)를 거쳐서 적층막(22)와 접촉하고 있다. 상부케이스(77)의 내표면(77b)는 홈(76)이 형성되는 부분 이외에서는 적층막(22)와 직접 접촉하고 있다. 또, 하부케이스(75)의 내표면(75b)와 적층막(22)가 직접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2i)에서는 도 19에서 설명한 판형상전지(2f)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실시예21]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1에 따른 판형상전지(2j)에서는 상부케이스(77)의 외표면(77a)가 곡률을 갖고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도 22에 도시한 판형상전지(2i)와 다르다.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도 23에 도시한 판형상전지(2j)는 도 22에 도시한 판형상전지(2i)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2j)에서는 우선 도 22에서 설명한 판형상전지(2j)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또, 상부케이스(77)의 외표면(77a)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부케이스(77)을 휴대전화기의 덮개측으로 하면, 사람이 휴대전화를 잡는 부분이 외표면(77a)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매끄러운 곡면으로 된다. 그 때문에, 휴대전화기를 들기 쉽게 된다. 또한, 상부케이스(77)이 외측으로 볼록으로 되는 곡면형상의 외표면(77a)를 갖기 때문에, 상부케이스(77)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상부케이스(77)의 강도를 높일 수 있어 더욱 신뢰성이 높은 판형상전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판형상전지에 있어서는 양면테이프(74)는 홈(76)내에 형성되었지만, 홈(76) 이외의 상부케이스(77)의 표면에 형성해도 좋다. 또, 하부케이스(75)의 내표면(75b)에 양면테이프(74)를 마련해서 적층막(22)를 고정시켜도 좋다.
[실시예22]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2에 따른 판형상전지(2k)에서는하부케이스(75)의 내표면(75b)가 곡률을 갖고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하부케이스(75)의 외표면(75a)가 곡률을 갖고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양면테이프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도 17에 도시한 실시예15에 따른 판형상전지(2d)와 다르다.
하부케이스(75)의 외표면(75a)는 휴대전화기의 덮개측 즉 사람이 손으로 잡는 측에 따르는 형상으로 된다. 내표면(75b)는 적층막(22)내의 전지코어(21)이 가열되어, 적층막(22)가 팽창했을 때에 그 팽창한 적층막(22)를 따르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적층막(22)와 내표면(75b)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지는 것에 의해, 전지코어(21)이 팽창했을 때에도 하부케이스(75)가 폭발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적층막(22)와 상부케이스(77) 사이에 양면테이프를 개재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2k)에 있어서는 우선 실시예15에 따른 도 17에서 설명한 판형상전지(2d)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또한, 전지코어(21)이 급격히 발열해서 적층막(22)가 팽창한 경우에도 적층막(22)와 하부케이스(75)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하부케이스(75)가 폭발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더욱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외표면(75a)가 사람이 손으로 잡는 부분에 적합한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더욱 잡기 쉽게 된다.
[실시예23]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3에 따른 판형상전지(21)에서는 상부케이스(77)과 적층막(22) 사이에 폭발방지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하부케이스(75)와 적층막(22) 사이에 폭발방지용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도 24에 도시한 판형상전지(2i)와 다르다.
상부케이스(77)의 내표면(77b)는 곡률을 갖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적층막(22)의 일부분이 상부케이스(77)과 접촉하고 있다. 상부케이스(77)의 내표면에 있어서 중앙부분은 곡률이 작고, 단부에 근접함에 따라곡률이 커진다. 상부케이스(77)의 내표면(77b)의 형상은 전지코어(21)이 급격히 발열하여 적층막(22)가 팽창했을 때의 적층막(22)의 형상에 일치하게 된다.
하부케이스(75)의 내표면(75b)와 적층막(22)는 직접 접촉하고 있다. 하부케이스(75)의 홈(76)에 봉지부(22d)가 끼워맞춰진다. 봉지부(22d)는 홈(76)에 직접 접촉하고 있다. 하부케이스(75)의 내표면(75b)와 적층막(22) 사이에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개재시켜도 좋다. 또, 홈(76)의 표면과 봉지부(22d)를 구성하는 적층막(22) 사이에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개재시켜도 좋다. 또한, 상부케이스(77)의 외표면(77a)에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곡률을 갖게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21)에 있어서는 우선 도 24에서 설명한판형상전지(2k)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실시예24]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4에 따른 판형상전지(2m)에서는 상부케이스(77) 및 하부케이스(75)와 적층막(22) 사이에 폭발방지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판형상전지(2k) 및 (2l)과 다르다.
하부케이스(75)의 외표면(75a)가 곡률을 갖는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내표면(75b)도 곡률을 갖는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외표면(75a)는 휴대전화의 덮개 부분 즉 사람이 손으로 잡는 부분을 따르도록 형성된다. 내표면(75b)는 전지코어(21)이 발열해서 적층막(22)가 팽창했을 때의 그 팽창한 적층막(22)의 형상에 일치되어 있다.
상부케이스(77)의 내표면(77b)는 곡률을 갖는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내표면(77b)의 형상은 팽창한 적층막(22)의 형상과 동일하게 된다. 또, 외표면(77a)는 곡률을 갖지 않는 평탄한 면이지만 하부케이스(75)의 외표면(75a)와 마찬가지로 외측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2m)에 있어서는 우선 도 24에서 설명한 판형상전지(2k)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77)의 내표면(77b)와 하부케이스(75)의 내표면(75b)는 각각 팽창한 적층막(22)의 형상과 동일하도록 형성되므로, 상부케이스(77) 및 하부케이스(75)가 폭발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더욱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25]
도 2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5에 따른 판형상전지(2n)은 케이스(80)을 갖는다. 케이스(80)은 6평면에 의해 구성되는 직방체형상이다. 케이스(80)은 알루미늄합금에 의해 구성된다. 직방체의 가장 넓은 면에는 장방형상의 케이스창(13)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창(13)으로부터는 판형상전지(2n)을 구성하는 적층막(22)가 보이고 있다. 케이스(80)의 바닥부에는 볼록부(85)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85)상에는 프린트기판(31)이 탑재되어 있다.
도 2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5에 따른 판형상전지(2n)은 전지코어(21), 전지코어(21)을 덮는 적층막(22), 전지코어(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부극단자(23a) 및 (35), 정극단자(24a) 및 (39)와 이들을 덮는 케이스(80)을 구비한다.
도 27b에 도시한 판형상전지(2n)이 도 1b에 도시한 판형상전지(1a)와 다른 점은 케이스(80)의 재질이 알루미늄합금제인 점, 봉지부(22d)가 전지코어(21)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점 및 봉지부(22d)를 받아 들이는 홈(도 27b에서는 도시생략)이 케이스(80)에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7b에 도시한 판형상전지(2n)은 도 1b에 도시한 판형상전지(1a)와 동일하다.
도 28을 참조하면, 판형상전지(2n)이 도 2에 도시한 판형상전지(1a)와 다른 점은 상부케이스(81), 하부케이스(82) 및 볼록부(85)가 알루미늄합금제인 점, 상부케이스(81)과 적층막(22)의 수지층(22a)가 접촉하고 있는 점 및 부극단자(32a)가 하부케이스(82)의 볼록부(8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점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판형상전지(2n)은 전지코어(21), 전지코어(21)을 덮는 적층막(22), 이들을 덮는 상부케이스(81) 및 하부케이스(82)를 갖는다. 상부케이스(81)과 하부케이스(82)는 직접 접촉하고 있고, 상부케이스(81)이 하부케이스(82)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상부케이스(81)과 하부케이스(82)로 둘러싸인 부분에는 적층막(22)로 둘러싸인 전지코어(21)이 위치 결정되어 있다. 적층막(22)의 양단부가 중첩되어 형성된 봉지부(22d)가 하부케이스(82)의 홈(83)에 끼워 맞춰진다. 또한, 홈(83)은 지면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양면테이프(84)도 이 홈(83)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홈(83)의 표면과 봉지부(22d)를 구성하는 적층막(22)가 양면테이프(8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홈(83)의 표면과 적층막(22)의 표면은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고, 양면테이프(84)를 개재시켜서 접촉하고 있다. 하부케이스(82)의 내표면(82b)는 홈(83)이 형성되는부분 이외에서는 곡률을 갖지 않는 대략 평탄한 면이고, 적층막(22)에 직접 접촉하고 있다. 하부케이스(82)의 외표면(82a)는 곡률을 갖지 않는 대략 평탄한 면이다. 상부케이스(81)의 내표면(81a) 및 (81b)는 각각 곡률을 갖지 않는 평탄한 면이다. 외표면(81a) 및 (82a)와 내표면(81e) 및 (82b)는 각각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양면테이프를 홈(83) 이외의 하부케이스(82)의 내표면(82b) 또는 상부케이스(81)의 내표면(81b)에 마련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형상전지에서는 우선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한 판형상전지(1a)와 마찬가지로 부극단자(35)가 볼록부(15)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부극단자(35)와 휴대전화기의 접촉용 핀를 접촉시켜도 부극단자(35)가 이동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촉을 유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판형상전지로 된다.
또, 상부케이스(81) 및 하부케이스(82)가 도전성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위가 일정값(부극단자(23a)와 동일 전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케이스(81) 및 하부케이스(82)가 전지코어(21)을 전자기적으로 차폐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 결과, 휴대전화기의 본체회로를 흐르는 고주파를 변조하는 일이 없어 더욱 신뢰성이 높은 판형상전지로 할 수 있다.
또,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82)에는 봉지부(22d)를 끼워 맞추기 위한 홈(84)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적층막(22)를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판형상전지(2n) 자체를 소형화 할 수 있다.
금회 개시한 실시예는 여러가지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부극단자 및 정극단자의 구조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대 상에 단자를 탑재한 것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극 또는 정극단자상에 직접 부극단자 또는 정극단자를 취하는 구조를 도시하였다. 이들 2개의 구조는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적용할 수 있다.
또, 볼록부로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볼록부(15)와 상대적으로 높은 볼록부(17)을 개시하였다. 이들 2종류의 볼록부는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적용할 수 있다.
또, 실시예4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를 온도검출기(42)로 구성하고 그 아래에 금속판(41)을 마련했지만, 이 구조를 모든 실시예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실시예11의 도 12에서는 판형상전지(1a)를 사용한 휴대전화기(100)을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의 판형상전지(1b)∼(1j) 및 (2a)∼(2n)을 휴대전화기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휴대무선단말로서는 휴대전화기를 설명했지만, 휴대무선단말로서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에 본 발명의 판형상전지를 장착해도 좋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리튬전지로서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리튬전지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니켈 카드뮴전지 등에 적용해도 좋다. 또, 1차전지 및 2차전지 중 어디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적층막과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를 접속하는 수단으로서 양면테이프를 사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접착제 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적층막(22)의 일부를 녹여서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에 접속해도 좋다.
또, 케이스의 재질로서는 철, 티탄, 동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전극단자에 금도금 등의 도금을 실시해도 좋다.
본 발명의 판형상전지는 휴대전화기 또는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퍼스널 컴퓨터, 더 나아가서는 통상의 무선기 등에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

  1.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요소(21)에 접속되고, 상기 발전요소(21)의 대략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는 정극단자(24a, 26, 39) 및 부극단자(23a, 23b, 23c, 25, 35),
    상기 발전요소(21)을 봉지하고 포장형상으로 형성된 피복부재(22) 및
    상기 발전요소(21)에서 외측으로 연장한 상기 정극단자(24a, 26, 39) 또는 부극단자(23a, 23b, 23c, 25, 35)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5, 17, 55, 85)를 구비한 판형상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5)는 온도검출기(42)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요소(21)에서 상기 온도검출기(42)로 열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피복부재(22)와 상기 온도검출기(42)를 접속하는 전열부재(41)을 더 구비한 판형상전지.
  3.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요소(21)을 봉지하고, 하나의 부분과 다른 부분이 중첩되어 봉지부(22d)를 형성하는 포장형상의 피복부재(22) 및
    상기 봉지부(22d)를 받아 들이기 위한 오목부(72, 76, 83)을 갖는 외장부재(71, 75, 77, 80)을 구비한 판형상전지.
KR1020017010084A 1999-12-17 1999-12-17 판형상전지팩 및 휴대무선단말 KR100572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7132 WO2001045184A1 (en) 1999-12-17 1999-12-17 Flat battery pack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195A true KR20010108195A (ko) 2001-12-07
KR100572743B1 KR100572743B1 (ko) 2006-04-25

Family

ID=1423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084A KR100572743B1 (ko) 1999-12-17 1999-12-17 판형상전지팩 및 휴대무선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44105B1 (ko)
EP (1) EP1160895A1 (ko)
JP (1) JP3920096B2 (ko)
KR (1) KR100572743B1 (ko)
CN (1) CN1186828C (ko)
WO (1) WO20010451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650A (ko) * 2016-10-18 2018-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78441C (zh) * 2000-10-20 2006-10-04 麻省理工学院 孔隙度受控的网状的电池结构
US7579112B2 (en) * 2001-07-27 2009-08-25 A123 Systems, Inc. Battery structures, self-organizing structures and related methods
US7387851B2 (en) 2001-07-27 2008-06-17 A123 Systems, Inc. Self-organizing battery structure with electrode particles that exert a repelling force on the opposite electrode
JP4228177B2 (ja) * 2002-04-24 2009-02-25 日本電気株式会社 二次電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ッテリー
US7338733B2 (en) * 2002-04-30 2008-03-04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AU2003259271A1 (en) * 2002-07-26 2004-02-16 A123 Systems, Inc. Bipolar articles and related methods
JP2006035942A (ja) * 2004-07-23 2006-02-09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電源装置
KR100601511B1 (ko) 2004-09-24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폴리머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4961669B2 (ja) * 2005-01-31 2012-06-27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池パック構造
US8852791B2 (en) * 2005-03-28 2014-10-07 Samsung Sdi Co., Ltd.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sleeve and method of fabricating
US20090202903A1 (en) 2007-05-25 2009-08-1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atteries and electrodes for use thereof
CN101437370B (zh) * 2007-11-14 2012-06-1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内置式电池装置及其与电路板的组装方法
KR100973311B1 (ko) * 2008-01-24 2010-07-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EP2276043B1 (en) * 2008-03-18 2012-11-21 Taiyo Yuden Co., Ltd. Electrochemical device
US9065093B2 (en) 2011-04-07 2015-06-2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ntrolled porosity in electrodes
JP5788272B2 (ja) * 2011-09-09 2015-09-30 太陽誘電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
US9357655B2 (en) 2012-07-24 2016-05-31 Nook Digital, Llc Apparatus for efficient wire routing in a device
US9209441B2 (en) 2013-01-24 2015-12-08 Nook Digital, Llc Method for split wire routing in a cavity for a device
US9144171B2 (en) 2013-01-24 2015-09-22 Nook Digital, Llc Apparatus for split wire routing in a bracket for a device
US10569480B2 (en) 2014-10-03 2020-02-2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ore orientation using magnetic fields
US10675819B2 (en) 2014-10-03 2020-06-0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agnetic field alignment of emulsions to produce porous articles
JP7259202B2 (ja) * 2018-03-08 2023-04-18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電池パック及び電子機器
WO2021245780A1 (ja) * 2020-06-02 2021-12-09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23150576A (ja) * 2022-03-31 2023-10-16 株式会社Aescジャパン 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1964U (ko) * 1987-04-28 1988-11-09
US4904549A (en) * 1988-11-04 1990-02-27 Motorola, Inc. Battery housing with integral latch and positive displacement apparatus
JPH0298463U (ko) 1989-01-23 1990-08-06
JPH02274128A (ja) 1989-04-17 1990-11-08 Fujitsu Ltd 電子機器の電池ケース
JPH0741966U (ja) 1993-12-27 1995-07-2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3190854B2 (ja) * 1997-05-23 2001-07-23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充電器
JP3412471B2 (ja) * 1997-09-18 2003-06-03 エフ・ディ−・ケイ株式会社 電池パック用ケース
JPH11111250A (ja) 1997-10-06 1999-04-23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 池
EP1995819B1 (en) * 1998-09-11 2011-07-13 Panasonic Corporation Battery pack with protective circuit
JP3829502B2 (ja) * 1998-10-30 2006-10-04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650A (ko) * 2016-10-18 2018-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45184A1 (en) 2001-06-21
US6844105B1 (en) 2005-01-18
CN1186828C (zh) 2005-01-26
CN1348611A (zh) 2002-05-08
JP3920096B2 (ja) 2007-05-30
EP1160895A1 (en) 2001-12-05
KR100572743B1 (ko) 200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2743B1 (ko) 판형상전지팩 및 휴대무선단말
KR100390971B1 (ko) 판형상 전지 및 전자기기
KR101603333B1 (ko) 전지 팩 및 전지 팩 외부 케이싱
US20090154048A1 (en) Protective circuit board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KR100973311B1 (ko) 배터리 팩
JP3503516B2 (ja) 薄型電池、電子機器及び薄型電池の製造方法
US8962178B2 (en) Battery pack
JP2006004882A (ja) 二次電池およびパック電池
JP2002367574A (ja) 電池および携帯端末
JP2002324524A (ja)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77426A (ja) 電 池
CN213150965U (zh) 电池和使用电池的装置
JP3579621B2 (ja) 電池パック
JP3940255B2 (ja) 電池および携帯機器
JP3514707B2 (ja) 電 池
CN217641647U (zh) 一种电池的保护板组件、电池以及电子设备
US20040161664A1 (en) Plate shaped battery pack and portable radio terminal
JP2001035465A (ja) 扁平電池のパック構造
JP2001319679A (ja) 電 池
JP3893221B2 (ja) 接続リードの接合方法及びこの接合方法を用いた電池パック
JP3636897B2 (ja) 電池パック
JP3834173B2 (ja) 板状電池
JP4073619B2 (ja) 電池パック
JPH04286859A (ja) 偏平型電源素子
JP3864041B2 (ja) 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212

Effective date: 200601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