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5298A - 유기 발광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예비-도핑된 물질을사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예비-도핑된 물질을사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5298A
KR20010105298A KR1020010027480A KR20010027480A KR20010105298A KR 20010105298 A KR20010105298 A KR 20010105298A KR 1020010027480 A KR1020010027480 A KR 1020010027480A KR 20010027480 A KR20010027480 A KR 20010027480A KR 20010105298 A KR20010105298 A KR 20010105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organic
layer
do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쉬지안민
Original Assignee
로버트 디. 크루그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 디. 크루그,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filed Critical 로버트 디. 크루그
Publication of KR20010105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2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4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vacuum deposi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30Doping active layers, e.g. 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4Carbocyclic compounds bridged by heteroatoms, e.g. N, P, Si or B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10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 H10K2102/101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 H10K2102/103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comprising indium oxides, e.g. ITO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21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 H10K85/324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comprising aluminium, e.g. Alq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2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four rings, e.g. pyr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3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five rings, e.g. pent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6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more than one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rings, e.g. bis-anthr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호스트 물질 및 하나 이상의 발광 유기 도펀트 물질을 포함하는 증착가능한 균질 고체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균질 고체 혼합물을 증착시켜서 유기 발광 디바이스내에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비-도핑된 유기 발광 물질을 증착시켜서 유기 발광 디바이스내에 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예비-도핑된 물질을 사용하는 방법{METHOD OF USING PREDOPED MATERIALS FOR MAKING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디바이스, 구체적으로는 예비-도핑된 유기 물질을 사용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t, EL) 디바이스 또는 유기 내부 접합(internal junction) 발광 디바이스로도 지칭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는, 전위차를 전극 전반에 걸쳐 적용하면 전자기적 방사선, 전형적으로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구조물(또한 유기 EL-매체로서도 지칭됨)에 의해 분리되는 이격된 전극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구조물은 광을 효율적으로 생성시킬 수 있어야 할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형태의 제조가 가능해야 하고(즉 핀홀(pinhole) 및 입자 결함이 없어야 하고) 제조를 촉진시켜서 작업을 지지하기에 충분히 안정적이어야 한다.
초기의 유기 EL 디바이스는 멜(Mehl) 등의 미국 특허 제 3,530,325 호 및 윌리엄즈(Williams)의 미국 특허 제 3,621,321 호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이 단일 결정의 유기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단일 유기 결정 EL 디바이스는 비교적 제작하기 어려웠으며, 또한 상기 디바이스 자체를 박막 구조로 쉽게 제조할 수 없었다.
최근, 바람직한 유기 EL 디바이스가 박막 증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디바이스 지지체로서 양극을 사용하여, 유기 EL-매체를 박막의 조합물로서 증착시킨 후 역시 박막 증착법에 의해 형성된 음극을 증착시켜 형성시켰다. 따라서, 양극 구조물로부터 시작하여, 박막 증착 기술에 의해 유기 EL 디바이스의 모든 활성 구조물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박막"이라는 용어는 두께 5 ㎛ 미만의 층 두께를 지칭하며, 전형적으로는 약 2 ㎛ 미만의 층 두께를 갖는다.
유기 EL-매체를 형성하는 박막의 조합은 양극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유기 정공-수송 층, 및 상기 정공-수송 층 위에 배치되어 음극과 접촉하는 유기 전자-수송 층을 포함한다. 광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위를 적용함에 따라 유기 층 사이의 계면에서 또는 그에 근접하게 내부 접합부로부터 방출되어서, 음극이 양극보다큰 음(-)의 포텐셜을 갖는다. 방출된 광은 유기 전자-수송 층 및 정공-수송 층을 형성시키기 위해 선택된 물질의 분자적 특성에 의해 좌우되는 파장의 분광 분포를 갖는다.
방출된 광의 색 또는 색조, 즉 분광 분포는, 박막 증착 동안 "도펀트"를 전자-수송 층내로 도입시킴으로써 변성되어서, 도핑된 발광 대역이 전자-수송 층과 정공-수송 층 사이의 계면에서 또는 그에 근접하게 형성될 것이다. 이러한 도펀트는, 비도핑된 층 구조물의 계면-접합부에서 발생되는 광에 의해 여기될 때, 발광 물질을 특징으로 하는 광을 방출하도록 자극을 받는 발광 물질이다.
유사하게는, 유기 EL-매체가 3개 이상의 유기 박막으로 구성되는 경우, 유기 발광 박막은 유기 정공-수송 층과 유기 전자-수송 층 사이에 배치된 도핑된 층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핑된 발광 층으로부터의 발광 효율 또는 층의 도핑된 발광 대역으로부터의 발광 효율은, 실질적으로 유기 호스트 물질의 선택, 유기 도펀트 물질의 선택, 상기 호스트 물질의 층내의 상기 도펀트의 농도, 및 상기 도펀트가 상기 호스트 물질의 층내에서 "분자적으로 분산될 수 있는" 균일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들 요인을 적절히 고려하면, 약 0.01 내지 수 몰%, 전형적으로 0.01 내지 1 몰%의 도펀트 농도로 유기 발광 층을 통해 균질하게 분산된 발광 도펀트를 갖는 효율적인 유기 발광 디바이스가 구성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유기 발광 디바이스의 도핑된 발광 층은 2개의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증착 소오스, 즉 호스트 물질을 제공하는 증착 소오스 및 도펀트 물질을 제공하는 증착 소오스로부터의 동시-증착에 의해 형성되었다. 도핑된 유기 발광 층을 형성하는데 유용한 증착법에서, 형성될 호스트 층내의 발광 도펀트의 농도는 도펀트 증착 소오스로부터의 도펀트 물질의 증발율을 제어하고, 호스트 증착 소오스로부터의 호스트 물질의 증착율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되었다. 이렇게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동시-증착법은 연구 및 디바이스 개발 환경에서 발광의 허용가능한 효율을 갖는 도핑된 유기 발광 디바이스를 제조하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전술된 동시-증착법에는 하기의 2개 이상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i) 특히 도펀트의 0.01 내지 0.1 몰%의 비교적 낮은 농도 수준이 호스트 물질의 도핑된 층내에 혼입되는 경우, (호스트 물질과 도펀트 물질의) 증착율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어렵다는 점; 및
(ii) 동시-증착 소오스 각각이 디바이스의 미리 형성된 유기 층 위에 층 형성을 개시하기 전에 원하는 증기 플럭스로 활성화되고 조정되어야 하는 물질 이용 측면에서, 동시-증착법이 비교적 낭비적이라는 점. 통상적으로, 기계 셔터(shutter)는 호스 물질의 증기 플럭스와 도펀트 물질의 증기 플럭스를 조정하는데 필요한 시간까지 디바이스를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물질의 낭비는 디바이스의 비용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증착 시스템의 유지에 대한 어려움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나열된 종래 기술의 단점을 최소화하는 예비-도핑된 유기 층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런 목적은, (a)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호스트 물질 및 하나 이상의 발광 유기 도펀트 물질을 포함하는 증착가능한 균질 고체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균질 고체 혼합물을 증착시켜서 유기 발광 디바이스내에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비-도핑된 유기 발광 물질을 증착시켜서 유기 발광 디바이스내에 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단일 증착 소오스를 사용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단일 증착 소오스를 사용하면, 디바이스 사이에 견실함을 갖는 유기 예비-도핑된 층이 유기 발광 디바이스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일 증착 소오스를 사용하면, 단일 증착 소오스로부터의 예비-도핑된 유기 물질은 선택된 도펀트 농도를 갖는 유기 발광 층을 형성시키기에 효과적인 방식을 제공한다.
도 1은 도핑된 발광 층을 갖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의 개략적 단면도로서, 여기서 광은 양극과 기판을 통해 방출된다.
도 2는 2개의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증착 소오스를 사용하여 도핑된 발광 층을 형성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 증착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단일 증착 소오스를 사용하여 예비-도핑된 유기 발광 물질로부터 도핑된 발광 층을 형성하는 진공 증착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기 발광 디바이스 12 - 기판
14 - 정공-주입 양극 16 - 전자-주입 음극
20 - 유기 EL-매체 구조 22 - 유기 정공-수송 층
23 - 계면 발광 접합부 24 - 유기 발광 층
24D - 발광 도펀트 물질 24g - 성장하는 발광 층
24H- 유기 발광 호스트 물질 26 - 유기 전자-수송 층
30 - 유도 전압 소오스 34, 36 - 리드
40 - 방출된 광 100 - 증착 시스템
102 - 진공 펌프 104 - 밸브
110 - 베이스 판 111 - 챔버
112 - 펌핑 포트(pumping port) 114 - 스페이서
116 - 플랫폼 120, 130 - 전원
140 - 호스트 물질 증발 소오스 142, 152 - 가열 요소
150 - 도펀트 물질 증발 소오스 160 - 증발 소오스
162 - 가열 요소 170, 180 - 증기 플럭스 검출기
172, 182 - 증착율 모니터 VD- 도펀트 증기 스트림
도 1은 광-전달 정공-주입 양극(14)이 형성된 광-전달 기판(12)을 갖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10)의 도시예이다. 기판(12)은 유리 또는 수정일 수 있고, 양극(14)은 기판(12) 위에 형성된 인듐 주석 산화물(ITO)의 박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EL-매체 구조(20)는 양극(14) 위에 형성된 유기 정공-수송 층(22), 유기 발광 층(24) 및 유기 전자-수송 층(26)으로 구성된다. 전자-주입 음극(16)은 전자-수송 층(26) 위에 형성된다.
발광 층(24)은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호스트 물질(24H), 및 상기 호스트 물질(24H)내에 선택된 농도로 미세하게 분사된 하나 이상의 발광 도펀트 물질(24D)로구성된다. 발광 층(24)의 호스트 물질(24H)은 전자-수송 층(26)에서와 같이 그들을 통해 전자를 수송할 수 있다. 계면 발광 접합부(23)는 정공-수송 층(22)과 발광 층(24) 사이의 계면에서 또는 그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유기 발광 디바이스(10)는 전자-주입 음극(16)과 정공-주입 양극(14) 사이에 전위를 적용하여 상기 음극(16)이 상기 양극(14)에 비해 큰 음(-)의 포텐셜이도록 작동된다. 이런 경우, 전자(음으로 하전된 담체)는 음극(16)으로부터 전자-수송 층(26)내로 주입된다. 동시에, 정공(양으로 하전된 담체)은 양극(14)으로부터 유기 정공-수송 층(22)내로 주입된다. 전자 및 정공은 내부 접합부(23)에서 또는 그에 근접하게 조합된다. 이런 전자-정공 조합은 접합부(23)에 근접한 영역으로부터의 발광을 초래한다. 전위는 리드(36)에 의해 음극(16)과 연결되고 리드(34)에 의해 양극(14)과 연결된 유도 전압 소오스(30)에 의해 제공된다. 유도 전압 소오스(30)는 직류 전압 소오스, 펄스된 전압 소오스 또는 교류 전압 소오스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유도 전압 소오스 조건하에서, 방출된 광(40)은 접합부(23)에서 또는 그에 근접하게 생성하고, 정공-수송 층(22), 광-전달 양극(14) 및 광-전달 기판(12)을 통해 관측자로 향하는 것으로 도식적으로 나타난다.
방출된 광(40)의 색 또는 색조는 하나 이상의 발광 유기 도펀트 물질(24D)을 발광 층(24)의 호스트 물질(24H)내에 혼입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발광 호스트 물질(24H)은 예컨대 가시 스펙트럼의 청색 영역과 같은 분광 영역에서 도펀트 물질(24D)의 부재하에서 발광하도록 선택된다. 발광 도펀트 물질(24D)의 존재하에서, 호스트 물질(24H)로부터의 발광에 상응하는 에너지는 도펀트물질(24D)로 이동된 후, 발광 도펀트 물질(24D)의 특징적인 분광 영역, 일반적으로 예컨대 녹색 분광 영역에서의 광, 황색 분광 영역에서의 광 또는 적색 분광 영역에서의 광과 같이 더욱 낮은 에너지에 상응하는 분광 영역에서 광을 방출시킨다.
EL-매체 구조(20)의 층(22, 24 및 26)을 형성하는 유기 물질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고 있는 통상-양도된 미국 특허 제 4,356,429 호, 제 4,539,507 호, 제 4,720,432 호, 제 4,885,211 호, 제 4,769,292 호, 제 5,047,687 호, 제 5,059,862 호 및 제 5,061,569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통상의 유기 발광 디바이스의 물질, 층의 구조 및 바람직한 층의 두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특히 바람직한 유기 발광 호스트 물질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고 있는 통상-양도된 미국 특허 제 5,935,721 호 및 제 5,972,247 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바람직한 태양에서, 유기 발광 호스트 물질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 R1및 R2는 각각 개별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24의 알킬; 탄소수 1 내지 24의 알콕시; 탄소수 5 내지 20의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탄소수 5 내지 24의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탄소수 4 내지 12의 융합된 아릴 그룹;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시아노 그룹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서, 유기 발광 호스트 물질은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6이고,
R1및 R2는 개별적으로 탄소수 5 내지 20의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탄소수 5 내지 24의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또는 탄소수 4 내지 12의 융합된 아릴 그룹이고,
R은 수소 및 탄소수 1 내지 24의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전자-주입 음극(16)뿐만 아니라 유기 층(22, 24 및 26)은 잘 공지된 증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별히 하나 이상의 발광 호스트 물질(24H) 및 하나 이상의 발광 도펀트 물질(24D)을 포함하는 발광 층(24)에 있어서, 이러한 도핑된 발광 층의 증착법은 지금 종래의 증착법으로서 기술될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증착 시스템(100)은 챔버(111)내에 위치한 요소를 상기 챔버 외측에 위치한 요소 또는 부품과 연결시키기 위한 피드-쓰루(feed-through)(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갖는 챔버(111) 및 베이스 판(110)을 갖는다. 진공 펌프(102)는 밸브(104) 및 베이스 판(110)내에 배치된 펌핑 포트(112)를 통해 챔버(111)의 내측을 예컨대 10-6Torr의 기초 압력으로 진공시키는데 사용된다. 플랫폼(116)은 스페이서(114)에 의해 베이스 판(110)으로부터 이격된다. 호스트 물질(H)을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 증발 소오스(140)는 플랫폼(116) 위에 위치되고, 도펀트 물질(D)을 포함하는 도펀트 물질 증발 소오스(150)는 동일한 플랫폼(116) 위에 위치된다. 호스트 물질 증발 소오스(140)는 그의 외측에 배치된 가열 요소(142)를 갖는 콘테이너로서 도식적으로 도시되고, 상기 가열 요소(142)는 이를 가열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는 전원(120)과 연결되고, 이로써 증발 소오스(140)내의 호스트 물질(H)을 데쉬선으로 표시한 VH에서 증기 스트림을 제공하도록 (통상적으로 승화와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증발시키는 온도로 가열시킨다. 호스트 증기 스트림(VH)은 증기 플럭스 검출기(180)에 의해 검출되고, 증착율 모니터(182) 상에 나타난다.
도펀트 물질 증발 소오스(150)는 전원(130)과 연결된 가열 요소(152)에 의해 외측상에 둘러싸이고, 상기 가열 요소(152)를 가열하도록 제어되고, 따라서 도펀트 물질(D)이 (통상적으로 승화법에 의해) 증발하는 온도로 승온시켜서 점선의 VD에서도펀트 증기 스트림을 제공한다. 도펀트 증기 스트림(VD)은 증기 플럭스 검출기(170)에 의해 측정되고, 증착율 모니터(172) 상에 표시된다.
증기 스트림(VH, VD)은 챔버(111)내의 중심 영역내에서 중첩되고, 기판(12)은 챔버(111)의 상면 상의 이런 중첩 영역내에 배치된다. 기판(12)은 도 1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양극(14) 및 미리 형성된 정공-수송 층(22)을 갖는다. 성장하는 발광 층(24g)은 정공-수송 층(22)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식적으로 나타난다.
증기 스팀(VD)이 2개의 독립적으로 제어된 증발 소오스로부터의 이런 동시-증착으로 성장하는 발광 층(24g)의 호스트 물질(H)내의 선택된 농도의 도펀트에 상응하도록 전원(120 및 130) 각각이 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제어로는 0.01 내지 0.5 몰%의 신뢰할만하고 특히 비교적 낮은 원하는 도펀트 농도를 달성하기란 어려웠다.
증발 소오스(140 및 150)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다수의 상이한 구조의 증발 소오스가, 증착법에 의해 층을 형성시키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안정한 증기 스트림(VH, VD)의 달성이 필요함에 따라 이런 시간 동안 기판을 덮고 있고, 이후에 도핑된 발광 층이 증착되도록 개방되는 셔터(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사용하는 것도 잘 공지되어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증착 시스템(100)은 도 2에 대해 기술된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숫자는 해당 부품을 지칭하는 것으로, 도 3의 시스템(100)에서는 이러한 유사 부품에 대해 추가로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증착 시스템(100)은, H+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예비-도핑된 물질의 균질 혼합물을 함유하기 위한 단일 증발 소오스(160)만을 갖는다. 증발 소오스(160)는 가열 요소(162)를 가열시키고, 이로 인해 예비-도핑된 물질(H+D)이 데쉬선과 점선으로 도시된 증기 스트림(VH+D)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증발되는 온도로 상기 예비-도핑된 물질을 가열시키기 위해 조정가능한 전원(130)과 연결된 가열 요소(162)에 의해 둘러싸여 진다. 증기 시스템(VH+D)은 증기 플럭스 검출기(170)에 의해 검출되고, 증착율 모니터(172)상에 표시된다.
균질 혼합물(H+D)은 하나 이상의 호스트 물질(H) 및 하나 이상의 발광 도펀트 물질(D)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선택된 색 또는 색조를 갖는 광을 방출시킬 수 있는, 즉 선택된 분광 영역에서 발광시킬 수 있는 발광 층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단일 증발 소오스로부터의 증착에 의해 도핑된 발광 층을 형성시키면, 도 2에 대해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은, 2개의 독립적으로 제어된 증발 소오스로부터의 동시-증착과 관련된 증발 제어 문제가 해소된다.
혼합물중 2개 이상의 성분을 분별증류시키는 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성분을 승화(증발)시켜 분리시킨다는 것은 혼합물의 성분 각각의 증기압이 동일하거나 근접한 경우 거의 불가능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호스트 물질과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도펀트 물질의 균질 혼합물을 사용하는 본 발명은 상기한 지식을 기초로 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호스트 물질 및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도펀트 물질은 비교적 근접하게 부합된 증발 온도를 기초로 균질 혼합물을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다.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호스트 물질과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도펀트 물질의 균질 혼합물에서, 유기 발광 층이 단일 증발 소오스로부터 증착시킴으로써 재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소정의 증발 온도(T)를 갖는 각각 하나 이상의 호스트 성분, 및 각각 (T-40) ℃ 내지 (T+40) ℃의 증발 온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도펀트 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 혼합물의 각 성분의 증발 온도는 호스트 물질내의 도펀트의 몰%와 곱한 순수한 물질의 증발 온도와 동일하다.
발광 호스트 물질과 발광 도펀트 물질의 균질 혼합물은 각각의 측정된 양의 고체 물질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분위기(예: 불활성 기체)가 제공될 수 있는 콘테이너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어, 혼합물은 콘테이너내에서 용융되어 균질 혼합물을 수득한다. 주위 온도로 냉각시킴에 따라, 호스트 물질과 도펀트의 균질 혼합물은 콘테이너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균질 혼합물의 일부는 이로부터 승화시키거나 증발시키기 위해 증발 소오스내에 위치시켜서 유기 정공-수송 층(22)상에 성장하는 발광 층(24g)을 형성시킨다. 호스트 물질내의 도펀트 물질의 바람직한 농도는 0.05 내지 5.0 몰%이다.
다르게는,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호스트 물질과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도펀트 물질의 균질 혼합물은, 통상의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내의 각각의 측정된 양의 물질을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을 용매가 제어적으로 제거가능한 콘테이너내에위치시키고, 그에 따라 균질 혼합물의 일부가 콘테이너로부터 제거되고 이로부터 승화시키거나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 소오스(160)내에 위치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세한 설명이 유기 발광 디바이스내에 도핑된 발광 층을 형성시키기 위해 예비-도핑된 유기 발광 물질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예비-도핑된 유기 발광 물질을 제공하거나 사용하는데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디바이스에서 도핑된 유기 정공-수송 층 및 도핑된 유기 전자-수송 층 각각을 형성시키는데 있어 예비-도핑된 유기 정공-수송 물질 및 예비-도핑된 유기 전자-수송 물질을 제공하여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기 정공-수송 물질 및/또는 유기 전자-수송 물질을 예비-도핑하면, 주요 목적으로서, 그로부터 형성된 도핑된 유기 층의 물리적 측면이 개선된다. 예를 들면, 단일 증발 소오스로부터의 증착에 의해 각각의 예비-도핑된 물질로부터 형성된 도핑된 유기 정공-수송 층 및/또는 도핑된 유기 전자-수송 층은 유기 발광 디바이스에서 하기의 하나 이상의 유리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i) 감소된 수의 핀홀 결함,
(ii) 개선된 전하-수송 특성,
(iii) 디바이스 작동중의 개선된 내열성,
(iv) 디바이스 작동 및 디바이스 저장중의 개선된 안정성, 및
(v) 이러한 층의 개선된 무정형 특징.
예비-도핑된 유기 정공-수송 물질은 하나 이상의 선택량의 유기 정공-수송호스트 물질과 하나 이상의 선택량의 유기 정공-수송 도펀트 물질의 균질 고체 혼합물을 형성시킴으로써 제공된다. 호스트 물질내에서 도펀트 물질 농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몰%의 농도를 갖는 균질 혼합물을 제공하도록 양이 선택된다. 정공-수송 호스트 물질은, 소정의 증발 온도(T)를 갖는 하나 이상의 호스트 성분, 및 각각 (T-40) ℃ 내지 (T+40) ℃의 증발 온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유기 도펀트 물질을 포함한다.
이어, 예비-도핑된 유기 정공-수송 물질의 균질 고체 혼합물은 그로부터 승화시키거나 증발시키기 위해 증발 소오스(160)(도 3 참조)에서 사용되어 양극 상에 도핑된 유기 정공-수송 층을 형성시킨다.
유사하게, 예비-도핑된 유기 전자-수송 물질은 하나 이상의 선택량의 유기 전자-수송 호스트 물질과 하나 이상의 선택량의 유기 전자-수송 도펀트 물질의 균질 고체 혼합물을 형성시킴으로써 제공된다. 호스트 물질내에서 도펀트 물질 농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몰%의 농도를 갖는 균질 혼합물을 제공하도록 양이 선택된다. 전자-수송 호스트 물질은 호스트 물질 증기압을 갖도록 추가로 선택되고, 전자-수송 도펀트 물질은 상기 호스트 물질 증기압의 0.75 내지 1.25배의 도펀트 물질 증기압을 갖도록 추가로 선택된다.
이어, 예비-도핑된 유기 전자-수송 물질의 균질 고체 혼합물은, 3층 또는 2층의 유기 EL-매체 구조를 제공하도록, 그로부터 승화시키거나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 소오스(160)(도 3 참조)에 사용되어 도핑된 유기 발광 층 상에 도핑된 유기 전자-수송 층이 형성되거나, 다르게는 도핑된 유기 정공-수송 층상에 도핑된 유기 전자-수송 층이 형성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제공된다.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해, 물질 및 이로부터 형성된 층은 하기와 같이 생략될 것이다:
Alq: 알루미늄 트리스옥신으로도 또한 알려져 있는, 전자-수송 층(26)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8-하이드록시퀴놀린.
ITO: 광-전달 양극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인듐 주석 산화물.
MgAg: 음극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10:1 부피비의 마그네슘:은.
NPB: 정공-수송 층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4,4'-비스[(1-나프틸)-N-페닐아미노]-비페닐.
발광 호스트 물질:
ADN: 9,10-디(2-나프틸)안트라센.
TBADN: 2-3급-부틸-9,10-디(2-나프틸)안트라센.
도펀트 물질:
루브렌(Rubrene): 시판중인 발광 물질.
TBP: 2,5,8,11-테트라-3급-부틸페릴렌.
실시예 1: 예비-도핑된 발광 물질 BEM-1의 제조예
청색 발광 예비-도핑된 물질 BEM-1을 고체 물질, 즉 49.5 몰%의 ADN, 49.5 몰%의 TBADN 및 1 몰%의 TBP를 혼합한 후, 화학적 불활성 분위기를 갖는 콘테이너내에서 상기 혼합물을 용융시킴으로써 제조하였다. 균질한 예비-도핑된 발광 물질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면서 콘테이너로부터 제거하였다. 예비-도핑된 물질 일부를 도핑된 발광 층을 증착시키는데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예비-도핑된 발광 물질 BEM-2의 제조예
청색 발광 예비-도핑된 물질 BEM-2를 고체 물질, 즉 99 몰%의 TBADN을 1.0 몰%의 TBP와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런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가공하고, 이런 예비-도핑된 물질 일부를 도핑된 발광 층을 증착시키는데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예비-도핑된 발광 물질 BEM-3의 제조예
청색 발광 예비-도핑된 물질 BEM-3을 고체 물질, 즉 95 몰%의 TBADN을 5.0 몰%의 TBP와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런 혼합물을 실시예 2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가공하고, 이런 예비-도핑된 물질 일부를 도핑된 발광 층을 증착시키는데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예비-도핑된 발광 물질 YEM-1의 제조예
황색 발광 예비-도핑된 물질 YEM-1을 고체 물질, 즉 95 몰%의 TBADN을 5 몰%의 TBP와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런 혼합물을 실시예 3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가공하고, 이런 예비-도핑된 물질 일부를 도핑된 발광 층을 증착시키는데 사용하였다.
예비-도핑된 발광 물질로부터의 유기 발광 디바이스(OLED)의 제조예
하기 실시예에서, 광-전달 ITO-코팅된 유기판을 상업용 세제중에서 초음파처리하고, 탈이온수중에서 헹구고, 톨루엔 증발과정에서 탈지시키고(degrease), 강한산화제와 접촉시켰다.
실시예 5: 유기 발광 디바이스(OLED-1A)의 제조예
a) 두께 150 ㎚의 NPB 정공-수송 층을 열 증착법에 의해 ITO상에 증착시키는 단계;
b) 두께 20 ㎚의 발광 층을 증착 소오스로부터의 BEM-1 예비-도핑된 물질을 열 증착시킴으로써 NPB 층상에 증착시키는 단계(도 3 참조);
c) 두께 37.5 ㎚의 Alq 전자-수송 층을 열 증착법에 의해 발광 층상에 증착시키는 단계; 및
d) 두께 200 ㎚의 MgAg 음극을 2개의 증착 소오스(Mg 및 Ag)로부터의 열 동시-증착법에 의해 Alq 층상에 증착시키는 단계.
상기 OLED 구조는 ITO/NPB(150)/BEM-1(t)/Alq(37.5)MgAg(200)로서 표 2에 간략하게 나타낸다.
실시예 6: 유기 발광 디바이스(OLED-1B)의 제조예
두께 25 ㎚의 발광 층을 NPB 층상에 증착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실시예의 디바이스를 디바이스 OLED-1A와 동일한 공정 단계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유기 발광 디바이스(OLED-1)의 제조예
두께 30 ㎚의 발광 층을 NPB 층상에 증착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실시예의 디바이스를 디바이스 OLED-1A와 동일한 공정 단계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유기 발광 디바이스(OLED-2A, OLED-2B, OLED-2C 및 OLED-2D)의 제조예
4개의 OLED를 하기의 공칭 동일한 공정 단계에 의해 연속적으로 제조하였다.
a) 두께 150 ㎚의 NPB 정공-수송 층을 열 증착법에 의해 ITO상에 증착시키는 단계;
b) 두께 20 ㎚의 발광 층을 증착 소오스로부터의 BEM-2 예비-도핑된 물질을 열 증착시킴으로써 NPB 층상에 증착시키는 단계(도 3 참조);
c) 두께 37.5 ㎚의 Alq 전자-수송 층을 열 증착법에 의해 발광 층상에 증착시키는 단계; 및
d) 두께 200 ㎚의 MgAg 음극을 2개의 증착 소오스(Mg 및 Ag)로부터의 열 동시-증착법에 의해 Alq 층상에 증착시키는 단계.
상기 OLED 구조는 ITO/NPB(150)/BEM-2(20)/Alq(37.5)MgAg(200)로서 표 3에 간략하게 나타낸다.
실시예 9: 유기 발광 디바이스(OLED-3A, OLED-3B, OLED-3C, OLED-3D, OLED-3E 및 OLED-3F)의 제조예
6개의 OLED를 하기의 공칭 동일한 공정 단계에 의해 연속적으로 제조하였다.
a) 두께 150 ㎚의 NPB 정공-수송 층을 열 증착법에 의해 ITO상에 증착시키는 단계;
b) 두께 20 ㎚의 발광 층을 증착 소오스로부터의 YEM-1 예비-도핑된 물질을 열 증착시킴으로써 NPB 층상에 증착시키는 단계(도 3 참조);
c) 두께 37.5 ㎚의 Alq 전자-수송 층을 열 증착법에 의해 발광 층상에 증착시키는 단계; 및
d) 두께 200 ㎚의 MgAg 음극을 2개의 증착 소오스(Mg 및 Ag)로부터의 열 동시-증착법에 의해 Alq 층상에 증착시키는 단계.
상기 OLED 구조는 ITO/NPB(150)/YEM-1(20)/Alq(37.5)MgAg(200)로서 표 3에 간략하게 나타낸다.
각각의 제조된 OLED에서, 음극이 양극보다 큰 음(-)의 포텐셜이도록 유도 전압을 각각의 디바이스에 적용하였다. 유도 전압을 20 ㎃/㎠의 전류 밀도를 제공하도록 조정하였다. 발광 광도를 칸델라/㎡(cd/㎡)로서 측정하였다. 발광 효율을 광도 및 전류 밀도로부터 칸델라/암페어(cd/A)로서 계산하였다. 발광의 색 좌표를 측정하여 CIE x 및 CIE y로서 나타냈다. 발광 피크의 파장을 이미션 피크(emission peak, EP)(㎚)로서 측정하였다.
전술된 OLED에 대한 시험 결과를 표 1, 2 및 3에 제시한다.
ITO/NPB(150)/BEM-1(20∼30)/Alq(37.5)MgAg(200)
디바이스 BEM-1의 두께(㎚) MA/㎠ V cd/㎡ cd/A CIE x CIE y EP(㎚)
OLED-1A 20 20 7.3 585 2.92 0.145 0.214 464
OLED-1B 25 20 7.5 576 2.88 0.145 0.228 464
OLED-1C 30 20 7.5 571 2.86 0.147 0.244 464
표 1에서, 디바이스의 BEM-1 층 두께를 증가시키면, 광도가 약간 감소되고, CIE y 값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ITO/NPB(150)/BEM-2(20)/Alq(37.5)MgAg(200)
디바이스 BEM-1의 두께(㎚) MA/㎠ V cd/㎡ cd/A CIE x CIE y EP(㎚)
OLED-2A 20 20 7.6 571 2.86 0.146 0.226 464
OLED-2B 20 20 7.6 554 2.77 0.146 0.219 464
OLED-2C 20 20 7.5 5.7 2.88 0.146 0.213 464
OLED-2D 20 20 7.7 564 2.86 0.147 0.221 464
ITO/NPB(150)/YEM-1(20)/Alq(37.5)MgAg(200)
디바이스 BEM-1의 두께(㎚) MA/㎠ V cd/㎡ cd/A CIE x CIE y EP(㎚)
OLED-3A 20 20 7.6 1017 5.08 0.476 0.509 564
OLED-3B 20 20 7.4 956 4.78 0.472 0.512 564
OLED-3C 20 20 7.5 927 4.63 0.472 0.512 564
OLED-3D 20 20 7.4 896 4.48 0.477 0.508 564
OLED-3E 20 20 7.5 860 4.30 0.477 0.508 564
OLED-3F 20 20 7.5 917 4.59 0.476 0.509 564
표 2 및 3에서, 연속적으로 제조된 디바이스의 각 세트들간의 실제 재생산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증착 소오스를 사용하므로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생성된 유기 발광 디바이스 사이가 견실하고, 도펀트 농도가 제어가능한 유기 발광 층을 형성할 수 있다.

Claims (3)

  1. (a)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호스트 물질 및 하나 이상의 발광 유기 도펀트 물질을 포함하는 증착가능한 균질 고체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균질 고체 혼합물을 증착시켜서 유기 발광 디바이스내에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c) 상기 유기 발광 호스트 물질이 각각 소정의 증발 온도(T)를 갖는 하나 이상의 호스트 성분, 및 각각 (T-40) ℃ 내지 (T+40) ℃의 증발 온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도펀트 물질을 포함하는,
    예비-도핑된 유기 발광 물질을 증착시켜서 유기 발광 디바이스내에 층을 형성하는 방법.
  2.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호스트 물질이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인, 제 1 항에 따른 예비-도핑된 유기 발광 물질: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 R1및 R2는 각각 개별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24의 알킬; 탄소수 1 내지 24의 알콕시; 탄소수 5 내지 20의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탄소수 5 내지 24의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탄소수 4 내지 12의 융합된 아릴 그룹;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시아노 그룹이다.
  3.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호스트 물질이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인, 제 1 항에 따른 예비-도핑된 유기 발광 물질: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6이고,
    R1및 R2는 개별적으로 탄소수 5 내지 20의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탄소수 5 내지 24의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또는 탄소수 4 내지 12의 융합된 아릴 그룹이고,
    R은 수소 및 탄소수 1 내지 24의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KR1020010027480A 2000-05-19 2001-05-19 유기 발광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예비-도핑된 물질을사용하는 방법 KR200101052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7453200A 2000-05-19 2000-05-19
US09/574,532 2000-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298A true KR20010105298A (ko) 2001-11-28

Family

ID=24296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480A KR20010105298A (ko) 2000-05-19 2001-05-19 유기 발광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예비-도핑된 물질을사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016907A1 (ko)
EP (1) EP1156536A3 (ko)
JP (1) JP2002025770A (ko)
KR (1) KR20010105298A (ko)
CN (1) CN1336411A (ko)
TW (1) TW59362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146B1 (ko) * 2002-11-19 2007-02-08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혼합된 화학적 불순물의 승화를 이용한 oeld 패널제작 방법
KR20200139834A (ko) * 2014-04-22 2020-12-14 유니버셜 디스플레이 코포레이션 인광 발광성 소자용 물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9941B2 (ja) * 2000-09-01 2007-09-05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
JP4036682B2 (ja) * 2001-06-06 2008-01-23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発光材料
US6649436B2 (en) * 2002-02-11 2003-11-18 Eastman Kodak Company Using organic materials in making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JP3877613B2 (ja) * 2002-03-05 2007-02-07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819789B2 (ja) * 2002-03-05 2006-09-13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295519B1 (en) 2002-07-19 2016-05-18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and organic luminescent medium
JP4139158B2 (ja) * 2002-07-26 2008-08-27 松下電工株式会社 真空蒸着方法
JP4110966B2 (ja) * 2002-12-26 2008-07-02 富士電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蒸着装置および蒸着方法
US20050056969A1 (en) * 2003-09-16 2005-03-17 Eastman Kodak Company Forming homogeneous mixtures of organic materials for physical vapor deposition using a solvent
US20050056958A1 (en) * 2003-09-16 2005-03-17 Eastman Kodak Company Forming homogeneous mixtures of organic materials for physical vapor deposition using dry mixing
US20050056960A1 (en) * 2003-09-16 2005-03-17 Eastman Kodak Company Forming homogeneous mixtures of organic materials for physical vapor deposition using melting
CN1947276A (zh) * 2004-04-27 2007-04-1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通过熔融技术制备有机半导体器件的方法
EP1643568A1 (de) * 2004-10-04 2006-04-05 Novaled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chicht aus einem dotierten Halbleitermaterial und Vorrichtung
US7252859B2 (en) * 2004-11-19 2007-08-07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materials for an evaporation source
JP2006290771A (ja) * 2005-04-08 2006-10-26 Akita Univ アントラセン系有機ゼオライト類縁体、製造法及びその用途
CN101853923B (zh) * 2005-04-21 2013-05-22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元件、发光器件和电子设备
JP2006324649A (ja) * 2005-04-22 2006-11-30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有機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US7750561B2 (en) * 2005-05-20 2010-07-06 Lg Display Co., Ltd. Stacked OLED structure
EP1780816B1 (en) 2005-11-01 2020-07-01 Novaled GmbH A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nic device with a layer structure and an electronic device
US7842341B2 (en) * 2005-11-10 2010-11-30 Global Oled Technology Llc Purifying organic materials for physical vapor deposition
US8197951B2 (en) * 2005-11-18 2012-06-12 Lg Chem, Ltd. Emitting materia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using the same
EP1939320B1 (de) * 2005-12-07 2013-08-21 Novaled AG Verfahren zum Abscheiden eines Aufdampfmaterials
KR101361710B1 (ko) 2006-03-21 2014-02-10 노발레드 아게 도핑된 유기 반도체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포뮬레이션
JP2008124157A (ja) * 2006-11-09 2008-05-29 Idemitsu Kosan Co Ltd 有機el材料含有溶液、有機el材料の薄膜形成方法、有機el材料の薄膜、有機el素子
US7922035B2 (en) * 2006-12-07 2011-04-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issue stack and dispenser
TWI477195B (zh) * 2007-04-27 2015-03-11 Semiconductor Energy Lab 發光裝置的製造方法
JP5325471B2 (ja) * 2007-07-06 2013-10-2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の作製方法
JP2010153051A (ja) * 2008-12-24 2010-07-08 Sony Corp 転写用基板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328726B2 (ja) * 2009-08-25 2013-10-30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薄膜蒸着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JP5677785B2 (ja) * 2009-08-27 2015-02-25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薄膜蒸着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有機発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611718B2 (ja) * 2009-08-27 2014-10-22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薄膜蒸着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有機発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20110052795A1 (en) * 2009-09-01 2011-03-03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same
US8876975B2 (en) 2009-10-19 2014-11-04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JP4974036B2 (ja) * 2009-11-19 2012-07-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セントラル 有機el装置の製造方法
KR101146982B1 (ko) * 2009-11-20 2012-05-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박막 증착 장치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KR101084184B1 (ko) * 2010-01-11 2011-11-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박막 증착 장치
KR101174875B1 (ko) * 2010-01-14 2012-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 장치,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93186B1 (ko) 2010-02-01 2012-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 장치,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56441B1 (ko) 2010-03-11 2012-06-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박막 증착 장치
KR101202348B1 (ko) 2010-04-06 2012-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8894458B2 (en) 2010-04-28 2014-11-25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apparatu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JP5646733B2 (ja) 2010-04-28 2014-12-24 ユニバーサル ディスプレイ コーポレイション 予備混合した材料の堆積
KR101223723B1 (ko) 2010-07-07 2013-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 장치,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38531B1 (ko) 2010-10-22 2017-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23506B1 (ko) 2010-10-22 2017-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20045865A (ko) 2010-11-01 2012-05-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층 증착 장치
KR20120065789A (ko) 2010-12-13 2012-06-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층 증착 장치
KR101760897B1 (ko) 2011-01-12 2017-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원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막 증착 장치
JP2011153379A (ja) * 2011-02-21 2011-08-11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有機薄膜形成装置の加熱容器
JPWO2012121238A1 (ja) * 2011-03-09 2014-07-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蒸着用シート、蒸着装置、及び蒸着用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2195140A (ja) * 2011-03-16 2012-10-11 Nitto Denko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発光層の製造方法
JP6132470B2 (ja) * 2011-04-12 2017-05-24 ユー・ディー・シー アイルランド リミテッド 有機電界発光素子、該素子に用いる化合物および有機電界発光素子用材料、並びに該素子を用いた発光装置、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JP5979947B2 (ja) * 2011-04-12 2016-08-31 ユー・ディー・シー アイルランド リミテッド 有機電界発光素子、該素子に用いる化合物、並びに該素子を用いた発光装置、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KR101852517B1 (ko) 2011-05-25 2018-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840654B1 (ko) 2011-05-25 2018-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857249B1 (ko) 2011-05-27 2018-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터닝 슬릿 시트 어셈블리, 유기막 증착 장치, 유기 발광 표시장치제조 방법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826068B1 (ko) 2011-07-04 2018-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층 증착 장치
KR20130010730A (ko) 2011-07-19 2013-0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 소스 및 이를 구비한 증착 장치
KR20130015144A (ko) 2011-08-02 2013-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원어셈블리, 유기층증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94838B1 (ko) 2012-09-24 2019-10-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층 증착 장치,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6196791B2 (ja) * 2013-03-18 2017-09-13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
US10074806B2 (en) 2013-08-20 2018-09-11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9831437B2 (en) 2013-08-20 2017-11-2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KR101812581B1 (ko) 2013-10-11 2017-12-27 제일모직 주식회사 유기광전자소자용 유기합화물,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JP6396147B2 (ja) * 2013-10-22 2018-09-26 ユニバーサル ディスプレイ コーポレイション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材料、及びデバイス
US10297762B2 (en) 2014-07-09 2019-05-21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TWI666803B (zh) * 2014-09-17 2019-07-21 日商日鐵化學材料股份有限公司 有機電場發光元件及其製造方法
US10749113B2 (en) 2014-09-29 2020-08-1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0361375B2 (en) 2014-10-06 2019-07-2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0381569B2 (en) 2014-11-25 2019-08-1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KR102553284B1 (ko) * 2015-03-30 2023-07-07 닛테츠 케미컬 앤드 머티리얼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11522140B2 (en) 2015-08-17 2022-12-0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1302872B2 (en) * 2015-09-09 2022-04-1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EP3645766A1 (en) 2017-06-26 2020-05-06 Merck Patent GmbH Homogeneous mixtures
KR20230019061A (ko) 2020-05-29 2023-02-07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혼합물,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CN112403301A (zh) * 2020-11-19 2021-02-26 国信宝威(北京)科技有限公司 Oled材料混合方法
WO2023100891A1 (ja) * 2021-11-30 2023-06-08 出光興産株式会社 固体状の溶融混合物、固体状の組成物、混合粉体、有機化合物の選択方法、固体状の溶融混合物の製造方法、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
EP4223853A1 (en) 2022-02-04 2023-08-0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0325A (en) * 1967-08-21 1970-09-22 American Cyanamid Co Conversion of electrical energy into light
US3621321A (en) * 1969-10-28 1971-11-16 Canadian Patents Dev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light emitting aromatic, hydrocarbon material
US4356429A (en) * 1980-07-17 1982-10-26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cell
US4539507A (en) * 1983-03-25 1985-09-03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having improved power conversion efficiencies
US4885211A (en) * 1987-02-11 1989-12-05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improved cathode
US4720432A (en) * 1987-02-11 1988-01-19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organic luminescent medium
US4769292A (en) * 1987-03-02 1988-09-06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modified thin film luminescent zone
US5061569A (en) * 1990-07-26 1991-10-29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organic electroluminescent medium
US5047687A (en) * 1990-07-26 1991-09-10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stabilized cathode
US5059862A (en) * 1990-07-26 1991-10-22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improved cathode
US6358631B1 (en) * 1994-12-13 2002-03-19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Mixed vapor deposited films for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5981092A (en) * 1996-03-25 1999-11-09 Tdk Corporation Organic El device
US6087196A (en) * 1998-01-30 2000-07-11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Fabrication of 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using ink jet printing
US5972247A (en) * 1998-03-20 1999-10-26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s for stable blue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5935721A (en) * 1998-03-20 1999-08-10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s for stable electroluminescent
US6228436B1 (en) * 1998-12-16 2001-05-08 Battelle Memorial Institute Method of making light emit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146B1 (ko) * 2002-11-19 2007-02-08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혼합된 화학적 불순물의 승화를 이용한 oeld 패널제작 방법
KR20200139834A (ko) * 2014-04-22 2020-12-14 유니버셜 디스플레이 코포레이션 인광 발광성 소자용 물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16907A1 (en) 2004-01-29
CN1336411A (zh) 2002-02-20
EP1156536A3 (en) 2005-08-17
EP1156536A2 (en) 2001-11-21
TW593622B (en) 2004-06-21
JP2002025770A (ja) 200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5298A (ko) 유기 발광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예비-도핑된 물질을사용하는 방법
US6303238B1 (en) OLEDs doped with phosphorescent compounds
US5922396A (en) Electron transporting and light emitting layers based on organic free radicals
US6451455B1 (en) Metal complexes bearing both electron transporting and hole transporting moieties
KR101242630B1 (ko) 백색광 발광 oled 디바이스, 백색광 발광 oled 디스플레이 및 직렬 백색광 발광 oled 디바이스
US6573651B2 (en) Highly efficient OLEDs using doped ambipolar conductive molecular organic thin films
KR100584917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457576B1 (ko) 안정한 백색 발광 οled 디바이스
JP2003051388A (ja) 有機発光デバイス
JP2000150151A (ja) 有機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20020059256A (ko) 개선된 휘도 효율을 갖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JP2003059668A (ja) 有機発光デバイス
JP2006032883A (ja) 発光素子
JPH04137485A (ja) 電界発光素子
Qiao et al. Pure red electroluminescence from a host material of binuclear gallium complex
US20050164589A1 (en) Method of improving stability in OLED devices
Ma et al. Bright blue electroluminescent devices utilizing poly (N-vinylcarbazole) doped with fluorescent dye
Qiu et al. Efficient blue-to-viole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JP2003229279A (ja) 有機電界発光素子
Wang et al. Efficient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using a thin 4, 4′-bis (2, 2′-diphenylvinyl)-1, 1′-diphenyl layer
US20050175770A1 (en) Fabricating an electrode for use in organic electronic devices
KR100967288B1 (ko) 유기 el 소자
KR19980081742A (ko) 유기 전계발광 소자
JP2000348865A (ja) 有機el素子
Srivastava et al. Fabrication of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by co-doping of emissive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